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997년]] [[12월]]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고시로 최종 확정·발표된 제7차 교육과정(1997년)에서 한국 교육과정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한 개념이다. 이 개념은 이후 2009개정 교육과정때 일부 내용과 명칭이 약간 변경되었으나 그 의미는 동일하다.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現 공통 교육과정)은 문자 그대로, 국민이면 누구나 공통적으로 받아야 하는 기본적인 교육과정(커리큘럼)을 말하는 것이다. 현재의 수준을 n단계라고 할 때, n단계 성취 기준을 충족하면 n+1단계를 배우고 그렇지 못하면 다시 n단계를 이수하게 되어 있다. 즉, 이론상으로는 학년제가 아니라 이수기간을 하나의 틀로 잡은 것이다. 이 교육과정에 속하는 교과는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필수 이수''' 과목이다. 선택중심교육과정(現 선택 교육과정)의 교과는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말 그대로 '''선택 이수''' 과목이다. 정확히는 해당 교과군중 1개 이상만 이수하면 된다. 지정된 과목은 없다.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거리가 있어 보이긴 하지만, '''필수 이수''' 과목인 만큼 이 때 배웠다고 치고 수험생들의 뒤통수를 세게 후려치기도 한다. == 변천사 == === [[제7차 교육과정]] ~ [[2007 개정 교육과정]]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이수기간 10년은 초등학교 6년+중학교 3년+고등학교 1년을 말한다. 11,12학년 즉 고2, 3은 '''선택중심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을 받는다. === [[2009 개정 교육과정]] ~ [[2011 개정 교육과정]]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은 '''공통 교육과정'''으로, 선택중심교육과정은 '''선택 교육과정'''으로 명칭이 개정되었다. 또,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이수기간을 초1부터 고1까지의 10년에서 '''초1부터 중3까지의 9년'''으로 개정하였고,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이수기간을 고2부터 고3까지의 2년에서 '''고1부터 고3까지의 3년'''으로 개정되었다. === [[2015 개정 교육과정]] ===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다시 고1까지 공통 교육과정을 듣는다. 정확히 말하자면, 1학년 때 문이과 통합교육과정을 듣는 것이고, 2학년 때부터는 심화된 과정을 듣는 것이다. [[분류: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