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국가원수의 다른 말인 대통령, rd1=대통령)]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 국가원수인 대통령, rd1=대한민국 대통령)]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군대의 계급인 원수, rd1=원수(계급))] [목차] == 개요 == [[國]][[家]][[元]][[首]] / Head of state[* 관용적으로 state 앞에 관사 a나 the를 붙이거나 states로 쓰지 않는다.] '''국가원수'''는 한 [[나라]]에서 으뜸가는 상징성이나 [[권력]]을 지니면서 나라를 다스리는 직위를 뜻한다. == 특징 == 국가기관이지만 국가원수 한 [[사람]]으로 구성되는 [[기관]]이다. 물론 [[안도라]]처럼 국가원수가 2명 이상인 경우는 두 사람 이상으로 구성된다. 국가원수의 행정권 중 가장 핵심적인 권한으로 '''군 [[통수권]]'''이 있으며,[* 실제로 군대에서 공식적으로 대통령을 돌려 말할 때에도 쓴다. '''대통령 방문계획'''이 아니라 '''국군통수권자 방문계획''' 등의 제목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타 부처처럼 VIP로 부르는 경우가 더 잦다.][* 다만 [[중국]]이나 [[미얀마]], [[독일]] 등 몇몇 국가의 원수는 군 [[통수권]]이 없다.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미얀마군]], [[독일연방군]] 문서 참조.] 이외에 정부의 [[관료]]를 임명하는 등의 권한을 갖는다. 한국에선 [[대한민국 대통령]]이 이에 해당한다. [[공화국]]에서는 대통령이 국가원수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대통령]]이란 직함이 있음에도 그가 국가원수가 아닌 특이한 경우도 있다. [[이란]] 대통령은 [[정부수반]]에 그칠 뿐 국가원수는 아니다. [[이란 대통령]] 위에는 사실상 종신직인 [[라흐바르|최고지도자(Supreme Leader)]]가 따로 있는데 그가 바로 국가원수이다. 한편 예전 [[아일랜드]]에서는 [[영연방]] 소속이던 시절 한동안 대통령과 국왕(즉 [[영국 국왕]] [[조지 6세]])이 동시에 존재하는 초유의 과도기 [[정치]] 체제를 도입해서 둘 중 누가 국가원수인지 모호했던 시절이 있다.[* 당시 아일랜드는 대외적으로만 국왕이 자국을 대표하게 하고 나머지(즉 대내 정치)는 대통령이 대표하게 하였다. 즉 당시 아일랜드를 대외적 측면에서 보면 국왕이 국가원수인 군주국이었지만 대내적 측면에서 보면 대통령이 국가원수인 공화국인 기묘한 상황에 놓여 있던 것이다. 이것은 [[대영제국]]에서 벗어날 기회를 엿보던 아일랜드가 [[에드워드 8세]]의 불명예 퇴위를 기회로 국왕의 역할을 그냥 영연방과의 연줄을 유지하는 정도로만 축소시키고 향후 공화국으로 이행하기 위해 대통령직을 동시에 도입하였기 때문에 형성된 특이한 체제였던 것이다. 당시 아일랜드는 기존 [[아일랜드 자유국]]이라는 국호를 그냥 [[아일랜드어|에이레]]/아일랜드로 바꾸고 자국이 공화국인지 군주국인지 명시하지 않은 채 국왕과 국왕의 아일랜드 현지 대리인인 [[총독]]직을 삭제하고 대통령직을 신설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헌법]] 개정을 단행한 뒤, 후속 조치로 '''[[법률]]'''을 만들어 국왕이라는 존재가 대외적으로 아일랜드를 대표한다고 규정하였다. 물론 내각제이므로 국가원수가 누구든 [[실권]]을 쥔 정부수반은 아일랜드 총리였다.] 지금은 국왕이라는 [[직위]]를 폐지해서 완전한 공화국으로 이행하였다.[* 앞 주석에서 설명했듯이 당시 아일랜드 헌법에서는 국왕의 [[존재]]가 이미 지워진 상태였고 단지 [[법률]]로 국왕이라는 존재를 규정하고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아일랜드는 정치권의 논쟁을 거쳐 국왕의 존재를 규정한 법률를 삭제해 국왕의 존재를 지우고 자국이 의심의 여지가 없는 공화국임을 명시하는 법률을 제정한다. 당시 [[영연방]] 회원국들은 현재와 달리 의무적으로 [[영국 국왕]]을 자국의 국왕으로 해야 했기 때문에 아일랜드는 [[1949년]] 영연방에서 탈퇴처리돼 완전히 영국과 남남이 되었다. 그런데 정작 그해 [[인도]]가 영국 국왕을 자국의 군주로 하지 않아도 영연방 회원국으로 남을 수 있게 해 달라고 요구했는데 받아들여져 자국이 영국 국왕을 모실 의무가 사라졌다. 따라서 현재 영연방 중에는 영국의 임금을 자국의 군주로 모시는 [[영연방 왕국]]과 모시지 않는 나라들이 모두 있는데, 모시지 않는 쪽이 더 많다. 아일랜드는 뿌리 깊은 [[반영]] 감정 때문에 영연방에 재가입하지 않았다.] 나라에 따라서는 국가원수가 명목상의 통치권만 가져 [[실권]]이 사실상 없거나 아주 적은 실권만 행사하는 경우가 꽤 있다. [[내각제]] 또는 내각제에 가까운 [[이원집정부제]]를 시행하는 나라는 국가원수인 군주([[입헌군주제]]일 경우)나 대통령이 실권자가 아니고 따로 정부수반(주로 [[총리]])이 실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많다. [* 명목상 국가원수에게 총리를 임명하는 권리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다수당이 추천한 대표에게 정부수반을 임명한다. 다수당이 존재하지 않고 군소정당이 난립하는 경우에 임명권의 실효가 발휘될 수는 있다는 견해는 있으나, 아직 해당하는 사례는 없다.] 이렇게 국가원수에게 [[통치]]의 실권이 없을 때조차도, 국가원수에게 남겨진 마지막 역할은 '국가 [[정통성]] 보위'이다.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해보자. 