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3> '''{{{#fff {{{+1 국립대구박물관}}}[br]國立大邱博物館 | Daegu National Museum}}}''' || ||<-2> [[파일:국립대구박물관 시그니처.svg|width=100%]] || [[파일:국립대구박물관 로고(정부상징).svg|width=100%]] || ||<-2> '''{{{#ffffff 시그니처 }}}'''[* 대구박물관에 소장중인 보물 1410호 [[금동 당간 용두]]를 모티브로 한 심볼 겸 시그니처이다. ] || '''{{{#ffffff 정부상징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대구박물관, 너비=100%)]}}}|| || '''{{{#000 종류}}}''' ||<-2> [[박물관]] || || '''{{{#000 주소}}}''' ||<-2>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황금동(대구)|황금동]]) || || '''{{{#000 개관}}}''' ||<-2> [[1994년]] [[12월 7일]] || || '''{{{#000 연락처}}}''' ||<-2> 053-768-6051~2 || ||<-3> [[https://daegu.museum.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daegu.museum.go.kr/brdfft/boardfftList.do?brd_id=BDIDX_U5C7pzPvg510Gp3V7c6473&menu_nix=m52C31F5|소장품검색]] [[https://www.facebook.com/DNmuseu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daegu.museu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nmuseum,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4px -10px" [[파일:external/www.museum.or.kr/982258506_nDuicUPQ_B4EBB1B8.jpg|width=100%]]}}} || || '''{{{#ffffff 국립대구박물관의 전경}}}'''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황금동(대구)|황금동]])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으로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지역의 문화유산을 전시, 보존, 연구하는 박물관이다. 황금고가도로 하부도로로 가서 좌회전해서 조금만 가면 보인다. 맞은편에 야구 명문 남고 [[경북고등학교]]가 있다. == 연혁 == * 1989.02. 국립대구박물관 건립계획 수립 * 1990.07. 국립대구박물관 건립공사 착공 * 1994.05. 국립대구박물관 직제 공포(대통령 제14249호), 국립대구박물관 준공 * 1994.12.7. 개관(국립박물관으로서는 여덟번째) * 2003.04.~11. 사회교육관 설계완료(기본 및 실시설계) * 2004.03. 사회교육관 건립공사 착공 * 2004.12. 미술실 개편 * 2006.10.19. 해솔관(사회교육관)개관 * 2009.12.01.~2010.06.30. 국립대구박물관 보수공사 * 2010.07.19. 국립대구박물관 재개관 == 역대 관장 == * 초대 김성구 (1994~1997) * 2대 안승모 (1997~1998) * 3대 김권구 (1998~2002) * 4대 김정완 (2002~2005) * 5대 서오선 (2005) * 6대 김정완 (2006~2008) * 7대 구일회 (2008) * 8대 이내옥 (2008~2010) * 9대 함순섭 (2010~2016) * 10대 [[권상열]] (2016~2018) * 11대 홍진근 (2018~2019) * 12대 함순섭 (2019~2022) * 13대 김규동 (2023~현재) == 관람안내 == 관람시간 : 평일 오전 10시~오후 6시(토요일, 공휴일은 1시간 연장) 야간개장 시간(4월~10월 한정) : 매주 토요일 오전 6시~오후 9시 입장료 : '''무료.''' 단, 일부 기획전시는 무료가 아니다. == 시설안내 및 소장품 == 고대문화실, 중세문화실, 섬유복식실, 기획전시실1관, 2관, 야외전시장이 있으며 [[대한민국의 국보|국보]]와 [[대한민국의 보물|보물]]을 합쳐 59건 102점을 포함한 다양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대구경북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단, [[경주시]] 지역 출토품은 거의 대부분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다. 야외전시장에는 정도사 터 5층석탑[* 원래 [[칠곡군]] 약목면 정도사(淨兜寺) 터에 있던 것을 1934년 경복궁으로 이전하였다가 1994년 국립대구박물관 개관과 함께 이곳으로 다시 옮겨 세웠다.], 용두보당 재현품[* 보당(寶幢)은 절의 입구나 법당 앞에 세워 번(幡)이나 괘불(掛佛)을 달았던 시설을 말한다. 