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4> {{{+2 '''국립중앙박물관'''}}}[br]'''國立中央博物館[br]National Museum of Korea''' || ||<-3> [[파일:국립중앙박물관 로고(정부상징)_상하.svg|height=100]] || [[파일:국립중앙박물관 로고.svg|height=80]] || ||<-3> [[대한민국 정부상징|{{{#fff '''정부상징'''}}}]][* [[2016년]]부터 공식 로고로 사용해왔으나, [[2020년]] [[10월]]부터 기존 로고와 병용하고 있다.] || {{{#fff '''로고'''}}}[* 본래 [[2005년]] 현재의 위치에서 개관했을 당시에 제작하여 [[2016년]]에 [[정부상징]]으로 통합하기 전까지 사용했으나 [[2020년]] 10월부터 재사용하고 있다.]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립중앙박물관.jpg|width=100%]]}}} || ||<-2> '''[[국립중앙박물관장|{{{#fff 관장}}}]]''' ||<-2>[[윤성용]] || ||<-2> '''주소''' ||<-2>[[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서울)|용산동6가]] 168-6] || ||<-2> '''개장''' ||<-2>[[1909년]] ^^(제실박물관 설립 연도)^^[br][[2005년]] ^^(건물 설립 연도)^^ || ||<-2> '''연락처''' ||<-2>02-2077-9000 || ||<-2> '''링크''' ||<-2>[[http://www.museum.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list|소장품 검색]][br][[https://www.youtube.com/user/koreanmuseum|[[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https://www.facebook.com/NationalMuseumofKore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instagram.com/nationalmuseumofkore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he_NMK, 크기=20)] [[https://blog.naver.com/100museum|[[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height=20]]]] || ||<-3>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 국립중앙박물관, 너비=100%)]||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tLDmwB1TBPc)]}}}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서울)|용산동6가]]에 위치한 한국의 대표 [[국립]] [[박물관]]. 한국의 고미술, 유물을 중심으로 소장하고 있으며, 소장 유물 약 150만여 점, 상설 전시 유물 1만여 점[* 2020년 10월 국립중앙박물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배기동 당시 국립중앙박물관장이 밝힌 내용. https://youtu.be/PsVmUA2O09I?t=41]으로 '''한국 최대의 박물관이면서 세계적으로도 상당한 규모이다.''' 한국의 현대 미술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담당한다. [[행정조직법]]상으로는 [[문화체육관광부]] 소속기관인데, 국가를 대표하는 박물관으로서 국내 다른 박물관을 지도·지원하는 위치에 있다. 가까운 곳에는 [[국립한글박물관]]이 있다. == 역사 == ||<-2> '''국립중앙박물관 로고 변천사''' || ||<-1> [[파일:국립중앙박물관 구 로고1.svg|width=100%]] ||<-1> [[파일:국립중앙박물관 구 로고2.jpg|width=100%]] || ||<-1> '''1986~1996년'''[* 다만 박물관 홈페이지의 [[https://www.museum.go.kr/site/main/content/history_1986|연혁 페이지]]에서 앞의 로고를 먼저 소개했기 때문에 그 순서를 따른다. 단, 확실한 것은 전자의 로고가 [[1986년]]에 제작되었다는 것이다. [[https://brunch.co.kr/@designclass/3|#]]] ||<-1> '''1996~2004년''' || ||<-1> [[파일:국립중앙박물관 로고.svg|width=60%]] ||<-1> [[파일:국립중앙박물관 로고(정부상징)_좌우.svg|width=100%]] || ||<-1> '''2005~2016, 2020~현재'''[* 2004년 12월에 낸 <국립중앙박물관(1996~2004) 전시보고서> 표지에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chive_10847|선행 사용된 바 있다]].] ||<-1> '''2016~현재''' || 국립중앙박물관은 연혁의 시작을 [[순종(대한제국)|순종 황제]]가 지은 제실박물관으로 상정해 놓았다. 지금의 국립중앙박물관 컬렉션의 기초는 [[조선총독부]] 박물관과 [[이왕|이왕가]]박물관[* 해방 후의 덕수궁미술관, [[1992년]] 궁중유물전시관으로 분리. 현재의 [[국립고궁박물관]].], 그리고 민속학의 대가 송석하가 지은 남산의 국립민족박물관 소장품을 합친 것인데, 총독부박물관과 이왕가박물관이 모두 [[일본 제국|일제]]에 의해 설립되었기 때문에 예전엔 조선총독부 박물관[* 이 박물관 건물은 [[경복궁]] 동궁에 위치해 있었는데 경복궁을 복원하면서 철거했다.]을 인수한 뒤 새로 개편하여 [[1946년]]에 '국립박물관'이란 명칭으로 [[덕수궁 석조전]] 건물에서 개관한 것으로 역사를 설명했었다. 그러나 최광식 관장이 취임한 이후 이왕가박물관이 원래는 [[1909년]] [[대한제국]]의 제실박물관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주목하여 박물관의 시작은 제실박물관으로 보고, [[2009년]]을 한국박물관 100주년의 해로 선포하고 [[몽유도원도]] 등을 비롯한 유물을 전시하는 대규모 특별전과 행사를 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제가 총독부 박물관으로 이용하며 조선 전국의 [[문화재]]를 모으면서 규모를 넓혔다. 당시 [[일본제국]]은 [[대영박물관]]이나 [[루브르 박물관]]처럼 식민지 유물들을 정부가 주도하여 [[일본]] 본토로 옮기지 않았다. 그 이유는 조선을 오래도록 식민 지배할 것이라 막연하게 착각했기 때문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반 일본의 패색이 짙어졌을 때는 이미 [[미 해군]]에 [[제해권]]을 완전히 빼앗겨서 [[대한해협]] 건너 일본 본토로 옮길 수도 없었다. [[서봉총]] [[금관]] 실물을 [[기생]]에게 쓰게 하고 기념 촬영까지 해서 물의를 일으켰던 일본인 학자 코이즈미 아키오[* [[1935년]] 설립 때부터 해방까지 평양부립박물관장.]의 회고록에 따르면, 기차 2량 분량의 [[가야]] 유물을 일본으로 도망가는 연락선으로 싣기 위해 보냈다는 부분이 있어서 전쟁 후반 항복 직전에 한국 유물을 일본으로 빼돌리려는 시도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가야 유물은 다행히도 나중에 되찾았다고 한다. 그러나 [[일본인]]들이 개인적으로 수집한 유물들은 꽤 많은 수가 반출되었다. 지금까지 해외반출된 한국 문화재가 가장 많은 곳이 일본이다.[* 국외반출문화재가 가장 많은 곳이 일본이 된 것은 일제강점기의 영향도 있지만 [[삼국시대]]나 [[고려]] 때 있었던 [[왜구]]의 침략, 그리고 [[임진왜란]]도 큰 영향을 미쳤다.] [[광복]] 이후 [[경복궁]] 경내의 총독부박물관 자리에 그대로 있다가 [[6.25 전쟁]]이 발발하면서 유물과 박물관도 [[임시수도]] [[부산]]으로 피난가게 되었다. [[북한]]은 [[조선중앙력사박물관]] 문서에서 설명돼 있듯, 과거 조선 왕실과 일제가 수집해 뒀던 [[한국사]] 핵심 문화재들을 그대로 물려받은 [[남한]]과 달리, 조그만 평양부립박물관 정도뿐이었기 때문에[* 현 [[북한]] 지역인 개성부립박물관에서도 [[고려청자]]를 비롯한 많은 [[고려시대]] 문화재가 있었지만 [[1945년]] [[38선]] 분단 당시에는 [[개성시|개성]]이 아슬아슬하게 남한 영역이었고, 개성이 접경지대다 보니 남북간 국지전이 많이 나서 [[6.25 전쟁]] 발발 이전에 이미 많은 개성의 문화재를 남쪽으로 피신시켜 두었다.] 소장한 문화재가 많지 않았다. 침공 직후 서울을 점령한 인민군들은 아직 서울에 남아 있는 유물을 북쪽으로 가져가기 위해 박물관 직원들을 협박해서 유물들을 포장하게 했다. 그러나 당시 박물관 직워들은 어떻게든 반출을 늦추기 위해 포장을 풀고 다시하는 등 시간을 끌었고, 북한 내부에서도 [[광복절]]인 [[8월 15일]] 통일을 거론하는 등 [[적화통일]]이 거의 눈앞이라 낙관적으로 생각해 서두르지 않았다. 그러나 [[인천상륙작전]] 이후 빠른 속도로 북진이 시작되자 인민군은 급히 철수하느라 대부분의 유물을 [[서울]]에 두고 떠났다. 서울을 수복하면서 서울에 남아 있던 대부분의 유물을 [[부산]]으로 옮겼는데 이때 미처 옮기지 못한 대형 [[중국]] 벽화나 [[미라]]는 훼손되었다고 전해진다.[* 이때 훼손된 7~8세기 소녀 미라는 지하수장고에서 보관중이라고 한다. [[https://www.hani.co.kr/arti/legacy/legacy_general/L27860.html]]] [[1953년]] 휴전 이후 서울로 오면서 [[경복궁]] 경내로 돌아왔으나 그해 10월에 경복궁 부지가 구황실재산사무총국[* 현 [[문화재청]].]으로 넘어가자 [[1954년]] 2월부터 구 남산분관 건물에서 머물렀으나, 6월에 남산 건물이 [[연합참모본부]]로 쓰이자 11월에 [[덕수궁 석조전]]으로 옮겨 이듬해 2월에 개관하였다. [[덕수궁]]에 자리잡았던 시기이 [[1957년]] 12월부터 [[1959년]] 6월까지 [[미국]] 8개 도시에서 처음으로 국보급 문화재 해외 전시회를 열었으며, [[1961년]] 3월부터 [[1962년]] 5월까지 [[영국]]·[[프랑스]]·[[네덜란드]]·[[독일]]·[[오스트리아]]에서 [[중요문화재]] 해외 순회 전시를 하여 일제 [[식민사관]]에 의해 왜곡된 한국사만 접했던 외국인들에게 우리의 역사를 폭넓고 알기 쉽게 소개하는 데 노력하였다. [[1960년]]에 학술지 <미술자료>를 창간한 후 [[1968년]] 7월 문교부 소속에서 문화공보부 소속으로 직제가 개편된 뒤 이듬해 덕수궁미술관을 통합했다. [[1972년]]에 현 명칭으로 변경하여 지금의 [[국립민속박물관]] 건물을 신축해 이전하였다. [[1973년]]에는 [[국립공주박물관|공주분관]]을 신설하고 [[1975년]]부터 지방분관을 '지방박물관'으로 개편했다. [[1976년]] 보존과학실을 열었다. 그러나 [[1970년]] 정부종합청사 신축과 [[1982년]] [[정부과천청사]](당시 정부제2종합청사) 신설로 중앙청[* 구 [[조선총독부 청사]]] 건물이 공실이 되자, 해당 건물을 개조해 [[1986년]]에 이전하고 동년도에 중앙청 후생관 건물[* [[1979년]] 건립]을 사회교육관으로 개편하였다. [[중앙청]]에 둥지를 튼 시절에도 사회교육관 신설 외에 [[1990년]] 버스 이동 박물관 '움직이는 박물관'을 개설했다. [[1992년]]에 [[국립민속박물관]]을 독립시키고 [[1995년]] [[광복절]]에 [[문민정부]]의 '[[역사 바로 세우기]]' 정책으로 [[조선총독부 청사]]를 철거하면서 소장품들이 임시로 근처 [[벙커]]에 들어가 있었다가 [[경복궁]] 경내의 사회교육관 건물[* 현 [[국립고궁박물관]]]을 개축하여 이전하였다. 이후 [[용산기지]] 골프장을 주한미군으로부터 반환하여 조성된 용산가족공원 내에 규모가 큰 건물을 신축하여 [[2005년]]에 개관하여 비로소 온전한 박물관 건물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신축 비용은 당시 약 4,100억 원이 소요되었르며 설계는 정림건축, 시공/토목 등은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동부건설]], [[SK건설]], [[GS건설]] 5개 회사가 맡았다. 건축적으로도 1995년 한국 최초로 UIA(국제건축가연맹)공인을 받아 국제설계경기(현상설계) 개최를 통해 [[건축가]]를 선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설계경기에는 46개국에서 340건의 작품이 응모하는 등 국제적으로 건축계에 큰 관심을 끌었다. 2차에 걸친 심사결과 우리나라의 '정림건축' 안을 당선작으로 선정하였다. 개관 기념으로 잠시 무료 개방을 하다가 이듬해부터 입장료를 받았으나, 광복 60주년 기념으로 한시 무료 개방을 하더니 모든 국립박물관의 입장료를 폐지하여 현재는 무료다. 국립중앙박물관 앞마당 일부에 [[국립한글박물관]]을 신축하여 [[2014년]] 10월에 개관하였으며, 차후 주변 부지도 기증받아 국립민속박물관을 이전하고 [[전쟁기념관]]까지 연결하여 거대한 뮤지엄 파크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다만 현 위치가 저지대인지라 대규모 홍수가 닥치면 문화재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차관]]급 기관이며, 지방 국립박물관 13곳([[국립경주박물관|경주]], [[국립공주박물관|공주]], [[국립광주박물관|광주]], [[국립김해박물관|김해]], [[국립나주박물관|나주]], [[국립대구박물관|대구]], [[국립부여박물관|부여]], [[국립전주박물관|전주]], [[국립제주박물관|제주]], [[국립진주박물관|진주]], [[국립청주박물관|청주]], [[국립춘천박물관|춘천]], [[국립익산박물관|익산]])을 거느린 대규모 기관이다. [[국립민속박물관]]은 문화체육관광부 직속의 별도 기관이며, [[국립고궁박물관]]은 [[문화재청]] 소속으로 모두 국립중앙박물관과는 관련이 없다. [[국립문화재연구원]](문화재청 소속), [[대한민국역사박물관]]([[문화체육관광부]] 소속), [[전쟁기념관]]([[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산하), [[독립기념관]]([[국가보훈처]] 산하), [[국립현대미술관]](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립해양박물관]]([[해양수산부]] 산하)도 마찬가지이다. 바로 앞의 [[국립한글박물관]] 역시 마찬가지로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별도 기관이다. 건물의 모티브는 [[한국인]]들이 가장 흔하게 볼 수도 있고 권위적이거나 사치스럽게 느끼지 않는 성벽에서 따왔다고 한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중앙박물관'''이라는 역사성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는 이유로 [[2013년]]에 [[동아일보]]와 건축 전문지 SPACE가 국내 건축가들에게 설문조사한 결과로 나온 [[월간 SPACE 선정 한국 현대건축 태작]]에서 17위로 랭크되기도 했다. [[2009년]]에 국립중앙박물관 100주년 기념 특별전을 했다. 이때 누가 한국 최고 최대 박물관 아니랄까 봐 [[몽유도원도]], [[훈민정음 해례본]], [[천마도]] 같은 평소에 보기 힘든 국내외의 여러 박물관, 미술관에서 엄청 귀한 유물을 보내 축하했다. 전국의 역사학도, 미술학도를 비롯해 문화 계통에 관심있는 사람은 남녀노소 몰려와서 장사진을 이루었다. 특히 몽유도원도는 1인당 1분만 볼 수 있도록 관람을 제한할 정도였다. 그리고 이 특별전은 '''무료'''로 관람 가능했다. 