총리가 이끄는 [[정부]]가 [[전쟁]]에 패배하고 말 그대로 나라가 망했을 때, 마지막으로 국가의 [[운명]]을 결정할 권한은 국가원수에게 남는다. [[혁명]]이 일어나거나 외적이 쳐들어오는 따위 상황에서 차기 집권세력이 마지막으로 하는 행동도 '명목상의 국가원수'와 좋은 말로 협의하여 권력을 인정받는 절차이다. 옛날에는 대부분 나라에서 이 역할을 [[군주]]가 수행했다. 현 [[시대]]에는 군주국이라고 할지라도 대부분은 임금에게 실권이 없는 반면, 과거에는 엄연히 최고통치자로서 권한이 있었다. 오늘날에도 [[민주주의]]가 성숙하지 않은 몇몇 군주국에서는 명목상 입헌군주제와 내각제를 시행하지만, 군주가 총리를 겸하거나 총리가 따로 있어도 [[힘]]이 약한 경우도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처럼 대놓고 [[전제군주제]]여서 국왕이 공식적으로 전권을 행사하는 나라도 있다. 대개 [[의전]]에서 국가원수를 상대할 때는 [[예포]] 스물한 발을 쏜다. [[정부수반]]에게는 열아홉 발. 대부분은 이런데 [[미국]]과 [[중국]] 같은 나라는 [[자유]]와 [[평등]], [[정의]]를 원칙을 이유로, 또는 국가원수의 [[권위]]를 최대한 내려놓고 온 국민들과 더욱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한 차원으로 국가원수에게 열아홉 발을 쏘기도 한다. [[군주제]] 국가에서는 이런 의전 문제로 상당히 골치가 아프기도 하다. [[민주주의]]가 도입되면서 [[국민]]들이 선출하는 [[국회의원]]과 그들을 대표하는 [[총리]]가 나오는데 의전에선 단지 [[세습]]될 뿐인 군주가 더 높기 때문. [[일본]]에서 [[아키히토]]가 즉위할 때 앉은 단이 [[일본 총리|총리]]의 단보다 높아서 말이 나오기도 했다. [[극우]]나 보수적인 우익들은 당연하게 여겼지만 [[자유주의]] 계열 [[우익]]이나 공화주의자, [[좌익]] 입장에선 반발했다. [[집단지도체제]]인 [[중국]]에는 [[중국 주석|국가주석]]과 [[중국 총리|국무원 총리]]가 있는데, 국가주석의 정치적 힘이 약했던 [[후진타오]] 시대에는 사실상 둘 다 국가원수로 취급하기에 외국에선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 둘 다 예포를 스물한 발 쏴버렸던 적이 있었다. 물론 주석의 정치적 힘이 강했던 [[장쩌민]] 시절에는 국가주석이 중국의 유일한 국가원수로 예우받았고, 현재 [[시진핑]] 또한 마찬가지이다. 국가원수가 있지만 따로 대리인을 두는 경우도 있다. [[영국]]과 [[동군연합]]인 [[오스트레일리아]]·[[캐나다]] 등 15개국[* 영국과 이들 15개국을 각각 [[영연방 왕국]](Commonwealth realm)이라고 부른다. 그냥 영연방이라고 하지 않고 영연방 '왕국'이라고 하는 이유는 오늘날 영연방 회원국 중에 영국과 동군연합이 아닌 나라가 더 많기 때문이다.]은 모두 [[찰스 3세]]를 자국의 국가원수로 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국가들은 평상시에 국가원수가 자국에 체류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국가원수로서의 각종 업무를 대행할 사람이 필요하다. 그래서 국가원수를 대리할 사람을 [[총독]]으로 추대하는데, 이러다 보니 총독이 사실상의 국가원수처럼 간주된다. 그런데 오늘날은 총독을 영국에서 파견하지 않고 해당국의 정치 [[원로]] 등을 총독으로 추대한다. 그런 데다가 총독은 세습직이 아니며 [[임기]]가 따로 있고, 사실상 국가원수 역할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말이 총독이지 거의 [[의원내각제]] 공화국의 [[대통령]]과 비슷해진다. 참고로, 타국을 방문한 국가원수[* 국가원수에 준하거나, 차기 국가원수도 해당]를 암살하려는 행위는 성공 유무에 관계없이 [[선전포고#s-3.2]]로 간주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군주제]]의 경우 === [[전제군주제]]인 경우에는 국가원수인 국왕이 모든 행정권, 입법권, 사법권을 가지며 [[정부수반]]을 겸직한다. 옛날에 [[군주]]들을 보면 어전회의를 주관하면서 자기 의견을 관철시키기도 했다. 중국의 왕조들은 전통적으로 [[황제]]의 권한이 강한 것으로 유명했다. 군주제는 [[유럽]]이나 [[아랍]], [[아프리카]] 등에서도 다르지 않았다. 오늘날에도 [[사우디아라비아]]나 [[브루나이]]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북한]]은 공식적으론 공화국이지만 사실상 이런 전제군주국과 다를 바가 없다. 일본은 역사적으로 [[바지사장]]으로 [[천황]]을 걸어놓고 [[막부]]에서 통치했으며 한동안은 [[쇼군]]이 [[정부수반]]뿐만 아니라 거의 국가원수 노릇까지 했다. 오늘날의 [[입헌군주제]] 국가들에선 [[군주]]가 국가원수를 맡으며 실권은 잃고 상징성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부수반]]은 국민 또는 국회가 선출한 [[총리]]가 맡는다. [[영국]], [[일본]],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영국과 동등하게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도 영국의 군주를 자신들의 국가원수로 삼는다.], [[스웨덴]], [[벨기에]], [[노르웨이]], [[덴마크]], [[스페인]], [[네덜란드]] 등이 이에 해당한다. 