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군복)] [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동중국해]]의 [[대만해협]]을 사이에 두고 [[중국 인민해방군]]과 대치하는 [[대만군]]의 군복을 다룬다. [[냉전]]기 자유진영의 국가답게 전반적으로 [[미군]]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 때문에 [[대한민국 국군]]과도 상당히 비슷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007년 이후론 [[중국 인민해방군|적군]]도 비슷한 것을 입게 되었다-- 크게 군상복('''軍常服'''), 군편복('''軍便服'''), 야전복('''野戰服''')으로 구분되는데, 야전복은 우리군의 전투복이고, 군편복은 근무복 겸 약식정복, 군상복은 정복과 같으나, 이 중 군상복의 경우 [[2014년]] 구 예복이 폐지 된 현재로썬 타국군의 예복에 해당하는 각 군 최상급 군복이다. 상복을 착용하는 경우는 [[대만]] 법률에선 다음과 같이 정한다.[[https://law.moj.gov.tw/LawClass/LawAll.aspx?pcode=F0060007|#]] >陸海空軍服制條例 第 3 條<개정 民國 103年 01月 29日>[br]육해공군 복제 조례 제3조<개정 [[2014년]] 1월 29일>[br]現役軍人穿著軍常服之時機如下[br]현역 군인이 군상복을 입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br]一、晉謁總統或友邦元首。[br]1. [[대만 총통|총통]]이나 우방국 [[국가원수]]를 예방 할 때.[br]二、參加本國或外國大典或宴、酒會。[br]2. [[대만|본국]] 혹은 [[외국]]의 큰 행사·연회·만찬에 참석 할 때.[br]三、正式訪問或回訪友邦文武官員。[br]3. 우방국 문무 공무원을 정식방문 혹은 답방 할 때.[br]四、參加重要典禮或出席其他正式場合。[br]4.중요행사 혹은 공식석상에 설 때.[br]五、平時辦公或外出。[br]5.평상시 근무시 혹은 [[외출]] 시. 다음으로 우리네 근무복격인 군편복의 법조항은 다음과 같다. >陸海空軍服制條例 第 4 條[br]육해공군 복제 조례 제4조[br]現役軍人穿著軍便服之時機如下[br]현역 군인이 군편복을 입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br]一、參加軍人各種典禮。[br]1. 각종 군 관련 행사에 참석 할 시.[br]二、平時辦公或外出。[br]2.평상시 근무시 혹은 외출 시. 마지막으로 우리네 전투복격인 야전복의 법조항은 다음과 같다. >陸海空軍服制條例 第 5 條[br]육해공군 복제 조례 제5조[br]現役軍人穿著野戰服之時機如下[br]현역 군인이 야전복을 입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br]一、戰鬥。[br]1. [[전투]]시[br]二、各種演習或訓練。[br]2.각종 연습 및 [[훈련]]시.[br]三、營內、外操作。[br]3.영내 및 외부[[작업]] 시[br]四、平時辦公或外出。[br]4. 평상시 근무 혹은 외출시. 역시 여느 나라와 마찬가지로 [[민간인]]이 군인을 참칭하고자 군복을 입는 경우는 금지되며, 예비역의 경우 국방부장이 정하는 경우 착용이 허가된다. == [[대만 육군|육군]] == === [[정복]] === 육군 정복의 경우 [[참모총장]]부터 [[이등병]]까지 동·하 구분 없이 사계절 같은 디자인의 정복을 착용한다. 역시 위 법 조항에 따라 정복의 역할 뿐 아니라 예복의 기능도 수행한다는 점에서 [[2017년]] 복제개편 이후 정·예복이 통합된 [[대한민국 육군]]과 같다.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육군1.png|width=100%]] || [[파일:대만육군2.png|width=100%]] || ||<-2> 군상복 || === [[근무복]] === 대만에선 군편복이라 칭하며, 갑·을·병식의 3종류로 구분한다. 갑식은 정모에 긴팔 셔츠에 넥타이, 을식은 [[게리슨모]]에 넥타이를 매지 않은 긴팔 셔츠, 병식은 을식에서 반팔 셔츠다. 이 중 갑식 군편복은 약식정복을 겸하며, 군상복과 같이 전 장병이 같은 옷을 입는다.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육군3.png|width=100%]] || [[파일:대만육군4.png|width=100%]] || ||<-2> 갑식 군편복 || || [[파일:대만육군5.png|width=100%]] || [[파일:대만육군6.png|width=100%]] || ||<-2> 을식 군편복 || || [[파일:대만육군7.png|width=100%]] || [[파일:대만육군8.png|width=100%]] || ||<-2> 병식 군편복 || === 의장복 === === 군악복 === === 생도복 === === 전투복 === [[파일:대만육군 구형.jpg]]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는 우드랜드 패턴 전투복이 지급되었다. 