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만의 대학]][[분류:신주시]][[분류:1956년 개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같은 뿌리를 갖고 있으나 재대복교로 중국에 존재하는 대학, rd1=칭화대학)] || {{{#!wiki style="margin: -8px;" || {{{#!wiki style="margin: -7px 0" [[파일:대만국립칭화대학 엠블럼.svg|width=50]]}}}||{{{#!wiki style="margin: -7px 0" [[국립칭화대학|{{{#!html 국립칭화대학}}}]][br]{{{-1 {{{#!html 관련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만의 대학)] [include(틀:APRU 소속 대학)] [include(틀:AEARU 소속 대학)] [include(틀:대만연합대학계통)]}}} || ||<-3> '''{{{+3 國立清華大學}}}[br]National Tsing Hua University[br]국립칭화대학''' || ||<-3> [[파일:대만국립칭화대학 엠블럼.svg|width=250]] || ||<-3> '''대학 정보''' || ||<|2> '''교훈''' || '''[[중국어|{{{#fff 중국어}}}]]''' || 自強不息, 厚德載物[br](자강불식, 후덕재물) || || '''[[한국어|{{{#fff 한국어}}}]]''' || 스스로 쉼없이 노력해 강해지고,[br] 덕을 많이 쌓아 만물을 포용하라. || ||<-2> '''국가''' || [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2> '''분류''' || [[국립대학]] || ||<-2> '''개교''' || [[1956년]] [[3월 2일]] {{{-2 ([age(1956-03-02)]주년)}}} || ||<-2> '''총장''' || 가오웨이위안 || ||<-2> '''주소''' || [[파일:신주시 휘장.svg|width=30]] [[신주시]] 샹산구 || ||<|2> '''재학생''' || '''학부''' || 8,628명 {{{-2 (2021년)}}} || || '''대학원''' || 8,289명 {{{-2 (2021년)}}} || ||<-2> '''교직원''' || 846명 {{{-2 (2021년)}}} || ||<-2> '''교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7F1084; font-size: 0.9em" {{{#fff '''NTHU Purple''' ({{{-2 #7F1084}}})}}}}}} || ||<-2> '''링크''' || [[https://www.nthu.edu.tw/|[[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1]]]] [[https://www.linkedin.com/school/national-tsing-hua-university/|[[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19]]]] [[https://www.facebook.com/nthu.tw/|[[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9]]]] [[https://www.instagram.com/nthu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19]]]] [[https://www.youtube.com/channel/UCjaf371JsfFmBZ6e1vMl1N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1]]]]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너비=100%, 높이=100%)]}}} || ||<-3> '''위치''' || ||<-3> [[파일:국립칭화대학 가로 로고.png|width=100%]] || ||<-3> '''교표'''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6px" [[파일:국립칭화대학 사진.jpg|width=100%]]}}} || || {{{#ffffff '''▲ 국립칭화대학 캠퍼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RrWJRJUzXI, width=100%)]}}} || || {{{#ffffff '''▲ 국립칭화대학 소개 영상'''}}} || [[대만]] [[신주시]](新竹市)에 위치한 국립대학이다. [[중국]] [[칭화대학]]과 같은 뿌리로 [[재대복교]]로 인해 대만에서 재개교한 학교이다. 중국의 칭화대학과 달리 국립칭화대학이 정식 명칭으로 국부천대 이전부터 공식 명칭이었다. 중국의 칭화대학은 1949년 교명이 칭화대학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중국의 칭화대학도 여전히 국립이다. 중국의 칭화대학이 워낙 세계적 명문대학이라 묻히는 감이 있지만 국립칭화대도 대만에서 [[국립대만대학]]에 이은 최고의 명문대로 꼽힌다.[* 실제로 대만 내 대학중 2020 qs 랭킹 200위권 안에 들어간 학교는 국립대만대학과 국립칭화대학밖에 없다.] == 교명 == 중국 대륙에서는 앞에 '대만'을 붙여 대만국립칭화대학(台湾国立清华大学)이라고 쓰든지 거기서 아예 '국립'을 떼 버려서 대만칭화대학(台湾清华大学) 식으로 표기한다. 