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2> '''{{{#fff {{{+1 국립공주박물관}}}[br]國立公州博物館 | Gongju National Museu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립공주박물관 로고(정부상징).svg|width=6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aladin.co.kr/pimg_731353106667167.jpg|width=100%]]}}}||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국립공주박물관, 너비=100%, 높이=200px)]}}}|| || '''종류''' || [[박물관]] || ||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웅진동]]) || || '''개관''' || [[1946년]] [[4월 1일]] || || '''연락처''' || 041-850-6300 || ||<-2> [[https://gongju.museum.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https://blog.naver.com/gmuseum|[[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facebook.com/gongjumuseu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0]]]] [[http://www.instagram.com/gongjumuseu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충청남도]] [[공주시]]에 위치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속 [[박물관]]이다. == 연혁 == 공주 지역 시민들이 백제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해 만든 공주 고적 보존회가 주축이 되어, 일제 강점기인 1940년에 공주에 있는 충청도 관찰사의 행정청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549&cid=42856&categoryId=42856|선화당]]을 전시관으로 활용하여 '공주박물관'이란 이름으로 개관하였다. 그러다가 1946년에 '국립 박물관' 공주분관으로 바뀌었고, 1972년에 국립중앙박물관 공주분관으로 개칭되었다. [[무령왕릉]]을 발굴할 때 유물 이송과 보존 과정에서도 발굴조사단과 지역 주민과의 마찰이 일어났다. 당시 공주박물관의 시설이 미흡해서 서울로 이송하여 보존을 해야 했는데 그러자 그 소식을 들은 공주읍의 주민들은 유물이 서울에 있는 박물관으로 옮겨져서 다시 공주로 돌아오지 못할 것을 우려해, 몰려와서 단 한 점도 서울로 가져가게 할 수 없다고 농성을 벌였다. 이에 발굴단은 "유물이 삭아 없어지면 당신들이 책임질 거냐"라고 응수해서 겨우 위기를 모면했다고 한다.[*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이나 [[청와대]], 각종 사립미술관에 있는 문화재를 원래 있던 지역(공주, 경주 등)에 있는 박물관으로 환수하자는 운동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후 1973년 국립중앙박물관 공주분관 신축 개관이 되면서 무령왕릉 유물이 공주박물관에 전시되었다고 한다. 그 후 1975년엔 이름도 국립공주박물관으로 승격되었다. 2004년에는 현재의 공주시 웅진동 건물로 확장 이전하여 재개관하였다. 새로 지어져서 시설은 좋지만 시내에서 접근성이 상당히 안 좋은 편이다.[* 국립공주박물관 버스 정류장에 내리는 시내버스 노선이 '''108번 단 하나밖에 없다'''. 이조차도 배차간격이 최소 한 시간....] 공주시 중동에 있던 옛 부지는 보수 후 충청남도역사박물관으로 개장했다. == 역대 관장 == * 초대 유시종 (1946~1961) * 2대 박일훈 (1961~1962) * 3대 김영배 (1962~1966) * 4대 이영락 (1966~1969) * 5대 김영배 (1969~1979) * 6대 홍빈기 (1979~1982) * 7대 박영복 (1982~1987) * 8대 권승환 (1987~1988) * 9대 이원복 (1988~1989) * 10대 최종규 (1989~1993) * 11대 서오선 (1993~1997) * 12대 김영원 (1997~1999) * 13대 곽동석 (1999~2003) * 14대 손명조 (2003~2005) * 15대 신창수 (2005~2007) * 16대 박방룡 (2007~2009) * 17대 유병하 (2009~2011) * 18대 김승희 (2011~2012) * 19대 정성희 (2012~2014) * 20대 김종만 (2014~2016) * 21대 김규동 (2017~2021) * 22대 한수 (2021~2023) * 22대 이정근 (2023~현재) == 전시물 == [[웅진]], [[백제]]를 주제로 하는 테마 박물관이다. 공주는 짧게나마 백제의 수도였고 [[무령왕릉]]이 공주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주요 전시물은 무령왕릉에 관한 것으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 108종, 4,600여 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그중에는 금제관장식, 금제뒤꽂이 등 10여 개의 [[대한민국의 국보|국보]]도 포함되어 있다. 