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국제 전화에서 각국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번호, rd1=국가번호)] [목차] == 개요 == '''국번'''([[局]][[番]])은 '전화(기지)'''국 번'''호', 즉 전화국 별로 할당된 식별 번호를 의미한다. "국번없이 [[112]], [[119]]를 눌러주세요." 라는 말은 바로 이 국번을 지칭하는 말이다. [[국가번호]]의 준말이 아님에 주의. xxx - yyyy - zzzz라는 전화번호가 있을 때 xxx는 [[지역번호]](유선) 또는 식별번호(무선)이고, yyyy가 국번에 해당한다. zzzz는 [[사번]]이라고 한다. == 역사 == [[전화번호]]가 갓 생겼을 시절에는 일련번호 마냥 국번도 없이 4자리수의 번호만 딸랑 있었다. 물론 하나의 전화국당 수용 가능한 번호에는 한계가 있었으므로 전화국이 곳곳에 분국되어 있었만, 당시는 직접 다이얼을 돌려 숫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교환수를 거쳐 수동으로 전화가 연결되는 수동교환 방식이었기에 숫자로서의 국번(局番)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국번은 자동전화교환기가 도입되며 만들어진 산물이다. 교환수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다이얼을 돌리는 방식으로 특정 전화국을 연결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최초로 국번이 도입된 것은 1935년 경성 본국을 시작으로 스트로저(ST)식 자동전화교환기가 도입된 이후로, 이때부터 타 전화국에 등록된 가입자에게 전화를 걸 때 교환수에게 전화국명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다이얼을 돌려 전화국 번호를 전화번호의 앞에 찍는 식으로 바뀌었으며, 경성 본국은 2, 광화문국은 3, 용산국은 4 등의 국번이 할당되었다. 이때의 국번은 한자리수(X-XXXX)였으며, 여전히 수동교환방식을 사용하는 지방에는 국번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렇게 국번이 도입되었지만 이때의 자동교환기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소실되었고, 전후인 1953년에야 다시 복구[[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3042800239102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3-04-28&officeId=00023&pageNo=2&printNo=9307&publishType=00010|#]]되어 서울 시내에서는 국번이 다시 사용되고, 특히 서울 본국은 과거 본국번호인 2가 그대로 쓰였다. 하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모든 국민들이 전화를 소유한 것이 아니고 마을마다 [[약국]] 같은 곳에서만 단 한 대씩 있던 정도였고 그마저도 없는 마을도 많았다. 대도시 지역에는 그나마 네 자리 번호가 있었지만, 그 외 지역에는 두 세 자리, 심지어 한 자리 번호가 있는 건 약과였기에, 지방의 대다수 지역은 수동교환식이었으며, 때문에 그냥 전화기에 달려있는 레버를 돌려서 교환수에게 연결을 부탁했던 것이 1980년대 초까지의 이야기다.[* 1980년대 초 이후로는 거의 모든 지역에 국번이 생겼다.] 국번은 한동안은 한자리수(X-XXXX)으로 충분했지만, 1970년대 중반 이후로 전화 보급률이 올라가면서 두자리수 국번(XX-XXXX)이 등장하게 되었다[* 인천 편입 전 [[강화군]]의 경우 1993년까지 한자리수 국번을 사용했다. 1993년에 두자리수로 전환(0349-3X)되었고 인천으로 편입되면서 지금처럼 032-93X로 변경.]. 전화기 보급이 급증하면서 1976년부터 세자리수 국번(XXX-XXXX)[* [[http://m.mk.co.kr/onews/1975/372837|#]] 1980년대 TDX(전전자교환기) 국내 개발로 전화가입이 간편해져 전화 보급은 더 늘어난다.], 1994년부터 네자리수 국번(XXXX-XXXX) 등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1998년]]에 [[지역번호]]를 광역자치단체별로 새로 만들면서 한두자리수 국번은 사라졌다. 2000년대 후반까지는 다른 동네로 이사가면 국번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사람들이 거주 지역의 국번을 썼다. 예를 들어서 대학로 거주자가 과천으로 이사가면 3672국이 3677국으로 변경되며, 문산 거주자가 일산으로 이사가면 953국이 932국으로 변경되는 식이었다. 경우에 따라 이사간 곳 전화국 사번(zzzz)이 모두 배정된 경우 사번까지 변경된다. 최근까지도 전화국이 다른 곳으로 이사가면 국번 변경이 원칙이었고, 국번 변경을 원하지 않는 것(즉 자신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사용한 것)은 일종의 번호연결 부가서비스로 여겨져서 이전 시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지금은 무료인 듯. 언제부터였는지는 모르겠지만 2011년 4월에 별도의 비용을 들여서 자신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옮겨오는 것이 가능했었다. 요즘은 xxx가 [[지역번호]]인 것은 알아도 가운데의 yyyy 부분이 국번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 국번이라는 것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있고, 요즈음은 이사를 많이 가기도 하여, 이사 가면서 전화번호를 바꾸는 경우도 거의 없어서, 한 동네에 같은 국번을 쓰는 집들이 많지 않다. 또한 무엇보다 '''모든 가구원이 개인 [[휴대 전화]]를 소지하고 있어 유선[[전화기]]를 별도로 두지 않는 경우 또한 많다. 어차피 100% 개인 휴대 전화로 전화가 걸려오기에 [[전화기]]는 있어봤자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국번의 의미가 옅어짐에 따라 읽는 방법도 바뀌었다. 과거에는 전화번호를 읽을 때 '''"○국에, zzzz"'''라고들 많이 읽었다.[* 1983년에 방송했던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에서 요즘 세대들은 거기 나오는 전화번호를 들으면서 의아해 하는 것이 전화번호를 부르는 방식이다. 대부분 국번이 한자리수에서 두자리수다. 그리고 읽는 것도 앞서 말했듯이 요즘처럼 읽지 않고 "지역번호 xxxx에 ('에'를 붙이지 않는 경우 한템포 쉰다.)yy국에 zzzz" 식으로 읽는다.] 최소한 "yy국이 우리 동네 관할이구나" 정도는 알고 있었다고. 또한 광고 등에서 "국번 없이 XXX"라는 어구도 많이 쓰였다. 특히 [[112|범죄신고]], [[간첩신고]], [[119|화재·재난신고]] 번호의 홍보에는 "국번없이 112, 113, 119"라는 표현을 많이 활용했다. 요즈음에는 '''"xxx, yyyy에 zzzz"'''라고 읽거나 '''"xxx, yyy, zzzz"'''라고 그냥 숫자만 읽는다. == 관공서 == [[기초자치단체]] 산하 [[관공서]](구립/시립도서관, 주민센터 등)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당 시청, 군청, 자치구청 소재지의 국번을 따른다. 예를 들면, 서울 영등포구 대림1동의 국번은 02-840번대이지만 영등포구청이 02-2670번대 지역(당산동)에 있으므로 대림1동 주민센터의 국번이 구청 소재지 국번인 02-2670번대가 되는 형태. 보통 이렇게 하는 경우는 본청과 산하기관을 같은 국번으로 묶어서 내부전화 비슷하게 사용하려는 의도도 있다. 즉 내부에서 걸때는 국번을 누르지 않고 네자리 숫자만 누르면 되기 때문. 반면에 광역자치단체 산하 관공서들은 해당 시청, 도청 소재지의 국번이 아닌 해당 관공서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와 국번을 쓴다. 서울 국번을 사용하는 경기도립 과천도서관이 대표적인 예. 물론 지자체 소유가 아닌 국가 소유 시설인 경우는 당연히 해당 소재지의 국번을 사용한다. 국립대인 부산대학교를 예로 들자면, [[양산시]] 물금읍에 위치한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의 경우 양산부산대병원은 양산 국번인 055-3XX를 쓰고, 의학전문대학원은 부산 금정구 국번인 051-5XX를 쓴다. 군에서도 군내 내선전화로 국번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국번은 군종과 부대, 뒤의 네 자리의 사번은 부대 내의 각 부서가 나누어 쓰는 전화번호가 된다. 육군과 해군, 공군 그리고 합참과 국방부까지 모두 별개의 국번을 사용하며, XXX-YYYY번일 경우 XXX는 각 군종과 부대에 따라 배분된다.[* 군내 내선번호는 대외비 이상에 해당하므로 적지 않는다.] == 지역별 국번 == 000번대 국번과 100번대 국번은 어느 지역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000번대는 주로 [[지역번호]]로 쓰이고 100번대는 주로 [[긴급전화]]에 할당된 번호다 보니 일부러 비워둔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0000번대 국번과 1000번대 국번도 없다. [* 주로 경찰, 소방서, 군대, 관공서 등. 긴급전화 버튼이나 군대 교환대로 전화를 걸면 가까운/원하는 관공서에 연락이 간다.] 700 국번은 [[700 서비스]] 전용 국번이었으나, 모두 060으로 이동되었다. 같은 [[지역번호]]를 사용하는 지역이라도 국번별로 수용 전화국이 모두 다르다. 다만 시내전화 번호 이동성 제도에 따라 식별번호가 같은 지역 내로 이사를 하거나 통신사를 변경할 경우 기존 국번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아래의 구분은 최초 가입 수용국으로 보면 된다. 각 지역번호 + 112로 전화를 걸면 해당 시/도 경찰청[* 구 지방경찰청. [[자치경찰제]] 도입 이후 명칭이 바뀌었다.] 긴급신고전화로 걸 수 있다. 200번대는 포항을 제외한 나머지 도의 도청소재지 번호로 쓰고 있다. === [[서울특별시|서울]](0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번/서울특별시)] 광명, 과천, 고양 덕양구 일부(구 신도읍), 하남 일부(구 광주군 서부면), 부천 옥길동, 역곡동 일부(온수공단 한정), 구리 아천동 일부, 안양 석수동 일부(과거 광명 소하동 월경지) 지역의 경우 1963년과 1970년 도시계획 당시 서울시로 편입 예정이었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이후 서울전화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현재도 서울 지역번호인 02를 사용한다. 자세한 것은 [[서울특별시/역사#s-2.6.3|서울특별시 역사 항목 참조]]. 이 지역을 제외한 경기도 지역에서 서울전화를 쓰는 경우에는 단순히 접경지역 특성상 지역번호가 겹쳐진 것에 지나지 않는다. === [[경기도|경기]](03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번/경기도)] 예외적으로 인천과 맞닿아있는 부천시와 안산시 단원구 일부(대부도 및 풍도 등 관내 도서지역)는 032를, 상술한 1963년에 서울로 편입된 지역과 1970년대 당시 서울로 편입 예정이었던 지역과 그 외 일부 서울특별시 접경지역[* 과천시 및 광명시 일대와 고양시 덕양구 일부, 구리시와 시흥시 일부, 부천시와 안양시 일부]은 02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인천]](032) === || 국번 || 지역 || || 200번대 ||<(>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국번, [[경기도]] [[부천시]] 일부 포함 || || 300번대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동신도시|중]]·[[상동지구|상동]], [[소사구]], 인천 [[부평구]] 일부 || || 420국대 ~ 442, 446, 460국대 ~ 470국대 ||<(> [[남동구]](800국대 제외), [[미추홀구]](800국대 제외), [[연수구]] 일부[* [[스퀘어원]] 입주 업체들의 국번이 46x이다.], [[부평구]] [[십정동]] || || 440 ||<(> [[인천광역시청]] || || 451 ||<(> [[인천교통공사]] || || 500 ~ 530국대 ||<(> 부평구 일부 || || 540 ~ 550국대 ||<(> 계양구 || || 560국대, 590국대 ||<(> 서구 북부 || || 570 ~ 580국대 ||<(> 서구 남부, 동구 송림동, 송현동 각 북부지역 || || 600번대 ||<(> 경기 부천시 오정구, 원미구 일부[* 2000년 4월 이전 시흥시 북부는 690~698 국번을 사용했다. 2000년 4월 21일자로 기존 690~698국에서 310~318국으로 자동 변경되었으며 동년 7월 2일부터 시외전화 지역번호 032 사용지역에서 031 사용지역으로 대체되었다.]