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국민회의)]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018, #F8E018)" '''[[민주당계 정당|{{{#000000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 || [[새정치민주연합]]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1 →}}}]] || {{{#ffffff '''국민회의'''}}} || {{{+1 →}}}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 ||<-2> [[파일:국민회의 2016년 로고.svg|width=300]] || ||<-2> {{{#ffffff '''국민회의'''}}} || || '''창당일''' ||[[2016년]] [[1월 3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록일은 2월 5일.]|| || '''해산일''' ||[[2016년]] [[2월 24일]]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 흡수 합당),,|| || '''소멸 전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br][[국회대로]]70길 12, 대산빌딩 7층|| || '''소멸 전 대표''' ||나상기[* 중앙당 창당대회 당시에는 [[천정배]], [[나상기]] 공동 대표로 선임했으나, 합당하기로 한 국민의당이 2월 2일 창당되면서 천정배는 국민의당의 공동대표로 합류했다. 그래서 선관위에 등록된 내용으로는 나상기 단독 대표로 돼 있다.]|| || '''소멸 전 국회 의석 수''' ||0석 / 293석[* 중앙당 창당대회 당시에는 1석(천정배)이 있었으나, 이후 합당하기로 한 국민의당이 창당되면서 천정배 의원이 국민의당 공동대표로 옮겨 갔다. 따라서 0석.]|| || '''당 색''' || {{{#ffffff 오렌지색 ,,(#EA6224),,}}} || || '''이념''' ||[[개혁주의#s-2]]|| || '''당원 수''' ||1만 3000여 명[* [[http://www.sisajb.com/default/article_print.htm?board_data=aWR4JTNEMjkzNTglMjZzdGFydFBhZ2UlM0QxMjAlMjZsaXN0Tm8lM0QyNzglMjZ0b3RhbExpc3QlM0Q0MTg=%7C%7C&search_items=cGFydF9pZHglM0Q0%7C%7C|기사]]]|| || '''공식 팟캐스트''' ||와글와글 국민회의 [[http://www.podbbang.com/ch/10915|팟빵플레이어]]|| || '''공식 사이트''' ||--[[http://www.iac.nc.or.kr/index.html|www.iac.nc.or.kr]]--|| || '''SNS''' ||[[https://www.youtube.com/channel/UC8cjrJHyjsaFiYLWNfl-nG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6]]]] [[https://www.facebook.com/newparty2016|[[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wparty_2016, 크기=24)] [[http://blog.naver.com/newparty2016|[[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민회의_천정배.jpg|width=100%]]}}} ||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에서 탈당하여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천정배]] 의원을 중심으로 [[2016년]] 창당한 정당이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과 합당하였다. == 상징 == * 당명을 '국민회의'로 한 이유는 "마하트마 간디가 영국에서 인도 독립을 했었을 때 사용했던 당명[* [[인도 국민 회의]](Indian National Congress), 독립 이후 쭉 집권 여당이었으며 현재 인도 제1야당]이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이 창당해 50년만에 정권교체를 한 정당 이름이 [[새정치국민회의]]였다"라고 한다. * 상징색은 [[오렌지]]색[* 당 로고에서 색을 확인한 결과 정확히는 {{{#ea6224 #EA6224}}}(C 3, M 76, Y 100, K 0)이다.]. 오렌지색을 선택한 이유는 '참신한 열정, 젊은 정당'을 지향한다는 의미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당색은 뚜렷하고 채도가 높은 단색을 선호한다. 이 중 빨간색은 [[새누리당]]이, 파란색은 [[더불어민주당]]이 차지하고 있으며, 노란색은 [[정의당]]이고 보라색의 경우는 [[통합진보당]]의 이미지가 강하다. 남은 색은 존재감이 미미한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의 초록색과 주인없는 주황색이었다. 그 중 [[민주당(2008년)|(구)민주당]]의 색이었던 초록색 대신 [[대통합민주신당]]의 주황색을 택한 것이다. 톤은 다르지만 주황색은 [[민주노동당]]의 색이기도 했다. == 역사 == [include(틀:민주당계 정당(박근혜 정부))] [include(틀:제3지대/정당(박근혜 정부))] 천정배 위원장은 야권 분열이라는 비판을 받지 않고,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지난 총선]]에서 [[새누리당]]에게 어부지리를 안겨주었던 [[정통민주당]]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호남을 제외한 수도권이나 충청(?)에서는 야권후보 단일화를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한편, 천정배의 공약인 30~50대 중심의 "뉴 DJ"의 대거 영입에 성공하였으며, 그 중에는 대중적 인지도를 가진 유력인사들도 많다고 주장했다.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110|#]] 광주/전남의 현역의원과는 되도록 함께하지 않고, 새로운 인물을 중심으로 추진할 것이라 밝혔다. 영남에서는 [[부산]]의 현직 새정치민주연합 지역위원장([[동래구]]의 [[정상원]])이 국민회의에 합류하기도 하였다. 