해당 특별전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위상이 어떤지 잘 보여준 전시였다. [[2012년]] [[이명박 정부]] 당시 영부인 [[김윤옥]] 여사가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에 참석한 국가 정상들과 만찬을 가졌는데 하필이면 그 장소가 국립중앙박물관이었다. 그것도 강당이나 교육관이 아닌 유물을 전시하는 제1전시실. 박물관에는 음식은커녕 음료수 한 잔도 들고 가지 못한다. 이렇게 상식에 어긋난 행동에 대해 [[전우용]]이 '''"미친 짓"'''이라며 비판했는데, 박물관 측은 "[[뉴욕]]이나 [[프랑스]]도 국립박물관 안에서 만찬을 즐길 수 있다."라든가 "유물들은 모두 벽부장으로 격리되었고 온습도 조절 장치가 있어 피해는 없다."라고 해명했다. [[2015년]], [[박근혜 정부]]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불관계|한국-프랑스 수교 130주년]]을 기념해 콜베르 재단과 연계하여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전시회를 열고 싶어했다. 별 문제가 안 될 듯한데 문제가 되었다. 콜베르 재단은 [[카르티에]], [[루이비통]]을 비롯한 [[프랑스]] [[명품]] 업체들의 연합체로, 쉽게 말하면 명품 전시회를 이곳 국립박물관에다 열려고 했다는 것. 당시 [[김영나]] 국립중앙박물관장이 "상업성이 강한 전시는 할 수 없다."라며 완강히 반대하면서 전시회는 무산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8&aid=0002312180|관련 기사]]. >[[노태강]] 당시 국장은,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실에 700만원~800만 원짜리 원피스 등 프랑스 명품을 전시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전시관 앞에서 판촉 행사까지 하겠다고 했다”라고 밝혔다. 그는 “지나친 상업성에 박물관 직원들이 나자빠졌다. ‘[[병인양요]]’에 빗대 ‘병신양요’라고들 했다”라며 “[[김영나]] 관장은 끝까지 반대하다가 잘렸다”라고 말했다([[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79172.html#csidx5da515746f26d49885d82f5c593f04d|관련 기사]]). [[2016년]]부터는 용산 이전 이후 10여년간 사용한 금색 로고에서 [[정부상징]]으로 로고를 교체하였다. [[2018년]] [[광복절]]에 '정부수립 70주년 및 광복 73주년 기념식'이 본 박물관에서 개최되었다. 대략 [[2020년]]을 전후로 한 시점부터 [[2016년]] 이전의 로고를 박물관에서 제작한 [[:파일:호모 사피엔스:진화∞ 관계& 미래? 기획특별전 포스터.jpg|기획전 포스터]] 등에서 다시 사용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로고를 복구한 것이 아님에도 예전 로고를 사용하는 이유는 불명이었다. [[2021년]] [[11월 15일]] [[세계일보]]의 취재 결과 '''예전의 로고를 현재의 정부상징과 병용'''하기로 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https://news.v.daum.net/v/20211115163423035|#]] [[2022년]] [[10월 24일]], [[대한민국 국회|국회]] [[국정감사]] 과정에서 [[행정안전부]]가 박물관이 자체 로고를 복구시킨 사실을 여태까지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자체 로고를 사용하려면 행정안전부와 협의를 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던 것이다. 행안부는 일부 국립박물관들이 자체 로고를 복구시키거나 새로 만드는 것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 이 사실을 지적한 이상헌 의원은 자체 로고를 정부상징과 병용하는 것은 홍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이번 기회에 정식으로 관련 규정을 마련해 달라고 주문했다.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76885|#]] 이후에도 자체 로고를 현재까지 사용하는 것을 보면 어찌저찌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보인다. 사실 정부로고를 국립 박물관 로고로 사용하는 예는 전세계적으로 드물다. 행정편의주의에 문화에 대한 무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각 정부 기관이 각각의 로고를 사용하다 단일 정부로고를 사용케 한 것은 이해가 되지만 (그 역시 흑백일 때는 완전히 의미 없어지는 로고로 비판이 많다) 박물관까지 통일 시킨 것은 너무나 기계적인 조치이다. == 소장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fs4.tistory.com/download.blog?fhandle=YmxvZzEzMjkwNUBmczQudGlzdG9yeS5jb206L2F0dGFjaC8wLzI0LmpwZw%3D%3D.jp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ensive_Bodhisattva_01.jpg|width=100%]] || || '''국보 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6세기 후반, 미상''' || '''국보 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7세기 초반, 신라 유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소장품 중에 [[대한민국의 국보|국보]]와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가 많다. 그러나 유물의 수준에 비해서는 또 많은 것이 아닌데, 가끔보면 교과서에도 나오는 엄청 유명한 유물도 국보나 보물이 아닌 경우가 많다. 문화재의 지정 및 등록을 담당하는 [[문화재청]]의 공식적인 해명은 문화재의 지정 및 등록은 문화재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관리의 문제점이나 훼손의 가능성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라는 것. 즉 아무리 좋은 문화재라도 한국에서 가장 안전하고 전문적인 관리를 받은 국립중앙박물관 안에 있으니 지정의 시급성이 떨어져 후순위로 밀린다는 것이다. 그럴 듯한 이야기지만 사실 이건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의 사이가 안 좋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많다. 비슷한 일을 담당하는 두 기관이 기싸움을 하면서 서로의 조직을 늘려가고 있는데, 문화재청이 [[1992년]] 궁중유물전시관[* 지금의 [[국립고궁박물관]].]을 만들면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왕실 유물을 대규모로 빼가 두 기관의 사이가 더 악화되었다는 것. 그리고 국립중앙박물관은 박물관 소장이라는 것만으로 소장품의 권위가 어느 정도 서기 때문에 국보니 보물이니 하는 권위를 빌려와서 소장품에 가치를 부여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무래도 권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설 기관이 좀 더 타이틀을 위한 노력을 많이 한다. 실제로 최근 두 기관의 협력을 위해 문화재청이 국립중앙박물관의 주요 소장품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하고 국립중앙박물관은 여기에 협력한다는 보도 자료를 내기도 했다. 이건 역설적으로 두 기관이 사이가 좋지 않았다는 방증이 된다.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8595§ionId=b_sec_1&pageIndex=22&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 [[국사]]책에 나오는 유물 중에서 많은 수[* 그리고 그 많은 수를 제외한 나머지 상당수는 [[국립경주박물관]](13점), [[국립공주박물관]](13), [[간송미술관]](12), [[리움미술관]](36), [[호림박물관]](8) 등에 있다. 고서의 경우 [[서울대학교 규장각]]에도 7점이 존재한다.]를 이곳에서 소장하고 있다. 건축물 같은 건 빼야 되니 절대 다수까지는 아니지만, 옮길 수 있는 건 정말 많다. 내부에 '''[[탑]]'''도 있으며(국보 86호 [[경천사 10층 석탑]])[* [[경기도]] [[개풍군]]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반출되었다가 [[경복궁]]으로 환수한 탑이다. 환수 이후 심각한 손상을 입었음이 확인되어 장기적으로 탑 복원 공사를 했고, [[산성비]] 등으로 인한 훼손을 우려하여 내부로 옮겼다.] [[진흥왕]] [[북한산]] 순수비 등 야외에서 훼손이 될 만한 유물도 이 안으로 옮기는 경우가 많다. 한국이 파란만장한 근대사를 겪어서인지 박물관 내 유물들은 온전하게 원 소유주에게 있다가 온 것이 거의 없고, 국가에서 경매에 부쳐진 걸 구매해서 회수하거나 기증받은 것이 거의 대다수. 출토지가 불분명한 경우도 많다. 당장 [[한국 불교]] 미술의 정수라 불리는 위 사진의 두 유물도 마찬가지다. [[6.25 전쟁]] 때 하마터면 잿더미가 될 뻔했으나 이걸 알아본 유엔군 장교가 귀중한 문화재라고 하여 잘 보관하여 미국에서 눈독을 들이기도 했었던 문화재들이 겨우 남은 경우도 있었다. 유물의 규모에 비해 순회 전시가 잘 안 되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세계적인 박물관들은 몇 개월에서 몇 년 단위로 유물을 교체해주는데, 국립중앙박물관은 재개관 이후 대표 유물이 교체된 적이 거의 없다. 예외가 있다면 국보 78호 [[반가사유상|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국보 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으로 [[부처님오신날]]마다 서로 교대해서 전시했다. 이 반가사유상들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문화예술품의 최고봉으로 손꼽히는 것들로, 2021년 11월 14일부터 [[사유의 방|전용 전시실]]을 마련하여 단독 전시할 정도로 특별 대우를 받고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유의 방)] 국립중앙박물관의 대표 문화재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의 대표 문화재로서 인정받아 외국에서 한국 관련 전시를 할 때에는 거의 빼놓지 않고 초청받는다. 다만 훼손 우려 때문에 국외 전시를 나가는 것은 조심스러운 편이다. 이와 관련된 에피소드 가운데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서 2013년 신라시대 유물 전시회를 기획하고 국박에 이 반가사유상도 포함시켜줄 것을 요청했으나 문화재청이 반출에 난색을 표해서 한동안 실랑이를 벌인 적이 있다. 결국 메트로폴리탄 측의 통사정과 정부의 설득으로 뉴욕행을 결정짓기는 했다. 당연하지만 국박에 전시 중인 건 그대로 두고, 수장고에 보관 중이던 게 국외 전시로 나간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전국에서 출퇴된 유물들을 정기적으로 중앙으로 이전 시킨다. 때문에 지방은 자기 유물을 가지고 있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상당한 유물들이 수장고에 들어가 단 한 차례도 전시되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 가야나 백제 연구자들은 이를 위해서 서울까지 와서 봐야 하고, 지역민들은 자기들의 고장에서 나온 유물들을 볼 기회를 사실상 완전히 상실하는 경우들이 많다. 지방 국립박물관을 제외한 광역 혹은 시군 박물관 유물들을 중앙에서 흡수하는 이런 정책은 재고되어야 한다. === 주요 소장품 === 언제든 유물의 소재를 옮길 수 있는 국립박물관의 특징상 중앙박물관과 소속 박물관의 유물 전체를 기록한다. 기간에 따라 유물이 옮겨다닐 수 있다. || '''지정구분''' || '''호(號)''' || '''지정명칭''' || '''소재지''' || '''비고''' || || '''국보''' || '''3''' ||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 '''중앙''' || || || '''국보''' || '''60''' ||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 '''중앙''' || || || '''국보''' || '''61''' || '''[[청자 어룡형 주전자]]''' || '''중앙''' || || || '''국보''' || '''78'''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중앙''' || || || '''국보''' || '''79'''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 '''중앙''' || || || '''국보''' || '''80'''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 '''중앙''' || || || '''국보''' || '''81''' ||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중앙''' || || || '''국보''' || '''82'''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 '''중앙''' || || || '''국보''' || '''83'''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중앙''' || || || '''국보''' || '''86''' || '''[[경천사 10층 석탑|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 '''중앙''' || || || '''국보''' || '''89''' ||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 '''중앙''' || || || '''국보''' || '''90''' ||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 '''중앙''' || || || '''국보''' || '''91'''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 '''중앙''' || || || '''국보''' || '''92''' ||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 '''중앙''' || || || '''국보''' || '''93''' ||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 '''중앙''' || || || '''국보''' || '''94''' || '''[[청자 참외모양 병]]''' || '''중앙''' || || || '''국보''' || '''95''' ||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 '''중앙''' || || || '''국보''' || '''96''' || '''[[청자 구룡형 주전자(국보)|청자 구룡형 주전자]]''' || '''중앙''' || || || '''국보''' || '''97'''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 '''중앙''' || || || '''국보''' || '''98''' ||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 '''중앙''' || || || '''국보''' || '''99''' || '''김천 갈항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 '''중앙''' || || || '''국보''' || '''100''' ||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 '''중앙''' || || || '''국보''' || '''102'''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중앙''' || || || '''국보''' || '''104'''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중앙''' || || || '''국보''' || '''110''' || '''[[이제현 초상]]''' || '''중앙''' || || || '''국보''' || '''113''' ||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 '''중앙''' || || || '''국보''' || '''114''' ||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 '''중앙''' || || || '''국보''' || '''115''' || '''[[청자 상감당초문 완]]''' || '''중앙''' || || || '''국보''' || '''116''' ||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 '''중앙''' || || || '''국보''' || '''119''' || '''[[금동연가칠년명여래입상|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 '''중앙''' || || || '''국보''' || '''125''' || '''[[녹유골호|녹유골호(부 석제외함)]]''' || '''중앙''' || || || '''국보''' || '''127''' ||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 '''중앙''' || || || '''국보''' || '''128''' || '''[[금동관음보살입상]]''' || '''중앙''' || || || '''국보''' || '''129''' ||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29호)|금동보살입상]]''' || '''중앙''' || || || '''국보''' || '''131''' ||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 '''중앙''' || 이른바 국보 호적. 태조 [[이성계]]의 개국 전 고려 호적 || || '''국보''' || '''155''' || '''[[무령왕비 금제 관식]]''' || '''중앙''' || || || '''국보''' || '''166''' || '''[[백자 철화매죽문 항아리]]''' || '''중앙''' || || || '''국보''' || '''167''' || '''[[청자 인물형 주전자]]''' || '''중앙''' || || || '''--국보--''' || '''--168--''' || ~~'''[[백자 동화매국문 병]]'''~~ || '''중앙''' || || || '''국보''' || '''170''' || '''[[백자 청화매조죽문 유개항아리]]''' || '''중앙''' || || || '''국보''' || '''175''' ||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 || '''중앙''' || || || '''국보''' || '''178''' ||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 '''중앙''' || || || '''국보''' || '''180''' || '''[[김정희]]필 [[세한도]]''' || '''중앙''' || 손창근 기증[* [[https://news.joins.com/article/23852755|#]] ] || || '''국보''' || '''185''' || '''[[상지은니묘법연화경]]''' || '''중앙''' || || || '''국보''' || '''186''' ||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 '''중앙''' || || || '''국보''' || '''191''' || '''[[황남대총 북분 금관]]''' || '''중앙''' || || || '''국보''' || '''192''' ||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 '''중앙''' || || || '''국보''' || '''193''' ||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 '''중앙''' || || || '''국보''' || '''194''' ||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 '''중앙''' || || || '''국보''' || '''195''' || '''[[토우장식 장경호]]''' || '''중앙''' || 두 점으로 중앙과 경주에서 나누어 보관중 || || '''국보''' || '''216''' || '''[[인왕제색도|정선 필 인왕제색도]]''' || '''중앙''' || || || '''국보''' || '''235''' ||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 '''중앙''' || || || '''국보''' || '''239''' || '''[[송시열]] 초상''' || '''중앙''' || || || '''국보''' || '''245''' || '''[[초조본 신찬일체경원품차록 권20]]''' || '''중앙''' || || || '''국보''' || '''246''' || '''초조본 대보적경 권59''' || '''중앙''' || [[송성문(교육인)|송성문]] 기증[* [[성문영어]]의 저자] || || '''국보''' || '''253''' ||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 '''중앙''' || || || '''국보''' || '''255''' ||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 '''중앙''' || || || '''국보''' || '''258''' || '''[[백자 청화죽문 각병]]''' || '''중앙''' || || || '''국보''' || '''259''' ||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 '''중앙''' || || || '''국보''' || '''260''' ||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 '''중앙''' || || || '''국보''' || '''271''' ||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 '''중앙''' || [[송성문(교육인)|송성문]] 기증 || || '''국보''' || '''272''' ||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 '''중앙''' || [[송성문(교육인)|송성문]] 기증 || || '''국보''' || '''273''' ||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 '''중앙''' || [[송성문(교육인)|송성문]] 기증 || || '''국보''' || '''280''' ||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 '''중앙''' || || || '''국보''' || '''286''' || '''[[백자 천지현황명 발]]''' || '''중앙''' || || || '''국보''' || '''325''' || '''[[기사계첩]]''' || '''중앙''' || || || '''보물''' || '''2''' || '''[[옛 보신각 동종]]''' || '''중앙''' || || || '''보물''' || '''166''' || '''서울 홍제동 오층석탑''' || '''중앙''' || || || '''보물''' || '''190'''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중앙''' || || || '''보물''' || '''240''' || '''백자 청화투각모란당초문 항아리''' || '''중앙''' || || || '''보물''' || '''269-1'''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 || '''중앙''' || [[마곡사]] 소유. 기탁 || || '''보물''' || '''269-4'''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 '''중앙''' || || || '''보물''' || '''270'''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6''' || '''중앙''' || || || '''보물''' || '''282''' ||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 || '''중앙''' || || || '''보물''' || '''328''' || '''금동약사여래입상''' || '''중앙''' || || || '''보물''' || '''329''' ||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 '''중앙''' || || || '''보물''' || '''331'''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보물 제331호)|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중앙''' || || || '''보물''' || '''332''' ||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 '''중앙''' || || || '''보물''' || '''333''' || '''금동보살입상''' || '''중앙''' || || || '''보물''' || '''338''' || '''[[금령총 금관]]''' || '''중앙''' || || || '''보물''' || '''340''' || '''청자 철채퇴화삼엽문 매병''' || '''중앙''' || || || '''보물''' || '''342''' ||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 || '''중앙''' || || || '''보물''' || '''343''' ||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 || '''중앙''' || || || '''보물''' || '''344''' ||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 '''중앙''' || || || '''보물''' || '''345''' || '''백자 상감모란문 매병''' || '''중앙''' || || || '''보물''' || '''346''' || '''청자 상감동채모란문 매병''' || '''중앙''' || || || '''보물''' || '''347''' || '''[[분청사기 상감어문 매병]]''' || '''중앙''' || || || '''보물''' || '''358'''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 '''중앙''' || || || '''보물''' || '''359'''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중앙''' || || || '''보물''' || '''360'''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중앙''' || || || '''보물''' || '''361'''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중앙''' || || || '''보물''' || '''362'''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 '''중앙''' || || || '''보물''' || '''363'''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중앙''' || || || '''보물''' || '''364''' || '''나주 서성문 안 석등''' || '''중앙''' || || || '''보물''' || '''365'''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 '''중앙''' || || || '''보물''' || '''452''' || '''청자 구룡형 주전자''' || '''중앙''' || || || '''보물''' || '''453''' || '''[[도기 녹유 탁잔]]''' || '''중앙''' || || || '''보물''' || '''454''' || '''[[경주 노서동 금팔찌]]''' || '''중앙''' || || || '''보물''' || '''455''' ||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 || '''중앙''' || || || '''보물''' || '''456''' || '''[[경주 노서동 금목걸이]]''' || '''중앙''' || || || '''보물''' || '''515''' || '''[[숙신옹주]] 가옥허여문기''' || '''중앙''' || || || '''보물''' || '''522''' || '''[[강세황]]필 도산서원도''' || '''중앙''' || || || '''보물''' || '''527''' ||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 '''중앙''' || || || '''보물''' || '''547-1''' || '''[[김정희]] 종가 유물''' || '''중앙''' || 기탁 || || '''보물''' || '''568-1''' || '''[[윤봉길]]의사 유품''' || '''중앙''' || 선서문 및 유서 || || '''보물''' || '''569-7''' || '''[[안중근]]의사유묵-용공난용연포기재''' || '''중앙''' || || || '''보물''' || '''588''' || '''강민첨 초상''' || '''중앙''' || 진주강씨 백각공파 소유, 기탁 || || '''보물''' || '''589''' || '''강현 초상''' || '''중앙''' || 진주강씨 백각공파 소유, 기탁 || || '''보물''' || '''590''' || '''강세황 초상''' || '''중앙''' || 진주강씨 백각공파 소유, 기탁 || || '''보물''' || '''592-1''' || '''[[허목]] 수고본''' || '''중앙''' || || || '''보물''' || '''643'''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보물 제643호)|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중앙''' || || || '''보물''' || '''648''' || '''[[승자총통]]''' || '''중앙''' || || || '''보물''' || '''767-4''' ||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 '''중앙''' || || || '''보물''' || '''852''' || '''휴대용 [[앙부일구]]''' || '''중앙''' || || || '''보물''' || '''868''' || '''성세창 제시 미원계회도''' || '''중앙''' || || || '''보물''' || '''869''' || '''성세창 제시 하관계회도''' || '''중앙''' || || || '''보물''' || '''870''' || '''호조낭관계회도''' || '''중앙''' || || || '''보물''' || '''871''' || '''연정계회도''' || '''중앙''' || || || '''보물''' || '''886''' || '''[[황자총통]]''' || '''중앙''' || || || '''보물''' || '''897''' || '''조흡 고신왕지''' || '''중앙''' || || || '''보물''' || '''903'''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 '''중앙''' || || || '''보물''' || '''904''' ||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 '''중앙''' || [[손기정]]선수 기증. 