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국영방송'''([[國]][[營]][[放]][[送]])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방송국 혹은 방송 프로그램으로, '''공영방송'''과는 다르다. 공익성향이 강하며, 주로 공안([[재난방송]])이나 교통 정보, 정부의 정책홍보 혹은 외국을 상대로 한 [[심리전]]을 목적으로 하는 채널이나 프로그램이 많다. 국가의 개입으로 방송의 독립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언론에 자신들이 불리한 소식을 싣지 말라고 압력을 가하고 보도지침을 내려서 언론의 자유를 심히 해칠 가능성도 크다. 따라서 언론의 자유가 보장된 국가들에서는 대부분 공안[* EAS, NOAA Radio 등], 심리전[* 대북방송], 교통 같은 특수 주제의 전문 채널이 아니라면 국영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을 포함한다.]을 운영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중국 중앙 텔레비전]], [[조선중앙방송]], [[만수대텔레비죤]], [[이란 이슬람 공화국 방송]], 구 [[로시야 1|소비에트 중앙텔레비전]][* 소비에트 중앙텔레비전의 후신인 [[로시야 1]]은 현재는 ~~어쨌든~~ [[공영방송]]이다.]등을 꼽을 수가 있으며, 한국에서는 [[대한뉴스]]의 후예인 [[KTV 국민방송]]이나 [[국회방송]] 정도가 국영방송으로 꼽을 수가 있다. 국방홍보원 [[국방TV|국군방송]]과 도로교통공단 [[TBN 한국교통방송]]도 마찬가지. 참고로 서울지역 교통방송인 [[TBS]]은 서울특별시에서 별도의 재단을 만들어 운영하는 국내 유일의 '''시영'''방송이다. 국영 및 타 공영방송이 대통령이나 총리 등 국가지도자의 영향을 받는다면 TBS만 시, 도지사 등의 지방자치단체장의 영향을 받는다. 다만 시의회 및 시장이 TBS 경영 자체에 직접적으로 간섭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공영방송에 가까우며, 서울시장 및 서울시의회와 갈등을 겪기도 한다. 한편, [[한국방송공사|KBS]]나 [[문화방송|MBC]], [[영국방송공사|BBC]], [[일본방송협회|NHK]]는 모두 [[공영방송]]이다. 국내의 경우 이 공영방송이라는 말에는 과거 언론 독립을 위해 투쟁했던 역사가 반영되었다. KBS, MBC 모두 말은 공영방송이라지만[* KBS는 1973년 3월 공사 창립 이전에는 진짜로 국영방송이었다. MBC의 경우 1980년 이전에는 (명목상으로) 민영방송이었지만, KBS가 지분의 70%를 인수하면서 공영방송이 되었다. 즉 명목상으로 민영방송인 공영방송이자, 명목상으로 공영방송인 국영방송.] 사실상 국영방송으로 정권에 종속되었던 과거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으로 [[땡전뉴스]]를 보도했던 시절) 편성 및 보도의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많은 방송 언론인들이 헌신했던 적이 있어서 지금도 KBS에 가서 모르고 "국영방송 KBS"라고 하면 관계자들에게는 좋지 않은 시선을 받는다고 한다.[* 2004년 [[물은 셀프#s-2|물은 셀프 사건]] 때에도 그렇다.] 비교적 엄격한 공영 체계를 가지고 있는 BBC와 NHK와 달리, KBS와 MBC는 오늘날에도 정부가 운영에 크게 관여한다(사장 인사에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이 크게 관여한다[* KBS 같은 경우에는 KBS 이사회의 이사와 이사장 모두 대통령의 허가가 있어야지 임명할 수 있으며, KBS 사장도 KBS 이사회가 내정시키고 최종 임명 허가는 대통령이 한다. MBC는 MBC의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라는 공익재단이 MBC의 사장을 내정하며, 최종 MBC 사장 임명 여부 결정은 [[정수장학회]]와 [[방송문화진흥회]]가 참가한 주주총회에서 결정된다. 이때 대통령의 허가는 받지 않는다. 참고로 방송문화진흥회의 이사장과 이사는 모두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최종 임명 여부를 결정하고, 이때도 대통령의 허가는 받지 않는다. 그러나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은 대통령의 허가하에 임명한다. 위원장 같은 경우는 대통령이 추천하고 [[대한민국 국회|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쳐서 임명한다.])는 점에서는 국영 시절이나 현재나 별 차이 없다는 말까지 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발생하는 친정부적 KBS/MBC 경영진, 그리고 KBS/MBC 소속 언론인들의 갈등에는 이러한 배경이 있다. == 목록 == * [[대한민국]] * [[국방부]]: [[자유의 소리]] * [[국방홍보원]]: [[국방TV]], [[국방FM]] * [[한국정책방송원]]: [[KTV 국민방송]] * [[국회사무처]]: [[국회방송]] * [[도로교통공단]]: [[TBN 한국교통방송]]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상공인방송 * [[중소기업유통센터]][*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지분 100%를 소유한 기타공공기관.]: [[공영쇼핑]] * [[국가정보원|송출주체 비공개]]: [[인민의 소리]], [[자유코리아방송]], [[자유FM]], [[희망의 메아리]], [[K뉴스]] (구명칭 '뉴스를 보는 세상') * [[공익광고협의회]]: 방송국을 운영하지는 않지만 방송 광고를 제작 및 집행한다. * [[북한]]: 관내 방송 '''전부''' ([[조선중앙방송|중앙방송]], [[평양방송]], [[평양FM방송]], [[조선중앙텔레비죤|중앙텔레비죤]], [[만수대텔레비죤]], [[룡남산텔레비죤]], [[조선의 소리]] 등)[* [[IPTV|망TV다매체열람기]] 및 그 서비스 솔루션인 [[만방]]·[[누리]]도 기업소 및 [[김일성종합대학]]에서 개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국영이다. 국내 언론에서는 한국 헌법상 [[반국가단체]]인 바 '국'이라는 표현을 회피하여 '관영'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 [[미국]]: [[USAGM]][* [[미국의 소리]] 및 [[자유아시아방송]]이 이 곳에 속해있다.], [[NOAA]] Radio * [[일본]]: [[일본의 바람]] * [[중국]]: 관내 방송 '''전부''' ([[차이나 미디어 그룹|CMG]] 산하 방송국, [[신화통신]] 등) * [[베트남]]: [[베트남 텔레비전]] * [[싱가포르]]: [[미디어코프]] * [[이란]]: 관내 방송 '''전부''' ([[이란 이슬람 공화국 방송]] 등) === 과거 === * [[대한민국]]: [[한국방송공사|KBS 중앙방송국]](1945~1973, 현 한국방송공사) * [[대한민국]]: [[한국교육방송공사]](1990~2000) [[분류:방송 운영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