드물게 [[선거군주제|선거로 군주를 선출하는 국가]]들도 있지만 선거권자가 제한되어 있다. [[일본]]은 헌법에서 국가원수를 [[천황]]이라고 명시적으로 규정하지 않고 [[주권]]이 [[국민]]에게 있음을 명시하여, 형식적인 권한도 사라지는 추세라 천황이 국가원수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일본/정치]]를 읽어볼 것. === [[공화제]]의 경우 === 공화제의 경우 [[대통령제]]에서는 대통령이 [[정부수반]]이자 국가수반이 된다. [[대한민국]], [[미국]], [[인도네시아]], [[터키]], [[필리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오늘날의 [[의회공화제]] 국가들에선 대통령이 국가수반을 맡으며 실권은 잃고 상징성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부수반은 국회가 선출한 총리가 맡는다. [[독일]], [[오스트리아]], [[방글라데시]],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그리스]], [[헝가리]], [[인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이라크]], [[이스라엘]], [[이탈리아]]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국가연합]]이나 [[국제기구]]의 경우 === 국가연합이나 각종 국제 기구에서도 명시적이진 않더라도 한 국가의 국가원수나 정부수반에 대응되는 수반들이 존재한다. [[유엔]]의 경우 [[유엔 사무총장]]이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에 모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유럽연합]]의 경우 연합 자체가 하나의 의원내각제 공화국에 가까운 형태로 운영되는데 유럽이사회 의장이 상징적 국가원수인 대통령,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이 실권을 쥔 정부수반인 총리에 대응된다. [[영연방]]의 경우 [[영국 국왕]][* 자동으로 겸임하는 건 아니고 관례상 겸임하는 것이다. 그래서 차기 영연방 원수가 [[찰스 3세|찰스 왕세자]]가 되는 게 적절할지를 놓고 논란이 이어지다가 결국 영연방 정상회의(CHOGM)에서 가까스로 찰스 왕세자를 차기 원수로 내정하였다.]이 겸임하는 영연방 원수(Head of the Commonwealth)가 국가원수에 대응되고, 영연방 사무총장이 정부수반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보통은 유엔처럼 사무총장만 있으면 [[사무총장]]이 국가원수 겸 정부수반에 해당되는 것으로 간주하는데 원수직을 별도로 두고 있는 영연방이 특이한 케이스이다. === 자치 [[정부]]의 경우 === 강한 자치권을 가진 [[구성국]]이나 [[주]](州) 등의 자치 정부에서도 독립국과 비슷한 정부 구조를 지녀서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에 대응되는 직위를 두기도 한다. 특히 [[영연방 왕국]] 중 [[연방제]] 국가인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주와 [[준주]]에서 [[캐나다 국왕]] 혹은 [[호주 국왕]]이 국가원수, 주 총독이 국가원수 대리, 주 총리가 정부수반 같은 모양새를 띤다.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행정장관]]이라고 한다. == 주요 [[국가]] 및 [[속령]]의 국가원수 목록 [anchor(목록)] == ''' ''2023년 2월 기준'' ''' [[명목 GDP]] 50위권 내 국가원수[* 명단은 2021년 7월 기준, 명목 GDP는 [[국가별 명목 GDP 순위|2021년 기준]]]만 표기한다. 해당 국가들의 정부수반은 [[정부수반#목록]] 문서로. 그 외 모든 국가원수는 [[국가원수 및 정부수반 목록]] 문서로. ||<-5>
{{{#ccffcc ■}}}는 '''국가원수 겸 정부수반''' [br]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이 다른 경우 중 {{{#ffccff ■}}}는 '''실권 국가원수''', {{{#ccccff ■}}}는 '''비실권 국가원수''' || || [[미국|{{{#white '''미국'''}}}]] || [[중국|{{{#ffde00 '''중국'''}}}]] || [[일본|{{{#bc002d '''일본'''}}}]] || [[독일|{{{#ffffff '''독일'''}}}]] || [[영국|{{{#ffffff '''영국'''}}}]]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 바이든|[[파일:President Joe Bide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시진핑|[[파일:시진핑 - 중국.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나루히토|[[파일:나루히토 - 일본.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파일: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 독일.