국내 유일의 서양 지정문화재 || || '''보물''' || '''928''' ||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 || '''중앙''' || || || '''보물''' || '''949''' || '''[[예념미타도량참법]]''' || '''중앙''' || || || '''보물''' || '''950''' || '''묘법연화경 권5~7''' || '''중앙''' || || || '''보물''' || '''953''' || '''조숭 고신왕지''' || '''중앙''' || || || '''보물''' || '''954''' || '''조서경 무과홍패''' || '''중앙''' || || || '''보물''' || '''967''' || '''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 권7~8''' || '''중앙''' || || || '''보물''' || '''969''' ||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64''' || '''중앙''' || || || '''보물''' || '''970'''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 1의1, 2의1~3, 권하1의1~2, 2의2~3''' || '''중앙''' || || || '''보물''' || '''971''' || '''묘법연화경 권5~7''' || '''중앙''' || || || '''보물''' || '''972''' ||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55''' || '''중앙''' || || || '''보물''' || '''1023''' || '''신해생갑회지도''' || '''중앙''' || || || '''보물''' || '''1045''' || '''청자 음각‘상약국’명 운룡문 합''' || '''중앙''' || || || '''보물''' || '''1046''' || '''화개현구장도''' || '''중앙''' || || || '''보물''' || '''1054''' || '''[[백자 병]]''' || '''중앙''' || || || '''보물''' || '''1060''' || '''백자 철화끈무늬 병''' || '''중앙''' || || || '''보물''' || '''1061''' || '''백자 철채 뿔잔''' || '''중앙''' || || || '''보물''' || '''1067''' ||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 '''중앙''' || || || '''보물''' || '''1078-2''' || '''[[한호]] 필적-석봉진적첩''' || '''중앙''' || || || '''보물''' || '''1079''' || '''홍무예제''' || '''중앙''' || || || '''보물''' || '''1080''' || '''대방광원각약소주경 권상''' || '''중앙''' || || || '''보물''' || '''1081''' || '''묘법연화경''' || '''중앙''' || || || '''보물''' || '''1082''' || '''금강반야바라밀경''' || '''중앙''' || || || '''보물''' || '''1083''' ||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20''' || '''중앙''' || || || '''보물''' || '''1097''' || '''염제신 초상''' || '''중앙''' || 기탁 || || '''보물''' || '''1124'''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30''' || '''중앙''' || || || '''보물''' || '''1125'''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중앙''' || || || '''보물''' || '''1126''' ||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 || '''중앙''' || || || '''보물''' || '''1127''' || '''천노해 금강반야바라밀경''' || '''중앙''' || || || '''보물''' || '''1137''' || '''상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4''' || '''중앙''' || || || '''보물''' || '''1138''' ||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7''' || '''중앙''' || || || '''보물''' || '''1139'''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7''' || '''중앙''' || || || '''보물''' || '''1140''' || '''묘법연화경(언해) 권3''' || '''중앙''' || || || '''보물''' || '''1156''' || '''재조본 경률이상 권8''' || '''중앙''' || || || '''보물''' || '''1157-1''' || '''성리대전서절요''' || '''중앙''' || || || '''보물''' || '''1158''' || '''고금운회거요 권27~30''' || '''중앙''' || || || '''보물''' || '''1159''' || '''음주전문춘추괄례시말좌전구독직해 권62~70''' || '''중앙''' || || || '''보물''' || '''1160''' || '''진충귀 [[개국원종공신녹권]]''' || '''중앙''' || || || '''보물''' || '''1161''' || '''[[진충귀 고신왕지]]''' || '''중앙''' || || || '''보물''' || '''1166''' || '''여주 출토 동종''' || '''중앙''' || || || '''보물''' || '''1168'''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 '''중앙''' || || || '''보물''' || '''1204''' || '''의겸등필 수월관음도''' || '''중앙''' || || || '''보물''' || '''1281-1''' || '''자치통감 권236~238''' || '''중앙''' || || || '''보물''' || '''1325''' || '''전 낙수정 동종''' || '''중앙''' || || || '''보물''' || '''1326''' || '''함창 상원사 사불회탱''' || '''중앙''' || || || '''보물''' || '''1327''' || '''석조지장보살좌상''' || '''중앙''' || || || '''보물''' || '''1328''' || '''기영회도''' || '''중앙''' || || || '''보물''' || '''1329''' ||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 || '''중앙''' || || || '''보물''' || '''1359''' ||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중앙''' || || || '''보물''' || '''1393''' || '''[[김홍도필 추성부도]]''' || '''중앙''' || || || '''보물''' || '''1404''' || '''[[봉사조선창화시권]]''' || '''중앙''' || || || '''보물''' || '''1405''' || '''비해당소상팔경시첩''' || '''중앙''' || || || '''보물''' || '''1437''' || '''[[백자 달항아리]]''' || '''중앙''' || || || '''보물''' || '''1459''' || '''해동조계복암화상잡저''' || '''중앙''' || || || '''보물''' || '''1483''' || '''이채 초상''' || '''중앙''' || || || '''보물''' || '''1484''' || '''[[남구만]] 초상''' || '''중앙''' || || || '''보물''' || '''1485''' || '''강이오 초상''' || '''중앙''' || || || '''보물''' || '''1486''' || '''이광사 초상''' || '''중앙''' || || || '''보물''' || '''1487''' || '''서직수 초상''' || '''중앙''' || || || '''보물''' || '''1496''' || '''윤급 초상''' || '''중앙''' || || || '''보물''' || '''1499-2''' || '''[[이하응]] 초상 일괄 - 금관조복본''' || '''중앙''' || || || '''보물''' || '''1538''' || '''[[동국대지도]]''' || '''중앙''' || || || '''보물''' || '''1626''' || '''김현성 필적''' || '''중앙''' || || || '''보물''' || '''1628''' || '''[[효종(조선)|효종]]어필 칠언시''' || '''중앙''' || || || '''보물''' || '''1632-2''' || '''[[정조(조선)|정조]]어필-제문상정사''' || '''중앙''' || || || '''보물''' || '''1662''' || '''대혜보각선사서''' || '''중앙''' || || || '''보물''' || '''1663''' || '''대승기신론의기 권상, 하''' || '''중앙''' || || || '''보물''' || '''1671''' || '''윤순거 초서 무이구곡가''' || '''중앙''' || || || '''보물''' || '''1676''' || '''윤순 필적 고시서축''' || '''중앙''' || || || '''보물''' || '''1677-1''' || '''이광사 행서 화기''' || '''중앙''' || || || '''보물''' || '''1677-2''' || '''이광사 행서 원교법첩''' || '''중앙''' || || || '''보물''' || '''1679''' || '''이인상 전서 원령필''' || '''중앙''' || || || '''보물''' || '''1685-1''' || '''김정희 해서 묵소거사자찬''' || '''중앙''' || || || '''보물''' || '''1823''' || '''[[농경문 청동기]]''' || '''중앙''' || || || '''보물''' || '''1869'''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 '''중앙''' || || || '''보물''' || '''1875''' || '''[[정선(화가)|정선]]필 풍악도첩''' || '''중앙''' || || || '''보물''' || '''1877'''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 '''중앙''' || || || '''보물''' || '''1878'''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중앙''' || || || '''보물''' || '''1882-2''' || '''고려 십육나한도(제15 아벌다존자)''' || '''중앙''' || || || '''보물''' || '''1883''' || '''고려 오백나한도''' || '''중앙''' || 총 6폭 || || '''보물''' || '''1887''' || '''고려 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 및 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 || '''중앙''' || || || '''보물''' || '''1899''' || '''은제도금화형탁잔''' || '''중앙''' || || || '''보물''' || '''1901-7''' || '''[[조선왕조의궤]]''' || '''중앙''' || 화성성역의궤 || || '''보물''' || '''1907''' || '''[[함통6년명 청동북]]''' || '''중앙''' || || || '''보물''' || '''1925''' ||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 || '''중앙''' || || || '''보물''' || '''1930''' || '''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 || '''중앙''' || || || '''보물''' || '''1931''' ||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 || '''중앙''' || || || '''보물''' || '''1932''' ||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 || '''중앙''' || || || '''보물''' || '''1975''' || '''나전경함''' || '''중앙''' || || || '''보물''' || '''2001''' ||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 '''중앙''' || || || '''보물''' || '''2012''' ||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 || '''중앙''' || || || '''보물''' || '''2018''' ||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 || '''중앙''' || || || '''보물''' || '''2029''' ||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 || '''중앙''' || || || '''국민[* 국가민속문화재]''' || '''16''' || '''방상시 탈''' || '''중앙''' || || || '''국민''' || '''66''' || '''구장복''' || '''중앙''' || || || '''국민''' || '''67''' || '''적의본 및 폐슬본''' || '''중앙''' || || || '''국보''' || '''28'''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 '''경주''' || || || '''국보''' || '''29''' || '''[[성덕대왕신종]]''' || '''경주''' || || || '''국보''' || '''38'''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 '''경주''' || || || '''국보''' || '''87''' ||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 '''경주''' || || || '''국보''' || '''88''' || '''[[금관총 금제 허리띠]]''' || '''경주''' || || || '''국보''' || '''188''' || '''[[천마총 금관]]''' || '''경주''' || || || '''국보''' || '''189''' || '''[[천마총 관모]]''' || '''경주''' || || || '''국보''' || '''190''' || '''[[천마총 금제 허리띠]]''' || '''경주''' || || || '''국보''' || '''195''' || '''[[토우장식 장경호]]''' || '''경주''' || 두 점으로 중앙과 경주에서 나누어 보관중 || || '''국보''' || '''207''' ||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 '''경주''' || 일반 비공개 || || '''국보''' || '''275''' ||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 '''경주''' || || || '''국보''' || [[]]'''318''' || '''[[포항 중성리 신라비]]''' || '''경주''' || || || '''보물''' || '''202''' || '''의성 관덕동 석사자''' || '''경주''' || || || '''보물''' || '''314''' ||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3~4''' || '''경주''' || 광흥사 소유. 