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국립국어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1 '''국립국어원'''}}}[*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국어국립원]]'으로 [[오해]]받기도 한다. [[국립국악원]]과 혼동되기도 한다. 이곳도 [[문화체육관광부]] 소속기관이다.][br]國立國語院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 ||<-2> [[파일:국립국어원 CI_상하.svg|height=130]] || || '''설립일''' ||[[1991년]] [[1월 23일]] || || '''전신''' ||국어연구소[br]국립국어연구원 || || '''원장''' ||장소원 ||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금낭화로 154[*지번주소 [[방화동]] 827번지] || ||<-2> [[https://korean.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blog.naver.com/areumkor|[[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com/channel/UCQEUCVtOyPAozp76V1_Aw0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facebook.com/urimal365k|[[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areumko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urimal365, 크기=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문화체육관광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36조(직무)''' 국립국어원(이하 "국어원"이라 한다)은 [[국어]]의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의 추진과 연구활동을 관장한다. [[문화체육관광부]]에 소속된 [[한국어]] 연구 기관. [[대한민국]]의 어문 연구를 주관한다. 원장은 [[고위공무원단]] 가급(1급 상당)이다. 주로 [[표준국어대사전]]을 편찬한 곳으로 매우 유명하다. [[영미권]]을 제외한 세계 다수의 나라들도 [[표준어]] 제정 기구를 두고 있고 이곳이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 제정 기관에 속한다. == 위치 == 이 기관의 주소는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금낭화로 154이다. 지번주소는 [[방화동]] 827번지이다. [[수도권 전철 5호선]] [[방화역]] 2번 출구에서 약 200m 거리에 있다. [[시내버스]] 회사인 [[김포교통]] 차고지 바로 옆에 위치하기도 했으므로 이 회사 노선을 타고 종점까지 갈 수도 있다. 또는 [[서울 버스 강서07|강서07번]]을 타고 방화3동주민센터에서 내릴 수도 있다. == 역사 == ||<-2> '''{{{#fff 국립국어원 CI}}}''' || || [[파일:국립국어원 구 CI.svg|width=80%]] || [[2005년]]에 제작한 구 로고이다. || || [[파일:국립국어원 CI_좌우.svg|width=80%]] || [[2016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대한민국 정부상징]] 로고이다. || [[1984년]] [[5월 10일]]에 설립된 [[대한민국 교육부|문교부]] 산하의 국어연구소에 그 기원이 있다. [[1990년]]에 '국립국어연구원'으로 바뀌었고, 그 직제가 확정되어 [[1991년]]에 [[문화체육관광부|문화부]] 소속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1994년]] [[5월 4일]]에 직제가 개편되었고, [[1992년]] 1월에 [[표준국어대사전]] 편찬에 착수하여 [[1999년]] 10월부터 표준국어대사전 상, 중, 하 3권을 발간했다. [[2000년]] [[8월 7일]]에는 현 위치인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으로 이전했으며, [[2004년]] [[11월 11일]]에 '국립국어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2008년]] 10월에는 표준국어대사전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 == 활동 == [[일반인]]들에게는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나 [[맞춤법]]을 제정하는 기관 정도로 알려졌다. 하지만 공식 홈페이지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국어 교육, [[번역]], 국어 정보화 사업 같은 방대한 일들에 대해서도 자주 참여하고 있다. 한국의 '[[한국어]]'와 관련된 일들의 대부분은 국립국어원이 관여하고 있다. [[언론]]에서도 영향력이 상당하기 때문에 언론에 권고사항도 내린다. 국립국어원의 정책 및 행정을 알 수 없는 일반인들도 언론을 접하게 되면 국립국어원의 영향을 받게 된다. 국어생활종합상담실에서는 한국어 [[문법]]에 대해서 판명하거나 조언한다. === [[트위터]] 활동 === 공식 [[트위터]] 계정이 있으며 아침 출근 시간부터 저녁 퇴근 시간까지 [[자주 틀리는 한국어|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등을 줄기차게 게시했. 멘션으로 질문하면 친절하게 답글로 대답을 해줬는데, [[2015년]] [[6월 30일]]자로 [[https://twitter.com/urimal365/status/615308821922066433|종료되었다.]] 서비스가 종료되기 전까지는 팔로워가 꽤 많아서 일일이 대답해 주려면 힘들 법도 했을 텐데 지치는 기색도 없이 꽤나 활발히 활동했었다. 서비스가 종료된 지금은 국립국어원 홈페이지나 상담 전화(1599-9979)[* ‘국어친구’를 숫자로 음차한 것이다.],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우리말365)에서 [[https://twitter.com/urimal365/status/615308882122936321|국어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참고로 [[트위터]] 계정 관리는 한 사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했으며 답변할 때 실수가 간혹 있었다. "되어서"의 준말이 "'''되'''서"(!)라는, 맞춤법에 조금만 관심을 가져도 나올 수 없는 답변을 [[https://twitter.com/urimal365/status/461008180776939520|했다가]] 다른 사람의 지적을 받고 '돼서'로 [[https://twitter.com/urimal365/status/461060923688353792|정정한]] 적도 있고[* 단순 오타로 보인다. 