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찰스 3세|[[파일:찰스3세_2019년.jpg|width=100%]]]]}}} || || [[미국 대통령|{{{#black {{{-2 '''대통령'''}}}}}}]][br][[조 바이든|{{{#black '''조 바이든'''}}}]] || [[중화인민공화국 주석|{{{#black {{{-2 '''국가주석'''}}}}}}]][br][[시진핑|{{{#black '''시진핑'''}}}]][* 중국은 국가원수가 [[중국 주석|주석]], 정부수반은 [[중국 총리|총리]]라 공식적으로는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이 다른 국체를 갖고 있다. [[리커창]] 총리가 시진핑 대신 얼굴마담으로 국제 무대에 나갈 수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러나 시진핑의 [[독재]]가 공고화된 현재는 사실상 시진핑이 정부수반직까지 다 해먹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 [[천황|{{{#black {{{-2 '''천황'''}}}}}}]][br][[나루히토|{{{#black '''나루히토'''}}}]][* 현행 [[일본국 헌법]]에는 천황이 국가원수인지 여부가 명시되어있지 않고 일본국의 상징이자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이라고만 나와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국가원수라고 간주된다. [[일본 정부]]에서도 천황을 국가원수처럼 모신다.] || [[독일 대통령|{{{#black {{{-2 '''대통령'''}}}}}}]][br][[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black '''프랑크발터[br]슈타인마이어'''}}}]] || [[영국 국왕|{{{#black {{{-2 '''국왕'''}}}}}}]][br][[찰스 3세|{{{#black '''찰스 3세'''}}}]] || ||<-5> || || [[인도|{{{#128807 '''인도'''}}}]] || [[프랑스|{{{#ffffff '''프랑스'''}}}]] || [[이탈리아|{{{#ffffff '''이탈리아'''}}}]] || [[캐나다|{{{#ffffff '''캐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대한민국|{{{#white '''대한민국'''}}}]]}}} || || [[인도|[[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드라우파디 무르무|[[파일:인도 15대 대통령 드라우파디 무르무 오피셜 프로필.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에마뉘엘 마크롱|[[파일:에마뉘엘 마크롱 - 프랑스.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세르조 마타렐라|[[파일:세르지오 마타렐라 - 이탈리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찰스 3세|[[파일:찰스_3세.jpg|width=5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윤석열|[[파일:South_Korea_President_Yoon_Suk_Yeol_portrait.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메리 사이먼|[[파일:메리 사이먼.jpg|width=50%]]]]}}} || || [[드라우파디 무르무|{{{#black '''{{{-2 대통령}}}[br]드라우파디 무르무'''}}}]] || [[프랑스 대통령|{{{#black {{{-2 '''대통령'''}}}}}}]][br][[에마뉘엘 마크롱|{{{#black '''에마뉘엘 마크롱'''}}}]] || [[이탈리아 대통령|{{{#black {{{-2 '''대통령'''}}}}}}]][br][[세르조 마타렐라|{{{#black '''세르조 마타렐라'''}}}]] || [[영국 국왕|{{{#black {{{-2 '''국왕'''}}}}}}]][br][[찰스 3세|{{{#black '''찰스 3세'''}}}]][br][[캐나다 총독|{{{#black {{{-2 '''총독'''}}}}}}]][br][[메리 사이먼|{{{#black '''메리 사이먼'''}}}]][*참고 찰스 3세는 [[영연방]] 회원국들 중에 영국을 포함한 15개 [[영연방 왕국]]의 국왕이다. 단, 영국 이외의 14개국에서는 해당국의 명사(名士)를 국왕의 대리자인 총독으로 추대하고, 총독이 국왕을 대리해 '''사실상의 국가원수''' 노릇을 한다. 참고로 영연방 전체가 찰스 3세를 국가원수로 하는 건 아니며, 15개국 이외의 회원국들은 각각 대통령이나 자기네만의 독자 군주를 국가원수로 하고 있다. 찰스 3세는 전 영연방 차원에서 통용되는 '''영연방 원수'''(Head of the Commonwealth)라는 상징적인 칭호를 따로 가지고 있는데 이는 각 회원국의 국가원수 직함과는 별개이니 주의할 것.] || [[대한민국 대통령|{{{#black {{{-2 '''대통령'''}}}}}}]][br][[윤석열|{{{#black '''윤석열'''}}}]] || ||<-5> || || [[러시아|{{{#0039a6 '''러시아'''}}}]] || [[브라질|{{{#fedf00 '''브라질'''}}}]] || [[호주|{{{#ffffff '''호주'''}}}]] || [[스페인|{{{#fabd00 '''스페인'''}}}]] || [[멕시코|{{{#ffffff '''멕시코'''}}}]] || ||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블라디미르 푸틴|[[파일:푸틴(2023).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파일:lula.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찰스 3세|[[파일:찰스_3세.jpg|width=5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펠리페 6세|[[파일:펠리페 6세 - 스페인.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파일:안드레스 오브라도르 - 멕시코.