안철수 의원이 탈당해 신당 창당 선언을 하기 전까지는 가장 주목받던 야권의 신당이었지만, 안 의원의 신당 창당 선언 이후에는 여론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정동영]] 전 의원과의 연대가 주목받았다. 실제 천 의원은 8월 4일, 전주를 방문해 정동영 전 의원에게 "정동영 의장만한 사람없다" 라고 밝히는 등 공개적으로 러브콜을 보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8/04/0200000000AKR20150804175500055.HTML?input=1179m|#]] 기존 당산동 팀을 (가칭) 개혁적 국민정당 창당 팀으로 확대 개편했다. [[http://news1.kr/articles/?2459066|#]] 교수와 현장활동가, 정당에 관여했던 인물 등을 자문위원으로 영입해 40여명 규모로 실무진을 확대했다. 윤석규 전 [[열린우리당]] 원내기획실장이 기획위원으로 임명된 것으로 보인다. [[http://m.isc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61396|#]] 9월 20일, 창당선언을 했다. "풍요롭고 공정한 대한민국을 위한 개혁적 국민정당 추진위원회"를 발족하여 2016년 1월까지 창당을 완료한다고 한다. [[http://www.hankookilbo.com/v/ab39aac4049d4457bfc698dc32c42bd3|#]] 11월 6일, 김종구 전 서울시의원을 중심으로 새정치민주연합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지역 당원 1500명이 합류할 예정이라고 한다. 천 의원측 관계자에 따르면 핵심 조직책 300명이 1박2일 연수를 다녀온 뒤 11월 내로 창당 추진위원회를 발족한다고 한다. [[http://media.daum.net/politics/assembly/newsview?newsid=20151106215904202|#]] 11월 18일, '''개혁적 국민정당 추진위원회'''를 발족했다. 추진위원회에는 [[전윤철]] 전 [[기획재정부|경제부총리]][* 19, 20대 감사원장도 역임했다.] 와 [[윤덕홍]] 전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장관]] 겸 부총리[* 당시 교육인적자원부] 이주헌 전 [[경제인문사회연구회|정보통신정책연구원장]] 등 전직 정·관계 인사들과 이해영 [[한신대학교]] 국제관계학부 교수[* [[공지영]] 작가의 남편이다.], [[장진영(1971)|장진영]] 변호사[* [[MBC]] [[무한도전]], [[JTBC]] [[유자식 상팔자]]에 출연했었다.] 등 재야인사들이 참여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18/0200000000AKR20151118056351001.HTML?input=1179m|#]] 이후 2차, 3차로 추진 위원 명단을 발표해 총 150~200여명이 추진위원으로 활동할 예정이라고 한다. [[http://news.tf.co.kr/read/ptoday/1603693.htm|#]] 이날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축사를 맡아 눈길을 끌었는데, 김 전 지사는 신당합류설에 대해 고민 중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17/0200000000AKR20151117065551001.HTML?input=1179m|#]] 다음달 13일 [[창당준비위원회|창당준비위]]로 전환하고 내년 1월 중하순 창당을 완료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http://www.jndn.com/article.php?aid=1447772400205305003|#]] 신당에 참여할 외부인사,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717851.html|전·현직 의원들은 창당준비위 단계에서 합류할 예정이다.]] 12월 7일, 3선 의원을 지낸 [[조배숙]] 전 의원과 당원 3130명이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당합류를 선언했다. [[http://www.iminju.net/news/articleView.html?idxno=16640|#]] 12월 10일, 전 광주시의회 의장 등 3명이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고 국민회의 합류를 선언했다. [[http://www.kjmbc.co.kr/board/index.cfm?bbs_name=todaynews&w=view&wr_id=198505|#]] 12월 13일, 발기인 8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기인 대회를 열고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 [[http://www.moneyweek.co.kr/news/mwView.php?type=1&no=2015121316468035835&outlink=1|#]] 이날 축사는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인 [[정대철]] 전 의원과 [[유성엽]] 의원이 맡아 눈길을 끌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356303&code=11121300&cp=nv|#]] [* 총 발기인 규모는 959명] 12월 30일, 호남향우회 핵심 임원진 22명이 [[더불어민주당]]을 집단탈당한 후 합류를 선언했다. [[http://news1.kr/articles/?2530216|#]] [[http://www.focus.kr/view.php?key=2015123000151746541|#]] 1월 2일, [[조배숙]] 전 의원, [[김호서]] 전 [[전라북도의회]] 의장 등 발기인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북도당 창당 발기인대회를 열고 전북도당 [[창당준비위원회|창당준비위]]를 발족했다.