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고등교육기관)]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 [목차] == 개요 ==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國家中心國公立大學校總長協議會)는 대한민국 18개의 국·공립 종합대학이 가입한 협의체이다. 2020년까지는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였기 때문에 인터넷상에서는 줄임말로 '지중국'이라고 불렸다. [[거점국립대학교]]를 제외한 후발 [[종합대학]] 승격 국·공립대의 협력과 교류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총회 등을 통해 국·공립대학 현안에 대해 의논한다. 단, [[인천대학교]]만 어떤 총장협의체에도 가입하지 않았고 지거국과 국중국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원래 사립대학이었다가 사학비리로 인천광역시가 사들여 공립대학으로 전환되었다가 2013년에서야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된 케이스이기 때문이다. == 회원교 == * [[강릉원주대학교]] * [[공주대학교]] * [[군산대학교]] * [[금오공과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순천대학교]] * [[안동대학교]] * [[창원대학교]] * [[한경국립대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 [[한국교통대학교]] * [[한국체육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밭대학교]] == 탄생배경 == >고등교육법 제10조(학교협의체) ① 대학·산업대학·교육대학·전문대학 및 원격대학 등은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각 학교의 대표자로 구성하는 협의체(協議體)를 운영할 수 있다. [[거점국립대학]]과 마찬가지로 고등교육법 제10조에 근거하여 설립된 단체 중 하나이며, 중앙정부의 교육정책에 관련해 주요 현안사항에 대한 논의와 대응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해 2000년 6월에 만들어졌다. 모체는 [[강릉원주대]], [[공주대]], [[군산대]], [[목포대]], [[부경대]], [[순천대]], [[안동대]], [[창원대]], [[한국해양대]] 등으로 구성된 전국 ‘9개 지역 국립대학교 총장협의회’이다. 그 후 2007년, 안동대에서 개최된 회의에서 ‘지역중심 국립대학교 총장협의회`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금오공대]], [[목포해양대]], [[한국교원대]], [[한국체대]]가 추가로 가입하였고, 총 13개 대학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https://mnews.joins.com/article/2884082|#]] 이후 [[산업대학]]이다가 일반 국립대로 바뀐 [[경남과기대]], [[서울과기대]], [[한경대]], [[한국교통대]],[* 구 충주대] [[한밭대]]가 추가로 가입하였고, 마지막으로 2012년에 일반대학일 경우 [[공립대학]]도 가입할 수 있도록 회칙을 변경하면서, 당해 3월에 유일한 공립 종합대학인 [[서울시립대]]까지 더해져 총 19개 대학으로 구성되게된다. 2020년말 협의회 명칭을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로 개칭하였다. 2021년 3월 1일, [[경남과기대]]가 [[경상국립대학교]]로 흡수통합되면서 협의체에서 자연스럽게 빠지게 되었다. 이것으로 인하여 현재는 18개교로 구성되어 유지중에 있다. == 특징 == === 특수시설 === *[[의과대학]](의전원 포함)이 설치되어 있는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는 한 군데도 없다. 하지만 유일하게 [[강릉원주대학교]]에 [[치과대학]]과 치과병원이, [[목포대학교]]와 [[순천대학교]]에 [[약학대학]]이 설립되어 있다. *[[사범대학]]은 지중국 중 공주대학교, 목포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에만 설치되어 있다. [[한국교원대학교]]에는 부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모두 설치되어 있으며 [[공주대학교]]에 사대부설 유치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2022년 개교예정]가 설치되어 있다. 여담으로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에는 [[강릉원주대]]까지 합쳐 전국 3개 뿐인 국립 유치원 설립학교가 모두 소속되어 있다. *[[법학전문대학원]]을 가지고 있는 학교는 [[서울시립대학교]]가 유일하다. === 대학 현황 === ||<-6>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소속교 목록 ''' || || '''교명''' || '''캠퍼스''' || '''설립''' || '''4년제 승격''' || '''종합대학 승격'''[* 1992년 전까지는 3개이상의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둔 곳을 법률적으로 [[종합대학]]이라 정의하였으나, 1991년 12월 31일 이런 형식적 구분에 따른 교육제도운영상의 불합리한 점을 개선한다는 취지로 교육법을 개정하면서, 단과대학과 종합대학의 구분이 사라졌다. 