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국력'''(國力, National Power)이란 한 나라가 지닌 [[정치]], [[경제]], [[문화]], [[군사]] 따위의 모든 방면에서의 힘을 가리킨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정의 "(명사) 한 나라가 지닌 정치, 경제, 문화, 군사 따위의 모든 방면에서의 힘." 발췌.] == 국력과 외교 == 국력의 간극은 역사적으로 인접한 국가 간의 외교 정책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였으며, 교통 및 통신이 발달한 오늘날에는 국제사회 전체의 정치적 사안에 영향을 미친다. 국제관계에서 대다수 국가들은 외교 및 안보 문제, 경제 문제 등에서 강대국의 영향을 받는다. 일부 약소국들은 강대국과 무역 및 군사적 동맹과 공조에 의존하며 생존한다. 친미 국가들이 [[NATO]]에 가입하거나, 미국과 동맹을 맺고, 무기를 구입하는 경향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또한 국제 관계에서 소외되고 고립된 강대국들이 주변 약소국들에게 횡포를 부리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중국]]이 [[대만]], [[티베트]], [[베트남]], [[필리핀]] 등 국력이 약한 아시아 국가들을 향해 지속적으로 영토와 영해를 침범하며 간섭하는 것, [[러시아]]가 서방의 제재를 받을 때마다 유럽 국가들을 향해 [[잠가라 밸브]]를 시전하는 것, 그리고 중국과 러시아의 군용기가 아시아와 유럽 국가들의 영공이나 방공식별구역을 침범하는 것 등이 있다. 대부분의 약소국들은 자국의 외교적 문제를 스스로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강대국에 의한 외교적 압력을 받는다. 중간 규모 국가들의 경우 유럽 [[선진국]]들도 경제 관련 사안에서 [[독일]], 안보 관련해서는 [[미국]]의 영향력을 매우 많이 받는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러시아, 중국에 의해 국가의 외교 및 안보 사안이 좌지우지 되고, 동남아 국가들도 미국과 중국이 가지는 외교 및 안보 사안에서의 영향력이 크다. 역사적으로도 [[제국주의]] 시기에도 [[독립]]을 유지했던 [[태국]]과 [[에티오피아]]는 [[영국]]과 [[프랑스]]가 완충지대가 필요하다는 이해관계가 일치했기 때문에 독립국으로 남을 수 있었던 것이다. == 분류 == 국력의 분류에는 크게 지정학적 영향력의 범위를 가늠한 분류와 경제 개발의 수준을 가늠한 두 가지 분류가 있다. 이 두 가지 분류는 상호 간에 유사한 점이 많기는 하지만 서로 일치하는 개념은 아니다. 예를 들면 [[중국]]과 [[러시아]]는 [[강대국]]이지만 [[선진국]]이 아닌 [[개발도상국]]이며 반대로 [[덴마크]]와 [[스위스]], [[싱가포르]]는 [[강소국]]이지만 [[선진국]]이다. 또한 [[발트 3국]], [[몰타]], [[아이슬란드]], [[크로아티아]] 등 유럽의 작은 소국들 역시 경제적으로는 [[선진국]]으로 분류된다. === 국제 관계에서의 영향력에 따른 분류[anchor(국제 관계 영향력)] === [include(틀:영향력에 따른 국가 분류)] ==== [[극초강대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극초강대국)] ==== [[초강대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초강대국)] ==== [[강대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대국)] ==== [[강대국의 최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대국의 최소)] ==== [[지역강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역강국)] ==== [[중견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견국)] ==== [[강소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소국)] ==== [[약소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약소국)] === 경제 개발의 수준에 따른 분류[anchor(경제 개발 수준)] === [include(틀:경제 개발 수준에 따른 국가 분류)] ==== [[선진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선진국)] ==== [[신흥공업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흥공업국)] ==== [[개발도상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개발도상국)] ==== [[최빈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최빈국)] == 요인과 척도 == === [[경제]]적 측면 === ||경제의 양적인 정도 ||[[국가별 명목 GDP 순위]] || ||경제의 질적인 정도 ||[[국가별 1인당 명목 GDP 순위]] [br] [[1인당 PPP 순위|국가별 1인당 GDP 순위(PPP)]]|| ||경제의 내구도&신뢰도 ||[[무디스/국가별 신용등급]] || 제일 일반적으로 국가 전체의 GDP[* 명목환율 및 PPP. 