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3364|#]] 전북도당 창당대회는 오는 9일 개최될 예정이다. 1월 5일, [[천정배]] 준비위원장 등 발기인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시당 창당 발기인대회를 갖고 광주시당 [[창당준비위원회|창당준비위]]를 발족했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105_0013818471&cID=10306&pID=10300|#]] 광주시당 창준위는 오는 17일 창당대회를 열 예정이다. 1월 9일, [[천정배]] 의원, [[조배숙]] 전 의원 등 3000명의 당원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시]] 화산체육관에서 '''전북도당 창당대회'''를 열고 전북도당을 창당했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109_0013827032&cID=10808&pID=10800|#]] 이날 창당대회에는 김영집·홍인화 광주시당 창당준비위원장, 김재원 전남도당 창당준비위원장, 이상호 대구시당 창당준비위원장 [* 전 [[열린우리당]] 대구광역시당 사무처장을 지냈다.], 두형진 [[한국노총]] 전북본부장 등도 참석했다. [[http://news1.kr/articles/?2539843|#]] 1월 10일, [[천정배]] 의원을 비롯해 최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정균환]] 전 의원[* 범동교동계로 분류된다.]과 [[민병록]][* (전)민주당 산업안전 대책 특위 위원장], 왕향자, 김인원[* (전)서울 북부지검 부장검사], [[이행자]][* 현역 3선 시의원이다. 지난 4.29 보궐선거 과정에서 관악(을) 지역구에 출마한 정동영 후보 지지선언을 하며 탈당했다.] 서울시당 공동 창당준비위원장 등 15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당 창당대회'''를 열고 서울시당을 창당했다. [[http://news1.kr/articles/?2540244|#]] 더불어 이날 전남도당 추진위도 창당 발기인대회를 열고 전남도당 [[창당준비위원회|창당준비위]]를 발족했다.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6948|#]] 전남도당 창당대회는 오는 23일 개최될 예정이다. 1월 13일, 발기인 1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부산시당 창당 발기인대회를 열고 부산시당 [[창당준비위원회|창당준비위]]를 발족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15/0200000000AKR20160115166151051.HTML?input=1195m|#]] 1월 17일, 당원과 지지자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시당 창당대회'''를 열고 [[광주광역시|광주시]]당을 창당했다. [[http://news1.kr/articles/?2547011|#]] 이날 창당대회에는 [[하승완]] 전 [[보성군|보성군수]], [[송병태]] 전 [[광주광역시|광주]] [[광산구|광산구청장]] 등도 참석했다. 1월 27일에는 부산시당 창당대회를, 31일에는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 예정이다. 이 무렵 [[천정배]]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김종인 체제도 친노의 연장선'이라고 비판했고, 국민의당에는 이승만에 대한 역사관 등을 비판하며 거리를 두었다. 1월 23일 [[박주선]] 의원의 [[통합신당(2016년)|통합신당]], [[정동영]] 전 의원과 3자연대를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정동영]] 전 의원측은 아직 명시적으로는 합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http://media.daum.net/politics/newsview?newsid=20160123112854709|#]]] 한편 이날 '''전남도당을 창당'''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23/0200000000AKR20160123048300054.HTML|#]] 그러나 '''1월 25일,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과 통합에 합의하였다.''' [[http://media.daum.net/politics/newsview?newsid=20160125143131044|#]] 다만 창당 작업은 계속 진행한다. 1월 27일 국제신문사 4층 강당에서 '''부산시당 창당'''대회를 개최했다. 1월 30일 당원 100명과 '''대구시당 창당'''대회를 개최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30/0200000000AKR20160130052000053.HTML|#]] 1월 31일 일산킨텍스에서 경기도당 창당대회와 중앙당 창당대회를 개최했다. [[http://www.focus.kr/Event/Election/general_election/2016/view.php?key=2016013100213938514|#]] 2월 2일 국민의당과 대전 한밭체육관에서 통합 창당 대회를 개최. 하지만 아직은 서류상으로 정식 합당한 건 아니다. [[http://www.nocutnews.co.kr/news/4542402|#]] 2월 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중앙당 등록이 완료되었다. (같은 날 국민의당도 등록 완료. [[http://www.nec.go.kr/cmm/dozen/view.do?atchFileId=FILE_000000000138001&fileSn=1|선관위 공지]]). 2월 24일에 [[https://www.nec.go.kr/portal/bbs/view/B0000442/32669.do?menuNo=200684&searchYear=&searchMonth=&searchWrd=&searchCnd=1&viewType=&pageIndex=51§ion=&searchOption1=|국민의당에 흡수 합당 처리가 완료되면서 공식적으로 소멸되었다.]] == 역대 당직자 == [include(틀:국민회의 대표)] == 둘러보기 == *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천정배]] * [[민주당(2014년)|민주당]] * [[통합신당(2016년)|통합신당]] * [[신민당(2015년)|신민당]]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 [[민주평화당]] * [[대안신당]] * [[민생당]]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015~2016 야권발 정계개편, version=359)] [[분류:민주당계 정당]][[분류:호남권 지역정당]][[분류:2016년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2016년 해체]][[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분류:천정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