관람료는 무료이다. == 가이드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dht.national| 스마트투어가이드]] 앱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으로 전시 안내를 들을 수 있다. == 나무위키에 문서가 생성된 소장 유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국립공주박물관 소장품)] * [[계유명삼존천불비상]] *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 [[무령왕 금귀걸이]] * [[무령왕 금제 관식]] * [[무령왕 금제 뒤꽂이]] *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무령왕 발받침]] * [[무령왕비 금귀걸이]] * [[무령왕비 금목걸이]] * [[무령왕비 베개]] * [[무령왕비 은팔찌]] * [[공주 반죽동 석조]] == 교통 == === 시외/고속버스를 통한 접근 === * [[공주 버스 125|125번]] [[공주종합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공주 버스 125|125번]]을 이용하여 문예회관에서 하차하여 걸어가면 된다. * [[공주 버스 103|103번]] [[신관초등학교]] 정류장에서 [[공주 버스 103|103번]]을 이용하여 백제체육관(공주시민운동장]에서 하차하여 걸어가면 된다. 배차 간격이 1시간에서 2시간 정도이므로 [[버스정보시스템/목록#s-7|버스정보시스템]]을 통해 시간대를 맞출 수 없는 경우라면 이용하기 불편하다. * [[공주 버스 108|108번]] [[공주종합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공주 버스 108|108번]]을 이용하여 종점인 박물관에서 하차하면 된다.[* 2022년 3월 2일자로 노선이 개편되며 기존의 공주대후문과 현대1,2차아파트 정류장 위치가 조정되어 [[공주종합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이용이 가능해졌다.] 노선 종점이 박물관이라 편하게 갈 수 있지만, 배차 간격이 1시간에서 1시간 반 정도, 휴무일에는 2시간에서 3시간까지 벌어지므로 [[버스정보시스템/목록#s-7|버스정보시스템]]을 통해 시간대를 맞출 수 없는 경우라면 이용하기 불편하다. === [[공주역]]을 통한 접근 === [[공주 버스 200|공주역 앞에 정차하는 공주 방면 200번대의 버스]]를 이용하여 공주시청 앞에서 내려서 [[공주 버스 125|125번]]을 타고 문예회관 앞에서 하차하거나 [[공주 버스 108|108번]][* 하루에 몇 번 다니지 않는다.]을 타고 공주박물관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 [[조치원역]]을 통한 접근 === [[공주 버스 500|공주 500번]]이나 [[세종 버스 550|세종 550번]]을 타고 공주터미널에서 내린 뒤, 시외/고속버스를 타고 왔을 시에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면 된다. === [[대전역]]을 통한 접근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 버스 103|103번]], [[대전 버스 107|107번]]을 이용하여 현충원역까지 간 후, 현충원역 3번 출구 부근의 정류장에서 30분 간격으로 다니는 [[공주 버스 300|300번]]을 타고 옥룡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내린 후, 125번을 타고 문예회관 앞에서 내린 후 박물관까지 걸어서 가면 된다. === [[오송역]]을 통한 접근 === KTX 오송 경유, 공주 무정차 열차를 타고 오송역에 왔을 시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공주에 올 수 있다. 1. [[청주 버스 502]], [[청주 버스 525]]를 타고 조치원역으로 이동한 뒤 위에 서술된 방법으로 진행. 2. [[바로타(BRT)|바로타]] [[청주 버스 B3|B3]], [[세종 버스 B2|B2]], [[대전 버스 B1|B1]]을 타고 [[정부세종청사북측 정류장]]에서 내린 후, BRT가 아닌 일반버스 정류장에서 약 30분 간격으로 다니는 [[공주 버스 500]]을 타고 위에 서술된 방법으로 진행. === [[청주국제공항]]을 통한 접근 === 1. [[청주 버스 B3]]를 타고 [[정부세종청사남측 정류장]]까지 이동 후, 일반 버스 정류장에서 [[공주 버스 500]]/[[세종 버스 550]]을 타고 산성시장까지 이동하여 [[공주 버스 125]]를 타고 문예회관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2. [[청주 버스 747]]을 타고 [[청주시외버스터미널]]로 이동한 뒤, 공주로 오는 시외버스를 타고 위에 서술된 방법으로 진행. == 사건사고 == * 2003년 5월 웅진동 신축 이전을 1년 앞두고 국보를 포함한 문화재 4점을 도난당한 사건이 발생했었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공주박물관 도난사건]]을 참고. [각주][[분류:충청남도의 박물관]][[분류: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