[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굴곡 노선/버스)] [목차]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의 굴곡도를 서술한 문서다. 제주도는 순환 노선이 매우 많지만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에 회차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의로 중간 회차지를 지정하여 굴곡도를 계산한다. * '''굴곡도'''를 계산하여 굴곡도가 소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을 때 1.5 이상인 노선만 기재하며 2.0 이상인 경우 '''볼드 처리'''를 하고, 3.0 이상일 경우 {{{#red '''빨간 글씨'''}}}를, 4.0 이상인 경우 {{{+1 {{{#red '''큰 글씨'''}}}}}}를 적용한다. * 단, 마을버스는 --노선 특성상 골목길 사각지대를 인근 전철역, 교통스팟 등과 연계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제주도에서는 마을버스가 교통편이 불편한 곳만 이어주기 때문에 육지의 마을버스와는 성격이 많이 다르다. 관광지 순환버스도 마을버스 면허이긴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순환버스에 해당한다.] --일반 시내버스보다 좀 더 엄격하게 적용하여-- 굴곡도가 2.0 이상인 경우에만 기재하며, 이 때의 볼드 기준은 2.0 이상이 아닌 2.5 이상을 적용한다. 빨간 글씨를 적용하는 커트라인은 3.0 이상이 아닌 3.5 이상을, 큰 글씨 커트라인은 4.5를 적용한다. == 급행, 일반간선 == ||'''노선''' || '''굴곡도''' || '''설명''' || || '''[[제주 버스 101|101]]''' || '''2.38''' || 제주에서 서귀포까지 동쪽으로 조천, 구좌, 성산, 표선, 남원 총 5개의 읍면을 지나간다. 사실상 일주 노선. || || '''[[제주 버스 102|102]]''' || '''2.08''' || 위 101번보다는 굴곡도가 낮지만, 반대로 서쪽으로 돌아간다. || || '''{{{+1 [[제주 버스 181|181]]}}}''' || {{{+1 {{{#red '''32.22'''}}}}}} ||<|2> 잘못 쓴 게 아니다. 시점인 공항과 종점인 제주버스터미널은 거리가 약 3km 남짓이지만, 이 노선은 제주도를 한 바퀴 돌아서 제주에서 서귀포 찍고 다시 제주로 오기 때문에 '''거리가 거의 100km'''이다. 그래서 굴곡도가 저렇게 된 것. || || '''{{{+1 [[제주 버스 182|182]]}}}''' || {{{+1 {{{#red '''32'''}}}}}} || ||'''노선''' || '''굴곡도''' || '''설명''' || || '''[[제주 버스 201|201]]''' || '''2.42''' || 위 101번의 완행 간선버스인데, 완행이여서 그런지 더 돌아가고, 행선지도 많다. || || '''[[제주 버스 202|202]]''' || '''2.35''' || 이 버스 역시 위 102번의 완행 간선버스인데, 완행이어서 그런지 더 돌아간다. || == 제주시/서귀포시 간선버스(심야버스 포함) == ||'''노선''' || '''굴곡도''' || '''설명''' || || [[제주 버스 326|326]] || 1.54[* 함덕 방향 1.51] || 노형동과 연동에서 엄청나게 돌아가고 한라수목원 한정으로 탐라도서관까지 경유해 돌아가는 경로가 매우 심한데, 이런데도 굴곡도는 등재 기준을 겨우 충족하고, 그마저도 형제 노선 325번은 딱 커트라인이다. 326번은 삼화지구를 경유해 간신히 등재 요건에 충족될 수 있었다. || || [[제주 버스 360|360]] || 1.75 || 부영아파트에서 제주대까지 수요를 위해 직선으로 가지 않고 엄청 돌아간다. 그러나 의외로 굴곡도는 다른 노선에 비해 조금 낮다고 볼 수 있다. || || [[제주 버스 365|365]] || 1.98 || '''제주도 시내버스 중 전체 수요 1위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굴곡도가 높다.''' 