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35794|출처]]],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오곡동 일부[* 서울에서 유일하게 이 국번을 사용하는 지역이다. [[http://place.map.daum.net/26860884|출처]] 이 경우도 접경 지역 특성상 겹쳐진 케이스. 참고로 해당 주유소를 갈 수 있는 서울 버스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다른 서울지역에서는 일반적인 도로가 아니라 농로를 거쳐야 만 갈 수 있다.] || || 626 ||<(> [[인천 글로벌 캠퍼스]] 일대[*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겐트 대학교/글로벌 캠퍼스|겐트 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뉴욕 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한국캠퍼스]],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 ] || || 650 ||<(> 인천해양경찰서 || || 700번대 ||<(> [[동구(인천광역시)|동구]], [[중구(인천광역시)|중구]], [[옹진군(인천)|옹진군]] 북도면 || || 740번대 ||<(>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 || 748 ||<(> [[포스코건설]] || || 749 ||<(> [[연수구]] 일부[* 단적으로 연수구청이 이 국번을 사용한다. 연수전화국이 코앞임에도 불구하고 주력 국번인 81x나 82x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의외인 부분.],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연세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나 연세대 캠퍼스 안에 입점한 몇몇 시설들은 이 국번을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은행 등)] || || 800번대 ||<(> 미추홀구 일부[* 단적으로 연수구가 코앞인 [[경인방송]]에서 830국번을 사용한다. 그밖에도 용현동/학익동 지역이 86x국번을, 주안동 지역이 87x국번을 사용.], 남동구 일부[* 남동인더스파크 입주 업체들이 81x/82x국번을 사용. 연수구 인접 지역이기에 연수전화국 관할이다.], [[연수구]][* 동춘1동 구송도지역/옥련동은 83x(송도전화국 관할), 동춘1/2/3동 아파트단지와 연수동/선학동은 81x국번과 82x국번 혼용(연수전화국 관할). 청학동은 81x/82x/83x 혼용(연수전화국 및 송도전화국 구간 혼재. 두 전화국의 관할 경계는 미추홀대로이다). [[송도국제도시]]는 85x국번 사용. 다만 요즘에는 [[송도국제도시]]에도 83x와 85x를 모두 사용하고 나사렛국제병원에서 89x국번을 사용하는 등 전반적으로 혼용하는 추세이다.], [[옹진군(인천)|옹진군]](북도면 제외), [[안산시]] [[대부도]], [[풍도]](관공서 제외) || || 835 ||<(> 전반부 [[해양경찰청]], 후반부 [[인천대학교]] || || 836 ~ 838 ||<(> [[옹진군(인천)|옹진군]] [[백령면]], [[대청면]] || || 837 ||<(> [[해병대 제6여단]] || || 860 ||<(> 전반부 [[인천지방법원]]·[[인천지방검찰청|검찰청]], 후반부 [[인하대학교]] || || 899 ||<(> [[옹진군(인천)|옹진군]](군청 및 산하 기관) || || 930번대 ||<(> [[강화군]][* 인천 편입 전 사용했던 0349-3X의 흔적이 일부 남아있는 상황. 사실 강화군의 경우는 1993년부터 두자릿수 국번을 사용했다. 다시 말해 1992년까지만 해도 국번이 한자리수로서 정말 전화번호가 0349-X였다.] || * 결번: 930번대(강화군)를 제외한 나머지 900번대 국번 === [[강원특별자치도|강원]](033) === 원주지역에 백화점이 오픈하기 전까지 지금의 LG U+와, SK브로드밴드 전용 국번은 상당히 오랜 기간동안 결번된 상태였다. AK플라자 원주점이 오픈하면서, 강원도 지역에도 추가국번이 부여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원주 지역에서만 추가 국번이 부여되다가, 이후 춘천 지역 국번이 포화상태가 되면서 추가 국번이 부여되었다.(903번, 910번 원주와 춘천지역에서 공동 사용) 현재는 원주과 춘천, 속초, 횡성, 강릉 지역에 800번대와 900번대 국번 사용중이다.[* 횡성읍 910번 나머지 지역 961번 부여][* 강릉은 823번,920번 부여][* 속초는 947번만 부여] || 국번 || 지역 || || 200번대 ||<(> [[춘천시]][* 24X, 25X, 26X번대만 사용.] || || 330번대 ||<(> [[평창군]], [[원주시]][* 033-333-3333만 유일하게 원주 지역에서 사용되는데, 교회다. 같은 숫자로만 전화번호를 배치해 홍보 효과를 노리려는 것이다.] || || 340번대 ||<(> [[횡성군]] || || 370번대 ||<(> [[영월군]] || || 378번 ||<(> 영월군 상동읍, 중동면, 김삿갓면 외룡리, 내리, 정선군 신동읍 || || 430번대 ||<(> [[홍천군]] || || 440번대 ||<(> [[화천군]] || || 450번대 ||<(> [[철원군]] || || 452 ~ 453번 ||<(> 철원군 갈말읍(지경리(일부), 토성리, 정연리 제외) || || 455 ~ 456번 ||<(> 철원군 동송읍, 철원읍 || || 458번 ||<(> 철원군 갈말읍(지경리(일부), 토성리, 정연리), 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 || 460번대 ||<(> [[인제군]] || || 480번대 ||<(> [[양구군]] || || 520, 530번대 ||<(> [[동해시]], 강릉시 옥계면[* 이 중 520국대는 KT 북평지사(동해전화국 북평분국) 관할 국번으로 동해시 남부지역에서 주로 쓰이고, 530국대는 KT 동해지사(동해전화국) 관할국번으로 동해시 북부지역과 강릉시 옥계면에서 주로 쓰인다.] || || 540 ~ 550번대, 580번대 ||<(> [[태백시]], [[삼척시]] 도계읍, 신기면, 하장면 || || 560번대 ||<(> [[정선군]] 정선읍, 북평면, 여량면, 임계면, 화암면(백전리 제외),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일부, 평창군 진부면 봉산리 일부 || || 570번대 ||<(> [[삼척시]](도계읍, 신기면, 하장면 제외) || || 590번대 ||<(> 정선군 고한읍, 사북읍, 남면, 화암면 백전리 || || 610, 640 ~ 660번대 ||<(> [[강릉시]][* 단, 옥계면은 옥계면사무소를 제외하고 동해시 국번인 530번대를 사용한다.] || || 630번대 ||<(> [[속초시]],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토성면, 죽왕면 대부분의 지역 || || 649번 ||<(> [[가톨릭관동대학교]] || || 670번대 ||<(> [[양양군]] || || 680번대 ||<(> [[고성군(강원도)|고성군]] 간성/거진읍, 현내면 || || 700번대 ||<(> [[원주시]][* 73X[* 730번 제외], 74X, 76X번대만 사용.] || || 800번대 ||<(> LG U+ 전용 국번[* 현재는 원주, 춘천 지역에서 81X번대만 사용.] [* 원주 811~813, 춘천 817, 818] 811번: [[AK플라자 원주점]] 및 일부 공공기관, 812번 일부 프랜차이즈 대리점 및 병의원 813번: 전 업종 사용중 817~818번: 춘천지역 전용국번, 815번: 춘천 레고랜드 전용 국번, 823번: 강릉지역 전용국번 || || 900번대 ||<(> SK브로드밴드 전용 국번[* 현재는 원주, 춘천, 속초, 횡성,강릉 지역에서 사용(903번, 910번는 원주(일부지역), 춘천,횡성(횡성읍 910번) 900, 904번은 원주전용,920번은 강릉전용, 947번은 속초전용 961번은 횡성전용,)] || === [[충청남도|충남]](041) === || 국번 || 지역 || || 330번대 ||<(> [[예산군]][* 예산군의 경우 두 권역별로 양분되어 있는 특성을 나타내는데 예산읍(신례원 포함), 대술면, 신양면, 신암면, 오가면, 응봉면, 대흥면, 광시면은 330~335, 관내 서부 지역(덕산면, 삽교읍, 봉산면, 고덕면)은 336~339 국번이 부여된 실정이다.][br][[내포신도시]] 포함[* 주로 삽교읍 목리 일대] || || 339 ||<(> [[예산군|예산군 산하기관 전용국번]] || || 350~360번대 ||<(> [[당진시]][* 이 중 350국대는 KT 당진지사 국번으로 구룡동, 대덕동, 사기소동, 수청동, 시곡동, 용연동, 우두동, 원당동, 읍내동, 채운동, 행정동, 송악읍, 고대면, 대호지면, 면천면, 석문면, 송산면, 순성면, 정미면 등에서 주로 쓰이고, 360국대는 KT 합덕지사 국번으로 합덕읍, 신평면, 우강면 등에서 주로 쓰인다. 이 중 359국은 KT 합덕지사에도 분산되어 합덕읍, 신평면, 우강면 등에서 널리쓰이고, 360국은 KT 당진지사에도 분산되어 구룡동, 대덕동, 사기소동, 수청동, 시곡동, 용연동, 우두동, 원당동, 읍내동, 채운동, 행정동, 송악읍, 고대면, 대호지면, 면천면, 석문면, 송산면, 순성면, 정미면 등에서도 널리 쓰인다.] || || 400번대[* 최근 충청남도에서 041-406-xxxx, 041-977-xxxx 등의 전화번호를 자주 목격할 수 있게 되었다.] ||<(> [[LG U+]](구 데이콤) 전용 국번 || || 520~521 ||<(> [[천안시|천안시 산하기관 전용국번]][* 천안시청 및 산하 기관의 국번은 521국이다. 본청 계열은 521-2xxx, [[동남구|동남구청]] 계열은 521-4xxx, [[서북구|서북구청]] 계열은 521-6xxx이다.] || || 520, 550~580번대[* 2010년대 이후 대부분 신규가입 시 동남구는 550~560번대, 서북구는 570~580번대 국번 회선으로 설치됨. 2000년대 초반 당시에는 충남 천안시에 일반구가 존재하지 않아 쌍용동의 국번이 565국으로 할당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후 천안시의 구제 실시로 2개 일반구(동남,서북)가 설치되면서 유선전화 신규 회선 신청 시 지금처럼 세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 [[천안시]], --[[연기군]] [[소정면]]-- || || 530~540번대 ||<(> [[아산시]] || || 620번대 ||<(> [[천안시]][* 현존하는 041-600번대 국번과는 별개로 홍성, 서산, 태안이 아닌 천안에 극히 일부 산재해있다.] || || 630 ||<(> [[홍성군]](군청 및 산하 기관) || || 630번대[* 630국에서 635국까지만 존재한다. 2010년대 초반까지는 634국까지만 존재했으나, 현재는 635국까지 할당되어 있는 상태이다.] ||<(> [[홍성군]](홍성읍, 홍북읍, 금마면, 홍동면, 서부면, 갈산면, 구항면)[br][[내포신도시]] 포함[* 대부분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에 국번이 할당되는 실정] || || 635 ||<(> [[충청남도청]] 및 산하 기관, [[충남도립대학교]][* 청양군에서 유일하게 사용되는 041-635국 전화번호. 