미군이나 한국군 [[BDU|우드랜드]]에 비해 색상이 밝은 편이었다. [[파일:ROCarmy2.jpg]] 2010년대부터 디지털 위장무늬 전투복이 지급된다. 대한민국 국군의 특전픽셀 위장무늬에서 명암구분을 좀더 진하게 한 느낌이 든다. [youtube(Tyu2Lxb8HfY)] 위장 효과 테스트 영상 == [[대만 해군|해군]] == === 정복 === ==== 동정복 ==== 해군의 표준 [[영국 해군]]의 영향을 받아 [[대한민국 해군|우리 해군]], [[미 해군]] 및 [[해상자위대]]와 마찬가지로 견장은 달리지 않으며, [[수장(장식)|수장]]으로 계급을 가늠한다. 한편, 중사 이하 '''남군'''의 동정복은 말그대로 검은색 [[세일러복]]이며 굳이 남군에 강조를 친 이유는 여군 [[수병]]의 경우엔 간부와 같은 동정복을 착용하기 때문이다. 수병 동정복의 깃이 정복과 같이 검은색인 우리 해군과는 다르게 영국의 영향을 받아 파란색이며, 깃에 줄 말고는 별다른 장식이 안그려진 우리 해군과는 다르게 대만 국기에도 그려진 청천백일이 그려져 있다. 또한 수병들이 A형 정모를 쓴다는 것 또한 아 해군과의 큰 차이다. || [[CPO]] 이상 남군용 || [[중사]] 이하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해군1.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3.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2.png|width=100%]] || ||<-3> 동계 군상복 || ==== 하정복 ==== [[1987년]] 이후 [[카키색]] 정복을 폐지한 대한민국 해군과는 다르게 여전히 카키색 정복을 착용한다.[* '87년 폐지 이전엔 대한민국 해군 또한 카키색 정복이 하정복, 현재의 하정복인 백색 정복은 하'''예'''복이였다.] 또 약식정복으로 병식상복이 있는데 이것의 형상은 대한민국 해군의 하약정복과 같으며, 역시 우리 해군과 같이 수병은 흑단화, CPO이상 남군 및 여군은 백단화를 착용한다. || [[CPO]] 이상 남군용 || 중사 이하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해군4.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6.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5.png|width=100%]] || ||<-3> 하계 갑식 군상복 || CPO 이상 남군 및 여군에 한하여 87년 카키 정복을 폐지하기 이전의 아 해군과 같이 해군의 전통적인 백색정복은 하예복으로 대하며, 중사 이하 남녀 장병들에겐 아래의 을식 군상복이 지급되지 않기에 하정복이다. || CPO 이상 남군용 || CPO 이상 여군용 || || [[파일:대만해군7.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8.png|width=100%]] || ||<-2> 하계 을식 군상복 || CPO 이상에게만 지급되었던 미군의 드레스 카키의 예와 같이 하계 을식 군상복의 경우 남녀를 통틀어 중사 이하에겐 지급되지 않는다. || CPO 이상 남군용 || 중사 이하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해군9.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11.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10.png|width=100%]] || ||<-3> 하계 병식 군상복 || === 근무복 === ==== 동근무복 ==== 동·하 근무복에는 카라 계급장만 부착되는 아 해군과 다르게 하계 정복처럼 견장이 부착된다. || CPO 이상 남군용 || CPO 이상 여군용 || || [[파일:대만해군12.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13.png|width=100%]] || ||<-3> 동계 갑식 군편복 || || CPO 이상 남군용 || CPO 이상 여군용 || || [[파일:대만해군14.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15.png|width=100%]] || ||<-3> 동계 을식 군편복 || 육군과는 다르게 게리슨모를 착용하진 않는다. || 중사 이하 남군 || 중사 이하 여군 || || [[파일:대만해군16.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17.png|width=100%]] || ||<-2> 동계 군편복 || 수병 근무복의 경우 대한민국 해군 출신들이라면 모를 수가 없는 옷인데, 해군 전역자 및 현역들이 '''샘당'''이란 애칭으로 부르는 [[샘브레이]]와 [[당가리]]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모자까지 --[[빵모]]-- 한국 해군에선 [[군악대]]나 [[의장대]]를 제외하곤 쓸 일이 없는 A형 정모가 아니라 대다수 해군 출신에게 익숙할 B형 정모인지라 [[확인사살]]. 