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해양수산부 산하기관)]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2> {{{#fff '''{{{+1 국립해양박물관}}}'''[br]國立海洋博物館[br]National Maritime Museum of Korea}}} || ||<-2> [[파일:국립해양박물관 MI.sv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anewsa.com/20120706173606.jpg|width=100%]]}}} || || '''{{{#fff 주무부처}}}''' ||[[해양수산부]] || || '''{{{#fff 종류}}}''' ||[[국립]] [[박물관]] || || '''{{{#fff 설립일}}}''' ||[[2012년]] [[7월]]([age(2012-07-01)]주년) || || '''{{{#fff 주소}}}''' ||(49111)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영도구)|해양로]]301번길 45 ([[동삼동]]) || || '''{{{#fff 연락처}}}''' ||(051) 309-1900 || || '''{{{#fff 웹사이트}}}''' ||[[https://www.mmk.or.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https://blog.naver.com/museum4you|[[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height=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useum4u, 크기=20)] [[https://www.facebook.com/museum4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instagram.com/knmm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sJTpbVrC1tMEhRvwpEAW1g|[[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해양박물관, 너비=100%, 높이=20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국립해양박물관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국립해양박물관을 설립하여 해양문화와 해양산업의 유산을 발굴·보존·연구 및 전시함으로써 해양문화의 진흥과 해양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법인격)''' 국립해양박물관(이하 "박물관"이라 한다)은 법인으로 한다. '''제22조(유사명칭의 사용금지)''' 이 법에 따른 국립해양박물관이 아닌 자는 국립해양박물관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에 위반하여 국립해양박물관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국립해양박물관법 제26조).] '''제23조(준용)''' 박물관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민법」 중 [[재단|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Zu-BuQk69Q)]}}} ||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영도구)|해양로]]301번길 45 ([[동삼동]]) [[동삼혁신지구]]에 위치한 [[국립]] [[박물관]]. [[2012년]] [[7월]]에 개장했다. [[바다]], 해양과 관련된 [[역사]], 기술, 산업, 문화 등에 관한 유물들과 자료들을 전시하며 터널식 대형 수조에 [[바다거북]] 등 각종 해양 동물을 사육하고 있기도 하다. 여타 박물관들과 달리 주무 부서가 [[문화체육관광부]]가 아니라 [[해양수산부]]이다. 이를 운영하는 법인 역시 '국립해양박물관'이며 [[해양수산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다. 원래는 해양수산부의 부속 시설이었으나 '국립해양박물관법'이 제정되어 2015년 4월 16일 시행됨에 따라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다. 입장료는 대한민국의 여느 국립 박물관들처럼 [[무료]]이다. 다만 [[4D]] 영상관, 기타 유료 특별 전시 및 주차는 유료이다. [[남구(부산)|남구]] [[대연동]] 소재 시립인 [[부산박물관]]과는 달리, 부산에서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과 더불어 둘밖에 없는 국립박물관이다. == 전시물/볼거리 == 약 2만 6천 점의 유물을 소장 중이다. 주요 유물로는 죽도제찰, 함경도해안실경지도첩, 지구의와 천구의[* 1790년 [[영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동해]]가 한국해로 표기되어 있다.], 해도첩[* 역시 영국에서 만들어졌다. 1646년 제작.], [[곤돌라]], 그리고 2분의 1 크기로 복원된 [[조선 통신사]]선 등이 있다. 하지만 [[어린이]]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곳은 뭐니뭐니해도 대형 터널형 [[수족관]]. [[상어]], 대형 [[가오리]] 등의 전문 [[아쿠아리움]]에서나 볼 수 있는 커다란 해양 동물들을 만날 수 있어서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인기가 매우 좋다고 한다. 살아 있는 해양 생물을 만질 수 있는 곳도 있다. 원래 [[바다거북]]과 [[로봇]] 물고기도 전시되었으나 현재는 각각 방류, 철수되었다. 또한 해양[[도서관]]도 있는데 해양과 관련된 책 4만 5천 권 정도를 갖추었다고 한다. 