여담이지만 청양대학 시절에는 940국이었다.] || || 640 ||<(> [[충청남도교육청]] 및 산하 기관, [[신세계백화점]] 천안아산점(구 충청점)[* 참고로 KT 홍성지사와 천안지사에 분할된 국번이다.] || || 641~642 ||<(> [[홍성군]](광천읍, 장곡면, 은하면, 결성면), [[보령시]] 천북면 || || 660번대 ||<(> [[서산시]](해미면, 대산읍 기은리 제외) || || 681 ||<(> [[서산시]] [[대산읍]] 기은리 || || 688~689 ||<(> [[서산시]] [[해미면]] || || 670번대 ||<(> [[태안군]] || || 730~740번대, 980번대[* 980번대의 경우 SK브로드밴드 전용 국번이다.] ||<(> [[논산시]] || || 750번대 ||<(> [[금산군]] || || 830번대 ||<(> [[부여군]] || || 840~850번대, 960, 962[* 960번대의 경우 SK브로드밴드 전용 국번으로 사용됨] ||<(> [[공주시]](반포면 학봉리, 온천리 제외)[* 이 중 850 ~ 859, 881국 등은 KT 공주지사(공주전화국) 국번으로 시내동지역, 계룡면, 반포면(학봉리, 온천리 제외), 우성면, 의당면, 이인면, 정안면, 탄천면 등에서 주로 쓰이고, 840 ~ 849국은 KT 유구지사(공주전화국 유구분실) 국번으로 유구읍, 사곡면, 신풍면 등에서 주로 쓰인다. 이 중 840국은 KT 공주지사에도 분산되어 시내동지역, 계룡면, 반포면(학봉리, 온천리 제외), 우성면, 의당면, 이인면, 정안면, 탄천면 등에서도 널리 쓰이는 실정이다.] || || --860번대-- ||<(> --[[연기군]](소정면 제외)--[*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에 의거 지역번호가 041에서 044로 일괄 변경. 단, 국번은 종전대로 유지됨][* 2005년 12월 29일 이전에는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부용면도 이에 포함되었다.] || || 900~920, 960~990번대 ||<(>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통신) 전용 국번[* 주로 900번대는 천안, 910~920번대는 아산, 서산, 970번대(특히 977국)는 내포신도시가 조성된 홍성, 예산에서 사용되는 실정이다.] || || 930번대 ||<(> [[보령시]](천북면 제외) || || 940번대 ||<(> [[청양군]] || || 950번대 ||<(> [[서천군]] || * 결번: 200번대, 300~320번대, 340번대, 370~390번대, 500~510번대, 600~610번대, 650번대, 690번대, 700~720번대, 760~790번대, 800~820번대, 860~890번대. 각 지역의 최대도시나 도청소재지에 많이 쓰이는 200번대가 통째로 결번인 것이 특징. 원래는 400번대도 전부 결번이었으나, 최근에 041-40x-xxxx 등 전화번호 체계가 생성되면서 041-400번대 국번의 경우 현재는 결번이 더이상 아니게 되었다. 900번대도 930~950번대를 제외하면 결번인 상태였으나, 현재는 보령, 서천, 청양을 제외한 나머지 충남지역에 900번대 국번 사용이 활성화되어 사실상 결번 상태가 아니다. * 충청남도에서 300(예산, 당진), 500(천안, 아산), 600(홍성, 서산, 태안, 보령 천북)번대 국번을 사용하는 지역은 도내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고, 2005년 천안역, 2008년 신창역까지의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개통으로 대전 접근성보다 수원 접근성이 더욱 우세하다. [* 실제로 경기도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충청권 출신 인구 대다수가 이쪽 지역 출신인 실정이다.] * 860번대의 경우 2012년 6월 30일까지 충청남도 연기군(소정면 제외)[* 소정면은 연기통화권이 아닌 천안통화권으로 2000년 7월 1일까지 4자리 지역번호 체제 시절 0415가 아닌 0417을 사용했으며, 국번 역시 2자리에서 3자리로 전환하는 과정에도 기존 2자리 국번 앞에 8이 이닌 5가 추가됐다. 2005년 12월 29일까지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부용면 역시 연기통화권으로서 충남 연기군과 동일한 국번호가 적용되었으나, 2005년 12월 30일부터 충북 청원군 강외면(2012년 1월 1일 오송읍으로 승격)과 부용면(2012년 7월 1일 외천리 제외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으로 전환)은 청주통화권으로 변경되어 충청북도 청주시 및 청원군(2014년 7월 1일 폐지)과 동일한 국번호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부용면은 외천리를 제외하면 연기통화권의 후신인 세종통화권으로 이관되었고 지역번호는 043에서 044로 변경되었으나 국번은 변경되지 않았다.]에 할당된 국번이었으나, 2012년 7월 1일 연기군 폐지 및 세종특별자치시 승격 관계로 해당 지역의 자동지역번호가 충남 041에서 세종 044로 변경되면서 041-86# 국번의 경우 현재는 사실상 무기한 결번 상태로 간주한다. === [[대전광역시|대전]](042) === || 국번 || 지역 || || 220, 240~250번대 ||<(> [[동구(대전)|동구]](270~280, 600번대 제외), [[중구(대전)|중구]] 대사동, 대흥동, 목동, 문창동, 문화동(일부), 부사동, 선화동, 용두동, 은행동, 중촌동 || || 270~280번대 ||<(> [[동구(대전)|동구]] 대청동 전 지역, 산내동 전 지역, 가오동, 삼정동, 비룡동, 용운동, 판암동, [[중구(대전)|중구]](220, 240~250, 580번대 제외) || || 270번 ||<(> [[대전광역시청]], 한밭수목원[* 시청은 서구 둔산동, 한밭수목원은 서구 만년동 소재다.] || || 300번대 ||<(>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 || 340번대 ||<(> 서구 용문동(일부), 탄방동(일부) || || 350, 351번 ||<(> [[KAIST]] 전용 국번[* 과거에는 867을 사용하다가 전환되었다.] || || 470~480번대 ||<(> [[서구(대전)|서구]] 갈마동(일부), 둔산동[* 488번 일부는 528번에서 전환되었다.], 만년동(한밭수목원 제외), 월평동(일부), 탄방동(일부), 용문동(일부), [[유성구]] 노은동(일부), 지족동(일부), 하기동(일부) || || 520~530번대 ||<(> [[서구(대전)|서구]] 가장동, 갈마동(일부), 괴정동, 내동, 도마동(일부), 변동, 월평동(일부), 탄방동(일부), [[중구(대전)|중구]] 오류동, 유천동(일부), 정림동(일부), 태평동, [[유성구]] 노은동(일부), 지족동(일부), 하기동(일부) || || 540번대 ||<(> [[서구(대전)|서구]] 가수원동, 관저동, 도안동(일부), [[유성구]] 교촌동, 대정동, 방동(일부), 용계동(일부), 원내동 || || 550번대 ||<(> [[충청남도]] [[계룡시]] || || 550번 ||<(>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본부]] 포함) || || 552번 ||<(> [[대한민국 공군]] || || 553번 ||<(> [[대한민국 해군]] || || 580번대 ||<(> [[서구(대전)|서구]] 기성동 전지역, 도마동(일부), 복수동, 정림동, [[중구(대전)|중구]] 문화동(일부), 사정동, 산성동, 안영동, 유천동(일부) || || 600~610번대 ||<(> [[중구청(대전)|중구청]](606), [[대덕구청]], [[홈플러스]] 동대전점(이상 608), [[유성구청]], [[서구청(대전)|서구청]], [[홈플러스 대전둔산점]](이상 611) || || 616번 ||<(> [[대한민국 육군]] ([[육군군수사령부|칠성대]]) || || 620~630, 670번대 ||<(> [[한화 이글스]][* 소재지가 중구 부사동인데 630 국번을 사용한다.] , [[대덕구]](신탄진 제외), [[동구(대전)|동구]] 가양동, 대동, 비래동, 삼성동, 성남동, 소제동, 송촌동, 용전동, 자양동, 홍도동 || || 710번대 ||<(>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 || 820번대 ||<(> [[유성구]](540, 860, 930번대 제외), [[서구(대전)|서구]] 도안동(일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온천리 || || 840번대 ||<(> [[충청남도]] [[계룡시]](550번대 제외) || || 860번대 ||<(> [[유성구]] 가정동, 덕진동, 도룡동, 문지동, 신봉동, 신성동, 원촌동, 장동, 전민동, 추목동, 하기동(일부), 화암동 || || 878번 ||<(> [[대한민국 국군]] ([[자운대]]) || || 930번대 ||<(> [[대덕구]] 신탄진 전 지역, [[유성구]] 관평동, 구룡동, 봉산동, 송강동, 용산동, 탑립동, 구즉동 전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일부(노산리, 양지리, 중척리) || === [[충청북도|충북]](043) === || 국번 || 지역 || || 200번대 ||<(> [[청주시]](현도면 일부 제외) || || 420번대 ||<(> [[단양군]] || || 530번대 ||<(> [[진천군]](초평면 일부 제외) || || 540번대 ||<(> [[보은군]] || || 640번대 ||<(> [[제천시]] || || 730번대 ||<(> [[옥천군]] || || 740번대 ||<(> [[영동군]] || || 753 ||<(> 진천통화권내 [[SK브로드밴드]] 전용 국번 || || 830번대 ||<(> [[괴산군]], [[증평군]], 진천군 초평면 일부 || || 840~860번대 ||<(> [[충주시]] || || 870번대 ||<(> [[음성군]] || || 900번대 || 지역 구분 없이 대규모 사설 교환기에 부여 || === [[세종특별자치시|세종]](044) === 기존에 존재하던 전화번호에 지역번호만 041[* 충남 연기군 전역, 공주시 장기면(송선리, 동현리, 장암리 제외), 반포면 봉암리, 의당면 태산리, 용암리, 송학리, 용현리, 송정리] 혹은 043[* 충북 청원군 부용면(외천리 제외)]에서 044로 바뀌었다. 신소도시인데도 국번이 매우 다양한 편. 세종시가 설치되기 전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이었던 부강면은 [[청주시/통합 이전|청주시]], [[청원군]]의 국번인 200번대, [[연기군]]이었지만 [[천안시]]와 인접한 소정면은 천안시의 국번인 500번대, 연기군 소정면을 제외한 지역과 [[공주시]] 장기면, 의당면, 반포면의 일부였던 나머지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은 연기군, 공주시 국번인 800번대를 사용한다.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이전 기준 연기군 지역 국번은 860번대이고, 공주시 지역 국번은 850번대이다. 물론 상술한 국번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세종시 출범 후 생성된 국번이다. 다만, 400번대 중 410번대, 700번대 중 710번대가 일부 학교 또는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사용 중이며, 현재는 소정면, 장군면, 부강면 등지에서도 신규 번호는 860번대 국번이다. 600번대 국번은 아직 도입되지 않았다. || 국번 |||| 지역 || ||<|8> 200번대 |||| [[정부세종청사]](200~210; 220~260번대 결번) || || 200 ||<(> [[국무조정실]], [[해양수산부]], [[공정거래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법제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우정사업본부]] || || 201 ||<(>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대한민국 환경부|환경부]], [[인사혁신처]] || || 20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 || 203 ||<(>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 || 204 ||<(> [[국세청]], [[국민방송|KTV 국민방송]] || || 205 ||<(>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소방청|소방청]] || || 215 ||<(> [[기획재정부]] || || 270번대 |||| [[부강면]](구 충북 청원군 부용면) || || 300번대 |||| [[세종특별자치시청]](시청 산하기관 포함; 300,310번대),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320번대) || || 330 |||| [[세종남부경찰서]] || || 410번대 |||| 한솔초등학교, 도담초등학교 등의 일부 학교에서 확인 가능. || || 500번대 |||| [[소정면]][* 본래 천안통화권이었던 지역으로, 천안시에서 사용하는 국번과 동일한 체계를 구성한다.] || || 559 ||||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 || || 710번대 |||| 1생활권 지역 일부 공립유치원에서 사용 || || 850번대 |||| [[세종도시교통공사]], [[장군면]](과거 충남 [[공주시]] 의당면, 장기면이었던 지역) || || 860번대 |||| 구 [[연기군]] 일원(소정면 제외) 단, 현재는 소정면, 장군면, 부강면 일대에서도 신규번호는 이 국번을 쓴다. (860~899) || || 900번대 |||| [[행정중심복합도시]] 지역 추가국번 || === [[부산광역시|부산]](051) === || 국번 || 지역 || || 200번대, 290~294번, 220번 ||<(> [[사하구]] 감천동, 괴정동, 당리동, 신평동, 하단동, [[강서구(부산)|강서구]] [[명지동(부산)|명지동]][* 후술된 '''271'''번의 명지동 고유 국번이 있다.] (구 사하전화국 관할) || || 231번, 240~248번, 250번, 253~257번 ||<(> [[서구(부산)|서구]] 전역, [[중구(부산)|중구]] 광복동, 남포동, 보수동, 부평동, 대청동 일부 (구 아미전화국 관할)[* 중구는 국번이 200번대와 400번대로 나뉘는데 서구와 가까운 지역은 200번대 국번을 사용하고 동구와 가까운 지역은 400번대 국번을 사용한다.] || || 260~266번 ||<(> [[사하구]] 구평동, 다대동, 장림동 (구 장림전화국 관할) || || 271번 ||<(> [[강서구(부산)|강서구]] [[명지동(부산)|명지동]][* [[명지국제신도시]]와 [[명지오션시티]]. '''강서구 내에서 유일하게 2번대로 시작되는 국번을 사용하는 동네이며''', 원래는 여타 강서구 다른 동네처럼 9번대 국번을 사용하였지만 오션시티의 개발로 국번이 2번대로 변경되어 사하구와 공유하고 있으며 '''명지동 고유의 번호인 271번을 부여받았다.''' 