당간지주(幢竿支柱)는 보당을 지탱하기 위하여 좌우를 받치는 기둥석과 그 아래 기단면석으로 이루어진 기둥이다. 이 당간지주와 용두 모형은 박물관에 전시된 영주 풍기 출토 통일신라시대 용머리 장식을 참고했고 당간은 [[공주시]] [[갑사]]와 [[청주시]] [[용두사지 철당간]], 지주석은 [[합천군]] [[해인사]], [[김제시]] [[금산사]]의 것을 참고하여 실물크기로 복원했다.], 석탑 부재[* 대구 [[동구(대구)|동구]] 백안동에서 발견된 [[신라]]시대의 화강암제 석탑으로 탑신 1매와 옥개석 2매만 남아있고 상륜부와 기단부는 남아있지 않다.], 옥산동 토기가마[* [[경산시]] 옥산동에서 발견된 반지하식 굴가마로 가마 내부에서는 [[삼국시대]]의 토기 조각과 토제품류가 출토되었다.], [[칠곡군]] 복성리 [[고인돌]][* 칠곡 약목 복성리에 있었던 20여기의 고인돌 또는 돌널무덤중의 일부로 땅위에 드러나 있던 고인돌 상석 한 개와 그 아래 무덤 구조로서 땅 속에 묻혀있던 돌널무덤 두 개가 발굴조사 된 후 국립대구박물관에 옮겨진 것이다. 이 무덤속에는 대롱옥으로 만든 목걸이와 돌화살촉, 붉은간토기 등의 유물이 남아 있었다. 또 다른 하나의 돌널무덤은 바닥에 자갈을 깐 뒤 죽은 사람을 묻었던 무덤으로, 여기 옮겨져 있는 고인돌에서 약 30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는데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상동 청동기시대 집터[* [[수성구]] 상동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지원센터를 증축하기 위한 터에서 발견되었으며 집자리 안에서 골아가리 토기, 반달돌칼 등 토기편과 석기편이 발견되었다.]가 있다. 또 한반도 남부에서는 드물게 출토되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유물인 금동관이 여기 소장되어 있다. === 나무위키에 항목이 생성된 소장유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국립대구박물관 소장품)] * [[경산 신대리 1호 목관묘 출토 청동호랑이모양 띠고리]] * [[경산 임당동 1호분 금귀걸이]] * [[경산 조영동 금귀걸이]] * [[경주 노서동 은팔찌]] *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3호)]] *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4호)]] *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 [[금동 당간 용두]] *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 [[김천 양천동 금동반가사유상]] * [[대구 가천동 출토 금동관]] * [[대구 내당동 금귀걸이]] * [[대구 달성 55호분 금귀걸이]] * [[대구 비산동 금귀걸이]] * [[대구 비산동 쌍환두대도]] * [[대구 비산동 출토 금동관]] * [[안동 옥동 금동반가사유상]] *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의성 탑리 금동관]] * [[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 금동제사방불판]] * [[진주하씨 묘 출토유물]]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 대중교통 == 도시철도 2호선 [[만촌역]]에서 약 1.8km, 도시철도 3호선 [[황금역]]에서 약 1.0km 떨어져 있다. 만촌역에서 목적지까지 가려면 도보로 약 30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만촌육교 정류장에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로 환승하는 게 좋으며 시내버스로 약 5분이 소요된다. 해당 시내버스로는 [[대구 버스 순환3, 순환3-1|순환3(-1)번]], [[대구 버스 수성1, 수성1-1|수성1(-1)번]],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 [[경산 버스 100|경산 100번]], [[경산 버스 100-1|경산 100-1번]][* 박물관→만촌역 한정.], [[대구 버스 234|234번]], [[대구 버스 349|349번]], [[대구 버스 449|449번]], [[대구 버스 524|524번]], [[청도 버스 0|청도 0번]]이 있다. 단, 청도 0번은 환승할인이 되지 않으니 주의. === 도시철도 === * [[파일:Daegu2.svg|width=23]]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만촌역]] 훗날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이 개통하면 바로 앞에 역이 생길 것이다. [[분류:대구광역시의 박물관]][[분류:수성구]][[분류: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