제주 시내의 웬만한 곳은 다 돌아다녀서 한라대에서 제주대까지 빙 돌아간다. || == 지선버스(마을버스 포함) == === 제주시 === ||'''노선''' || '''굴곡도''' || '''설명''' || || [[제주 버스 415|415]] || 1.96 || 노선이 너무 돌아가서 구간별 수요가 압도적인 노선. 장거리 수요는 얼마 없다. 노형에서 중앙로까지 가기 위해 이 노선을 타는 제주도민들이 없다. 그 정도로 돌아간다. 당장 보건소에서 시청까지 5분 내로 주파하는 [[제주 버스 300|300번]], [[제주 버스 311, 312|311번, 312번]] 등이 있으나 이 노선은 무려 '''33분'''이라는 경악할 만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냥 타지 말자.-- || || [[제주 버스 421|421]] || 1.70 ||<|2> 광양과 삼화지구에서 굴곡이 많다. 거로/황사평 부근에서 1차로 도로로 진입한다. || || [[제주 버스 422|422]] || 1.87 || || '''[[제주 버스 455|455]]''' || '''2.19'''[* 오일장 날이 아닐 때는 '''2.04'''.] || 정존마을 이동 노선은 365번과 비슷하나, 더 굴곡도가 높은 노선으로 제주도에서 많이 돌아가는 노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오일장 경유날에는 굴곡도가 더 늘어난다. 애월 쪽에서 워낙 많이 돌아가서 굴곡도가 높다. || || [[제주 버스 701-1|701-1]] || 1.61 || '''에덴빌리지 구간.''' 에덴빌리지에서 숫자 '2'자로 돌아가며, 시간도 5분 정도 더 소요된다. || || '''[[제주 버스 702|702]]''' || '''2.90'''[* 702-1번 초록마을 경유 시간대 굴곡도. 초록마을 미경유, 문서교 경유 때는 지경동산을 기준으로 잡았을 때 1.67.][br]{{{#red '''3.02'''}}}[* 702-2번 초록마을 경유 시간대 굴곡도. 702-1번의 초록마을 미경유 시간대와 똑같이 기준을 잡는다면 1.65.] || 초록마을 경유 시간대 한정으로 매우 돌아간다. 중간 회차지를 신안상동이라 가정했을 때 나오는 수치다. 물론 초록마을 미경유 시간대에는 굴곡률이 낮다. || || '''[[제주 버스 703|703]]''' || '''2.49'''[* 703-1번.][br]1.65[* 703-2번.] || 문장 하나로 요약하자면 '''겁나게 돌아간다.''' 특히 양천상동과 에덴빌리지 구간의 경우는 그냥 막장이다. || || '''[[제주 버스 711|711]]''' || '''2.38'''[* 711-1번.][br]1.84[* 711-2번.] || [[만장굴|크고 아름다운 유명한 관광지]] 덕분에(?) 엄청 돌아간다. 711-1번은 상덕천에 비자림까지 경유하고, 해녀박물관 종점이여서 매우매우 돌아가며, 711-2번은 그나마 낫지만 만장굴의 존재 때문에 일단 만장굴은 경유하며, 세화리에서 엄청 돌아간다. || || '''[[제주 버스 782|782-2]]''' || '''2.37''' || 종점을 봉성하나로로 계산했을 때 옆의 굴곡도가 나오는데, 직행으로 가지 않고 귀덕으로 돌아가고, 옹포까지 간 것이 그 이유다. 사실 읍면순환 노선인 이유도 있다. || || '''[[제주 버스 793|793]](-1)''' || {{{#red '''3.08'''}}}[* 유수암/해안 경유 793-1번. 장전/해안 경유는 '''2.97'''.][br]1.89[* 793-2번.] || 애월에서 하귀까지 쭉 가지 않고 상가-소길-유수암-광령-제일빌리지-해안-사라마을로 엄청나게 돌아간다. || === 서귀포시 === ||'''노선''' || '''굴곡도''' || '''설명''' || || '''[[제주 버스 611|611]]''' || '''2.09'''[* 상효원 미경유 시 '''2.06'''] || 서귀포시 지선 노선 중에서는 그렇게 심한 편은 아니지만--이유는 [[제주 버스 621|얘]] 때문-- 이 노선 역시 굴곡이 심한 편이다. 숫자 '2'자로 크게 돌아가며 특히 서귀포 중앙로터리에서부터 정방동까지의 구간은 말이 안 나올 정도로 노선이 기괴하다. 