일반인도 아는 기본적인 맞춤법을 틀릴 리 만무하다.], [[홋카이도]]를 '훗카이도'로 잘못 적은 적도 [[https://twitter.com/urimal365/status/337449187278983168|있으며]], 아래의 '사상적 논란'에서 다룰 '[[노동자]]' 순화에 관한 논란도 이 트위터 계정에서 터졌었다. === 온라인가나다 ===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List.do?mn_id=216&pageIndex=6|온라인가나다]] 온라인가나다는 국립국어원이 운영하는 질의 사이트다. 주말에는 답변해주지 않는다. 온라인가나다의 목적은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에 대한 질의다. 그 예를 들면 다음이 있다. *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 규정에 대한 질의 * [[맞춤법]] 규정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82850&pageIndex=1|#]] * [[띄어쓰기]] 규정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4506&pageIndex=4593|#]] * [[발음]] 규정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4468&pageIndex=4596|#]] * [[외래어]] 표기법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4480&pageIndex=4595|#]] * [[외국어]] 표기법 * 표준어 사용 방법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4535&pageIndex=4590|#]]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4629&pageIndex=4582|#]] * 지칭이나 [[호칭]] 사용법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4580&pageIndex=4586|#]] * 다듬은 표현 찾기 요청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80502&pageIndex=15|#]] * [[표준국어대사전]]에 대한 오류 수정 요청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30046&pageIndex=1|#]] * [[어원]] 정보 * 보통 [[우리말샘]]에 있는 것만 대답해 주므로 그냥 우리말샘에 검색하는 게 더 빠르다. * 단어나 문장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질의하면 성심성의 있게 대답해 준다.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4456&pageIndex=4597|#]] 하지만 이를 모르는 많은 사람들이 [[한국어]]에 대한 전반적인 질문을 하는데, 온라인가나다는 설립 취지가 규정에 대해 묻고 답하는 것이므로 한국어 전반에 대해 국립국어원은 '''절대 답변해 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음 질문들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전문서적[* 표준국어문법론, 우리말문법론, 학교문법론, 등]을 찾아보자. * [[중세 한국어]], [[근대 한국어]]에 대한 질문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28739&pageIndex=1|#]]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27768&pageIndex=1|#]]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03755&pageIndex=5|#]]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28796&pageIndex=1|#]] * [[한국어 방언]]에 대한 질문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25997&pageIndex=1|#]]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29600&pageIndex=1|#]] * [[북한어]] 및 [[문화어]] 질문 * (표기법이 아닌) [[한글]] 자체에 대한 질문 *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 추가 요청 * 옛날에는 답변해 주었으나, [[우리말샘]]이 생긴 이후로 우리말샘에 직접 단어를 추가하라고 부탁하고 있다. *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와 관련이 없는 것들 * [[원고지]] 쓰는 법 * [[형태소]] 분석하는 법 * 언어 현상의 이유 * [[한국어]]에 [[불규칙 활용]]이 존재하는 이유 * 한국어에서 발생하는 [[음운 변동|음운 변화]] 현상의 종류 * [[언어의 사회성|사람들이 특정 단어를 많이 쓰는 이유]] * 질문의 요지가 불분명하거나 너무 범위가 넓을 때 * 불특정 규정이 어디 있는지에 대한 질문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29975&pageIndex=1|#]] * 학자마다 주장이 다른 주제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4454&pageIndex=4597|#]]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4473&pageIndex=4595|#]] * 보통 해당 교과서, 단체의 의견을 따라가라고 안내해 준다. * 여러 단어를 나열하고 의미 차이 질의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74524&pageIndex=4591|#]] * 개인적인 주장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05635&pageIndex=3|#]]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01738&pageIndex=4|#]] == 주요 이용층 == === [[공시생]] === [[공무원 시험]] [[국어(교과)|국어]] 과목에선 맞춤법, 띄어쓰기, 외래어표기법 등에 대한 문제를 출제할 때 국립국어원의 기준을 맞추어 문제를 출제하며 답안도 역시 국립국어원을 기준으로 하므로 공시생들도 주요 이용층이다. 그래서 아무리 국립국어원을 싫어하는 공시생들도 국립국어원 홈페이지를 참고해서 공부해야 한다. === [[공무원]] ===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고 본격적으로 공직 생활을 하는 공무원들은 비록 공시생들만큼은 아니지만 역시 국립국어원을 많이 이용한다. 우스갯소리로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고 난 뒤 다른 과목책들은 깡그리 버려도, 국어책과 행정법책은 안 버린다."라는 말이 있듯이 [[공문서]] 작성은 [[국민]]들의 혈세를 총책임지는 그야말로 막중한 업무이기 때문에 실수가 일절 용납되지 않으며, 만약 공문서 작성 시 실책을 저질렀더라면 그에 따른 책임 강도도 매우 높다. 