기탁 || || '''보물''' || '''315'''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1, 3''' || '''경주''' || 광흥사 소유. 기탁 || || '''보물''' || '''339''' || '''[[서봉총 금관]]''' || '''경주''' || || || '''보물''' || '''366''' ||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경주''' || || || '''보물''' || '''617''' || '''[[천마총 금제 관식]]''' || '''경주''' || || || '''보물''' || '''618''' || '''[[천마총 금제 관식]]''' || '''경주''' || || || '''보물''' || '''619''' || '''[[천마총 목걸이]]''' || '''경주''' || || || '''보물''' || '''620''' || '''[[천마총 유리잔]]''' || '''경주''' || || || '''보물''' || '''621''' || '''[[천마총 환두대도]]''' || '''경주''' || || || '''보물''' || '''622''' || '''[[천마총 자루솥]]''' || '''경주''' || || || '''보물''' || '''623''' ||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 '''경주''' || || || '''보물''' || '''624''' ||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 '''경주''' || || || '''보물''' || '''625''' ||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 '''경주''' || || || '''보물''' || '''626''' ||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경주''' || || || '''보물''' || '''627''' || '''[[황남대총 북분 은잔]]''' || '''경주''' || || || '''보물''' || '''628''' ||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 '''경주''' || || || '''보물''' || '''629''' ||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 '''경주''' || || || '''보물''' || '''630''' ||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 '''경주''' || || || '''보물''' || '''631''' || '''[[황남대총 남분 은관]]''' || '''경주''' || || || '''보물''' || '''632''' ||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 '''경주''' || || || '''보물''' || '''633''' || '''[[경주 황남동 금제 드리개]]''' || '''경주''' || || || '''보물''' || '''634''' ||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 '''경주''' || || || '''보물''' || '''635''' || '''[[경주 계림로 보검]]''' || '''경주''' || || || '''보물''' || '''636''' || '''[[도기 서수형 명기]]''' || '''경주''' || || || '''보물''' || '''884''' || '''[[삼안총]]''' || '''경주''' || || || '''보물''' || '''1110-1''' || '''[[정몽주]] 초상''' || '''경주''' || 임고서원 소유, 기탁 || || '''보물''' || '''1151''' || '''청동 옻칠 발걸이''' || '''경주''' || || || '''보물''' || '''1152''' || '''경주 죽동리 청동기 일괄''' || '''경주''' || || || '''보물''' || '''1411''' || '''[[임신서기석]]''' || '''경주''' || || || '''보물''' || '''1474-1''' ||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 '''경주''' ||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유, 기탁 || || '''보물''' || '''1475''' ||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 '''경주''' || || || '''보물''' || '''1844''' ||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 || '''경주''' || || || '''보물''' || '''1870'''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 || '''경주''' || || || '''보물''' || '''2010''' || '''[[얼굴무늬 수막새|경주 얼굴무늬 수막새]]''' || '''경주''' || || || '''보물''' || '''2001''' ||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 '''경주''' || || || '''보물''' || '''2028''' || '''[[도기 연유인화문 항아리 일괄]]''' || '''경주''' || || || '''국보''' || '''108''' || '''계유명삼존천불비상''' || '''공주''' || || || '''국보''' || '''154''' || '''[[무령왕 금제 관식]]''' || '''공주''' || || || '''국보''' || '''156''' || '''[[무령왕 금귀걸이]]''' || '''공주''' || || || '''국보''' || '''157''' || '''[[무령왕비 금귀걸이]]''' || '''공주''' || || || '''국보''' || '''158''' || '''[[무령왕비 금목걸이]]''' || '''공주''' || || || '''국보''' || '''159''' || '''[[무령왕 금제 뒤꽂이]]''' || '''공주''' || || || '''국보''' || '''160''' || '''[[무령왕비 은팔찌]]''' || '''공주''' || || || '''국보''' || '''161''' ||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공주''' || || || '''국보''' || '''162''' || '''무령왕릉 석수''' || '''공주''' || || || '''국보''' || '''163''' || '''[[무령왕릉#s-6|무령왕릉 지석]]''' || '''공주''' || || || '''국보''' || '''164''' || '''[[무령왕비 베개]]''' || '''공주''' || 일반 비공개 || || '''국보''' || '''165''' || '''[[무령왕 발받침]]''' || '''공주''' || 일반 비공개 || || '''국보''' || '''247''' ||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 '''공주''' || || || '''보물''' || '''148''' || '''공주 중동 석조''' || '''공주''' || || || '''보물''' || '''149''' || '''공주 반죽동 석조''' || '''공주''' || || || '''보물''' || '''979''' ||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 || '''공주''' || || || '''국보''' || '''103''' ||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 '''광주''' || || || '''국보''' || '''143''' ||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 '''광주''' || || || '''보물''' || '''587''' || '''[[필암서원]] 문적 일괄''' || '''광주''' || 필암서원 소유, 기탁 || || '''보물''' || '''1233''' || '''[[현자총통]]''' || '''광주''' || || || '''보물''' || '''1488''' || '''심득경 초상''' || '''광주''' || || || '''보물''' || '''1874''' || '''[[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 '''광주''' || || || '''보물''' || '''1937''' || '''신여량 상가교서''' || '''광주''' || || || '''보물''' || '''1938''' || '''신여량 밀부유서''' || '''광주''' || || || '''보물''' || '''1993''' || '''분청사기 상감 ‘경태5년명’ 이선제 묘지''' || '''광주''' || || || '''보물''' || '''1922''' ||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 || '''김해''' || || || '''보물''' || '''2019''' || '''부산 복천동 22호분 출토 청동칠두령''' || '''김해''' || || || '''보물''' || '''2020''' || '''부산 복천동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일괄''' || '''김해''' || || || '''국보''' || '''143''' || '''[[나주 신촌리 금동관]]''' || '''나주''' || || || '''보물''' || '''660''' ||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 '''나주''' || 기탁 || || '''보물''' || '''1772''' || '''총마계회도''' || '''나주''' || 밀양박씨 지산경수공파 소유, 기탁 || || '''국보''' || '''182''' ||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 '''대구''' || || || '''국보''' || '''183''' ||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3호)|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 '''대구''' || || || '''국보''' || '''184''' ||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4호)|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 '''대구''' || || || '''국보''' || '''282''' ||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대구''' || 복장유물 일부 기탁 || || '''보물''' || '''325'''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 '''대구''' || || || '''보물''' || '''357''' ||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 '''대구''' || || || '''보물''' || '''957''' || '''[[김일손]] 거문고''' || '''대구''' || 기탁 || || '''보물''' || '''1237''' || '''밀성박씨 삼우정파 종중 고문''' || '''대구''' || || || '''보물''' || '''1410''' || '''[[금동 당간 용두]]''' || '''대구''' || || || '''보물''' || '''1617''' || '''이헌국 호성공신교서''' || '''대구''' || 기탁 || || '''보물''' || '''1904''' ||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 '''대구''' || || || '''보물''' || '''2017''' || '''[[경산 신대리 1호 목관묘 출토 청동호랑이모양 띠고리]]''' || '''대구''' || || || '''국민''' || '''65''' || '''[[흥선대원군]] 기린흉배''' || '''대구''' || || || '''국민''' || '''229''' || '''[[진주하씨 묘 출토유물]]''' || '''대구''' || || || '''국보''' || '''287''' || '''[[백제금동대향로]]''' || '''부여''' || || || '''국보''' || '''288'''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 '''부여''' || || || '''국보''' || '''293''' ||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 '''부여''' || || || '''국보''' || '''327''' || '''[[왕흥사#s-4|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 '''부여''' || || || '''보물''' || '''107'''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 '''부여''' || || || '''보물''' || '''194''' || '''부여 석조''' || '''부여''' || || || '''보물''' || '''195''' || '''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 || '''부여''' || || || '''보물''' || '''330''' ||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 '''부여''' || || || '''보물''' || '''1215-2''' || '''[[이색(고려)|이색]] 초상-영모영당본''' || '''부여''' || 한산이씨 대종회 소유, 기탁 || || '''보물''' || '''1845''' || '''[[사택지적#s-3|부여 