중앙로터리에서 극락사가 보이는 순간 바로 '이걸 왜 탔지'라는 생각이 나오게 하는 노선. || || [[제주 버스 612|612]] || 1.79 || 위 611번보다는 훨씬 덜하지만, 토평공업단지를 경유해 소요시간이 조금 늘어나고 굴곡도가 높아졌다는 것이 함정이다. || || '''{{{+1 [[제주 버스 621|621]]}}}''' || '''{{{+1 {{{#red 4.29}}}}}}'''[* 모레기도 방향(헬스케어리조트 경유 시)] || 이 노선 수요 중 거의 90% 이상이 구간 수요일 정도로 굴곡도가 엄청나다. 헬스케어리조트 방향은 그나마 낫지만 모레기도 방향은 서귀포까지 돌아가기 때문에 헬스케어리조트에서 하례로 갈 경우엔 절대로 이 노선을 타지 않는 것을 권한다. 그러다 위 415번의 사례처럼 100% 후회한다. || || '''[[제주 버스 625|625]]''' || '''2.11'''[* 치유의숲 경유 노선은 1.75.] || 헬스케어리조트에서 서귀포운수차고지까지 최단거리 경로에서 딱 서귀포 시내만 경유해 엄청나게 돌아간다. || || '''[[제주 버스 721|721]](-3)''' || 1.79[* 721-2번 고성 방향 시흥 경유. 시흥 미경유 시 1.66.][br]'''2.36'''[* 721-3번 고성 방향.] || '''성산 구간은 노선 운행 방식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해괴하게 운행한다. 721-3번은 고성 방향 한정으로 숫자 '8'자 모양으로 돌아가며, 721-2번은 고성 방향 한정으로 721-3번이 운행하는 고성 '8'자 구간에서 윗부분만 운행한다. 그런데 여기서는 '고성 방향 한정'이라는 서술을 쓰고 있는데, 이유는 반대 방향은 '''성산 구간을 미경유'''하기 때문이다. 특히 대천 방향 721-2번은 수산에서 살짝 돌아가는 것을 제외하면 금백조로 경유 [[제주 버스 211, 212|210번대]]와 노선이 아예 똑같을 지경. || || '''[[제주 버스 743|743]]''' || {{{#red '''3.88'''}}} || 원래는 아주 평범한, 굴곡률이 1.5 도 안 되는 노선으로 굴곡도가 높기는 커녕 지극히 평범한 노선이였으나, 편도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굴곡도가 높아지고 2020년 즈음부터 갑자기 순환 노선에서 왕복 노선, 남원생활체육관 종점으로 바뀌면서 굴곡률이 3을 넘었고, 신례리까지 추가 경유하면서 무려 {{{+1 {{{#red '''4.69'''}}}}}}의 굴곡도를 가지게 되었지만, 노선이 환원되면서 기존의 굴곡도로 돌아갔다. || == 순환버스 == ||'''노선''' || '''굴곡도''' || '''설명''' || || '''[[제주 버스 880|880]]''' || '''2.6'''[* 천지연 방향. 그러나 반대 방향은 1.49이다.] || 서귀포 시내를 헤집고 다니는 버스 노선이다보니 천지연 방향 한정으로 굴곡률이 매우 높지만, 반대 방향은 종이 한 장 차이로 등재 기준 미달이다. || || '''[[제주 버스 1111|1111]]''' || {{{#red '''3.24'''}}} || 이 버스의 시점과 종점 사이의 정류장이 모두 7정거장 사이이므로 민속자연사박물관이 중간 종점이라 봤을 때 나오는 수치가 바로 왼쪽 수치인데, 애초에 시티투어 노선이므로 이런 값이 나올 수 밖에 없다. || || {{{+1 '''[[제주 버스 1112|1112]]'''}}} || {{{+1 {{{#red '''5.54'''}}}}}} || 이 버스의 시점과 종점 사이의 정류장이 모두 6정거장 사이이므로 서문시장이 중간 종점이라 봤을 때 나오는 수치가 왼쪽 수치인데, 1111번과는 다르게 첫 6정거장에서 서쪽으로 크게 돌아가므로 저런 수치가 나온 것이다. || || '''[[제주 버스 1113|1113]]''' || {{{#red '''3.06'''}}} || 동문로터리 종점 기준 저 수치인데, 이상하게 1112번과 대부분 노선을 공유하는데, 저 정도이다. || == 굴곡도가 낮지만 돌아간다고 평가되는 노선 == * [[제주 버스 704|{{{#00c7c3 704}}}]]: 조천 지역의 함덕-선흘까지 한 번에 뚤어주는 길의 부재로 어쩔 수 없이 와산, 선흘에서 상당히 돌아가나 굴곡도가 낮다. 특히 704-3번의 멍중내 경유 시간대의 경우 함덕에서 와산 갈 때 매우 불편하다. 704-4번의 경우 덕천리와 해동포구를 깊숙이 들어갔다 나오는지라 많이 돌아가는 편이다.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