따라서 1992년부터 본 구분은 무의미하나 규모면에서 비약적으로 성장했음을 의미하므로 서술해두었다.] || ||<-6> [[국립대학]] 17개교 || ||<|3> [[강릉원주대학교]] || 강릉캠퍼스 ||<|3> 1946 강릉사범학교 ||<|3> 1979 강릉대학 ||<|3> 1991 강릉대학교 || || 원주캠퍼스 || || 문막캠퍼스 || ||<|4> [[공주대학교]] || [[공주대학교/신관캠퍼스|신관캠퍼스]] ||<|4> 1948 공주사범대학 ||<|4> 1954 공주사범대학 ||<|4> 1991 공주대학교 || || [[공주대학교/옥룡캠퍼스|옥룡캠퍼스]] || || [[공주대학교/예산캠퍼스|예산캠퍼스]] || || [[공주대학교/천안캠퍼스|천안캠퍼스]] || ||<|2> [[군산대학교]] || 미룡캠퍼스 ||<|2> 1947 군산사범학교 ||<|2> 1979 군산대학 ||<|2> 1991 군산대학교 || || 새만금캠퍼스 || ||<|2> [[금오공과대학교]] || 양호동캠퍼스 ||<|2><-2> 1979 금오공과대학 ||<|2> 1993 금오공과대학교[* 단순 교명변경에 가깝다.] || || 신평동캠퍼스 || ||<|5> [[목포대학교]] || 도림캠퍼스 ||<|5> 1946 목포사범학교 ||<|5> 1979 목포대학 ||<|5> 1991 목포대학교 || || 목포캠퍼스 || || 남악캠퍼스 || || 대불캠퍼스 || || 에너지밸리캠퍼스 || || [[목포해양대학교]] || (본교) || 1950 목포수산산성고등학교 || 1993 목포해양대학 || 1994 목포해양대학교[* 단순 교명 변경에 가깝고, 현재의 단과대학 체제 형성은 2011년에 이루어졌다.] || ||<|2> [[부경대학교]] || 대연캠퍼스 || 1941 부산고등수산학교 ||1946 부산수산대학 ||1990 부산수산대학교[*통합 1996년 부산수산대와 부산공업대의 통합으로 현재의 부경대학교가 되었다.] || || 용당캠퍼스 || 1923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 || 1983 부산개방대학 || 1993 부산공업대학교[*통합 1996년 부산수산대와 부산공업대의 통합으로 현재의 부경대학교가 되었다.] ||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본교) || 1910 공립어의동실업보습학교 || 1982 경기공업개방대학 || 1993년 서울산업대학교[* 현재의 서울과기대로 교명변경은 2010년, 일반대학 개편은 2012년에 이루어졌다.] || || [[순천대학교]] || (본교) || 1935 순천농업학교 || 1982 순천대학 || 1991 순천대학교 || || [[안동대학교]] || (본교) || 1947 안동사범학교 || 1979 안동대학 || 1991 안동대학교 || || [[창원대학교]] || (본교) || 1969 마산교육대학 || 1979 마산대학 || 1991 창원대학교 || ||<|2> [[한경국립대학교]] || [[한경국립대학교/안성캠퍼스|안성캠퍼스]] || 1939 안성농업학교 ||<-2> 1993 안성산업대학교[* 한경대로 교명변경은 1999년, 일반대학 개편은 2012년에 이루어졌다.] || || [[한경국립대학교/평택캠퍼스|평택캠퍼스]] || 2002 한국재활복지대학 ||<-2> 2023 한경국립대학교 || || [[한국교원대학교]] || (본교) ||<-3> 1984 한국교원대학교 || ||<|3> [[한국교통대학교]] || 충주캠퍼스 ||<|3> 1965 충주공업초급대학 ||<-2><|3> 1993년 충주산업대학교[* 일반대학 개편은 2010년, 현재의 한국교통대로 교명변경은 2012년에 이루어졌다.] || || 증평캠퍼스 || || 의왕캠퍼스 || || [[한국체육대학교]] || (본교) ||<-2> 1976 한국체육대학 || 1999 한국체육대학교[* 단순 교명변경에 가깝다.] || || [[한국해양대학교]] || (본교) || 1945 진해고등상선학교 || 1956 국립해양대학 || 1991 한국해양대학교 || ||<|2> [[한밭대학교]] || 유성덕명캠퍼스 ||<|2> 1927 홍성공업전수학교 ||<|2> 1984 대전개방대학 ||<|2> 1993 대전산업대학교[* 현재의 한밭대로 교명변경은 2001년, 일반대학 개편은 2012년에 이루어졌다.] || || 대덕캠퍼스 || ||<-5> [[공립대학]] 1개교 || || [[서울시립대학교]] || (본교) || 1918 경성농업학교 || 1956 서울농업대학 || 1987 서울시립대학교 || === 의전서열 === *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 총장들은 대부분 공무원으로서 임명이 [[국무회의]] 심의사항이며 [[장관]]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 이 점은 공립대인 [[서울시립대]] 총장도 마찬가지로 의전서열상으로는 서울특별시장을 제외한 광역자치단체장(시도지사)들보다 더 높다.[* [[서울특별시장]]을 제외한 다른 광역자치단체장들은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 서울특별시장은 장관급이니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 총장들은 서울시장과 동급의 대우를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전부터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의전상으로만 장관급 대우를 받는것일 뿐 권한이나 영향력이 실제 장관급 공무원들과 동급인 것은 아니다. * 이 점은 10개 교육대학교([[서울교육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의 차관급(특2호봉) 예우에 비해 높은 수준의 것이다. 다만,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금오공과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 [[한밭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의 총장은 교육대학과 동일한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 [[거점국립대학]]보다 한 단계 아래 정도의 모임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명백하게 잘못된 인식'''이다. 