대륙에서 '국립'을 떼고 쓰는 이유는 1949년 중국이 [[공산화]]되면서 모든 대학을 국립으로 전환하면서, 사립대학이란 존재가 없어졌으므로 굳이 국립이란 표시를 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영문 표기는 Tsing Hua인데 이는 [[칭화대학]]과 같다. [[칭화대학]] 목차 2번 참고. == 상세 == [[국공내전]] 당시 대만으로 피한 [[반공주의]] 성향의 칭화대학 학부들이 대만의 인재 육성을 기치로 내걸고, 1955년에 '국립 칭화 대학'이라는 이름으로 부활시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토에 위치한 칭화대학 정도의 위상은 아니지만, 그래도 대만 내에서는 대만대 다음가는 명문 대학이다. [[국립대만대학|대만대]], 칭화대, [[국립양명교통대학|교통대]], [[국립성공대학|성공대]]가 대만의 최고 명문대학 4개 학교로 꼽힌다. [[https://zh.m.wikipedia.org/wiki/臺清交成|臺清成交]] 참조.[* 문과 한정으로 여기에 [[국립정치대학|정치대]]를 넣어 대만 5대 대학(台清交成政)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4대 대학에서도 대만대가 압도적으로 독보적인 1위고 나머지 3개 대학은 같은 그룹으로 묶이는 편이지만 그래도 이공계에선 칭화대학이 먼저 언급되는 편이다. 최근에는 성공대학 보다 앞서는 것으로 인식된다고 말하기 어렵다. [[파일:1561983514m.jpg]] 遠見에서 발표한 [[https://news.pts.org.tw/article/436048/amp|2019 대만대학 순위]]에서도 성공대학에 이은 3위를 차지했다. 대만대와 교통대가 부동의 1위와 4위라면 성공대학과 청화대학이 매년 2위 3위를 서로 자리바꿈하고 있는데,[* 위 遠見의 台灣最佳大學 排名에서 2016 2017 2019년에 성공대학이 2위, 2018 2020년에 청화대학이 2위를 기록] 갈수록 청화대학이 점점 더 열세로 가는 분위기다. 과거 1990년대까지 臺清交成순으로 인식되었던 점을 감안하면 격세지감. 2021년 [[https://nowformosa.blogspot.com/2020/06/2021-qs-66.html?m=1|QS 세계대학평가]]에서는 168위로 대만 2위를 기록했다. 대만 순위는 1위 [[국립대만대학|대만대학]](66위), 2위 국립칭화대학(168위), 3위 [[국립성공대학|성공대학]](234위), 4위 [[국립양명교통대학|교통대학]](240위), 5위 대만과기대학(267위), 6위 [[국립양명교통대학|양명대학]][* 1975년 취약지역 의료와 제대군인 원호를 목적으로 하여 국립양명의학대학으로 설립된 국립공공의대. 1994년 보건대학 등을 추가하여 종합대학인 국립양명대학으로 개편되었으나 공공의대 실험은 실패했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2021년에 국립교통대학과 [[국립양명교통대학]]으로 합병되었다. [[http://m.health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146|참조]].](298위), 7위 [[국립타이완사범대학|대만사범대학]](331위), 8위 타이베이의학대학(387위), 8위 중산대학(416위), 9위 중앙대학(465위), 10위 타이베이과기대학(488위), 11위 창겅대학(493위), 12위 [[국립정치대학|정치대학]](581~590위), 13위 [[국립중흥대학|중흥대학]](601~650위), 14위 가오슝의학대학(701~750위), 15위 중정대학(801~1000위) 순서이다. 2020년 QS 아시아대학평가에서도 대만 2위를 차지했다. 세부 순위는 1위 [[국립대만대학|대만대]], 2위 국립칭화대학, 3위 [[국립성공대학|성공대]], 4위 [[국립양명교통대학|교통대]], 5위 과기대, 6위 중앙대, 7위 [[국립타이완사범대학|사범대]], 8위 중산대, 9위 타이베이의대, 10위 [[국립정치대학|정치대]] 순서이다. 한편 본토에 남아있는 칭화대학과는 같은 대학이라고 해야 할지 다른 대학이라고 해야 할지 미묘한 관계에 있다. 왜냐하면 국민당 정부가 건너오면서 옛 칭화대 출신 인사들이 대만에 다시 만든 학교이기 때문이다. 학교 당국은 학교 역사에 베이징 시절을 포함시킨다. 재미있는 건 학교 홈페이지에서 베이징에 남은 칭화대도 링크로 연결해 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생각보다 대만에는 이런 대학들이 꽤 많다. [[재대복교]] 참조. == 학부 == 칭화대학은 이공계가 유명하지만 인문계 학부도 다수 갖추고 있으며, IBP(International Bachelor Program)이라는 국제학생 전용 영어학위과정을 만들었다. * 이공계열 - [[자연과학대학]] - 기술대학(기계공학) - 원자력과학대학 - 생활과학대학 - 전자기술&[[정보대학]][* IBP 과정 있음] - 기술경영대학 * 인문계열 - 인간사회과학대학[* IBP 과정 있음] - [[교육대학]] - 칭화교양대학 이외에도 다수의 융합전공트랙이 있다. == 기타 == [[중산고속도로]] 신주나들목과 가까워 교통이 편리하며 타이베이행 고속버스의 중간 승하차장이 정문쪽에 있다. [[신주역]]까지도 시내버스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재학생 전용으로 10분~15분 간격으로 [[타이베이]]행 셔틀버스가 운영중인데 시간은 대략 1시간 40분 소요되며, 가격이 타 교통수단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칭화대학, version=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