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데이비드 헐리|[[파일:데이비드 헐리 - 호주.png|width=50%]]]]}}} || || [[러시아 대통령|{{{#black {{{-2 '''대통령'''}}}}}}]][br][[블라디미르 푸틴|{{{#black '''블라디미르 푸틴'''}}}]] || [[브라질 대통령|{{{#black {{{-2 '''대통령'''}}}}}}]][br][[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black '''룰라 다 시우바'''}}}]] || [[영국 국왕|{{{#black {{{-2 '''국왕'''}}}}}}]][br][[찰스 3세|{{{#black '''찰스 3세'''}}}]][br][[호주 총독|{{{#black {{{-2 '''총독'''}}}}}}]][br][[데이비드 헐리|{{{#black '''데이비드 헐리'''}}}]][*참고] || [[스페인 국왕|{{{#black {{{-2 '''국왕'''}}}}}}]][br][[펠리페 6세|{{{#black '''펠리페 6세'''}}}]] || [[멕시코 대통령|{{{#black {{{-2 '''대통령'''}}}}}}]][br]'''[[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black 안드레스 M. L.[br]오브라도르}}}]]''' || ||<-5> || || [[인도네시아|{{{#ffffff '''인도네시아'''}}}]] || [[이란|{{{#ffffff '''이란'''}}}]] || [[네덜란드|{{{#ffffff '''네덜란드'''}}}]] || [[사우디아라비아|{{{#ffffff '''사우디아라비아'''}}}]] || [[스위스|{{{#ffffff '''스위스'''}}}]] || || [[인도네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 [[이란|[[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 [[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코 위도도|[[파일:조코 위도도 - 인도네시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알리 하메네이|[[파일:알리 하메네이 - 이란.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빌럼알렉산더르|[[파일:빌럼알렉산더르 - 네덜란드.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파일:살만 알사우드 - 사우디.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알랭 베르세|[[파일:알랭 베르세.jpg|width=100%]]]]}}} || || [[조코 위도도|{{{#black '''{{{-2 대통령}}}[br]조코 위도도'''}}}]] || [[라흐바르|{{{#black {{{-2 '''최고지도자'''}}}}}}]][br][[알리 하메네이|{{{#black '''알리 하메네이'''}}}]][* 이 사람은 대통령이나 군주가 아니라 '''최고지도자'''([[라흐바르]])이다. [[신권 정치|신정국가]]인 이란의 특성상 [[이란 대통령|대통령]]의 지위는 최고지도자 밑에 있다. 따라서 다른 나라의 대통령과 달리 정부수반일 뿐 국가원수는 아니다.] || [[네덜란드 국왕|{{{#black {{{-2 '''국왕'''}}}}}}]][br][[빌럼알렉산더르|{{{#black '''빌럼알렉산더르'''}}}]] || [[사우디아라비아 국왕|{{{#black {{{-2 '''국왕'''}}}}}}]][br][[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black '''살만 b. A. 알사우드'''}}}]] || [[알랭 베르세|{{{#black '''{{{-2 대통령(연방 각의)}}}[br]알랭 베르세'''}}}]][* 극도로 지방 분권화된 정부 구조를 가지고 있는 스위스는 독특하게 7인으로 구성된 연방평의회가 국가원수 겸 정부수반 역할을 한다. 이 7인이 1년마다 번갈아가며 대표자인 대통령직을 맡는데, 대통령 자체가 국가원수 겸 정부수반인 게 아니고, 7인으로 구성된 연방평의회가 통째로 스위스의 국가원수 겸 정부수반이니 주의가 필요하다. 참고로 부통령도 있는데, 그는 그 다음 해에 대통령이 될 사람이다. 결국 스위스의 대통령과 부통령은 단독으로 국가원수·국가부원수의 역할을 하지 않고 연방 각의라는 기구의 대표·부대표의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이 두 직위는 다른 나라와 달리 (vice) president의 원래 의미인 의장·부의장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편의상 여기에는 연방평의회 대표인 대통령만 실었다.] '''등 연방평의회 소속 7인''' || ||<-5> || || [[튀르키예|{{{#white '''튀르키예'''}}}]] || [[대만|{{{#ffffff '''대만'''}}}]] || [[폴란드|{{{#dc143c '''폴란드'''}}}]] || [[스웨덴|{{{#fecc00 '''스웨덴'''}}}]] || [[벨기에|{{{#fae042 '''벨기에'''}}}]]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대만|[[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스웨덴|[[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파일:레제프 에르도안 - 터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차이잉원|[[파일:차이잉원 - 대만.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안제이 두다|[[파일:안제이 두다 - 폴란드.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칼 16세 구스타프|[[파일:칼 16세 구스타프 - 스웨덴.