허나 막상 가보면 200번대 번호가 믹스되어 있다.] || || 301~305번, 309번 ||<(> [[사상구]] 덕포동, 모라동, 삼락동, [[북구(부산)|북구]] 구포2동 일부[* 북구청 주변에서 이 번호를 발견할 수 있다.] (구 덕포전화국 관할) || || 310~320번대 ||<(> [[사상구]] 감전동, 괘법동, 엄궁동, 주례동, 학장동, 모라1동 일부[* 백양대로 주변] (구 사상전화국 관할) || || 330~338번, 341~343번 ||<(> [[북구(부산)|북구]] 구포동, 덕천동, 만덕동, 화명동 일부, 금곡동 일부[* 주로 330번대 번호들이 360번대 국번과 섞여있다. 하지만 요즘은 화명동과 금곡동에서 360번대를 배정받는다.] (구 구포전화국 관할) || || 361~366번 ||<(> [[북구(부산)|북구]] 금곡동, 화명동[* 북구의 금곡동, 화명동 이외의 다른 동에서 이 번호를 보기는 생각보다 어렵다. 하지만 예외로 덕천중학교와 낙동고등학교, 그리고 포천초등학교와 삼정고등학교는 각각 덕천동과 구포동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번호를 사용한다.] || || 400, 403~405, 409, 410번대 (411은 결번) ||<(> [[영도구]] 전역 (구 영도(410번대)·동삼전화국 관할(400, 403~405, 409))[* 동삼동에는 402, 403, 404, 414국번이 있었는데 402국번은 90년대 중반쯤에 폐쇄되었고 414국번은 405국번으로 전환됨.] || || 440~442번, 460번대 ||<(> [[중구(부산)|중구]] 대청동, 동광동, 영주동, 중앙동, [[동구(부산)|동구]] 수정동, 초량동, 범일5동 일부[* 법정동으로 [[좌천동]]에 속하는 지역] (구 부산전화국 관할) || || 500~7번, 590번 ||<(> [[동래구]] 사직동, 온천3동, [[연제구]] 거제1동, 거제2동, 거제4동 (구 미남전화국 관할)[* [[롯데 자이언츠]]도 국번을 이 쪽으로 받았다.(590) 사직동 자체가 이 국번대를 쓰기 때문.] || || 508번 ||<(> [[금정구]] 청룡노포동, 선두구동,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임곡리, 철마면 송정리, 임기리 (구 청룡전화국 관할) || || 509번 ||<(> [[부산외국어대학교]][* 2014년 금정구 남산동으로 이전하면서 이 번호를 부여받았다.] || || 510번대 (511 결번), 580~583 ||<(> [[금정구]] 구서동, 금성동, 남산동, 부곡동, 장전동, [[부산대학교/양산캠퍼스|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의대가 양산시 물금읍으로 이전했지만 여전히 기존의 번호를 사용한다.(051-510-8XXX이면 양산캠퍼스 전화번호다.) 단 양산부산대병원은 경상남도 [[지역번호]]인 055-360으로 사용.] (구 금정전화국 관할) || || 520번대, 531~532번 (530 결번) ||<(> [[금정구]] 금사동, 서동, [[동래구]] 명장동, 안락동, [[해운대구]] 반여1동, 반여4동, 반송1동 일부[* 법정동 [[석대동]] 지역] (구 금사전화국 관할) || || 540~545번 (541 결번) ||<(> [[해운대구]] 반송동[* 법정동으로 [[석대동]]에 속하는 지역 제외] [[금정전자고등학교]][* 금정구 서3동에 있음에도 540번 사용] (구 반송전화국 관할) || || 550번대 ||<(> [[동래구]] 명륜동, 복산동, 수민동, 온천1~2동 (구 동래전화국 관할) || || 600번대, 664번, 665번, 667번, 678~679번 ||<(> 부산 전지역: 공공기관 등 || || 610~612번, 620번대 ||<(> [[남구(부산)|남구]] 대연1, 3, 4, 5동, 용호동, 용당동, [[수영구]] 남천동 (구 대연전화국 관할) || || 629번 ||<(> [[부경대학교]] || || 630번대, 640~647번 (641 결번) ||<(> [[남구(부산)|남구]] 대연1동 일부[* 구 대연2동. 2013년에 대연1동과 통합되어 사라졌다.], 대연6동, 감만동, 문현동, 우암동, [[동구(부산)|동구]] 범일동, 좌천동, [[부산진구]] 범천동 (구 남부산전화국 관할) || || 663번 ||<(> [[경성대학교]] || || 666번 ||<(> 반여농산물시장 || || 667~668번 ||<(> [[부산진구]] 일대[* 서면 등지에서 자주 발견된다.] || || 669번 ||<(>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소재의 수질연구소, 매리 덕산정수장사업본부 포함.] || || 701~704, 709 ||<(> [[해운대구]] [[좌동]], [[송정동(해운대구)|송정동]] (구 좌동전화국 관할) || || 710번대, 790번대 ||<(>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 || 720번대 (725, 729는 결번) ||<(> [[기장군]] 전역 (구 기장·일광전화국 관할) || || 730~731, 740번대 (748 결번) ||<(> [[해운대구]] [[우동(부산)|우동]], [[중동(부산)|중동]], 좌3동 일부 (구 해운대전화국 관할), 한국수력원자력 인재개발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소재. 745번대 사용.] || || 741 ||<(> [[영화진흥위원회]] 제공 영화용 전화번호[* 영화에서 전화번호가 나와야 할 때, 영진위에 신청하면 부여된다. 실제로 전화를 걸면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스크린 노출용 전화번호입니다.' 라는 ARS 멘트가 나온다고 한다.] || || 750번대, 760~1번 ||<(> [[연제구]] 연산9동, [[수영구]] 광안동, 망미동, 민락동, 수영동 (구 수영전화국 관할) || || 780~784번 ||<(> [[해운대구]] 반여2동, 반여3동, 재송동 (구 재송전화국 관할) || || 801~809번,810번대 ||<(> [[부산진구]] 범전동, 부암동, 부전동, 연지동, 전포동, 초읍동, 범천동 일부[* 행정동 범천2동(구 범천4동)에 속하는 [[부암역]] 인근 지역] (구 부산진전화국 관할) || || 831~832번 ||<(> [[강서구(부산)|강서구]] 녹산동 일부[* 강서구에서 유일하게 800번대 국번을 사용하는 지역이다. 주로 본녹산 지역에 이 번호가 몰려있다.] || || 850~853, 860~868 ||<(> [[연제구]] 연산1~8동, 거제3동, 거제1동 일부, [[부산진구]] 양정동 (구 연산전화국 관할)[* [[KNN]]은 1995년부터 2012년 11월 11일까지 연산동에 사옥이 있었으나 2012년 11월 12일에 해운대 센텀시티로 사옥을 이전했다. 해운대 센텀시티로 이전했음에도 국번은 그대로 850번대를 쓰고 있다.] || || 888번 ||<(> [[부산광역시청]] || || 890번대 ||<(> [[부산진구]] 가야동, 개금동, 당감동 (구 가야전화국 관할) || || 940~1번, 970~4번, 979번 ||<(> [[강서구(부산)|강서구]] 명지동, 녹산동 일부 제외 전역, [[김해국제공항]] (구 강서전화국 관할) || || 900번대 ||<(>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강서구 일부 회선 제외) || || 770~775번(773 결번) ||<(> 신규국번(통신사 불명) || === [[울산광역시|울산]](052) === 1997년 광역시 승격 당시 지역번호는 052를 부여받았는데 국번을 자세히 보면 알겠지만 과거 0522 시절의 흔적이 존재한다. 당시 0522-XX-XXXX번이 단순 하이픈 위치만 바꿔서 052-2XX-XXXX번으로 바뀌었기 때문. || 국번 || 지역 || || 201 [br] 230번대 초중반 [br] 250번대 초반 ||<(> [[동구(울산)|동구]] || || 210번대 [br] 250번대 후반~260번대 [br] 270번대 ||<(> [[남구(울산)|남구]] || || 201을 제외한 나머지 2'''0'''0번대 [br] 250번대 중후반~260번대 초반 ||<(> [[울주군]] || || 280번대 ||<(> [[북구(울산)|북구]] || || 220번대 [br] 240번대 [br] 290번대 ||<(> [[중구(울산)|중구]] || || 700번대 ||<(>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 || 900번대 ||<(>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 === [[대구광역시|대구]](053) === || 국번 || 지역 || || 210번대 ||<(>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240번대도 일부 사용한 듯 하다.] || || 231~235번[* 일부 학교와 대구 관외 기관에서는 지역국번을 쓰는 듯 하다.][* 053-230으로 스팸전화가 걸려온 적이 있었다] ||<(> [[대구광역시교육청]] 및 소속 학교와 기관(교육지원청, 시립도서관 등) || || 250번대 ||<(> [[중구(대구)|중구]] [[중앙대로(대구)|중앙대로]] 기준 서쪽, [[롯데백화점 상인점]] || || 310, 320번대 ||<(> [[북구(대구)|북구]] [[칠곡(대구)|칠곡]]지구 || || 340, 350, 360번대 ||<(> [[북구(대구)|북구]] [[금호강]] 이남, 신천 서쪽 일대(침산동, 노원동, 칠성동), [[서구(대구)|서구]] [[경부선]] 이북(비산5동, 비산7동, 원대동) || || 380번대 ||<(> 동북로 이북(산격2동, 복현2동, 검단동) || || 420, 430번대 ||<(> 중구 중앙대로 기준 동쪽 || || 470번대 ||<(> [[남구(대구)|남구]] 대명2동 일부(중앙대로 동쪽), 봉덕동, 이천동 || || 520, 550, 560, 570번대 ||<(> 서구 대부분(비산5, 7동, 원대동 제외), [[달서구]] 죽전동, 감삼동, 장기동, 용산1동, 본리동, 본동 일부 || || 580, 590번대 ||<(> [[달서구]] [[성서(지역)|성서]], [[계명대학교]], [[달성군]] [[다사읍]], 하빈면 || || 610번대 ||<(> 달성군 옥포읍, 논공읍,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 || || 620 ,650번대 ||<(> 달서구 두류동, 성당동, 송현동, 남구 대명동(중앙대로 동쪽 제외) || || 630, 640번대 ||<(> 달서구 [[월배지구|월배]], 달성군 [[화원읍]] || || 660번대 ||<(> 각 구군청 및 산하 읍면동 사무소[* [[중구(대구광역시)|중구]] - 661, [[동구(대구광역시)|동구]] - 662, [[서구(대구광역시)|서구]] - 663, [[남구(대구광역시)|남구]] - 664, [[북구(대구광역시)|북구]] - 665, [[수성구]] - 666, [[달서구]] - 667, [[달성군]] - 