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국민의당(2020년))] [include(틀:국민의당(2020년) 관련 문서)]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zx9gx3qWRns, width=100%)]}}} || || '''[[안철수|{{{#ffffff,#ffffff 안철수}}}]] [[국민의당(2020년)|{{{#ffffff,#ffffff 국민의당}}}]] 대표 겸 대통령 후보의 [[2022년|{{{#ffffff,#ffffff 2022년}}}]] 신년사 영상''' || 대한민국의 제3야당이었던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의 [[2022년]] 행적을 다룬 문서이다. == 1월 == * '''1월 1일''' * 2021년 12월 27∼29일 리서치앤리서치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대선 후보가 처음 10.3%를 기록 처음으로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국민의당에서는 고무적인 반응이 나오는 중이다. * '''1월 3일''' * 제8차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개최하였다. 모두발언은 [[안철수]] 후보, [[신용현]]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이신범]]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이태규(정치인)|이태규]] 총괄선대본부장 순으로 진행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Z2GUBrzorTo|#]] * '''1월 5일''' * 국립서울현충원 신년 참배를 진행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cDgGuTiluwk|#]] * '''1월 6일''' * 제9차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개최하였다. 모두발언은 [[안철수]] 후보, [[신용현]]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이신범]] 공동선거대책위원장, [[권은희(1974)|권은희]] 국민소통위원장, 박진규 위드코로나대책특별위원장 순으로 진행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4Xjxdi-gS_c|#]] * '''1월 10일''' * 제10차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개최하였다. 모두발언은 [[안철수]] 후보, [[신용현]]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이신범]] 공동선거대책위원장, 구혁모 뉴미디어본부장 순으로 진행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Jns8-vNzNsc|#]] * '''1월 13일''' * 제11차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개최하였다. 모두발언은 [[안철수]] 후보, [[신용현]] 공동선거대책위원장, [[권은희(1974)|권은희]] 국민소통위원장, 박진규 위드코로나대책특별위원장 순으로 진행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N3zqUMktIgI|#]] * '''1월 14일''' * [[인명진]]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안철수 후보에 대한 지지선언을 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안철수 인명진 2022.jpg|width=100%]]}}} || || '''[[안철수|{{{#ffffff,#ffffff 안철수}}}]] 대표와 [[인명진|{{{#ffffff,#ffffff 인명진}}}]] 전 비상대책위원장''' || * '''1월 17일''' * 제12차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개최하였다. 모두발언은 [[안철수]] 후보, [[신용현]]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이신범]] 공동선거대책위원장, [[권은희(1974)|권은희]] 국민소통위원장, 구혁모 뉴미디어본부장 순으로 진행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6-ioyHrBI1Y|#]] * 2022 재경 대구경북인 신년교례회에 참여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윤-안-이 2022.jpg|width=100%]]}}} || || '''2022 재경 대구경북인 신년교례회에 참여한 대선후보들[br]좌측부터 [[윤석열|{{{#ffffff 윤석열}}}]], [[안철수|{{{#ffffff 안철수}}}]], [[이재명|{{{#ffffff 이재명}}}]] 후보 순이다''' || * '''1월 18일''' *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함평에 있는 [[최진석(1959)|최진석]]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를 찾아가 담소를 나눈 뒤 상임선거대책위원장 영입을 발표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안철수 최진석 2022.jpg|width=100%]]}}} || || '''[[최진석(1959)|{{{#ffffff 최진석}}}]] 상임선거대책위원장과 [[안철수|{{{#ffffff 안철수}}}]] 대선후보''' || * '''1월 20일''' * 상임선거대책위원장으로 영입된 [[최진석(1959)|최진석]] 명예교수가 입당을 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최진석 교수 국민의당 입당.jpg|width=100%]]}}} || || '''최진석 상임선거대책위원장 국민의당 입당식''' || * 오전 [[서대문구]]에 위치한 [[김동길]] [[연세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의 자택을 새해 인사차 방문해 후원회장직을 제안하고 김 명예교수는 수락했다. * '''1월 23일''' * [[경상남도의회]] [[김하용]] 의장(창원 14), [[장규석]] 부의장(진주 1)이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에 입당했다. 