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필리프(벨기에)|[[파일:필리프 - 벨기에.png|width=100%]]]]}}} || || [[튀르키예 대통령|{{{#black {{{-2 '''대통령'''}}}}}}]][br][[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black '''레제프 T. 에르도안'''}}}]] || [[대만 총통|{{{#black {{{-2 '''총통'''}}}}}}]][br][[차이잉원|{{{#black '''차이잉원'''}}}]] || [[폴란드 대통령|{{{#black {{{-2 '''대통령'''}}}}}}]][br][[안제이 두다|{{{#black '''안제이 두다'''}}}]] || [[스웨덴 국왕|{{{#black {{{-2 '''국왕'''}}}}}}]][br][[칼 16세 구스타프|{{{#black '''칼 16세 구스타프'''}}}]] || [[벨기에인의 왕|{{{#black {{{-2 '''국왕'''}}}}}}]][br][[필리프(벨기에)|{{{#black '''필리프'''}}}]] || ||<-5> || || [[태국|{{{#ffffff '''태국'''}}}]] || [[나이지리아|{{{#ffffff '''나이지리아'''}}}]] || [[오스트리아|{{{#ffffff '''오스트리아'''}}}]] || [[아일랜드|{{{#ff883e '''아일랜드'''}}}]] || [[이스라엘|{{{#ffffff '''이스라엘'''}}}]] || ||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 [[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 [[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라마 10세|[[파일:라마 10세 - 태국.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무함마두 부하리|[[파일:모하마두 부하리 - 나이지리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알렉산더 판데어벨렌|[[파일:알렉산더 판데어벨렌 - 오스트리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마이클 D. 히긴스|[[파일:마이클 D. 히긴스-아일랜드.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츠하크 헤르초그|[[파일:Isaac_Herzog.jpg|width=100%]]]]}}} || || [[라마 10세|{{{#black '''{{{-2 국왕}}}[br]라마 10세'''}}}]] || [[무함마두 부하리|{{{#black '''{{{-2 대통령}}}[br]무함마두 부하리'''}}}]] || [[오스트리아 대통령|{{{#black {{{-2 '''대통령'''}}}}}}]][br][[알렉산더 판데어벨렌|{{{#black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 [[아일랜드 대통령|{{{#black {{{-2 '''대통령'''}}}}}}]][br][[마이클 D. 히긴스|{{{#black '''마이클 D. 히긴스'''}}}]] || [[이츠하크 헤르초그|{{{#black '''{{{-2 대통령}}}[br]이츠하크 헤르초그'''}}}]] || ||<-5> || || [[노르웨이|{{{#ffffff '''노르웨이'''}}}]] || [[아르헨티나|{{{#ffffff '''아르헨티나'''}}}]] || [[필리핀|{{{#FCD116 '''필리핀'''}}}]] || [[아랍에미리트|{{{#ffffff '''아랍에미리트'''}}}]] || [[이집트|{{{#000000 '''이집트'''}}}]] || || [[노르웨이|[[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아르헨티나|[[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필리핀|[[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30]]]] ||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 [[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3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하랄 5세|[[파일:Dqsap7J.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알베르토 페르난데스|[[파일:알베르토 페르난데스 - 아르헨티나.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ngbong_Marcos.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파일: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나얀 - UA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압델 파타 엘 시시|[[파일:AbdelFattah_Elsisi.jpg|width=100%]]]]}}} || || [[하랄 5세|{{{#black '''{{{-2 국왕}}}[br]하랄 5세'''}}}]] || [[아르헨티나 대통령|{{{#black {{{-2 '''대통령'''}}}}}}]][br][[알베르토 페르난데스|{{{#black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 [[필리핀 대통령|{{{#black {{{-2 '''대통령'''}}}}}}]][br][[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black '''페르디난드[br]마르코스 주니어'''}}}]]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black '''{{{-2 대통령}}}[br]무함마드 b. Z. 