사택지적비]]''' || '''부여''' || || || '''국민''' || '''30-1''' || '''[[보부상]] 유품(1)''' || '''부여''' || 기탁 || || '''국민''' || '''30-3''' || '''보부상 유품(3)''' || '''부여''' || 기탁 || || '''국민''' || '''110''' || '''(전)박신용장군 의대''' || '''부여''' || 기탁 || || '''국민''' || '''225''' || '''(전)고불 [[맹사성]] 유품''' || '''부여''' || 기탁 || || '''국보''' || '''123'''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 '''익산''' || || || '''국보''' ||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 '''익산''' || [* 지정번호제 폐지 이후 지정] || || '''보물''' || '''1753''' || '''[[익산 미륵사지 금동향로]]''' || '''익산''' || || || '''보물''' || '''1890''' || '''익산 심곡사 칠층석탑 출토 금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칠존좌상''' || '''익산''' || 심곡사 소유, 기탁 || || '''보물''' || '''718''' ||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 || '''전주''' || 기탁 || || '''보물''' || '''725''' || '''남원양씨 종중 문서 일괄''' || '''전주''' || 기탁 || || '''보물''' || '''728''' || '''설씨부인 권선문''' || '''전주''' || 고령신씨 귀래공파 소유, 기탁 || || '''보물''' || '''792''' || '''이상길 초상''' || '''전주''' || 기탁 || || '''보물''' || '''1876''' || '''완산부지도''' || '''전주''' || || || '''보물''' || '''2033''' || '''완주 갈동 출토 동검동과 거푸집 일괄''' || '''전주''' || || || '''보물''' || '''2034''' || '''완주 갈동 출토 정문경 일괄''' || '''전주''' || || || '''보물''' || '''652-2''' || '''이형상 수고본-탐라순력도''' || '''제주''' || || || '''보물''' || '''1510''' || '''[[최익현]] 초상''' || '''제주''' || || || '''보물''' || '''2002''' || '''이익태 지영록''' || '''제주''' || || || '''국보''' || '''105''' ||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 '''진주''' || || || '''국보''' || '''324''' || '''[[이제 개국공신교서]]''' || '''진주''' || 기탁 || || '''보물''' || '''311''' || '''[[금계일기|노인 금계일기]]''' || '''진주''' || || || '''보물''' || '''637''' || '''도기 바퀴장식 뿔잔''' || '''진주''' || || || '''보물''' || '''647''' || '''[[천자총통]]''' || '''진주''' || || || '''보물''' || '''668''' || '''[[권응수 장군 유물 장검|권응수장군 유물]]''' || '''진주''' || 기탁 || || '''보물''' || '''858''' || '''[[중완구]]''' || '''진주''' || || || '''보물''' || '''862''' || '''[[지자총통]]''' || '''진주''' || || || '''보물''' || '''885''' || '''[[현자총통]]''' || '''진주''' || || || '''보물''' || '''1020''' || '''김광려 삼남매 화회문기''' || '''진주''' || 성산김씨 임계공파 소유, 기탁 || || '''보물''' || '''1078-1''' || '''한호 필적 - 한석봉증유여장서첩''' || '''진주''' || || || '''보물''' || '''1096''' || '''오희문 [[쇄미록]]''' || '''진주''' || 기탁 || || '''보물''' || '''1212''' || '''이운룡 선무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 '''진주''' || || || '''보물''' || '''1476''' ||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 '''진주''' || || || '''보물''' || '''1632-1''' || '''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 || '''진주''' || 기탁 || || '''보물''' || '''1864''' || '''소상팔경도''' || '''진주''' || || || '''국보''' || '''106''' ||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 '''청주''' || || || '''국보''' || '''108''' || '''계유명삼존천불비상''' || '''청주''' || || || '''보물''' || '''367''' || '''기축명아미타불비상''' || '''청주''' || || || '''보물''' || '''368''' ||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 || '''청주''' || || || '''보물''' || '''1167''' ||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 || '''청주''' || || || '''보물''' || '''1380''' ||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 '''청주''' || 영산신씨 충익공파 소유, 기탁 || || '''보물''' || '''1880''' ||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 || '''청주''' || || || '''보물''' || '''1936''' || '''[[최석정]] 초상 및 함''' || '''청주''' || || || '''보물''' || '''1947''' || '''[[신한첩|숙명신한첩]]''' || '''청주''' || || || '''국보''' || '''124''' ||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 '''춘천''' || || || '''보물''' || '''1479''' || '''유숙 초상 및 관련 교지''' || '''춘천''' || 고흥유씨 춘천종중 소유, 기탁 || || '''보물''' || '''1509''' || '''[[허목]] 초상''' || '''춘천''' || || || '''보물''' || '''1871''' || '''동제염거화상탑지''' || '''춘천''' || || || '''보물''' || '''1872''' || '''전 회양 장연리 금동관음보살좌상''' || '''춘천''' || || || '''보물''' || '''1873''' || '''원주 학성동 철조약사여래좌상''' || '''춘천''' || || || '''국민''' || '''120''' || '''청풍부원군 상여''' || '''춘천''' || || === 오타니 컬렉션 === [[조선총독부]]가 조선 땅에 전시하고 있다가 패망 이후 두고 간 [[중앙아시아]] 유물 오타니 컬렉션도 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오타니 컬렉션은 일본 [[교토]] [[니시혼간지]](西本願寺)[* [[교토]]의 유서 깊은 [[절(불교)|절]]]의 당주이자 주지[[승려]]였던 [[오타니 고즈이]](大谷光瑞, 1876~1948)가 현 중국령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베지클릭 석굴사원, [[막고굴]] 등에서 약탈, 수집해온 벽화를 위시한 각종 예술품들이다. 이 오타니 컬렉션은 오타니 개인의 재정문제로 3분되어 떠도는 것 중 한 갈래로, 당시의 광산재벌 구하라 후사노스케(久原房之助)가 오타니로 부터 구매하였다. 구하라는 친분이 있던 동향선배인 초대 [[조선총독]] [[데라우치 마사다케]]에게 이를 선물하여 [[평안남도]] [[진남포시]]에 설립한 [[제련소]] 사업의 이권을 얻었다. 데라우치가 사들인 오타니 컬렉션의 일부는 조선총독부에서 관리하게 되었고, 총독부 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이후 [[광복]]으로 이어지면서 [[대한민국]]에 남은 유물들이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장품으로 귀속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다른 설로는 [[중국]]에서 국내로 옮겨와 다시 [[일본]]으로 반출 대기 중에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그대로 잔류한 유물이라는 설도 있다. 비슷한 종류의 유물이 역시 베를린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 와중에 소실되었기 때문에[* 베제클릭 석굴사원의 벽화를 [[독일인]] 알베르트 폰 르콕이 독일로 반출했다. 전시할 때 다수를 박물관 벽에 박아놓아서 옮겨 볼 생각도 못하고 연합군의 폭격에 의해 박물관이 전소하면서 영원히 사라졌다.] 세계 희귀본으로서 가치가 높다. 현재 해당 지역을 지배 중인 중국이 반환을 바라기는 하지만, 이에 대해 박물관 측은 무시하는 중이다.[* 국제 협약상으로도 책임이 없고, 반환을 요구하는 주체가 없다는 걸 근거로 들고 있다. 소유권을 주장할 만한 민족을 큼직하게 나눠서 봐도 티베트계, 튀르크계, 몽골계로 나뉘는 데다가 위구르의 것이라고 해도 막고굴이 위치한 간쑤성은 [[유고족]]이 더 많다. 즉, 명확한 주체가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대해서 중국 측 입장은 다르다. 이들 주장에 의하면 오타니 컬렉션은 [[위구르인]]들이 도래하기 전 [[한나라]]~[[당나라]] 사이에 중국과 [[실크로드]] [[도시국가]] 문명이 남긴 유물이 대부분으로, 위구르족은 [[이슬람교]]로 집단 [[개종]]한 이후 이 유물들을 파괴한 민족[* [[이슬람교]]는 [[우상숭배]] 금지 교리에 따라 우상 파괴를 해왔다.]이지 이 유물들을 만든 민족이 아니라는 것이다.[* 1980년대 [[일본방송협회|NHK]]에서 만든 <[[실크로드]]>라는 다큐멘터리는 [[중앙아시아]] 유적들을 대거 보여주었는데, [[불상]]들 상당수가 목이 잘려 있었으며, 이는 현지에서 [[이슬람교]]가 주류가 되면서 기존 [[불교]] 유적들을 파괴했다는 멘트가 나온다.][* [[한족]]들이라고 이 유물들의 가치를 알아봤던 건 아니다. 막고굴의 문서 등 대부분의 타림 분지 실크로드 유산들은 [[중국인]]들의 무지와 묵인 끝에 대부분이 약탈, 유출당했다.] 다만 이는 [[속지주의]]를 무시한 주장이다. 위구르족이 당나라 시기에야 독립된 실체로서 역사에 등장한다고는 하지만 중세 [[위구르 칸국]]이 멸망한 이후 위구르 난민들이 타림 분지 동부와 [[투르판시|투르판]] 일대로 피난가면서 현지 [[토하라인]]들과 통혼했기 때문에 해당 문화 유산이 위구르인들의 문화유산이 아니라는 근거도 없다. 투르판 분지 역시 전통적으로 [[토하라인]]들과 [[고창회골]]의 위구르인들의 주된 거주지였다.[* 다만 역사를 속지주의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건 신중해야 한다. 중국이 [[동북공정]]의 논리로 사용하는 게 속지주의다. 실제로 중국이 동북공정을 정당화하는 논리는, 옛 고구려인이 만주에 남아 계속 통혼하면서 현재의 동북 3성 한족이 되었다는 논리이다.] 오늘날 위구르인들은 무슬림이므로 위구르인들이 불교 유산에 대해 권리가 없다는 주장도 논란의 소지가 있는 것이 중국 불교는 원래 신장 지역을 거쳐 들어왔다. 대표적으로 불경을 한역한 승려 중 가장 번역 수준이 높다고 평가받는 고승 [[쿠마라지바]]가 [[쿠처시|쿠처]] 출신이다. 불교가 유입될 당시 아직 중화문명의 중심지는 화북지방이었고 이 때문에 불교가 신장 지역을 통해 유입되는 것이 당연했다. [[한겨레]] 21에서 이걸 부끄러운 약탈이라는 등 중국의 유물을 빼앗은 투로 써서 비판을 들은 바 있다. 실제로 베제클릭 벽화 등 오타니 컬렉션 대부분은 타림분지의 실크로드 도시국가의 [[토하라인]], 소그드인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타림 분지]]의 원주민 토하라인들은 [[튀르크]], [[페르시아]], 중국, [[인도]], [[이슬람]] 또는 [[티베트]]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다. 즉, [[타림 분지]]는 역사적으로 문명의 교류가 활발하던 지역이며, 실크로드는 그 증거이다. 한나라와 당나라시절에는 타림 분지는 한족의 지배를 받고 있었으며, 중국 통일 왕조의 지배를 받지 않은 시기에도 고창국과 같은 [[노수호]] 계열 도시국가들이 존재했다.[* 고창국에서 화폐를 주조할 때 한문을 쓸 줄 몰라서 한문 모양만 어설프게 베낀 문양이 발굴되어 중국 문화권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고, 반대로 복희여와도 같은 전형적인 중국 유물도 나온다. [[복희(중국 신화)|복희]]와 [[여와]]는 [[중국 신화]]의 신이다.] 따라서 오타니 컬렉션이 한족과 완전히 관계 없는 문화유산이라는 주장 역시 논란이 있다. 해당 지역의 경제적 번영은 중국과의 중계 무역을 통해 이루어진 부분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이 지역은 문명의 교류가 활발하던 지역이었으며, 실제로 중국 문화뿐만 아니라 불교로 대표되는 인도의 문화, [[조로아스터교]]나 [[마니교]]로 대표되는 [[이란]]의 문화가 섞여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타니 컬렉션이 가치가 높은 것이다. 즉, 오타니 컬렉션과 중화 문명이 무관하다거나 아니면 다 중화 문명 요소이다 같은 주장은 오히려 이 작품들에 대한 이해를 방해하는 주장이 된다. 이 오타니 컬렉션의 일부는 본관 3층에 있는 세계문화관 중앙아시아실에서 상설 전시 중이다. == 관람 정보 == 관람 시간은 다음과 같으며, 입장 마감은 폐관 30분 전까지이다. 월/화/목/금/일 - 10:00 ~ 18:00 수/토 - 10:00 ~ 21:00 기본 관람료가 무료인 대신, 주로 기획 전시실에서 하는 특별전(혹은 기획전)은 관람료가 비싸다. 문제는 값은 비싼데 그만큼 제값을 하는 전시회가 그렇게 많지는 않다는 게 흠. 특히 해외박물관 협력해서 하는 전시회 쪽은 팸플릿에 있는 게 전부라는 말이 나올 만큼 부실한 케이스가 있다. 성인은 10,000원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가기 전에 할인 가능한 수단을 찾아보고 가는 것이 좋다. 다만, 2010년대 후반에 들어오면서는 특별전도 퀄리티가 전반적으로 조금은 높아졌다. 특히 지도예찬, 대고려전, 오백나한전, 실경산수화전 같은 전시들은 평이 매우 좋았다. 호수를 끼고 계단을 올라가서 광장에 도착하면, 광장 계단 위로 [[남산타워]]가 우뚝 서 있는 것처럼 보인다. 만약 이곳에 처음 방문하였거나 역사에 관하여 잘 모른다면, 1층을 둘러보면서 기본적인 흐름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 이 1층에서 [[금동대향로]][* 모조품. 진품은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다. 