668], [[롯데백화점 대구점]](660번 사용), [[대구신세계]](661번 사용)[* 대구아쿠아리움은 제외, 대구아쿠아리움은 247번을 사용한다.] || || 740, 750번대 ||<(> [[수성구]] 수성동 일부, 범어동, 만촌동 대부분, 황금1동, 경부선 이남 동구 신천동, 효목동 || || 760번대 ||<(> 수성구 수성동 일부, 상동, 중동, 파동, 황금2동, 두산동 일부, 지산1동 일부, 달성군 가창면 || || 780번대 ||<(> 수성구 범물동, 지산동 일부 || || 785번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 790번대 ||<(> 수성구 [[시지지구]] || || 803번 ||<(> [[대구광역시청]][* [[팔공산]]과 [[고로아와세|비슷한 발음을 노린 것이다]].] || || 804번 ||<(> [[경상북도]] [[경산시]] 읍면동 주민센터 || || 810번대 ||<(> [[경상북도]] [[경산시]] 동(洞) 지역, 남천면, 압량읍 || || 850번대 ||<(> 경북 경산시 남산면, 와촌면, 용성면, 자인면, 진량읍, [[하양읍]] || || 930, 940, 950번대 ||<(> 북구 무태조야동[* 연경동 제외], 복현동, 산격동, 대현동, [[경북대학교]], [[동구(대구)|동구]] 신암동, 효목동, 수성구 만촌동 일부[* 효목동, 만촌동 모두 경부선 이북 한정.] || || 960번대 ||<(> 동구 [[안심지구|안심]] || || 980~986번[* 987, 988번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국번에 해당하는 지역은 1980년대 초까지는 안심과 같은 96X 국번을 썼었다. 2000년대까지만 해도 이 시절 간판이 간간히 남아있었으나,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앞두고 간판을 대거 교체하여 이제는 찾아보기 어렵다.] ||<(> 동구 공산동, 지저동, 방촌동, 해안동, 불로봉무동, 도평동, 북구 연경동 || || 989번 ||<(> [[제11전투비행단]] 등 K-2 공군기지 내 || * 결번: 220~229, 240~246, 248, 249, 260~309, '''330~339, 370~379, 390~419''' [* [[경상북도]]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대구광역시 군위군에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유력하였으나, 현재로서는 성사되지 않은 실정이다.], 440~469, 480~519, 600~609, 670~739[* 716국은 기 사용 중인 회선이 일부 존재한다.], 770~779, 800, 801, 805~809, 820~849, 860~929, 970~979, 987, 988, 990~999 === [[경상북도|경북]](054) === || 국번 || 지역 || || 230~280번대 ||<(> [[포항시]] || || 279 ||<(> [[포스코교육재단]] 산하 학교 및 [[포항공과대학교]] || || 300~330번대 ||<(> [[영천시]] || || 370번대 ||<(> [[청도군]] || || 380번대 ||<(> [[군위군]][*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 편입] || || 420~430번대 ||<(> [[김천시]] || || 440~450번대 ||<(> [[구미시]] [[남통동]], [[도량동]], [[봉곡동(구미)|봉곡동]], [[부곡동(구미)|부곡동]], [[선기동]], [[송정동(구미)|송정동]], [[지산동(구미)|지산동]], [[형곡동]] 전역, [[광평동]] 중 [[경부고속도로]] 이서지역, [[원평동(구미)|원평동]] 서부, [[양호동]] 중 [[낙동강]] 이서지역, [[고아읍]] 남부 || || 460번대 ||<(> 구미시 [[공단동]], [[비산동(구미)|비산동]], [[사곡동]], [[상모동]], [[신평동(구미)|신평동]], [[오태동(구미)|오태동]], [[임은동]] 전역, 광평동 중 경부고속도로 이동지역, 원평동 동부 || || 470번대 ||<(> 구미시 [[구평동(구미)|구평동]], [[구포동(구미)|구포동]], [[금전동]], [[시미동]], [[신동(구미)|신동]], [[옥계동(구미)|옥계동]], [[인의동(구미)|인의동]], [[임수동]], [[진평동]], [[황상동]], [[산동읍]], [[도개면]], [[장천면]], [[해평면]] 전역, 양호동 중 낙동강 이동지역 || || 478 ||<(> [[금오공과대학교]] || || 480번대 ||<(> 구미시 [[선산읍]], [[무을면]], [[옥성면]] 전역, 고아읍 북부 || || 530~540번대 ||<(> [[상주시]] || || 550~570번대 ||<(> [[문경시]] || || 610번대 ||<(> [[포항시]] || || 620번대 ||<(> [[경주시]] || || 630번대 ||<(> [[영주시]] || || 650~660번대 ||<(> [[예천군]] || || 670번대 ||<(> [[봉화군]] || || 680번대 ||<(> [[영양군]] || || 700번대 ||<(> [[경주시]], [[영천시]] || || 720번대 ||<(> [[포항시]] || || 730번대 ||<(> [[영덕군]] || || 740~770번대 ||<(> [[경주시]] || || 780번대 ||<(> [[울진군]] || || 787~788 ||<(> 울진군 평해읍, 기성면, 후포면 || || 790번대 ||<(> [[울릉군]] || || 820번대[* 안동시 동부 지역에서 820, 821, 822번대, 도청신도시 일부 지역에서 824번대를 사용한다.], 840 ~ 869, 900~902 ||<(> [[안동시]] || || 830번대 ||<(> [[의성군]](860번대 사용지역 제외) || || 861~862 ||<(> [[의성군]] 안계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다인면, 안사면, 신평면 || || 880 ||<(> [[경상북도청]][* 안동시 풍천면에 있다.] || || 870번대 ||<(> [[청송군]] || || 920번대 ||<(> [[영천시]] || || 930~940번대 ||<(> [[성주군 ]] || || 950~960번대 ||<(> [[고령군]] || || 970번대 ||<(> [[칠곡군]] || * 결번: 200~229, 390 ~ 419, 490번대, 580~599, 690번대, 700~720, 881~899, 903~929, 980, 990번대 === [[경상남도|경남]](055) === || 국번 || 지역 || || 200번대 ||<(> [[창원시]] [[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구 창원시, [[마산시]] 지역) || || 310~340번대 ||<(> [[김해시]][* 320 국번은 [[인제대학교]] 김해캠퍼스 전용 국번이다.] || || 320 ||<(> [[인제대학교]] 김해캠퍼스[* 부산에 위치한 개금캠퍼스는 051-890번대 번호를 사용한다.] || || 350번대 ||<(> [[밀양시]](하남읍, 초동면 제외) || || 360~380번대 ||<(> [[양산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방기리[* 울산에서 유일하게 055 국번을 사용하는 지역이다.] || || 391 ||<(> [[밀양시]] 하남읍, 초동면[* 정확히는 KT 수산분실(밀양전화국 수산분실) 관할 국번이다.] || || 392 ||<(> 양산시청[* 이외에 양산시 모든 읍면동 주민센터, 시립 공공기관이 이 번호를 사용한다.] || || 520~526, 531~536 ||<(> [[창녕군]] || || 540번대, 551~552 ||<(> [[창원시]] [[진해구]](구 [[진해시]] 지역)[* 시내와 웅천은 주로 540번대, 용원은 주로 551,552.] || || 549번 ||<(> [[대한민국 해군]] || || 570,572~574 ||<(> [[의령군]] || || 580번대 (588 결번) ||<(> [[함안군]](함안국: 582~585. 칠원국: 586~589) || || 600번대 ||<(> [[창원시]](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추가 국번) || || 630번대 ||<(> [[거제시]](장승포 제외) || || 640~660번대 ||<(> [[통영시]] || || 670번대 ||<(>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하이면 제외) || || 680~690번대 ||<(> [[거제시]](구 [[장승포시]] 지역) || || 733~735 ||<(> [[거제시]]([[대우조선해양]]) || || 740~770번대 ||<(> [[진주시]] || || 772 ||<(> [[경상대학교]] || || 800~830번대 ||<(> [[사천시]](구 [[삼천포시]] 지역),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하이면(봉원리 제외) || || 850번대 ||<(> [[사천시]](구 사천군 지역),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하이면 봉원리 || || 860,870번대 ||<(> [[남해군]] || || 880번대 ||<(> [[하동군]] || || 900~906, 908~909 ||<(> [[김해시]] || || 907 ||<(> [[김해시]], [[창원시]] [[진해구]] || || 910~914 ||<(> [[양산시]], [[김해시]], [[창원시]] [[마산합포구]] || || 920~924 ||<(> [[진주시]] || || 930번대 ||<(> [[합천군]] || || 940~950번대 ||<(> [[거창군]] || || 960번대 ||<(> [[함양군]][* 1999년까지는 대구 월배 국번, 2000년부터 대구 동구 동촌, 안심 지역 국번과 동일하지만 엄연히 시외전화이므로 만약 함양에서 대구로 일반 유선전화 연결하려면 반드시 지역번호를 우선 눌러야 한다.] || || 970번대 ||<(> [[산청군]] || === [[전라남도|전남]](061) === || 국번 || 지역 || || 200번대 ||<(> [[목포시]], [[신안군]], [[무안군]] 일로읍, 삼향읍, [[남악신도시]] || || 300~320번대 ||<(> [[함평군]] || || 330,340번대 ||<(> [[나주시]] || || 350번대 ||<(> [[영광군]] || || 356~357 ||<(> 영광군 홍농읍, 법성면 || || 360번대 ||<(> [[곡성군]] || || 370번대 ||<(> [[화순군]] || || 380번대 ||<(> [[담양군]] || || 390번대 ||<(> [[장성군]] || || 400~430번대 ||<(> [[강진군]] || || 450번대 ||<(> [[무안군]](일로읍, 삼향읍 제외) || || 460번대 ||<(> [[영암군]] 삼호읍 || || 470번대 ||<(> [[영암군]](삼호읍 제외) || || 500~530번대 ||<(> [[해남군]] || || 540번대 ||<(> [[진도군]] || || 550번대 ||<(> [[완도군]](금당면 제외) || || 600번대 ||<(> [[여수시]] || || 720~750번대 ||<(> [[순천시]][* 720번대는 신시가지, 740번대는 구시가지, 750번대는 대부분 순천시 서부로 도농통합 이전 당시 승주군(현재 순천 읍면) 지역이다. 순천은 전국에서 세자릿수 국번 도입이 빠른 편이다. 