이로써 국민의당은 [[광역의회]]에 2석을 얻게 되었다. 또한 이들은 안철수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입당은 하지 않았지만 강철우 [[도의원]](무소속·거창 1)도 참석해 지지 선언에 함께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FB_IMG_1642955329053.jpg|width=100%]]}}} || || '''국민의당 입당 및 안철수 대선후보 지지 선언을 하는 [[경상남도의회|{{{#ffffff,#ffffff 경상남도의회}}}]] 도의원들''' || * '''1월 27일''' * 장강식 부산진구의회 의장과 배인한 부산 동구의원이 입당했다. == 2월 == * '''2월 15일''' * 야권 단일화가 큰 진전이 없는 가운데 [[안철수 유세버스 사망사고|국민의당의 유세 차량에서 유세를 돕던 당원 2명이 질식사로 숨지는 사고가 터졌다.]] 이로 인해 선거운동이 잠시 중단되었고, 각 당의 인사들이 조문을 와 고인들을 추모하였다. * '''2월 20일''' *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윤석열 후보와의 단일화 결렬을 선언하고 대선을 완주할 것을 밝혔다. == 3월 == * '''3월 3일''' * [[윤석열-안철수 단일화|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단일화했다.]] 아울러 대선 이후 국민의힘과 합당에 나서기로 했다. 따라서 2020년에 창당한 국민의당의 역사는 2년여 만에 다시 끝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 '''3월 13일''' *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 '''3월 16일''' * [[국민의힘]]이 국민의당과의 합당에 대해 서두르고 있다는 소식이 나오자, [[권은희(1974)|권은희]] 원내대표는 차라리 날 제명하라는 의견을 냈다.[* 비례대표 의원의 경우 탈당하면 의원직을 잃게 되지만, 당에서 제명될 경우 의원직이 유지된다.] * '''3월 24일'''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국민의당과 국민의힘의 합당]] 관련해서 실무협상단을 구성해 협의하여 4월 9일 이전에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정확한 날짜를 합의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801943|기사]] == 4월 == * '''4월 18일''' * 최고위원회에서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국민의힘과 합당]] 안건이 만장일치로 의결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687294|#]]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을 선언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422&aid=0000538007|#]] * '''4월 21일''' * [[안철수]] 대표가 [[권은희(1974)|권은희]] 의원에게 제명 불가 방침을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510724?sid=100|#]] * '''4월 25일''' * [[권은희(1974)|권은희]] 의원의 제명 요구안을 국민의당 "의원총회에 상정하는 안건"이 의원총회에서 부결되었다.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4/25/2022042590116.html|#]] * '''4월 27일''' * [[최연숙]] 사무총장과 유주상 사무부총장, 박혜경 사무부국장 등 3명으로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실무 논의를 위한 수임기구의 구성을 완료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143315|#]] * '''4월 28일''' * 양당 수임기구 합동회의를 열고 국민의힘의 당명, 강령, 당헌, 당대표 및 간부 등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의결했다. == 5월 == 5월 2일 기준으로도 대한민국 국회 홈페이지에서 [[이태규(정치인)|이태규]] 등의 소속 정당이 국민의당으로 뜬다.[* 검수완박을 위해 탈당한 [[민형배]]는 무소속으로 뜬다.] 아직 합당 절차를 완료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http://archive.today/ouray|5월 2일자 아카이브]] * '''5월 2일'''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절차가 사실상 마무리됐다. 14시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합당을 신고했다. 5월 3일 공고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ytn.co.kr/_ln/0101_202205021420302395|#]] * '''5월 3일'''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흡수합당이 공고되면서 실질적, 형식적으로 합당 절차가 모두 완료되었다. [[https://www.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086&bcIdx=178387|#]] == 결론 == [[국민의힘]]과의 합당으로 당의 2년 2개월간의 역사가 막을 내렸다 [[분류:국민의당(2020년)]][[분류:정당별 역사]][[분류:2022년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