거기다가 [[공문서]] 작성 역시 국립국어원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공무원들은 공문서 작성 시 관공서 내규 및 국립국어원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맞춤법 일일이 다 신경 써서 꼼꼼하게 작성한다. 공무원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가장 큰 이유가 공문서 작성이다. [[똥군기]]가 매우 심각한 공무원 직렬들[* [[경찰|경찰관]], [[소방관]], [[대한민국 군무원|군무원]], [[교도관]] 등]의 경우 공문서 작성을 똑바로 못 한 나 하나 때문에 [[연대책임]]으로 동료 공무원들에게까지 피해를 주게 되므로 공문서 작성 시 정말 '''[[국어(교과)|국어]]의 신이 강림했을 정도의 수준으로 공문서 작성에 온 힘을 쏟는다.''' 그러기 위해서 국립국어원의 도움도 받아가면서 말이다. 이 때문인지 국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우리말 겨루기]]의 달인 목록을 보면 [[주부]]에 이어 [[공무원]] 및 [[공시생]]들이 많은 편이다. === 문학가 === 물론 일반인들보다는 국립국어원을 많이 이용하는 편이나 공무원들과 공시생들보다는 덜 이용하는 편이다. 이는 '[[시적 허용]]' 내지는 문학적 표현이라는 카드를 내세워서 국립국어원에 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국립국어원/비판 및 논란|비판 및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립국어원/비판 및 논란)] == 역대 원장 == === 국립국어연구소장 === * 초대, 2대: 김형규 (1984~1988)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 3대: 이기문 (1988~ 1990)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 4대: 안병희 (1990)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 국립국어연구원/국립국어원장 === * 초대, 2대: 안병희 (1991~ 1994)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 3대: 송민 (1995~1997) -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 4대: 이익섭 (1997~1999)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 5대: 심재기 (1999~2001)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 6대: 남기심 (2001~2006)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 7대: [[이상규(국어학자)|이상규]] (2006~2009) -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8대: 권재일 (2009~2012) -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 9대: 민현식 (2012~2015)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 10대: 송철의 (2015~2018)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11대: 소강춘 (2018~2021) - 전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 12대: 장소원 (2021~)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기타 == === 표준어 규정 관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한민국 표준어)] 국립국어원에서 시행하는 여러 국어 정책들은 이래저래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 규정의 경우, [[1980년대]]에 표준어로 지정된 형태와 현재 언중들 사이에서 쓰이는 형태가 다른 경우도 있는데(예: 막냇동생 vs. 막내동생, 시답잖다 vs. 시덥잖다), 이 경우에 1980년대에 표준어로 지정된 형태를 고수하는 경향이 크다. 다만 표준 표기를 수시로 바꾸면 오히려 언어 생활에 혼란을 주므로 표준 표기를 함부로 바꿀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맞춤법이나 표준어가 수시로 바뀐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실제로 국립국어원이 맞춤법이나 표준어에 수시로 손 대면 언어생활에 굉장히 큰 혼란을 주게 되며 언론과 출판업계가 들고일어날 것이다.[* 언론과 출판업계는 철저히 어문 규정에 따르기 때문에 어문 규정의 개정에 굉장히 민감하다.] 그런데도 이런 오해가 생기는 것은, 자신이 '구지'라는 잘못된 표기를 맞는 표기로 알고 있었는데 표준 표기가 '굳이'임을 나중에 알자, 자신이 잘못 알고 있었다고는 생각하려 들지도 않고 '내가 모르는 사이에 맞춤법이 바뀌었구나' 하고 생각하면서 바뀌지도 않은 표준 표기를 탓하는 것이다. 표준 표기는 예전부터 '굳이'였고 '구지'에서 '굳이'로 바뀐 적도 없는데도 말이다. 만약 정말로 표준어에 변화가 생기면, 그 소식은 모든 한국어 화자에게 영향을 주는 소식이므로 반드시 언론을 타게 된다. 실제로 [[2011년]]에 몇몇 단어를 새로 표준어에 추가한 소식은 언론을 탔다.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서의 <정부 정책 홍보 부족>, <착각이 원인이다>, <맞춤법이 자주 바뀐다고 느끼는 것은 과연 착각인가?> 문단도 참고할 것. ===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 국립국어원에서도 [[표준국어대사전]] 등의 [[국어사전]]의 문제점 및 한계를 인식하였는지, [[2010년]] 초부터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이라는 사전을 구축하기 시작했다.[[http://www.korean.go.kr/front/board/boardStandardView.do?board_id=6&mn_id=19&b_seq=289|국립 국어원 자료 설명 링크]] 자료에 따르면 이 사전은 국립국어원에서 주관하여 학계와 산업체나 민간 단체 등의 참여로 이루어진다. [[표준국어대사전]]의 한계였던 전문 용어 분야와 실생활에서 쓰이는 용어들을 사람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http://m.hankooki.com/m_view.php?WM=kd&FILE_NO=a2QyMDE1MDcwOTE2NTMyODEyNTYzMC5odG0=|소년한국일보 "내년 10월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나온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리말샘)] == 관련 문서 == * [[한국어]] * [[대한민국 표준어]] * [[표준국어대사전]] * [[맞춤법]] * [[외래어 표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