국제크루즈터미널이 옆에 있어서 [[크루즈(선박)|크루즈]]선을 구경할 수도 있고, 주변 바다 경치도 나름 괜찮아서 주변을 돌아다니기도 좋다. [[간척지]]에 세워져서 주변이 평지라 걷기도 편하다. 영도 다른 곳들과 비교하면 빡센 고저 차에 시달리지 않고 편하게 둘러볼 수 있다. 그 외에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부산해사고등학교]], [[국립해양조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도 주변에 있다. == 건물 == 2만 5803㎡의 상당한 규모이며 지상 4층, 지하 1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삼각형 모양의 외관이 꽤 특이한데 이는 물고기떼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한다. 야외는 [[공원]]같이 되어 있고 바다가 바로 앞에 있어 산책하기 좋다. 바다 쪽에는 낚시터가 있어 [[낚시]]도 가능하다. == 관람 시간 == 평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토요일은 오후 9시까지, 그리고 일요일은 오후 7시까지 운영한다. 입장은 관람 종료 시간 한 시간 전까지 가능하니 주의 바람. 휴관일은 월요일이다. 2022년 12월 5일부터 2023년 2월 27일까지 임시 휴관 중 == 교통 == [[대중교통]]편 등 교통 편의성이 상당히 나쁘다. 주차 시설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으로도 접근하기가 쉽지가 않다. 지나가는 [[시내버스]]가 [[부산 버스 17|17번]]과 [[부산 버스 186|186번]] 2개밖에 없다. 이 중 186번은 원래 해양박물관까지는 오지 않았는데 노선 개편으로 인하여 연장된 것이고, 이전엔 옛.66번만 운행하였는데 배차 간격도 긴 편이었다. [[부산역]] 쪽에서 오는 거면 [[태종대]] 방면 [[부산 버스 101|101번]]이나 [[부산 버스 88|88번]]을 타면 되고 [[남포동(부산)|남포동]] 쪽에서 오는 거면 이 역시도 태종대 방면 [[부산 버스 8|8번]], [[부산 버스 30|30번]], [[부산 버스 190|190번]]을 타고 동삼국민은행앞교차로에 내려서 한국해양교회로 걸어오면 횡단보도가 있는데 그 횡단보도를 건너서 쭉 직진하다 보면 공원 같은 게 보일 것이다. 그 공원으로 쭉 걷다가 끝에 쯤에서 왼쪽으로 꺾어서 조금만 걸으면 입구가 있다. 영도는 섬 특성상 [[한진중공업]] 경유 동삼동 가는 길과 절영해안로 경유 영도중리로 가는 길 두 개 도로에 시내버스 노선이 집중적으로 몰려 있다. 17번은 다른 노선들과 달리 [[청학동]]공단 도로를 지나는데, 위치상 주거 단지가 없어서 수요가 저조하다 보니 배차 간격이 길다.[* 나머지 태종대행 버스들은 3개 노선에 간격이 5~7분이면 온다.] 오죽하면 ''''자가용을 이용하면 좋습니다''''란 안내를 했을 정도이다. 교통편이 영 좋지 않자 부산시에서는 2013년 3월부터는 주말, 공휴일 한정으로 배차를 20분에서 10분으로 줄여서 운행하기로 했다. 대신 도로 혼잡을 이유로 평일과는 다르게 박물관으로 직접 들어가지는 않는다. 이후 2015년 4월 18일 [[동삼혁신지구]] 대중교통 문제로 인해 186번의 노선이 연장되어 노선이 2개로 늘어났다. 그러나 186번의 배차 간격은 주말에는 22분이나 되며, 2015년 11월 28일 노선 개편으로 인해 옛.66번 노선이 연장되는 바람에 주말 한정으로 10분 간격으로 운행하던 게 다시 25분으로 늘어나 관람객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 이야깃거리 == * 개장 한 달 만에 관람객 수가 31만 명을 돌파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661064|기사]]. * [[동래구]]의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동래구 [[온천동(부산)|온천동]] [[금강공원]](금강식물원) 내에 위치해 있다.], [[북구(부산)|북구]]의 부산어촌민속관[* 북구 [[화명동]] 소재. [[화명역(경부선)|경부선 화명역]] 근처에 있다.] 등 부산 각지에 비슷한 주제의 박물관이 몇 있는데 이곳과는 별개이다. *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학생들이 아침 뜀걸음 코스로 해양박물관 근처를 돈다. 기숙사인 웅비관/입지관이 시설 노후화로 폐쇄되고 승선생활관으로 옮겨왔기 때문이다. 대략 아침 7시경에 운동하러 나오는 1, 2학년 학생들을 볼 수 있다. * 2021년 4월 22일에는 [[지구의 날]]을 맞아 바다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행사 '해멍해몽' 행사를 열기도 했다. 참가자들은 바닥에 자리를 깔고 앉든지 눕든지 어떤 자세로든 특정한 행동을 하지 않고, 바다를 보면서 말 그대로 '멍'을 때리는 행사였다. 단순히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 시간 동안만이라도 바다와 지구를 생각하자는 의미였다. [youtube(bP5TEhLZf-Y)] * [[파일:국립해양박물관 MI(2012-2022).svg|width=300]] 2012년 개관 당시부터 2022년 7월까지 위 로고를 사용하다 2022년 7월 9일 개관 10주년을 맞이하여 새 로고를 공개했다. * [[2024년]] [[인천광역시]] [[월미도]]에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이 개관할 예정이다. [[https://www.inmm.or.kr/|#]] == 관련 문서 == * [[동삼혁신지구]] * [[해양수산부]] * [[국립해양수산박물관]] [[분류: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분류:부산광역시의 박물관]][[분류:아쿠아리움]][[분류:기타공공기관]][[분류:특수법인]][[분류:영도구의 건축물]][[분류:해양수산부]][[분류:부산동삼혁신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