이 모조품은 [[시각장애인]]을 위해 음성 안내와 함께 '''만져볼 수 있게''' 해 놓았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것이지만 눈이 잘 보이는 일반인도 만져보며 감상하면 보다 다각도로 감상할 수 있다. 이런 시각장애인용 모조품은 [[신석기시대]] 돌칼이나 철기시대 철검, [[신라]]시대 오리 물병 등 여러 군데에 있다.] 같은 유물 몇점만 보고 3층으로 올라가자. 3층의 조각공예관에 있는 유물이 유물사적으로 더 가치있는 것들이다. 이후에 다리와 시간이 여유가 있으면 2층 서화관을 둘러보는 것도 좋다. 날씨가 흐려서 햇빛이 강하지 않으면 야외전시장에서 염거화상 탑(국보 104호)을 비롯하여, [[고려]] 태조 [[왕건]]이 가장 공을 들여 세운 흥법사 진공대사탑과 석관(보물 365호), 개성에서 옮겨온 것으로 고려 석탑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남계원(국보 100호)과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종으로 알려진 보신각종(보물 2호) 등을 관람하는 것도 괜찮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은 매해 우리나라 고찰들에서 보관하고 있는 유명 괘불을 빌려와 2층(불교회화실)과 3층, 두 층에 걸쳐 4~6개월간 전시하고 있다. 괘불은 그 절에 가도 실물을 보기 힘들기 때문에, 유명 괘불들의 모습을 자세히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곳이 바로 국립중앙박물관이기도 하다. 불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꼭 찾아가보도록 하자. 꽤나 장엄한 맛이 있다. 여느 박물관처럼 가이드가 있으며, 가이드의 해설을 듣고 싶다면 일정 확인 후 시간에 맞춰 방문하면 된다. 그리고 굳이 가이드 시간을 맞추지 않아도 3천 원에 PDP(음성 + 영상), 1천 원에 MP3(음성만 지원)를 대여하면 된다. 게다가 '''무료''' 전시 안내 앱까지 있다! 구글 플레이나 앱 스토어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을 키워드로 검색하면 맨 위에 똑같은 이름의 앱 2개가 있는데 하나는 KTO에서 만들었고 하나는 애니모비에서 만들었다. 아무거나 하나 깔아서 쓰면 된다. 한때 상설전시관에 한하여 안내가 되었지만, 현재 특별전시관도 안내를 하고 있다. 방해 안 받고 조용히 관람하기 상당히 어려운 곳 중에 하나이다. 방학 시즌에는 학생들, 행락철에는 노인 관람객이 많아지고 해외 관광객과 가족 단위 방문객까지 해서 1년 내내 시끄러운 곳이다. 조용하게 다니고 싶으면 행락철과 소풍 기간을 피한 평일, 특히 오후 9시까지 개관하는 수요일 오후~저녁 정도가 제일 좋다. 특히나 장소가 장소이기 때문에 방학 시즌만 되면 말 그대로 [[초딩]] 천국이 된다. 특별전을 보러 가는데 방학을 끼고 하는 전시회라면 방학 시작 전에 다녀 오자. 방학 기간에 끼어서 보면 난장판 사이에서 돈만 기부할 수 있다. 해외 전시로 인해서 간판급 유물들이 사라지고 안내판만 덜렁 있는 낭패를 볼 수도 있다. 박물관 홈페이지에서 잘 알아보고 가자. 특히 뉴스에 나올 정도로 중요한 해외 전시면 어지간한 네임드급은 몽땅 다 해외로 출장을 가기 때문에 막상 박물관을 가도 낚일 수도 있다. 반출하는 중앙박물관은 국위 선양이라고 하지만, 국내 관람객 입장에서는 깊은 '''빡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지방에서 올라온 관람객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엄청난 분노다. 박물관으로 들어가면 유물이 전시돼있는 전시관이 진열된 복도로 들어가게 되는데 가기 전 왼쪽을 보면 기부함이 있다. 이 돈들은 전액 유물보존 및 해외유출문화재 환수에 사용된다고 한다. 기념품점에서 파는 기념품(굿즈) 디자인이 상당히 호평을 받는다. 자칫 고리타분하게 느껴질 수 있는 옛 문화재를 현대식으로 센스 있게 구현했다.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791954.html|품절대란 ‘국립 굿즈’가 뜬다]]. 특히 [[고양이]]를 메인으로 내세운 오묘한 녀석들 시리즈와 [[훈민정음]]을 테마로 한 [[한글]]과 생활은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아예 따로 [[https://museumshop.or.kr/kor/main.do|온라인 샵]]까지 운영하고 있다. 겨울에 갈 때는 반드시 든든하게 입고 갈 것. [[이촌동]]은 [[한강]] 옆에 있기 때문에 엄청나게 춥다. 아무 생각 없이 입고 나갔다가는, 한강 칼바람을 맞으면서 박물관 정문 저 멀리에 보이는 본관까지 걸어가고 싶은 생각이 싹 사라질 것이다. 2012년 12월 27일 이촌역에서 박물관으로 연결되는 지하보도 "[[박물관 나들길]]"이 완공되어 보다 쾌적한 관람이 가능해졌다. 예전에 [[조선총독부 청사]] 시절 지적받았던 '휴식 공간이 적다'는 평을 의식해서인지, 현재 박물관은 중간중간에 의자가 많다. 박물관 면적이 넓기 때문에 대충 둘러본다고 해도 반나절은 잡아야 한다. 장기전으로 갈 각오를 하고 관람하는 것을 추천. 또한 반드시 편한 복장으로 가야 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신발은 꼭 발이 편한 게 먼저다. 워낙 규모가 크기 때문에 멋낸다고 힐이나 구두 신고 보러 갔다가 얼마 보지도 않았는데 의자에 앉아서 발을 두드리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수도 있다. 박물관 피로(museum fatigue)라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배터리 충전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휠체어 및 대형 물품 보관소에 가서 말을 하면 1시간 이내 충전이 되는 고속 충전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건물 주변으로 탁 트인 느낌을 주는 거대한 호수와 정원이 잘 조성되어 있어, [[꽃]]이 만발할 때에는 가족 단위로 놀러 나온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2014년 10월에 개장한 [[국립한글박물관]]과 용산가족공원이 바로 근처에 있어서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전시실 내 사진 촬영은 자유롭지만, 유물 훼손 및 타인의 관람 방해를 막기 위해 플래시와 삼각대는 금지된다. 이는 일본을 제외하면 [[대영박물관]]이나 [[루브르 박물관]], [[코펜하겐 국립박물관]] 등 많은 박물관에서도 이렇게 한다. 입장료 무료 정책과 함께, [[일본인]] 관광객들이 국립중앙박물관과 관련하여 많이 놀라는 점이다. 일본은 박물관 내 사진 촬영이 금지되기 때문에 단지 '''박물관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수많은 일본인 관광객들이 감격한다고 한다. 최근 높은 서가가 있는 [[도서관]] 리모델링을 하였다. 중앙 계단을 올라가면 왼편으로 도서관으로 향하는 길이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지나치는 듯하다. 조용하고 공부하기 좋은 곳이다. === 식사 문제 === 박물관 식당은 가성비가 매우 나쁜 것으로 유명했으나 2021년 리뉴얼 이후 가격이 8,000원 ~ 10,000원 내외로 내려가서 많이 나아진 편이다. 박물관 경내에 있는 [[CU]]에서는 '''[[라면]]을 팔지 않고''' [[편의점 도시락]]이나 즉석밥류만 팔고 있다. 식당 밥 비싸다고 [[컵라면]]으로 끼니를 해결하려고 들면 낭패를 보니 주의. 이왕이면 가기 전에 미리 든든하게 먹고 가자. 옆에 있는 [[주한미군]] 기지 입구에 자판기가 있는데, 여기에 달러나 센트를 가져가서 과자 등을 뽑을 수 있다. 그러나 미국군 기지 내부는 아니어도 그 앞이라 걸리면 미국군 장병들에 의해서 강제로 내쫓길 수 있으니 가지 말자. 애초에 센트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지도 않고. 최근에는 [[편의점]]이 있는 옥외 매장에 [[투썸플레이스]] 직영점과 야미당이라는 식당이 들어와 있다. 가격은 저렴하진 않은데, 시중의 유명 가게들과 제법 비슷한 퀄리티로 나오는 듯하다. [[이촌역]] 3-1 출구로 나가면 아파트 단지가 나오고 근처 상가가 있는데, 여기서 식사를 해결하는 것을 추천. 그 유명한 [[동부이촌동]]이 여기다. 동네가 동네인지라 가격은 세지만 먹을 만하다. 신문이나 블로그에서는 [[맛집]]이 널렸다고 하나, 실제 그 정도는 아니니 낚이지 말자. 단 전반적으로 가게들이 별로 친절하지가 않다는 것은 염두에 둘 것. 단골 아니면 취급도 안 해주는 사태가 종종 발생하니 요주의. 배고프면 그냥 적당히 빵이나 음료수 과자로 요기나 하고, 용산역, 숙대-삼각지나 효창공원, 이태원에서 식사를 하는것을 추천한다. == 교통 == [[서울 지하철 4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인 [[이촌역]][* 4호선 부역명이 여기다. 하지만 경의중앙선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4호선은 이촌(국립중앙박물관). 경의중앙선은 그냥 이촌이다.]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이촌역에서 박물관으로 향하는 길에는 주요문화재를 LED로 꾸며놓고 [[무빙워크]]를 설치한 [[박물관 나들길]]이라는 지하보도 통로가 있는데, 제법 볼 만하다. 지하 보도가 4호선 사당 방면 거의 끝쪽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4호선을 타고 갈 때는 당고개 방면 뒷쪽, 사당/오이도 방면 앞쪽에 타는 게 좋다. 경의중앙선을 타고 올 땐 실컷 걷는 수밖에 없다. 국립중앙박물관 앞을 지나는 시내버스는 [[서울 버스 400|{{{#3d5bab '''400번'''}}}]], [[서울 버스 502|{{{#3d5bab '''502번'''}}}]]뿐이다. 모두 [[용산역]]을 경유하므로 용산역에서 오는 것도 편하다. 추후 [[신분당선]] 용산 연장 구간이 완공되면 박물관 바로 앞에도 역이 생길 예정이다. 자차를 이용할 경우 주차료는 기본 2시간에 2,000원 정도로, 크게 부담되는 가격은 아니다. 평일에는 주차 공간이 여유있는 편. == 관련 법령 ==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10조(설립과 운영)''' ①국가를 대표하는 박물관과 미술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소속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을 둔다. >④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문화유산의 균형 있고 효율적인 수집·보존·조사·연구·전시 및 문화향유의 균형적인 증진을 꾀하기 위하여 필요한 곳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또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지방 박물관 및 지방 미술관을 둘 수 있다. >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29조(직무)''' 국립중앙박물관(이하 "중앙박물관"이라 한다)은 고고학·미술사학·역사학 및 인류학 분야에 속하는 문화재와 자료를 수집·보존 및 전시하여 일반 공중의 관람에 제공하며, 이에 관한 연구·조사와 전통문화의 계몽·홍보·보급 및 교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10조 제3항에 따라 국립중앙박물관은 박물관 사업 외에도 국내외 문화재, 박물관 자료를 보존 및 관리하고 국내 다른 박물관에 대해 지도·지원 및 업무 협조를 하고 국내 박물관 협력망을 구성하여 운영하거나 그 밖에 국가를 대표하는 박물관으로서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업무 등을 수행한다. == 산하 지방박물관 ==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35조(지방박물관)''' ① 각 지방에서 제29조에 따른 사무를 관장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박물관장소속하에 지방박물관을 둔다. >② 지방박물관은 경주박물관·광주박물관·전주박물관·부여박물관·공주박물관·진주박물관·청주박물관·대구박물관·김해박물관·제주박물관·춘천박물관·나주박물관 및 미륵사지유물전시관으로 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산하에 각 지방의 국립박물관을 두고 있다. 지방에 소재한 국립박물관들은 그 지역의 문화재(매장문화재 포함)들을 보관하는 광역 수장고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각 지역의 박물관은 소재지의 역사, 문화에 특성화된 테마를 갖추고 있다. 영남권 4곳, 호남권 4곳, 충청권 3곳, 강원, 제주에 각각 1곳의 국립박물관이 있다. 2017년도부터는 각 지역 박물관별 특색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특화하는 브랜드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각 박물관별 대주제를 수립하고, 중장기계획을 통해 기관별 사업을 추진하고있다. ||<-3> 목록 || || 박물관 || 개관일 || 테마 주제 || || [[국립경주박물관|[[파일:국립경주박물관 시그니처.svg|width=200]]]] || 1913년 || [[신라]] 문화 || || [[국립부여박물관|[[파일:국립부여박물관 시그니처.svg|width=200]]]] || 1945년 || [[백제]] 문화 (사비시대) || || [[국립공주박물관|[[파일:국립공주박물관 로고(정부상징).svg|width=200]]]] || 1946년 || [[백제]] 문화 (웅진시대) || || [[국립광주박물관|[[파일:국립광주박물관 로고.svg|width=200]]]] || 1978년 || 아시아 도자 실크로드 거점([[전남]] 문화, [[신안]] 해저유물 등) || || [[국립진주박물관|[[파일:국립진주박물관 로고.svg|width=120]]]] || 1984년 || 임진왜란과 한일교류 ([[경남]] 서부권 문화, [[임진왜란]] 등) || || [[국립청주박물관]] || 1987년 || [[충북]] 문화, 금속공예미술 ([[중원]] 문화 중심) || || [[국립전주박물관]] || 1990년 || [[전북]] 문화, 조선 [[선비]] 문화 || || [[국립대구박물관|[[파일:국립대구박물관 시그니처.svg|width=80]]]] || 1994년 || 복식 문화, [[경북]] 문화 || || [[국립김해박물관]] || 1998년 || [[가야]] 문화 || || [[국립제주박물관]] || 2001년 || 대양과 섬 문화 ([[제주]] 문화, [[탐라국]] 문화 등) || || [[국립춘천박물관|[[파일:국립춘천박물관 로고.svg|width=200]]]] || 2002년 || 한국의 이상향 [[금강산]]과 [[관동팔경]] ([[강원]] 문화, [[동예]] 문화) || || [[국립나주박물관]] || 2013년 || 영산강 유역 독널문화 ([[마한]] 문화) || || [[국립익산박물관|[[파일:국립익산박물관 MI.svg|width=200]]]] || 2019년 || 미륵사지와 고대불교사원 || || [[국립충주박물관]] || 2026년 예정 || || == [[국립중앙박물관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립중앙박물관장)] == 논란 == === 현재진행형인 소장품 목록 작성 === 소장품이 워낙 방대하다 보니, 2023년 현재도 소장 목록은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다. 