동시에 광양(당시에는 시로 승격되기 전이였다.), 구례가 우선 3자리 국번체계를 도입했고, 계속해서 2자리 국번을 사용하던 승주군은 순천시로 기 통합된 뒤인 1998년에 국번이 최종적으로 3자리로 개편되었다.](황전면 선변리(일부[*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 후 황전IC를 기준으로 남쪽은 순천시 국번, 북쪽 구례구역 일대는 구례 국번을 사용한다.]), 비촌리 제외) || || 760번대 ||<(> [[광양시]] 광양읍, 봉강면, 옥룡면 || || 770번대 ||<(> [[광양시]] 옥곡면, 진상면, 진월면 || || 780번대 ||<(> [[구례군]], 순천시 황전면 선변리(일부), 비촌리 || || 790번대 ||<(> [[광양시]] 동 지역(구 [[동광양시]]) || || 790 ||<(>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관련 시설 || || 797 ||<(> 동광양지역 관공서 || || 798 ||<(> 조선대학교병원[* 현재 포스코에 인수되어 휴먼센터라는 이름으로 개칭하고 건물 내부를 리모델링했다.], 동광양지역 내 학교 || || 799 ||<(> 제철주택단지 전용 || || 800~810번대 ||<(>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 || 820~830번대 ||<(> [[고흥군]](도양읍, 금산면, 도덕면 제외) || || 840번대 ||<(> [[고흥군]] 도양읍, 금산면, 도덕면, [[완도군]] 금당면 || || 850번대 ||<(> [[보성군]](관내 공공기관 포함) || || 852~853 ||<(> 보성군 보성읍, 노동면, 미력면, 겸백면, 율어면, 복내면, 문덕면, 득량면, 회천면, 조성면 서부 || || 857~858 ||<(> 보성군 [[벌교읍]], 조성면 동부 || || 859 ||<(> 보성군 벌교읍 소재 공공기관 || || 860번대 ||<(> [[장흥군]](장흥국: 862~864, 관산국: 867~868) || || 870~899번대 ||<(> [[전라남도교육청]] 소속 일부 교육기관 || || 900번대 ||<(>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 * 결번: 560~599 === [[광주광역시|광주]](062) === || 국번 || 지역 || || 220~230번대 ||<(> [[동구(광주)|동구]](계림동과 산수동의 각 일부 제외) || || 250~260번대 ||<(> [[동구(광주)|동구]] 산수동 일부, [[북구(광주)|북구]] 각화동, 두암동, 문흥동, 삼각동(일부), 석곡동 전 지역, 오치동, 용봉동(일부), 우산동 || || 260번 ||<(> [[홈플러스 동광주점]] || || 350~380번대 ||<(> [[남구(광주)|남구]] 대촌동(양과, 이장 제외 전 지역), 월산동, 주월동(일부), [[서구(광주)|서구]](500, 600번대 지역 제외), [[나주시]] 산포면 덕례리 || || 400번대 ||<(>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 || 460번 ||<(> 광주씨티병원 || || 510~530번대 ||<(> [[동구(광주)|동구]] 계림동 일부, [[북구(광주)|북구]] 누문동, 동림동, 북동, 신안동, 용봉동(일부), 운암동, 유동, 임동, 중흥동, 풍향동, [[서구(광주)|서구]] 동천동 || || 570번대 ||<(> [[북구(광주)|북구]] 건국동(대촌, 오룡, 월출 제외 전 지역), 매곡동, 삼각동(일부), 양산동, 연제동, 일곡동 || || 600~610번대 ||<(> 광주 전지역[* 주로 관공서 등 대규모의 전화를 구비한 기관에서 일종의 대표 국번으로 사용한다.][* [[병원]], [[대형마트]] 등. 대형마트 중에서 이 국번을 쓰지 않는 곳도 있다. 예를 들면 홈플러스 등.] || || 613번 ||<(> [[광주광역시청]][* [[무등산]]과 발음이 비슷하다는 점을 노린 듯 하다.] || || 650, 670~680번대 ||<(> [[남구(광주)|남구]](300번대 지역 제외[* 주월동의 경우 일부에 속한다]), [[서구(광주)|서구]] 금호동과 매월동의 각 일부, 풍암동[* [[광주방송|kbc 광주방송]]은 1995년부터 2019년 7월 7일까지 남구 서동에 사옥이 있었으나 2019년 7월 8일에 서구 광천동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서구 광천동으로 이전했음에도 국번은 그대로 650번대를 쓰고 있다.] || || 710번대 ||<(>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 || 940번대 ||<(> [[광산구]](박호동과 우산동 일부를 제외한 구 [[송정시]] 지역, 동곡동, 본량동, 삼도동, 평동 전 지역) || || 950~960번대 ||<(> [[광산구]](임곡동과 하남동의 전지역, 박호동, 비아동, 수완동, 신가동, 신창동, 운남동, 산월동과 우산동의 각 일부) || || 970번대 ||<(> [[광산구]] 산월동 일부, 쌍암동, 월계동, [[북구(광주)|북구]] 대촌동, 오룡동, 월출동 || === [[전라북도|전북]](063) === || 국번 || 지역 || || 200번대 ||<(> [[전주시]], [[완주군]] || || 320번대 ||<(> [[무주군]] || || 350번대 ||<(> [[장수군]] || || 430번대 ||<(> [[진안군]] || || 440~470번대 ||<(> [[군산시]] || || 530번대 ||<(> [[정읍시]](신태인읍, 감곡면 제외) || || 540번대 ||<(> [[김제시]] || || 560번대 ||<(> [[고창군]] || || 570 ||<(> [[정읍시]] 일부 공공기관, 대형마트 등 || || 571 ||<(> [[정읍시]](신태인읍, 감곡면 일대) || || 580번대 ||<(> [[부안군]] || || 630번대 ||<(> [[남원시]] || || 640번대 ||<(> [[임실군]] || || 650번대 ||<(> [[순창군]] || || 700번대 ||<(>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 || 830~862 ||<(> [[익산시]] || || 850 ||<(> [[원광대학교]], [[원불교]]중앙총부 전용 국번 || || 900번대 ||<(>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 * 결번: 300, 310, 360~390번대, 400~429, 480~499, 590번대, 600~629 660~699, 800~829, 863~899 === [[제주특별자치도|제주]](064) === || 국번 || 지역 || || 700~720, 760~770번대 ||<(> 제주도 전지역 || || 730번대 ||<(> [[서귀포시]] 동지역 || || 740~750번대 ||<(> [[제주시]] 동지역, 추자면[* 대충 한천을 기준으로 서쪽은 740번대, 동쪽은 750번대다.] || || 780번대 ||<(> 제주시 조천읍, 구좌읍, 우도면, 서귀포시 성산읍, 표선면, 남원읍 || || 790번대 ||<(> 제주시 애월읍, 한림면, 한경면, 서귀포시 대정읍, 안덕면 || || 800번대 ||<(> [[LG U+]](구 LG데이콤) 전용 국번 || || 900번대 ||<(> [[SK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 전용 국번 || == [[휴대 전화|휴대전화]] 국번 == === [[01X]][* [[011]], [[016]], [[017]], [[018]], [[019]].] 국번 === ==== 3자리 국번 ==== || 번대 ||<(> 배정지역 || || 200~359[br]380~399 ||<(>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 || 360~379[br]'''(017 한정)'''360~384 ||<(> 강원도[* 예외적으로 [[가평읍]]/가평군 북면을 포함한 영서 지방을 포함하며, 영동 지방 또한 포함하여 서로 구분없이 사용되었다.] || || 400번대 ||<(> 충청도[* 400~458는 대전, 충남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59~499까지는 충북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 || 500번대 ||<(> 경상도[* 500~549는 대구, 경북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550~599까지는 부산, 경남, 울산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 || 600~659[br]670~699 ||<(> 전라도 및 제주도[* 제주도(島)는 조선시대엔 [[전라도]]의 일부로 간주되었고, 그 영향으로 국번도 전라도와 같이 쓴다. 제주도(道)가 독립한 것은 비교적 최근인 1946년이다. 해당 국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600~649는 [[광주광역시]], [[전남]]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650~659, 670~689는 [[전북]]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690~699는 제주도에서 사용되었다.] || || 660~669 ||<(>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해당 국번은 200~359, 380~399, 그리고 700번대에 비해 매우 드물게 보인다.] || || '''(017 한정)'''670~689 ||<(> 군인 전용 || 200~400번대의 신설은 1983년 [[무선호출기|삐삐]]의 개시와 함께 처음 배정되었다. 500~600번대의 국번은 1988년에 증설되었다. 같은 대역이라도 세부 지역별 구분이 추가로 있었다. 예를 들어 강원은 360-379, 대구/경북은 500~549, 부산/울산/경남은 550~599 식으로. 휴대전화 회선이 급증하면서 국번을 추가로 증설했다. || 700번대 ||<(> 경기도 || || '''(016 한정)'''757, 770~779 ||<(> 강원도[* 해당 국번은 360~379(017 한정으로 360~384)에 비해 매우 드물게 보인다.] || || 800번대 ||<(> 경상도[* 해당 국번은 500번대에 비해 매우 드물게 보인다. 대구/경북은 800~829국, 부산/울산/경남은 830~899국] || 700~800번대의 신설은 1996년 [[SK텔레콤]]의 이동전화 011(CDMA)의 개시와 함께 처음 배정되었고, 나머지 사업자들은 사업초기부터 CDMA 한 가지만 서비스한 관계로 서비스 종류별로 국번이 구분되지 않았고, 특히 800번대 국번들은 011을 제외하면 매우 드물었다. 1996년부터 삐삐가 사장되기 시작하고 가입자들이 대거 휴대전화로 넘어오면서 가용 국번도 거의 바닥을 보이기 시작하여, 1999년 1월 1일부터는 지역 구분 없이 비어 있는 아무 번호를 배정하기 시작했다. 2003년 3G 서비스 개시가 되면서 010 번호가 생겼고 2004년 1월 1일부터 010 통합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신규가입]]이나 번호변경 시, 3G 이상(4G LTE 포함) 통신 서비스 사용 시에는 010 번호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3G 서비스 극초창기에는 010 번호 중에서도 3G 전용 국번을 사용해야 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제한이 해제되었다. 이제 01X 번호에서 010 번호로 이동하면 더 이상 통화 발신 시 01X 번호가 표시되지 않지만, 자동으로 수신 통화 연결 및 신규 번호를 안내해 주는 부가 서비스는 모든 통신사에서 제공되고 있다. ==== 4자리 국번 (9000번대) ==== || 번대 ||<(> 배정지역 || || 9000~9056[br]9059~9078[br]9080~9157[br]9160~9199 ||<(>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 || 9057~9058, 9079[br]9158~9159[br]'''(011 한정)'''9219, 9243~9244, 9466, 9480[br]'''(016 한정)'''9317~9318, 9345~9346, 9390 ||<(> 강원도[* 해당 국번은 9790~9799에 비해 매우 드물게 보인다.] || || 9200~9259[br]9270~9299 ||<(> 전라도 및 제주도[* 9200~9249는 전북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9250~9259, 9270~9289는 광주광역시, 전남 전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9290~9299는 제주도에서 사용되었다.] || || 9260~9269 ||<(>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 || 9300번대 ||<(> 경상도[* 9300~9349는 부산, 경남, 울산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9350~9399는 대구, 경북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 || 9400번대 ||<(> 충청도[* 9400~9458는 충북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9459~9499까지는 대전, 충남에서 사용되었다.] || || 9500번대 ||<(> 경상도[* 9500~9549는 부산, 경남, 울산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9550~9599는 대구, 경북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 || '''(016 한정)'''9520~9529 ||<(> 충청도 || || 9600번대 ||<(> 전라도 및 제주도[* 9600~9649는 전북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9650~9689는 광주광역시, 전남 전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9690~9699는 제주도에서 사용되었다.] || || 9700~9789 ||<(>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 || 9790~9799 ||<(> 강원도 || || 9800~9849 ||<(> 충청도[* 9800~9824는 대전, 충남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9825~9849까지는 충북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 || 9850~9877[br]9880~9917[br]9920~9968[br]9970~9976[br]9978~9999 ||<(>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 || '''(016 한정)'''9880~9889 ||<(> 전라도 || || 9878~9879[br]9918~9919[br]9969[br]9977 ||<(> 강원도 || 그러나 상술한 구분에도 불구하고 1998년부터 회선 수가 급증하면서 정부가 추가로 배정한 9로 시작하는 국번은 아예 처음부터 네자리로 배정하였고, 이 번호대는 휴대전화 번호로는 최초의 4자리 국번이다. 2000년 7월 1일부터는 지역 구분 없이 비어 있는 아무 번호를 배정하기 시작했다.