고등교육법 제10조에서 규정하는 협의회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와 '한국전문대학교교육협의회' 두 곳 뿐이다. 따라서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와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를 포함한 [[서울총장포럼]],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학기술특성화대학총장협의회]], 전국교원양성대학교총장협의회, 전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한국가톨릭계대학총장협의회, 한국대학스포츠총장협의회 등은 모두 법적 근거가 없는 대학간 교류를 위한 곳으로 상하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 평가 == === [[재정지원제한대학]](2011년) === '''강릉원주대학교, 군산대학교'''를 비롯하여 '''5개 국립대가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발표되었다.'''[* 열거되지 않은 대학 중 [[강원대학교]], [[충북대학교]]는 [[거점국립대학교]]이고, [[부산교육대학교]]도 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993147|강원대·충북대 등 국립대 5곳 구조개혁 대상]] || '''{{{#ffffff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 '''[[강릉원주대학교]]''', '''[[군산대학교]]''' || === [[대학구조개혁평가]](2015년) === || 등급 || 대학 || || '''{{{#ffffff A등급 (최우수)}}}''' || [[군산대학교]], [[순천대학교]] || || '''{{{#ffffff B등급 (우수)}}}''' || --[[경남과학기술대학교]]--^^(통폐합)^^[* 2017년에 허위보고서 작성이 드러났다.], [[금오공과대학교]], [[목포대학교]], [[부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경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한밭대학교]] || || '''{{{#ffffff C등급 (보통)}}}''' || '''[[강릉원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안동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2015년 시행된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하위권 후보로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에 모집학부를 기존 52개에서 29개로 줄이고 정원을 기존의 80% 수준으로 감축하는 'U-29 프로젝트'를 발표하여 최종 평가에서 C등급에 선정되어 하위권을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 || '''{{{#ffffff D+등급 (미흡 1단계)}}}''' || - || || '''{{{#ffffff D-등급 (미흡 2단계)}}}''' || - || || '''{{{#ffffff E등급 (매우미흡)}}}''' || - || ||<-2> 별도조치 || ||<-2> '''[[목포해양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 === [[대학기본역량진단]](2018년) === || 등급 || 대학 || || '''{{{#ffffff 자율개선대학 (우수)}}}''' || [[강릉원주대학교]], [[공주대학교]], [[군산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부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안동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밭대학교]] || || '''{{{#ffffff 역량강화대학 (보통)}}}''' || '''--[[경남과학기술대학교]]--^^(통폐합)^^(130명), [[순천대학교]](179명), [[한국해양대학교]](155명), [[한경대학교]](139명)''' || || '''{{{#ffffff 재정지원제한대학 유형 1 (미흡 1단계)}}}''' || - || || '''{{{#ffffff 재정지원제한대학 유형 2 (미흡 2단계)}}}''' || - || || '''진단제외''' || '''[[한국체육대학교]](63명)''' || == 기타 == === 국립대학 통합 === 중소도시와 농어촌의 인구 유출 방지, 균형발전을 위해 [[국립대학]]들을 통합하는 안이다. 이 경우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등 특수대학 성격이 있는 대학들은 특성화 캠퍼스로 통합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특정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이 목적이고 실제 운영도 해당 분야에만 국한되어 하는 만큼, 별도로 둘 수도 있다. 하지만 이미 균형발전을 위해 국립대를 통합하려는 시도는 예전에도 있었지만 실패했다. == 관련 문서 == * [[거점국립대학교]] * [[국립대학]] [[분류:대학 협회/연맹]][[분류:대한민국의 국립대학]][[분류:대한민국의 공립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