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방부 직할부대)] ||<-7>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br]'''國防部 軍史編纂硏究所'''[br]'''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MND''' || ||<-7> [[파일:군사편찬연구소 로고.svg|width=100%]] || || '''창설일''' ||<-6>[[2000년]] [[9월 1일]] || || '''상급기관''' ||<-6><(>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 || '''역할''' ||<-6>국방사·군사사 및 전쟁사의 연구·편찬[br]군사작전 사료의 조사·연구[br]각종 군사관련 자료의 수집·보존 및 관리 || || '''연구소장''' ||<-6>오성대[* 예비역 준장, 前 합참 전비태세검열실 차장. 18대 연구소장](육사 44기) || || '''위치''' ||<-6>[[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9[* [[전쟁기념관]] 4층에 사무실과 자료실이 위치해있다.]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전쟁기념관, 너비=100%, 높이=100%)]}}} || || '''홈페이지''' ||<-6>[[http://medcmd.mil.kr/user/indexMain.action?siteId=imhc|[[파일:군사편찬연구소 마크.svg|height=15]]]] || [목차] [clearfix] == 개요 == >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04074#0000|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령'''[br][br] > *제1조(설치) > 국방사·군사사 및 전쟁사의 조사·수집 및 편찬 등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소속하에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를 둔다. > *제2조(임무)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이하 "연구소"라 한다)는 다음 각호의 임무를 수행한다. > 1. 국방사·군사사 및 전쟁사의 연구·편찬 > 2. 군사작전 사료의 조사·연구 > 3. 각종 군사관련 자료의 수집·보존 및 관리 전쟁사, 군사사, 국제분쟁사 등의 연구 및 편찬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국방부]] 직할기관. 연구 편찬 이외에도 국내외 여러 군사연구기관과 교류협력하여 산재해 있는 군사자료를 수집, 보존, 관리하고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역사 == 군사편찬연구소는 [[2000년]] [[9월 1일]] 국방부 직할기관으로 정식으로 창설되었다. 연혁을 거슬러 올라가면 [[6.25 전쟁]] 당시인 [[1950년]] 7월 [[대전]]에서 국방부 전사계로 출발하였다. 같은 해 10월 학계권위자들을 모아 국방부 정훈국 예하 전사편찬회로 설치되었다. [[1953년]] 전사계는 전사과로 승격되었고 전사편찬회와 함께 한국전란지를 발간하였다. 6.25 전쟁 이후 전사편찬회는 해산하였고 정훈국 일반교육과의 편찬계로 전산편찬 업무가 시행되었다.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집권 이후 [[주월한국군|베트남 전쟁 파병]]과 남북간 체제경쟁 격화 등의 이유로 전쟁사 편찬 소요가 제기되었다. [[1964년]]에 국방부 정식 기구로 전사편찬위원회가 설치되어 [[냉전]]이 종식되는 [[1991년]] [[12월 31일]]까지 이어졌다. 전사편찬위원회는 해체되어 이듬해 [[1992년]] [[1월 1일]] [[전쟁기념사업회]] 부설기관인 국방군사연구소로 창설되었다. [[1999년]]에는 국방군사연구소가 [[한국국방연구원]] 부설기관으로 예속전환되었다. 그 직후인 [[2000년]] [[9월 1일]] 관계법령을 통해 국방부 직할기관인 군사편찬연구소가 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 관련 사이트 == [[http://medcmd.mil.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102867248&siteId=imhc&menuUIType=top|군사지]] [[http://archives.imhc.mil.kr/index#main1|디지털 군사사료관]] [[분류:대한민국 국군]][[분류:국방부 직할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