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54|#]] 이 번호대는 지역별 구분을 별도로 두지 않았고 가입자 수가 많았던 SK텔레콤(011), KTF(016), LG Telecom(019) 한정으로 9000번대 4자리 국번을 부여했으며, 가입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신세기통신(017), 한솔PCS(018)은 010 통합 이전까지 4자리 국번을 '''아예''' 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SK텔레콤]](SPEED 011)은 이 9000번대들도 꽉 찼다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0005610|추가 증설]]을 요구했고 이에 난색을 보인 정보통신부는 2003년 당시 1700번대를 증설했었다. ==== 4자리 국번 (1700번대)[* 당시 1700번대는 011 한정으로 [[SK텔레콤]]에게만 배정되었다. [[KTF]]와 [[LG텔레콤]]은 미배정.] ==== SK텔레콤 신규 가입자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1&aid=0000022294|2003년 7월부터 이 번호로 가입하게 되었다.]] 즉 2003년 7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 2G 신규 가입자에 한해[* 당시 3G(IMT-2000) 가입자는 010-20xx번대 번호가 부여되었다.] 이 번호가 부여된 셈이다. 011-17XX-YYYY 이렇게 말이다. 정보통신부는 2000번대와 7000번대의 경우 기존에 200번대와 700번대 국번을 사용하던 가입자들이 전화번호를 새로 바꿔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새로운 번호대를 증설했다고 하였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당시 [[SK텔레콤]]의 총 가입자 비율 50%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약속을 준수하지 않아 이에 정부가 괘씸죄로 "앞으로 100만명만 더 모으게 해 주겠다"라는 조치를 내렸다고 볼 수도 있다. 이후 2002년 정보통신부 고시로 010 번호제를 도입하기로 최종 결정한 것도 위의 주장을 덧붙이는 요인이 된다. 이전부터 번호를 통합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많이 나왔으나 실제로 최종적으로 결정한 것은 이 무렵이었다. 그리고 곰곰이 생각해보면 1100번대나 1200번대도 쓰면 될 것을 하필이면 1'''7'''00번대냐고 의문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유는 11~16으로 시작하는 번호는 이미 선점되었기 때문이다. 111(국정원), 112(범죄신고), 123([[한국전력]]), 131(날씨), 1588, 1688, ... 등등. === [[010]] 국번 === 위에 서술한 대로 신규 이동전화가입자의 증가와 번호 브랜드화 방지 및 [[CDMA2000|IMT-2000]] 서비스의 확대에 따른 번호자원 관리의 효율화를 이유로 정부는 2002년 하반기 [[010]] 번호제를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 010으로 단일화에 따라 각 통신사 별로 중간자리 번호 구분이 새로 재지정되었다. 미배정 국번의 경우 제 4대 통신사 출범 등에 대비해서 남겨둔 예비 국번이라고 할 수 있다. * 국번 관리 현황. * [[https://www.tworld.co.kr/normal.do?serviceId=S_WITH0018&viewId=V_CENT0728&seqNo=27|SK텔레콤]] | [[https://help.kt.com/serviceinfo/ServiceJoinGuideL5.do|KT]] | [[https://m.lguplus.com/support/service/use-guide/areacode|LG U+]] ||
<-1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ACD, #E0FFFF, #ACE1FF, #F6C3FF)" {{{+1 {{{#000 통신사별 원배정 국번}}}}}}}}}''' ||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2000''' ||<(> {{{#blue,#cyan 20xx[br]{{{-4 SKT}}}}}}[br][*신 01X 번호를 거치지 않은 [[010]] 신규 국번.] ||<(> {{{#blue,#cyan 21}}}{{{#orange xx}}}[br]{{{-4 {{{#blue,#cyan SKT}}}/{{{#orange KT}}}}}}[br][*신][* [[SK텔레콤]] : '''2100~2179'''. [[KT]] : '''2180~2199'''.[br]2011년 추가로 국번 배정을 요청한 SK텔레콤과 KT에게 각각 8:2로 나눠서 할당했다. 본래 이 국번대는 2003년 [[LG U+|LG텔레콤]]이 [[IMT-2000]]을 위해 최초로 배정된 국번이었으나 [[대한민국 정부|정부]]의 [[CDMA]] 정책으로 인하여 서비스가 불허되는 바람에, 해당 국번도 다시 회수되어 국가에 오랜기간 봉인되어 있었다.] ||<(> {{{#red 22xx[br]{{{-4 LG U+}}}}}} ||<(> {{{#red 23xx[br]{{{-4 LG U+}}}}}} ||<(> {{{#red 24xx[br]{{{-4 LG U+}}}}}} ||<(> {{{#orange 25xx[br]{{{-4 KT}}}}}} ||<(> {{{#orange 26xx[br]{{{-4 KT}}}}}} ||<(> {{{#orange 27xx[br]{{{-4 KT}}}}}} ||<(> {{{#orange 28xx[br]{{{-4 KT}}}}}} ||<(> {{{#orange 29xx[br]{{{-4 KT}}}}}}[br][*신] || || '''3000''' ||<(> {{{#orange 30xx[br]{{{-4 KT}}}}}}[br][*신] ||<(> {{{#blue,#cyan 31xx[br]{{{-4 SKT}}}}}}[br][*신] ||<(> {{{#orange 32xx[br]{{{-4 KT}}}}}} ||<(> {{{#orange 33xx[br]{{{-4 KT}}}}}}[br][*영 3348 와 6687 에는 각각 1회선씩 [[영화진흥위원회]] 제공 스크린 노출용 전화번호가 할당되어있다.] ||<(> {{{#orange 34xx[br]{{{-4 KT}}}}}} ||<(> {{{#blue,#cyan 35xx[br]{{{-4 SKT}}}}}} ||<(> {{{#blue,#cyan 36xx[br]{{{-4 SKT}}}}}} ||<(> {{{#blue,#cyan 37xx[br]{{{-4 SKT}}}}}}[br][*정 교통정보 및 부가서비스정보 등에 이용되는 국번.] ||<(> {{{#blue,#cyan 38xx[br]{{{-4 SKT}}}}}} ||<(> {{{#red 39xx[br]{{{-4 LG U+}}}}}}[br][*신][*군A '''3983~3992''' 국번은 군 간부, 군무원 (군인 가족까지) 전용 국번이었으나, 2021년 이후 일반인에게도 개방되었다.] || || '''4000''' ||<(> {{{#blue,#cyan 40xx[br]{{{-4 SKT}}}}}}[br][*신] ||<(> {{{#blue,#cyan 41xx[br]{{{-4 SKT}}}}}}[br][*신] ||<(> {{{#orange 42xx[br]{{{-4 KT}}}}}} ||<(> {{{#orange 43xx[br]{{{-4 KT}}}}}} ||<(> {{{#orange 44xx[br]{{{-4 KT}}}}}} ||<(> {{{#blue,#cyan 45xx[br]{{{-4 SKT}}}}}} ||<(> {{{#blue,#cyan 46xx[br]{{{-4 SKT}}}}}}[br][*신][* '''4670~4689'''번에 한해 01X 번호를 거치지 않은 [[010]] 신규 국번이다. 010 매핑 번호 규칙대로라면 017-670~689번의 전환번호가 4670~4689번인데 본래 이 국번대는 군인만 가입이 가능한 군 전용 국번이어서 예외적으로 5070~5089번으로 전환이 된 것이다.] ||<(> {{{#blue,#cyan 47xx[br]{{{-4 SKT}}}}}}[br][*정] ||<(> {{{#blue,#cyan 48xx[br]{{{-4 SKT}}}}}} ||<(> {{{#blue,#cyan 49xx[br]{{{-4 SKT}}}}}}[br][*신][*군B '''4956~4960''' 국번은 군 간부, 군무원 (군인 가족까지) 전용 국번이었으나, 2021년 이후 일반인에게도 개방되었다.] || || '''5000''' ||<(> {{{#blue,#cyan 50xx[br]{{{-4 SKT}}}}}}[br][*신][*군C '''5070~5089''' 국번은 군 간부, 군무원 (군인 가족까지) 전용 국번이었으나, 2021년 이후 일반인에게도 개방되었다.] ||<(> {{{#orange 51xx[br]{{{-4 KT}}}}}}[br][*신][* 2007년 추가로 국번 배정을 요청한 [[KT]]에게 '''5100~5199'''국 전체를 할당했다.] ||<(> {{{#blue,#cyan 52xx[br]{{{-4 SKT}}}}}}[br][*정][* --교통정보안내(010-5200-2000),-- 내 컬러링 듣기(010-5200-8000), 소리샘메시지센터(010-5200-8585) 등 부가서비스 관련 번호는 모두 이 국번대를 사용한다.] ||<(> {{{#blue,#cyan 53xx[br]{{{-4 SKT}}}}}} ||<(> {{{#blue,#cyan 54xx[br]{{{-4 SKT}}}}}} ||<(> {{{#red 55xx[br]{{{-4 LG U+}}}}}} ||<(> {{{#red 56xx[br]{{{-4 LG U+}}}}}} ||<(> {{{#red 57xx[br]{{{-4 LG U+}}}}}} ||<(> {{{#red 58xx[br]{{{-4 LG U+}}}}}} ||<(> {{{#blue,#cyan 59}}}xx[br]{{{-4 {{{#blue,#cyan SKT}}}/미배정}}}[br][*신][* [[SK텔레콤]] : '''5900~5969'''. 미배정 : '''5970~5999'''.