알 나얀'''}}}]][* [[아랍에미리트]](UAE)를 구성하는 토후국(emirate) 중 하나인 [[아부다비]]의 군주가 관례적으로 UAE의 대통령을 겸하기에 UAE는 사실상 군주국이다.] || [[압델 파타 엘 시시|{{{#black '''{{{-2 대통령}}}[br]압델 파타 엘 시시'''}}}]] || ||<-5> || || [[말레이시아|{{{#FFCC00 '''말레이시아'''}}}]] || [[덴마크|{{{#ffffff '''덴마크'''}}}]] || [[싱가포르|{{{#ffffff '''싱가포르'''}}}]] || [[홍콩|{{{#ffffff '''홍콩 특별행정구'''}}}]] || [[베트남|{{{#FFFF00 '''베트남'''}}}]] || || [[말레이시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 [[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싱가포르|[[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30]]]] ||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 [[베트남|[[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항의 압둘라|[[파일:압둘라 아흐마드.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마르그레테 2세|[[파일:dronning_margrethe_2020_medium.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타르만 샨무가라트남|[[파일:⁸88888⁸888.jpg|width=100%]]]]}}} || [[시진핑|[[파일:시진핑 - 중국.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보반트엉|[[파일:vovanthuong.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존 리(1957)|[[파일:John Lee Ka-chiu.jpg|width=50%]]]]}}} || || [[파항의 압둘라|{{{#black '''{{{-2 국왕}}}[br]파항의 압둘라'''}}}]][* 말레이시아 국왕은 말레이시아를 구성하는 9개 구성국의 군주가 5년 임기의 순번제로 돌아가며 국왕 직에 앉는 임기제이다.] || [[마르그레테 2세|{{{#black '''{{{-2 국왕}}}[br]마르그레테 2세'''}}}]] || [[싱가포르 대통령|{{{#black {{{-2 '''대통령'''}}}}}}]][br][[타르만 샨무가라트남|{{{#black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 [[시진핑|{{{#black '''{{{-2 국가주석}}}[br]시진핑'''}}}]] [br] [[존 리(1957)|{{{#black '''{{{-2 행정장관}}}[br]존 리'''}}}]] || [[보반트엉|{{{#black '''{{{-2 국가주석}}}[br]보반트엉'''}}}]] || ||<-5> || || [[방글라데시|{{{#F42A41 '''방글라데시'''}}}]] || [[남아프리카 공화국|{{{#007749 '''남아프리카 공화국'''}}}]] || [[칠레|{{{#ffffff '''칠레'''}}}]] || [[핀란드|{{{#003580 '''핀란드'''}}}]] || [[콜롬비아|{{{#003893 '''콜롬비아'''}}}]] || || [[방글라데시|[[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30]]]] || [[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 [[칠레|[[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 [[핀란드|[[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30]]]] ||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압둘 하미드|[[파일:Abdul_Hamid_-_2014_(cropped).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시릴 라마포사|[[파일:시릴 라마포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가르리엘 보리치|[[파일: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울리 니니스퇴|[[파일:Sauli_Niinistö_Senate_of_Poland_201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구스타보 페트로|[[파일:03GustavoPetro.jpg|width=100%]]]]}}} || || [[압둘 하미드|{{{#black '''{{{-2 대통령}}}[br]압둘 하미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black {{{-2 '''대통령'''}}}}}}]][br][[시릴 라마포사|{{{#black '''시릴 라마포사'''}}}]] || [[칠레 대통령|{{{#black {{{-2 '''대통령'''}}}}}}]][br][[가브리엘 보리치|{{{#black '''가브리엘 보리치'''}}}]] || [[핀란드 대통령|{{{#black {{{-2 '''대통령'''}}}}}}]][br][[사울리 니니스퇴|{{{#black '''사울리 니니스퇴'''}}}]] || [[콜롬비아 대통령|{{{#black {{{-2 '''대통령'''}}}}}}]][br][[구스타보 페트로|{{{#black '''구스타보 