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궁시]][[분류:논문]] [목차] == 개요 == <국궁논문집>은, 2001년부터 온깍지궁사회가 펴낸, 국궁과 관련된 최초의 논문집이다. 온깍지궁사회는 2000년 겨울에 출범했는데, 국궁계에 문헌자료가 거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회원들이 모여서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두가지를 뽑았다. <현장 답사>와 <학술논문집> 간행이다. 그 차원에서 국궁논문집이 추진되었고, 2001년 처음으로 논문집이 나온 이래 꾸준히 출간되었다. 2018년에는 온깍지궁사회가 온오프라인상의 활동을 중단함에 따라 국궁논문집 주체가 온깍지활쏘기학교로 넘어간 상태이다. 온깍지활쏘기학교에서는 <온깍지학회>를 조직하여 그 동안 온깍지궁사회가 해온 국궁 학술화 작업을 이어간다. == 목차 == 그 동안 발행된 국궁논문집의 목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국궁논문집(1∼10집) 총 목차 ① 국궁논문집 제1집 : 2001년 -조선시대 편전과 통아_유세현 -육군사관학교의 국궁 활동 현황_김기훈 -디지털 시대의 국궁 운용_이건호 -목궁 [[백일장]] 연구_박동일 -발디딤과 몸통의 방향 연구_조영석 -비정비팔과 전통사법_최석규 -활을 보는 몇 가지 관점_정진명 -온깍지궁사회의 틀과 뜻_이석희 -선친, 성문영 공_성낙인 -전라도 지역의 해방 전 활쏘기 풍속_윤준혁 대담 ② 국궁논문집 제2집 : 2002년 -덕유정의 사계 좌목 고찰_이건호 -덕유정의 연중 행사 고찰_한영국 -조선시대 향사당 연구_김신택 -목궁 백일장 계승 방안_박동일 -공군 내 국궁 활성화 방안_김용욱 -장호공업고등학교의 국궁부 활동_함영수 -사풍에 대한 고찰_정진명 -예천 활 제작 과정_권영구 -우리 활 구조와 형태의 이해_조영석 -우리 활 줌과 줌 쥐는 법_조영석 -자연류 궁체 갖추기_이병국 -들어당겨 짊어진 궁체 연구_최석규 -우리 활의 원리 고찰_장창민 -전남 지역의 해방 전 활쏘기 풍속_이종수 대담 -석호정중수기 -봉덕정기 ③ 국궁논문집 제3집 : 2003년 -정간에 대한 설문 결과 고찰_이건호 -청주 지역의 정간 고찰_정진명 -덕유정의 편사 방법_한영국 -활과 단전호흡_박중보 -활쏘기의 마음가짐 고찰_김용준 -올바른 활쏘기 문화 정립을 위한 철학적 기초_정덕형 -백자철화수뉴문병에 담겨있는 우리 활의 곡선미_이용희 -소리화살과 그 원리_이자윤 -활과 태극_장창민 -오늬 먹이기와 깍지손 쥐는 법_조영석 -국궁사를 찾아서: 육일정과 남극재의 사계 좌목 -반구정기 -애기살복원방안 -충남지역의 해방 전 활쏘기 풍속_박경규 대담 ④ 국궁논문집 제4집 : 2005년 -국궁의 3대 장애 비판_정진명 -호남칠정의 제례 고찰_한영국 -군산 진남정의 어제와 오늘_윤백일 -국궁문화 계승을 위한 시지 제작_이자윤 -단전호흡에 대한 일반적 이해_박중보 -노자와 활Ⅰ _정진명 -활과 해부학_최병영 -중심점 형성과 이동_조영석 -국제 민속 활 축제 참가기_성순경 -전통의 여운, 마사법_정진명 -궁술종합목록_이건호 -개성 지역의 해방 전 활쏘기 풍속_이상엽 대담 ⑤ 국궁논문집 제5집 : 2006년 -관덕의 원형을 찾아서_김기훈 -정간의 허상과 실체_이태호 -호남칠정궁술경기회와 가입 정에 관한 고찰_한영국 -발시 과정에서 줌손의 이동과 깍지손의 이동_조영석 -『조선의 궁술』 사법토론_이자윤 -심담십사요의 재해석 1_이태호 -활터와 태껸_정진명 -기사법을 위한 몇 가지 단상_진경표 -초기 활의 설계 방식과 제작 방법_박현우 -충남지역의 해방 전 활쏘기 풍속 2_백남진 대담 ⑥ 국궁논문집 제6집 : 2007년 -조선궁술연구회 창립 연도 고찰_이건호 -국궁사 시대 구분론_정진명 -태극기와 정간_김집 -죽시의 변천에 관한 소고_유세현 -각궁삼삼이의 구조와 원리 고찰_장창민 -세계 민족궁 축전 및 세미나의 성과와 문제점_김기훈 -비정비팔 흉허복실의 이해와 응용_조영석 -고대 활의 설계방식과 제작방법_박현우 -정읍 필야정 사계 좌목 발굴기_한영국 -필야정의 사계안 좌목 선생안 해의_윤백일 -인천지역의 편사놀이_정진명 -독일 하늘에 쏘아올린 한국 활_박현우 -관덕정서 -고양 지역의 해방 전 활쏘기 풍속_이정천 대담 ⑦ 국궁논문집 제7집 : 2009년 -정사론 소고_김세현 -근대 신문에 나타난 활쏘기의 흐름_이건호 -『조선의 궁술』과 현대 활쏘기_이자윤 -황학정과 서울편사_성낙인 -전통 사법을 찾아서_류근원 -전통 사법의 경락 운용_정진명 -호흡과 발디딤 방향, 지사와의 상관관계_김상일 -한일 문화(활쏘기-궁도) 교류기_이건호 -온깍지궁사회 7년_정진명 ⑧ 국궁논문집 제8집 : 2013년 -「황학정 사계규정」의 내용과 그 역사적 의의_김기훈 -초기 자료로 본 <조선궁도회>_이자윤 -1941년 전조선궁도대회 고찰_이건호 -운로 성문영 관련 유묵 3편 고찰_윤백일 -자필 이력서로 본 성문영 공_정진명 -터키 이스탄불의 활쏘기 유물_정선우 -각궁에 대하여_류근원 -충남지역의 활쏘기 풍속_박문규 대담 ⑨ 국궁논문집 9 : 2016년 -전통 활쏘기의 편사(便射) 음악 고찰_이건호 -정간 논쟁 고_장창민 -활터의 평등한 호칭, 접장_류근원 -멍에팔 고찰_박순선 -서울 지역 활터와 궁사에 대한 현황 개관_김상일 -근대 일본 궁도에 대한 고찰_이헌정 -성순경 명무와 칼 자이링거_정진명 -몸 안과 몸 밖_류근원 -『조선의 궁술』을 공부하는 분들께 드리는 몇 가지 질문_정진명 -황해도 지역의 해방 전 활쏘기 풍속_이태엽 대담 ⑩ 국궁논문집 10 : 2018년 -육량전 소고_이건호 -조선궁도회의 회비징수부 3건 고찰_정진명 -육예 중 사의 구성요소와 의미_김성인 -편사의 국궁사적 의의와 과제_김기훈 -인천전통편사놀이 연희과정_여영애 -자료를 통해 살펴보는 인천전통편사_박순선 -인천 편사놀이의 전통성 검토_정재성 -단체전 띠에 남은 서울편사의 자취_정진명 -국궁포럼(KAF)의 출범에 대한 소고_김상일 -국궁포럼 2017 편사 세미나_정진명 -사말 강중원의 국궁 수련기_강중원 -나의 활 수련 방법_류근원 -입·승단 제도의 발전 과제_김영호 -일본 궁도 만화 「세이부고교 아오조라 궁도부」일고찰_이헌정 -전통 사법 논쟁의 두 축_정진명 『국궁논문집 11』 : 2019년 -고부 군자정 답사기_윤백일 -1941년 전조선궁도대회 문서 2건 고찰_정진명 -조선조 연사례의 시행과 운영_김기훈 -󰡔계림유사󰡕의 ‘射曰活索’ 고_장동열 -김수정의 교지에 나타난 육량전 연구_김성인 -인천전통편사의 실제와 계승 방안_박순선 -활터의 정치화와 세속화_정진명 -국궁 세계화의 현실과 과제_정진명 -유럽 활쏘기 동향_김정래 -아일랜드 활쏘기 대회 참가기_김소라 -유럽 3D 아처리 토너먼트 소개_김정래 -일본인 대학생 궁도부원의 한국 활 체험_이헌정 -사말의 국궁체험기_김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