[br]2013년 추가로 국번 배정을 요청한 [[SK텔레콤]]에게 '''5910~5959'''국 일부만 할당했다가 2014년 '''5900~5909''', '''5960~5969'''국이 추가로 배정되었다.] || || '''6000''' ||<(> 60xx[br]{{{-4 미배정}}} ||<(> 61xx[br]{{{-4 미배정}}} ||<(> {{{#blue,#cyan 62xx[br]{{{-4 SKT}}}}}}[br][*정] ||<(> {{{#blue,#cyan 63xx[br]{{{-4 SKT}}}}}} ||<(> {{{#blue,#cyan 64xx[br]{{{-4 SKT}}}}}} ||<(> {{{#orange 65xx[br]{{{-4 KT}}}}}} ||<(> {{{#orange 66xx[br]{{{-4 KT}}}}}}[br][*영] ||<(> {{{#orange 67xx[br]{{{-4 KT}}}}}} ||<(> {{{#orange 68xx[br]{{{-4 KT}}}}}}[br][*투A '''6831~6839'''국 일부는 투넘버플러스 가입 시 부여되는 국번이다.][*군D '''6879, 6882''' 국번은 군 간부, 군무원 (군인 가족까지) 전용 국번이었으나, 2021년 이후 일반인에게도 개방되었다.] ||<(> 69xx[br]{{{-4 미배정}}} || || '''7000''' ||<(> 70xx[br]{{{-4 미배정}}} ||<(> {{{#blue,#cyan 71xx[br]{{{-4 SKT}}}}}} ||<(> {{{#orange 72xx[br]{{{-4 KT}}}}}} ||<(> {{{#orange 73xx[br]{{{-4 KT}}}}}} ||<(> {{{#orange 74xx[br]{{{-4 KT}}}}}} ||<(> {{{#red 75xx[br]{{{-4 LG U+}}}}}} ||<(> {{{#red 76xx[br]{{{-4 LG U+}}}}}} ||<(> {{{#red 77xx[br]{{{-4 LG U+}}}}}} ||<(> 78xx[br]{{{-4 미배정}}} ||<(> {{{#red 79xx[br]{{{-4 LG U+}}}}}} || || '''8000''' ||<(> {{{#red 80xx[br]{{{-4 LG U+}}}}}} ||<(> {{{#red 81xx[br]{{{-4 LG U+}}}}}} ||<(> {{{#red 82xx[br]{{{-4 LG U+}}}}}} ||<(> {{{#red 83xx[br]{{{-4 LG U+}}}}}} ||<(> {{{#red 84xx[br]{{{-4 LG U+}}}}}} ||<(> {{{#blue,#cyan 85xx[br]{{{-4 SKT}}}}}} ||<(> {{{#blue,#cyan 86xx[br]{{{-4 SKT}}}}}} ||<(> {{{#blue,#cyan 87xx[br]{{{-4 SKT}}}}}} ||<(> {{{#blue,#cyan 88xx[br]{{{-4 SKT}}}}}} ||<(> {{{#blue,#cyan 89xx[br]{{{-4 SKT}}}}}} || || '''9000''' ||<(> {{{#blue,#cyan 90xx[br]{{{-4 SKT}}}}}} ||<(> {{{#blue,#cyan 91xx[br]{{{-4 SKT}}}}}} ||<(> {{{#blue,#cyan 92xx[br]{{{-4 SKT}}}}}} ||<(> {{{#blue,#cyan 93xx[br]{{{-4 SKT}}}}}} ||<(> {{{#blue,#cyan 94xx[br]{{{-4 SKT}}}}}} ||<(> {{{#orange 95xx[br]{{{-4 KT}}}}}} ||<(> {{{#orange 96xx[br]{{{-4 KT}}}}}} ||<(> {{{#orange 97xx[br]{{{-4 KT}}}}}} ||<(> {{{#orange 98xx[br]{{{-4 KT}}}}}} ||<(> {{{#orange 99xx[br]{{{-4 KT}}}}}}[br][*투B '''9951~9952'''국 일부는 투넘버플러스 가입 시 부여되는 국번이다.] || 010-__''''XX''''__YY-ZZZZ 중 XX는 [[통신회사/이동통신사 목록|이동통신사]] 식별코드이다. [[SK텔레콤]]은 총 33개의 국번대가 배정되어있고 [[KT]]는 26개의 국번대, [[LG U+]]는 17개의 국번대가 배정되어있다. 간혹 위의 표를 보고 "나는 분명 통신사는 A인데, 번호는 B통신사 국번이네..."라며 오인할 수 있는데, 위의 구분은 최초 개통 시의 국번이기 때문에 중간에 [[번호이동|번호 그대로 통신사만 옮긴 적]]이 있다면, 위의 규칙과 다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번호를 바꿀 경우 현 통신사의 국번을 받게 되고, 기존 번호는 원 통신사에 회수된다.[* 3사 망을 취급하는 [[알뜰폰]]일 경우 번호 변경할 때에 3사 번호를 모두 고를 수 있다. 예를 들어 SK텔레콤일 경우 64xx이었는데, 통신사 변경 없이 KT 국번인 96xx으로 바뀌는게 가능한 식이다.] 010 제도를 막 시작할때 쯤인 2004년에는 [[2G]] 전용 국번, [[3G]] 전용 국번 이렇게 따로 분류되었으나 2008년 3월 27일부터 공용화하였다. 쉽게 말해 이제 어떤 국번이든 [[2G]]나 [[3G]] 기기로 [[기기변경|변경]]이 가능하다는 것. 2011년 21xx 국번대를 시작으로 새 국번을 부여할때는 천 단위 전체를 할당해주는게 아닌 백 단위 일부만 할당한다. 이는 국번 고갈을 막기 위한 방편. 이후 2013년 59xx 국번대가 새로 부여됐으며[* 마찬가지로 59xx 국번대도 전체가 부여된게 아닌 일부만 부여되었다.] 이후에도 번호부족사태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번호공동사용제도를 2015년에 시행되었다. 쉽게 말해 한 통신사가 번호부족사태가 발생한 경우 번호 여분이 많은 통신사의 국번을 가져와 번호가 부족한 통신사에게 재할당하는걸 말한다. 이로 인해 [[번호이동]]을 한 적이 없어도 위의 규칙이랑 다를 수 있다. 기존 01X 번호 사용자들은 010으로 전환할 경우 바뀌는 국번인 '매핑 번호'도 규칙이 있는데 아래와 같다. 현재는 그런 제한이 없어졌다. ||<:><|2>지역번호 ||<:><-2>기존 ||<:><-2>전환 ||<:><|2>규칙 || ||<:>시작 ||<:>종료 ||<:>시작 ||<:>종료 || ||<:><|5><#EA002C>[[SK텔레콤|[[파일:SK텔레콤 로고 화이트.svg|width=60]]]][br]{{{#ffffff 011}}} ||<:>200 ||<:>499 ||<:>{{{#green '''5'''}}}200 ||<:>{{{#green '''5'''}}}4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green '''추가'''}}}|| ||<:>500 ||<:>899 ||<:>{{{#green '''3'''}}}500 ||<:>{{{#green '''3'''}}}8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green '''추가'''}}} || ||<:>9000 ||<:>9499 ||<:>9000 ||<:>9499 ||<:>기존 번호 유지 || ||<:>{{{#magenta '''9'''}}}500 ||<:>{{{#magenta '''9'''}}}999 ||<:>{{{#magenta '''8'''}}}500 ||<:>{{{#magenta '''8'''}}}999 ||<:>국번호 첫번째 자리 {{{#magenta '''변경'''}}} || ||<:>{{{#magenta '''17'''}}}00 ||<:>{{{#magenta '''17'''}}}99 ||<:>{{{#magenta '''71'''}}}00 ||<:>{{{#magenta '''71'''}}}99 ||<:>국번호 앞 두 자리 순서 {{{#magenta '''변경'''}}} || ||<:><|2><#EA002C>[[SK텔레콤|[[파일:SK텔레콤 로고 화이트.svg|width=60]]]][br]{{{#ffffff 017}}} ||<:>200 ||<:>499 ||<:>{{{#green '''6'''}}}200 ||<:>{{{#green '''6'''}}}4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green '''추가'''}}} || ||<:>500 ||<:>899 ||<:>{{{#green '''4'''}}}500 ||<:>{{{#green '''4'''}}}8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green '''추가'''}}}[*예외 군용 번호인 017-670, 또는 689인 경우는 010-5070, 5089로 변경된다.] || ||<:><|4><#000>[[KT|[[파일:KT 로고 화이트.svg|width=20]]]][br]{{{#ffffff 016}}} ||<:>200 ||<:>499 ||<:>{{{#green '''3'''}}}200 ||<:>{{{#green '''3'''}}}4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green '''추가'''}}} || ||<:>500 ||<:>899 ||<:>{{{#green '''2'''}}}500 ||<:>{{{#green '''2'''}}}8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green '''추가'''}}} || ||<:>{{{#magenta '''9'''}}}200 ||<:>{{{#magenta '''9'''}}}499 ||<:>{{{#magenta '''7'''}}}200 ||<:>{{{#magenta '''7'''}}}499 ||<:>국번호 첫번째 자리 {{{#magenta '''변경'''}}}[* 016-91XX 전환번호가 71XX국으로 잘못 알려진 적이 있었는데 016-91XX국은 결번이며, 당시 KTF의 9000번대 번호는 016-9200~9999까지만 할당되어 있었다.] || ||<:>9500 ||<:>9999 ||<:>9500 ||<:>9999 ||<:>기존 번호 유지 || ||<:><|2><#000>[[KT|[[파일:KT 로고 화이트.svg|width=20]]]][br]{{{#ffffff 018}}} ||<:>200 ||<:>499 ||<:>{{{#green '''4'''}}}200 ||<:>{{{#green '''4'''}}}4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green '''추가'''}}} || ||<:>500 ||<:>899 ||<:>{{{#green '''6'''}}}500 ||<:>{{{#green '''6'''}}}8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green '''추가'''}}} || ||<:><|4><#a50034>[[LG U+|[[파일:LG U+ 로고 화이트.svg|width=60]]]][br]{{{#ffffff 019}}} ||<:>200 ||<:>499 ||<:>{{{#green '''2'''}}}200 ||<:>{{{#green '''2'''}}}4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green '''추가'''}}} || ||<:>500 ||<:>899 ||<:>{{{#green '''5'''}}}500 ||<:>{{{#green '''5'''}}}899 ||<:>국번호 앞에 한 자리 {{{#green '''추가'''}}} || ||<:>{{{#magenta '''9'''}}}000 ||<:>{{{#magenta '''9'''}}}499 ||<:>{{{#magenta '''8'''}}}000 ||<:>{{{#magenta '''8'''}}}499 ||<:>국번호 첫번째 자리 {{{#magenta '''변경'''}}} || ||<:>{{{#magenta '''9'''}}}500||<:>{{{#magenta '''9'''}}}999||<:>{{{#magenta '''7'''}}}500||<:>{{{#magenta '''7'''}}}999||<:>국번호 첫번째 자리 {{{#magenta '''변경'''}}}[* 019-9800~9899국은 결번이라 제외.] || == 기타 국번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자세한 내용, rd1=전화번호, anchor1=대한민국)] == 여담 == * 휴대전화 번호를 바꿀 때 연락받기 싫은 사람이 계속 연락한다거나 가족 등이 무단으로 전화를 개통해 연체를 하는 상황이 우려되는 경우 직원한테 대리점 조회를 잠가달라고 요청하면 된다. 단 KT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직접하라고 안내한다. 일반적으로 대리점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국번을 알아놓으면 여러모로 편리한데 자신의 [[휴대전화]]에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왔을 시에 어느 동네에서 걸려온 전화인지 대충 짐작해볼 수 있기 때문에''' 부재중으로 돌릴지 끊어버릴지, 받을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거주구역이 200번대 국번을 사용하는 동네인데 400번대나 500번대로 시작되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왔다면 십중팔구 다른 구나 동네에서 전화를 건 것이기 때문이다.] * [[영화진흥위원회]]에서는 [[장난전화]]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 국번에 할당된 번호를 일부 대여하여 픽션에서 쓰도록 하고 있다. || 지역 || 국번 || 회선수 || ||<|2> 서울특별시(02) ||<(> 540 ||<|2> 2개 || || 2285 || || 경기도(031) ||<(> 521 || 1개 || || 부산광역시(051) ||<(> 746 || 1개 || ||<|2> 이동전화(010) ||<(> 3348 ||<|2> 2개 || || 6687 || == 관련 문서 == * [[지역번호]] [[분류:전화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