역시 우리 해군과 마찬가지로 [[작업복]]을 겸한다. ==== 하근무복 ==== 하계 근무복에 긴팔 근무복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대한민국 해군과 완전히 같으나, 여기서도 한국 해군과의 차이점은 우리는 동 하 샘브레이가 모두 긴팔이며, 혹서기(6~8월) 시 하 샘브레이의 소매를 걷어 올리나, 대만 해군의 경우 하계용이 아예 반팔 샘브레이라는 것이다. 다만, 우리 해군도 역시 80년대까진 반팔 샘브레이가 존재했다. || CPO 이상 남군용 || CPO 이상 여군용 || || [[파일:대만해군18.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19.png|width=100%]] || ||<-3> 하계 갑식 군편복 || || CPO 이상 남군용 || CPO 이상 여군용 || || [[파일:대만해군20.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21.png|width=100%]] || ||<-3> 하계 을식 군편복 || || CPO 이상 남군용 || CPO 이상 여군용 || || [[파일:대만해군22.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23.png|width=100%]] || ||<-3> 하계 병식 군편복 || 을식부터 게리슨모를 착용하는 육군과는 다르게 병식까지 내려와야 게리슨 모를 쓴다. || 중사 이하 남군 || 중사 이하 여군 || || [[파일:대만해군24.png|width=100%]] || [[파일:대만해군25.png|width=100%]] || ||<-2> 하계 군편복 || === 의장복 === ==== 동계 의장복 ==== ==== 하계 의장복 ==== || [[파일:800px-Three_ROCN_Honor_Guards_Talking_at_Hsinchu_AFB_Parking_Lots_20120602.jpg|width=100%]] || || 2012년 부대개방행사에서 해군 의장대 || === 군악복 === || [[파일:800px-ROCN_Band_Marching_in_Keelung_Naval_Pier_after_Practice_20140327b.jpg|width=100%]] || || 2014년 3월 군항 개방 행사에서 해군 군악대 || 우리 해군과 비슷하게 군악복이 일반 수병의 정복과 크게 다르지 않은 형태로 대만 해군의 경우 일반 정복에 견식줄이 추가 된 형태이다. --와중에 사진 속 수병들 피곤해 보인다-- === 작업복 === === [[UDT]] === === 생도복 === == 해군 육전대 == 육군 정복과 마찬가지로 [[사령관]]부터 [[이병]]까지 같은 옷을 입는다. === 정복 === 갑식 하상복의 경우 모표 등 자잘한 차이를 제외하면 해군과 같으나, 중사 이하 [[사병]] 또한 세일러복이 아닌 간부와 같은 디자인의 정복을 입는다.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해병3.png|width=100%]] || [[파일:대만해병4.png|width=100%]] || ||<-2> 하계 갑식 군상복 ||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해병1.png|width=100%]] || [[파일:대만해병2.png|width=100%]] || ||<-2> 동상복 겸 하계 을식 군상복 || 하계 을식 군상복의 경우 동정복을 겸하며, 특이하게도 같은 군종 소속 장병임에도 남군은 흑록색 정모를, 여군은 백색 정모를 쓴다.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해병5.png|width=100%]] || [[파일:대만해병6.png|width=100%]] || ||<-2> 하계 병식 군상복 || 병식의 경우 갑식과 마찬가지로 중사 이하 남군도 간부들과 같은 디자인의 옷을 입으나, 남군 중사 이상은 백단화에 백양말, 남군 하사 이하는 흑단화에 흑색양말을 신는 차이가 있다. 여군의 경우 신분에 따로 적용되는 차이점이 없다. === 근무복 === 역시 자잘한 차이를 제외하면 해군과 같다. 한국 해병대와 마찬가지로 미국 해병대의 영향을 받았기에 넥타이의 색상이 근무복과 비슷하다.