특히 명목 지수가 중요하고 보편적으로 쓰인다. PPP의 경우는 재화나 서비스의 질을 고려치 못하는 부분과 실제 타국과의 교류에서 거래되는 가격이 직접 반영되는 것이 아니기에 전체 GDP에서 PPP는 1인당 GDP 쪽에서의 PPP보다도 맹점이 더 크다. 물론 명목환율이라고 해서 완벽한 비교는 아니기 때문에 PPP 역시 참고는 할 수 있다.]가 경제력 비교로 많이 이용되는 편이다. 물론, 1인당 GDP는 국가의 발전 정도 혹은 국민의 부유함[* 사실 1인당 GDP는 국내총생산을 인구 수로 나눈 1인당의 생산분 값인 만큼 실제 국민소득과 완전 비례하진 않지만 대체로 국민의 부(富), 즉, 소득수준과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을 논할 순 있어도 국가의 경제력으로 보긴 어렵다. * [[기축통화]], [[외환보유고]], [[금]] 보유고 [[https://en.wikipedia.org/wiki/Gold_reserve#Officially_reported_holdings|#]] * [[국제통화기금]][* 미국이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은 85% 이상 찬성해야 의결된다. 즉 15%를 초과해 반대하면 부결된다. 그런데 2020년을 기준으로 미국의 지분이 16.51%이기 때문에 미국은 국제통화기금에서 거부권을 가진다.] 투표권 [[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tional_Monetary_Fund#Voting_power|#]] * [[세계은행]][* 미국이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세계은행은 85% 이상 찬성해야 의결된다. 즉 15%를 초과해 반대하면 부결된다. 그런데 2020년을 기준으로 미국의 지분이 15.78%이기 때문에 미국은 세계은행에서 거부권을 가진다.] 투표권 [[https://en.wikipedia.org/wiki/World_Bank#Voting_power|#]]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중국이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은 75% 이상 찬성해야 의결된다. 즉 25%를 초과해 반대하면 부결된다. 그런데 2016년을 기준으로 중국의 지분이 26.06%이기 때문에 중국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에서 거부권을 가진다.] 투표권 * [[S&P]], [[무디스]], [[피치(신용평가회사)|피치]] 신용등급 * [[특별인출권]] [[https://en.wikipedia.org/wiki/Special_drawing_rights#Value_definition|#]] * [[지식재산권]] * [[가처분소득]] * [[국부#s-3]] === [[군사]]적 측면 === * [[Global Firepower]] * [[세계 국방비 순위]] === [[정치]]적 측면 === * [[외교]] * [[국제정세]] * [[취약국가지수]] === [[사회]]적 측면 === * [[치안]] * [[보건]] * [[복지]] === [[문화]]적 측면 === * [[문해율]] * [[소프트 파워]] * [[교육|1인당 교육비 지출]] === [[자연과학|과학]][[공학|기술]]적 측면 === * [[대한민국/과학기술력]] * [[과학기술정책/한국]] == 관련 문서 == * [[상임이사국]] * [[주요 7개국 정상회담|G7]] * [[BRICS]] * [[MIKTA]] * [[OECD]] * [[선진국]] * [[G20]] * [[유럽연합]]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상하이 협력기구]] * [[파이브 아이즈]] * [[넥스트 일레븐]] * [[MINT]] * [[이머징 마켓]] * [[커피 클럽]] * [[강소국]] * [[산유국]] * [[인구]] * [[국가별 인구 순위]] * [[영토]] * [[국가별 국토 면적 순위]] * [[USMCA]] * [[유라시아 경제 연합]] * [[군사력]] * [[국가별 명목 GDP 순위]] * [[국가별 1인당 명목 GDP 순위]] * [[국부]] * [[정치·외교 관련 정보]] * [[강대국의 최소]] * [[세력권]] * [[지정학]] [[분류: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