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건복지부 소속기관)] [include(틀:책임운영기관)] ||<-2> '''{{{#fff {{{+1 국립정신건강센터}}}[br] National Center of Mental Health}}}''' || ||<-2> [[파일:NCMH Logo.jpg|width=10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정신건강센터, 너비=100%, 높이=200px)]}}}|| ||<-2> {{{#ffffff ''' ''정신건강 증진을 통한 국민 행복 실현. [br] Achieving True Happiness through Mental Health Promotion.'' '''}}} || || '''{{{#ffffff 종류}}}''' || [[정신병원]][* 다만 가정의학과랑 내과, 그리고 치과 등도 있고 나름 국립병원이라 일반 환자들도 값싸게 치료받으려고 자주 찾는다. '''본체가 정신병원이라서 가기가 꺼려질 뿐이다.'''] || || '''{{{#ffffff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중곡동]] [[용마산로]] 127 || || '''{{{#ffffff 개원}}}''' || [[1961년]] [[11월 28일]] || || '''{{{#ffffff 대표번호}}}''' || 02-2204-0114 || ||<-2> [[http://www.ncmh.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https://blog.naver.com/ncmh0301|[[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facebook.com/ncmh2016|[[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CMH Building.jpg|width=100%]]}}} || || '''국립정신건강센터 전경''' || || ''' ''{{{+1 평생에 한 번 이상, [[정신질환|정신건강문제]]를 경험한 성인은 4명 중 1명.}}}'' ''' ''' ''[[학교폭력|{{{#000000 학교폭력의 두려움.}}}]]'' ''' ''' ''[[불안장애|{{{#000000 알 수 없는 미래의 불안.}}}]]'' ''' ''' ''[[PTSD|{{{#000000 재난의 기억과 트라우마.}}}]]'' ''' ''' ''[[우울장애|{{{#000000 우울한 일상의 고통.}}}]]'' ''' ''' ''[[스트레스|{{{#000000 마음을 짓누르는 스트레스.}}}]]'' ''' ''' ''[[치매|{{{#000000 치매, 기억과 이해의 장애.}}}]]'' ''' ''' ''정신건강을 지켜가는 시작점, 마음이 건강해야 삶이 행복합니다.'' ''' '''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 국립정신건강센터가 함께 하겠습니다.'' ''' || >'''국립정신건강센터 기본운영규정[[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178928|#]]'''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책임운영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이하 "법률"이라 한다.) 및 동법 시행령(이하 "시행령"이라 한다.)에서 위임된 사항과 기타 국립정신건강센터(이하 "센터"라 한다.)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2조(적용범위)''' 센터 운영에 관하여 법령에서 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 규정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 >'''제3조(소관업무)''' 센터는 정신질환자 진료, 정신건강복지사업, 정신건강연구 등 국민 정신건강 향상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고, 다음 각 호 사업을 수행한다. <개정 2017.5.29.,2018.5.18.,2019.2.25.> >1. 정신질환 예방 및 진료 >2. 정신질환 진료 관련 조사 연구, 지표 및 표준 개발·보급 >3. 국가 정신건강복지기관 간의 정신건강복지사업 수행 관련 총괄 >4. 정신건강 증진 및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기획 >5.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업무 지원 >6. 정신건강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7. 정신건강 관련 전문 인력 양성 및 훈련 >8. 정신건강전문요원 자격 관리 및 수련기관 관리 >9. 정신건강 연구·개발 기획, 지원 및 관리 >10. 정신건강연구 수행 및 성과 확산 >11. 국제교류 및 협력 >12. 정신건강증진시설 지도·감독 등 보건복지부장관(이하 "장관"이라 한다.)으로부터 위임 받은 업무 수행 >13. 국가트라우마센터 설치·운영 <신설 2019.2.25.> >14. 기타 센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국립]] [[정신병원]]으로 구 명칭은 '''국립서울정신병원'''이다.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보건복지부]] 소속 [[책임운영기관]]. 병상은 총 100에서 200여 개 정도로 어지간한 [[종합병원]] 수준이다. 부속 기관으로 [[서울특별시성동광진교육지원청]]과 협의를 맺고 운영하는 [[특수학교]]인 참다울 학교가 있다. 본적 학교는 있으나 치료를 위해 본원에 입원하면서 정상적으로 등교하기 어려운 소아 및 청소년 대상으로 교육 지원을 담당한다. == 진료과목 == ||<-8> {{{#ffffff '''진료과목'''}}} || ||<-4> 성인 정신과 || 노인 정신과 || 소아청소년 정신과 || 정신사회 재활지원과 || ||<-4> [[가정의학과]] || [[내과]] || [[결핵과]] || [[치과]] || * '''[[정신건강의학과]]''' * 성인 전문 정신건강의학과 * 노인 전문 정신건강의학과 * 소아청소년 전문 정신건강의학과 * 정신사회 재활지원과[* 본원 [[입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퇴원]]수속을 하기 전에 사회 복귀를 위한 재활치료를 담당한다.] * [[응급실|응급 진료실]][* 여기로 실려오는 환자들은 [[자살]] 미수이지만 생명이 위독한 경우, 혹은 [[공황장애]], 약물 남용, [[알콜 중독]] 등의 이유로 갑작스럽게 [[발작]]을 일으킨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 외에도 국가적 [[재난]] 발생시 범국민적 정신건강 위기관리가 필요한 경우 컨트롤 타워로도 쓰인다.] * '''[[가정의학과]]''' * '''[[내과]]''' * '''[[결핵과]]''' * '''[[치과]]''' == 교통 == * [[지하철]]을 타고 내원할 경우. *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중곡역]] 하차 이후 1~2번 출구로 나온 뒤, 도보로 이동한다. * [[버스]]를 타고 내원할 경우. * [[서울 버스 320|320번]], [[서울 버스 2012|2012번]], [[서울 버스 2227|2227번]][* 광장동 방향 한정, 역방향은 중곡역 정류장], [[서울 버스 9403|9403번]], [[서울 버스 광진03|마을버스 3번]]을 타고 [[대원고등학교(서울)|대원고]] 앞에서 하차한다. * [[서울 버스 4212|4212번]]을 타고 중곡역에서 하차한다. == 이전 논란 == 여느 정신병원이 안 그렇겠냐만은(...) [[님비현상|다른 곳으로 옮기라는 여론이 몇몇 있었고]], 선거 후보인들 공약도 병원 이전이었을 정도지만 정작 이전의 준비 단계조차 이야기가 없는 상태다.[* 센터 자체가 [[중곡동]]이 허허벌판 수준이던 1961년부터 자리잡은 [[터줏대감]]이라 이제 와서 이 큰 병원을 딴데로 옮기라고 강요하기도 어려우며 그만큼 오래 되었기에 이제는 집값에 더 악재로 작용할 것도 없다.] [[분류:책임운영기관]][[분류:서울특별시의 병원]][[분류:1961년 설립]][[분류: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