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해병7.png|width=100%]] || [[파일:대만해병8.png|width=100%]] || ||<-2> 갑식 군편복 ||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해병9.png|width=100%]] || [[파일:대만해병10.png|width=100%]] || ||<-2> 을식 군편복 ||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해병11.png|width=100%]] || [[파일:대만해병12.png|width=100%]] || ||<-2> 병식 군편복 || === 의장복 === === 군악복 === === 전투복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만해병 구형.jpg|width=100%]]}}} || 육군과는 달리 [[타이거 스트라이프]] 위장복을 입으며, 팔각모를 쓴다. 방탄모 자체에 위장용 무늬가 새겨져 있어서 위장포를 따로 씌우지 않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만해병 신형.jpg|width=100%]]}}} || 2010년대에 육군이 디지털 무늬를 채용한 것에 맞추어, 육전대도 디지털 무늬를 적용한 타이거 스트라이프 위장복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ctDxiaXrxc)]}}} || || '''위장 효과 테스트 영상''' || == [[대만 공군|공군]] == === 정복 === 공군 정복의 경우 [[참모총장]]부터 [[이등병]]까지 동·하 구분 없이 사계절 같은 디자인의 정복을 착용한다. 역시 위 법 조항에 따라 정복의 역할 뿐 아니라 예복의 기능도 수행한다는 점에서 [[2017년]] 복제개편 이후 정·예복이 통합된 [[대한민국 공군]]과 같다.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공군1.png|width=100%]] || [[파일:대만공군2.png|width=100%]] || ||<-2> 군상복 || === 근무복 === 대만에선 군편복이라 칭하며, 갑·을·병식의 3종류로 구분한다. 갑식은 정모에 긴팔 셔츠에 넥타이, 을식은 [[게리슨모]]에 넥타이를 매지 않은 긴팔 셔츠, 병식은 을식에서 반팔 셔츠다. 이 중 갑식 군편복은 약식정복을 겸하며, 군상복과 같이 전 장병이 같은 옷을 입는다.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공군3.png|width=100%]] || [[파일:대만공군4.png|width=100%]] || ||<-2> 갑식 군편복 ||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공군5.png|width=100%]] || [[파일:대만공군6.png|width=100%]] || ||<-2> 을식 군편복 ||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공군7.png|width=100%]] || [[파일:대만공군8.png|width=100%]] || ||<-2> 병식 군편복 || === 비행복 === === 의장복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Escorts_in_the_Sun_Yat-sen_Memorial_Hall.jpg|width=100%]] || || [[중정기념당]]의 [[대만 공군]] 의장대[* 대열 양 끝에 서 있는 녹색 옷은 [[대만 육군]] 의장대다.] || 동 하 구분 없이 사계절 같은 디자인의 의장복을 입는다. 대한민국 국군 의장대와 확연히 구분되는 점은 [[피켈하우베]]에서 피켈만 뺀 것 같은 금속재 하이바. === 군악복 === == 헌병 == === 정복 === 갑식의 경우 색깔 차이를 제외하면 육군과 제식이 같으나 육군에는 없는 약식정복이 존재한다.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헌병1.png|width=100%]] || [[파일:대만헌병3.png|width=100%]] || ||<-2> 갑식 군상복 || || 남군용 || || [[파일:대만헌병2.png|width=100%]] || || 을식 군상복 || === 근무복 === 대만에선 군편복이라 칭하며, 갑·을·병식의 3종류로 구분한다. 갑식은 정모에 긴팔 셔츠에 넥타이, 을식은 [[게리슨모]]에 넥타이를 매지 않은 긴팔 셔츠, 병식은 을식에서 반팔 셔츠다. 이 중 갑식 군편복은 약식정복을 겸하며, 군상복과 같이 전 장병이 같은 옷을 입는다.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헌병4.png|width=100%]] || [[파일:대만헌병5.png|width=100%]] || ||<-2> 갑식 군편복 ||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헌병6.png|width=100%]] || [[파일:대만헌병7.png|width=100%]] || ||<-2> 을식 군편복 || || 남군용 || 여군용 || || [[파일:대만헌병8.png|width=100%]] || [[파일:대만헌병9.png|width=100%]] || ||<-2> 병식 군편복 || === 흑복 === [[분류:대만군]][[분류:군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