페트로'''}}}]] || ||<-5> || || [[루마니아|{{{#FCD116 '''루마니아'''}}}]] || [[체코|{{{#ffffff '''체코'''}}}]] || [[파키스탄|{{{#ffffff '''파키스탄'''}}}]] || [[포르투갈|{{{#ffffff '''포르투갈'''}}}]] || [[뉴질랜드|{{{#ffffff '''뉴질랜드'''}}}]] || || [[루마니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체코|[[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파키스탄|[[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30]]]]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클라우스 요하니스|[[파일:클라우스 베르너 요하니스.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페트르 파벨|[[파일:Generál_pavel_foto.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아리프 알비|[[파일:아리프 알비-파키스탄.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파일:Marcelo_Rebelo_de_Sousa_em_fevereiro_de_2018.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찰스 3세|[[파일:찰스_3세.jpg|width=5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신디 키로|[[파일:뉴질랜드-총독-신디-키로.jpg|width=50%]]]]}}} || || [[루마니아 대통령|{{{#black {{{-2 '''대통령'''}}}}}}]][br][[클라우스 요하니스|{{{#black '''클라우스 베르너[br]요하니스'''}}}]] || [[체코 대통령|{{{#black {{{-2 '''대통령'''}}}}}}]][br][[페트르 파벨|{{{#black '''페트르 파벨'''}}}]] || [[아리프 알비|{{{#black '''{{{-2 대통령}}}[br]아리프 알비'''}}}]] || [[포르투갈 대통령|{{{#black {{{-2 '''대통령'''}}}}}}]][br][[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black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 [[찰스 3세|{{{#black '''{{{-2 국왕}}}[br]찰스 3세'''}}}]][br][[신디 키로|{{{#black '''{{{-2 총독}}}[br]신디 키로'''}}}]][*참고] || === 개별 국가원수 문서 일람 === * [[대한민국 대통령]] * [[미국 대통령]] *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 [[천황|일본 천황]] * [[북한 국무위원장]] * [[독일 대통령]] * [[영국 국왕]] / [[캐나다 국왕]][*A 영국 국왕이 겸직한다.[[영연방 왕국]] 문서 참조.] / [[호주 국왕]][*A 영국 국왕이 겸직한다.[[영연방 왕국]] 문서 참조.] / [[뉴질랜드 국왕]][*A 영국 국왕이 겸직한다.[[영연방 왕국]] 문서 참조.] * [[캐나다 총독]] [*B 국내 부재중인 [[국왕]]을 대리한다.[[영연방 왕국]] 문서 참조.] * [[호주 총독]] [*B 국내 부재중인 [[국왕]]을 대리한다.[[영연방 왕국]] 문서 참조.] * [[뉴질랜드 총독]][*B 국내 부재중인 [[국왕]]을 대리한다.[[영연방 왕국]] 문서 참조.] * [[프랑스 대통령]] * [[브라질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 [[튀르키예 대통령]] * [[교황]] * [[산마리노 집정관]] * [[세르비아 대통령]] * [[이탈리아 대통령]] * [[그리스 대통령]] * [[루마니아 대통령]] * [[불가리아 대통령]] * [[스페인 국왕]] * [[대만 총통|중화민국 총통]] * [[싱가포르 대통령]] *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 [[아르헨티나 대통령]] * [[태국 국왕]] * [[스웨덴 국왕]] * [[덴마크 국왕]] * [[노르웨이 국왕]] * [[네덜란드 국왕]] * [[벨기에 국왕]] * [[말레이시아 국왕]] * [[부탄 국왕]] * [[룩셈부르크 대공]] * [[라흐바르|이란 라흐바르]] * [[체코 대통령]] * [[폴란드 대통령]] * [[필리핀 대통령]] * [[우크라이나 대통령]] * [[벨라루스 대통령]] * [[오스트리아 대통령]] * [[아일랜드 대통령]] * [[핀란드 대통령]] * [[리투아니아 대통령]] * [[에스토니아 대통령]] * [[알바니아 대통령]] * [[조지아 대통령]] * [[카자흐스탄 대통령]] *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 [[멕시코 대통령]] * [[콜롬비아 대통령]] * [[칠레 대통령]] * [[베네수엘라 대통령]] * [[파라과이 대통령]] * [[우루과이 대통령]] * [[볼리비아 대통령]] * [[페루 대통령]] *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 [[베트남 국가주석]] * [[라오스 국가주석]] * [[쿠바 공화국 주석]] * [[방글라데시 대통령]] == 관련 [[문서]] == * [[대통령]] * [[총리]] * [[군주]] * [[정부수반]] * [[최고지도자]] * [[상징적 국가원수]] * [[통수권자]] * [[최고사령관]] * [[정치·외교 관련 정보]] * [[장관]] [[분류:국가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