특히, 없어졌다던 유물이 박물관 수장고에서 발견되어 사회적 이슈가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1995년 발견된 [[대동여지도]] 목판 원본[* 발견 전까지 박물관 측과 학계에선 1950년 [[6.25 전쟁]] 시기 유실됐다고 추정했고 수장고에 처박혀있었던 진짜 목판은 복각품으로 생각해서 면밀한 조사를 진행하지 않았다고 한다.]과 2010년 발견된 구 황실 관련 표피[[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52&aid=0000300695|#]][* [[명성황후]]의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립중앙박물관 측에서는 명성황후와는 관련이 없는 유물로 추정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52&aid=0000307694|#]]] 등이 있다. 이는 국립중앙박물관 역사와 관계가 있다. 해방 이후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소장품을 이관 받아 제대로 정리를 마치기도 전에 한국전쟁이 발생해, 수장함이 뒤섞이고 소장품 상당수가 망실되며 기존의 소장 목록은 큰 의미가 없어지게 되었다. 한국전쟁 이후에도 독립된 박물관 청사를 지니지 못하고 소재지가 계속 옮겨다니다 보니, 주요 소장품을 제외한 절대 다수의 소장품은 수십년 간 수장함에 처박힌 채로 방치되었다. 수장함을 모두 개봉해 제대로 된 목록을 작성하게 된 것은 2003년 이후의 일로, 용산의 신축 박물관 청사로 이사를 준비하면서부터이다. 하지만 소장품이 워낙 방대하고, 수장함 내 소장품을 조사하는 과정이 꽤나 길기 때문에 2023년 현재도 소장 목록[* 박물관의 소장 목록은 단순한 리스트가 아니라, 소장품의 메타 정보는 물론 박물관 내 정확한 위치까지 포함된 정보이다. 박물관 규모가 워낙 크다 보니, 정확한 위치와 이동 내역에 관한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은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국립중앙박물관이 국보와 보물 같은 주요 소장품 위주로 전시하며, 순회 전시에 약점을 보이는 원인이기도 하다. 현재도 전 소장품에 대한 학예 조사, 유물로서의 가치 평가 등은 고사하고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데도 허덕이기 때문에, 순회 전시를 할 상황이 아닌 것이다. 대만의 [[국립고궁박물원]]의 경우 세계적으로도 모범적인 순회 전시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는 국립중앙박물관의 3-4배에 이르는 소장품에 대한 정확한 목록 작성은 물론이고 각 소장품에 대한 학예 및 학술적 조사가 이뤄져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 관람비 관련 논란 === [[유홍준]] 교수는 "국립중앙박물관 관람비를 더 받아야 한다"라면서 "왜 문화재 보는 값어치를 스스로 평가절하하냐"라고 비난한 바 있다. 그가 들려준 일화로는 일본인 관광객들이 온 적이 있는데 당시 2,000원이란 관람비를 2,000엔[* 2018년 기준 약 20,000원이었다.]으로 듣고 한국 돈으로 10배가 넘는 돈을 내고 들어왔다고 한다. 그들은 당연히 자국 중심문화재를 보여주고 보관하니까 이 정도는 당연했다며, 비싸다는 말도 하지 않았다고. 이래야 한다면서 "일본이 문화재를 아끼는 게 괜히 그런 것이냐"라고 일갈했었다. 2018년 기준으로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의 입장료가 15유로,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입장료가 25달러[* 현재는 관람객들이 1달러 이상으로 자유롭게 지불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인 것을 감안한다면 유홍준 교수가 소개한 그 일본인들의 에피소드는 상당한 타당성이 있다. 유 교수가 제기한 관람비 문제는 사실 굉장히 실질적인 문제로, 이게 충당이 안 되면 운영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에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이건 박물관 운영 비용 마련 가능/불가능의 문제지, 관점의 차이 운운하며 옹호할 문제가 아닌 것이다. 문화 복지의 차원에서 국립박물관은 무료로 운영하는 국가들이 많다고 하는데, '''그런 나라들은 대부분 정치인들이나 기업인들의 기부로 운영된다.''' [[대영박물관]]이 그런 케이스다. 박물관 운영비는 기부를 받든 관람료를 받든 세금으로 충당하든 해야 하는데, 문제는 한국의 문화 관련 재정 지출이 상당히 적은 편이라는 것이다. 사실상 세금으로 충당하기엔 벅차 주요 박물관들이 적자 상태에 있고, 이 때문에 수많은 유물들이 연구되지도 못한 채 창고에서 썩어가는 지경이다. 유 교수는 이런 현실적인 문제를 지적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박물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도 바라보아야 하는 게, 근대의 박물관은 본래 지배 계층의 권위를 과시하기 위한 공간으로 만들어졌으며, 태생적으로 갖게 되었던 권위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입장료는 개방 요일 및 시간과 더불어 박물관이 권위성을 띠게 하고, 계급 간의 차별의 선을 암시적으로 긋는 제1의 도구라는 것. 아닌 게 아니라, 예전에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평일에만 개방하다가 주말에 개방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있었을 때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을 주말 개방하면, 주변 못사는 동네의 [[아일랜드]] 잡역부들이 대거 진입해서 박물관을 망쳐놓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었을 정도였다. 관람료도 마찬가지 선상에서 볼 수 있는 것이, 그 돈을 박물관에 써도 생활에 지장이 없는 사람들만 박물관에 갈 수 있도록 만드는 장치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식의 설명은 부과 제도를 이원화하여 '자국민 대상으로는 무료 개방을 하더라도 최소 외국인에게는 입장료를 받자'라는 방안에 대해 전혀 타당한 반론을 제기하지 못한다는 맹점이 존재한다. === [[가야본성 전시 임나일본부 논란]] === '임나일본부'와 '임나' 자체[* 당대에 실제로 쓰인 가야나 그 일대를 부르는 다른 이름이다.]를 구분하지 못하는 정치권과 유사역사학자들이 얽히면서 일어난 해프닝이다. === [[동북공정]] 기반 지도 전시 === [[2021년]] 국립중앙박물관 3층에 있는 중국 유물 전시관에서 [[중국]]의 역사를 보여주는 영상 지도가 전시되었다. 문제는 [[삼국지]] [[위나라]]가 [[3세기]] [[백제]]와 [[마한]]이 있던 지금의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 [[충청남도]] 일대까지 다스린 것으로 나오며, [[한나라]] 영토가 [[한강]] 이북 지역까지 겹쳐 있는데 모두 역사적 사실과는 전혀 다르다. [[동북공정]]을 주장하는 중국 학자들의 논리와 다르지 않은 지도를 제작했으며 외부 전문가 자문도 받지 않았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5/0000921754?cds=news_edit|#]] 해당 지도가 전시된 6개월여 기간 동안 5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박물관을 방문하였다고 한다. [[10월 7일]] [[민병찬]] [[국립중앙박물관장]]은 [[대한민국 국회|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배현진]] 의원으로부터 ‘국립중앙박물관이 동북공정 시각이 담긴 전시를 50만 명이 관람하도록 방치했다’는 지적을 받자 이를 인정하며 사과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386117?cds=news_edit|#]] 이후 보도에 의하면 이 논란은 박물관 측에서 [[위키백과]] 자료를 그대로 사용해서 발생한 문제라고 한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15170|#]] == 여담 ==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전공자들이 연구나 학업을 위해 자주 방문하는 곳이다. '''국중박''', '''국박''',[* 국립박물관은 이 외에도 많지만, 일부러 국박이라고 줄여서 부른다면 99% 국립중앙박물관을 가리킨다고 봐도 무방하다.] '''중박''' 등으로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 넓은 공간에 정원과 숲속도서관, 산책로, 호수가 잘 조성되어 있어서 소풍으로도 인기 있다. 지척에 용산가족공원도 있다. * 기념품점이 규모가 크고 알차다. 특히, 이곳에서 파는 물건은 [[중국산]]이 아니기 때문에 외국인 선물을 사려면 [[인사동길]]을 가는 것보다 여기서 사는 게 낫다. * 장소가 장소라서 이곳에서 국제행사가 꽤 열린다. 가끔 박물관 앞 주변을 무장한 채 돌아다니는 [[경찰]]을 볼 수 있다.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멀지 않은 곳에 [[국립한글박물관]]이 있다. [[한글]]의 발전 과정이 궁금하면 한 번쯤 들러 볼 만하다. 어린이들도 이해할 수 있게 쉬운 해설이 있고 한글 서적도 많아 관람할 가치가 있다. 동선도 짧아서 가볍게 보기도 편하다. * 관람객 수가 [[아시아]] 1위, 세계 10위이었던 적도 있지만 [[2017년]]도 관람객 수는 아시아 2위, 세계 12위로 내려갔고[* 2017년 아시아 1위는 [[타이베이 고궁박물원]]] [[2018년]]도 관람객 수는 세계 2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2018년 아시아 1위는 [[베이징]] [[고궁박물원]]][* [[일본]]이 박물관 순위에 상위권이 아닌 부분을 의아해 할 수도 있는데, 일본 최대인 [[도쿄국립박물관]]이 11만 점대이며, 생각보다 일본의 박물관은 규모가 작은 편이다. 일본은 박물관에서 보관하는 유물보다 개인, 단체 또는 유물이 원래 위치해 있던 절이나 신사 등에서 자체적으로 시설을 갖춰 전시, 보관을 하는 것을 선호한다. 또한 [[간송미술관]]처럼 애초부터 학술용으로 학자들에게만 한정적으로 공개하고 민간에는 한시적 외엔 거의 공개하지 않는 유물도 매우 많다. 또한 덴노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화재는 애초에 공개되지도 않고 국가에서도 관리하지 않으며, 덴노 가문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몽유도원도]] 같은 경우도 우리나라라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 전시했을 법한데 일본에서는 원래부터 소유하고 있던 덴리 대학 도서관에서 자체적으로 보관하고 있다.] * [[1990년]]부터 순회 박물관 행사 '찾아가는 박물관'을 실시하여 [[버스]]에 [[유물]] 일부를 싣고 전국 각급 학교와 지역 문화 행사 등지에서 관람객들을 받기도 한다. 차량은 [[현대 에어로버스]]나 [[현대 유니버스|유니버스]]를 쓴다. * [[1박 2일]] 536화의 국보 전국 일주에서 [[데프콘(가수)|데프콘]], [[정준영]], [[김주혁]] 팀이 주사위를 굴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특히 길게 촬영하였다. 굳이 국립중앙박물관 외에도 다양한 국보들이 게임에 엮여 소개되니 관심 있으면 골라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이후 [[정준영 등 불법촬영물 제작 및 유포 사건]]으로 인해 [[KBS]]의 요청으로 '''정준영이 나오는 모든 회차의 VOD 서비스'''도 [[2019년]] [[3월 18일]]부터 중단되었다. * [[2020년]] [[8월 16일]] 직원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잠정 휴관한다고 밝혔다. [[https://news.v.daum.net/v/20200816122723654|#]] * 래퍼 [[더 콰이엇]]이 배기동 관장과 경천사지십층석탑 소개 영상을 촬영한 곳이기도 하고 이후 다시 방문해 [[BENTLEY 2]] 뮤비를 촬영했다. [[불교TV]]에서 촬영한 영상으로,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갔다. 킬링 포인트는 더 콰이엇, 배기동 관장 이외에 출연진이 한 명 더 있는데, 유명인사도 아니고 더 콰이엇의 팬인 고등학생이라는 점이다. 심지어 더 콰이엇은 이날 [[십자가]] 목걸이를 차고 나왔으며 후에 밝히길 "박물관에서 영상을 찍는 건 알고 있었는데 이게 불교TV 채널에 올라갈 줄은 몰랐다"라고 했다.[* 일부러 영상에서 입었던 옷을 뮤직비디오에서 그대로 입고 나왔다. 자세한 내용은 [[BENTLEY 2]] 문서로.] * [[2010 G20 서울 정상회의]] 때 환영 만찬이 개최된 적이 있다. * 2022년 5월 21일 [[2022년 한미정상회담|한미정상회담]] 만찬이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당일 임시 휴관 및 [[사전예약]] 취소를 3일 전인 5월 18일에 알려주어 정부가 국민의 문화 향유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지적 등 각종 비판이 쏟아졌다. 박물관에서 취식이 가능한지에 대한 문제도 제기됐으나, 이미 G20 정상회의 때 선례가 있어서 아주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51817210005218|#1]]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519_0001877100|#2]]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2/05/19/5T3SRNEMLFGGVDHZKVSCBR7PGI/|#3]] * 2023년 국정감사 과정에서, 정부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국가 주요 행사를 열 경우 '''당일 예정된 전시가 있더라도 ''' 임시휴관을 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꾼 것으로 확인됐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661339|#]] == 관련 문서 == *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립중앙박물관의 유관 기관. * [[서울특별시/관광]] * [[이촌역]] [[박물관 나들길]]: [[이촌역]]에서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연결되는 지하 보도. * [[국립박물관역]]: [[2032년]]에 [[신분당선]]이 [[용산역]]까지 연장되면 이 역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 [[국립한글박물관]] [각주] [[분류: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