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베이징10대건축]][[분류:중국의 공연장]][[분류:중국의 관광지]] [include(틀:베이징10대건축)] ||<-3><:> '''{{{+1 {{{#fff [ruby(国家, ruby=guójiā)][ruby(大剧院, ruby=dàjùyuàn)]}}}}}}[br]{{{#fff National Centre for the Performing Arts[br]국가대극원}}}''' || ||<-3> [[파일:국가대극원 로고.jpg|width=100%]] || ||<-3> '''{{{#fff 로고}}}''' || ||<-2> '''{{{#fff 개관일}}}''' || [[2007년]] [[12월 22일]] || ||<-2><|2> '''{{{#fff 소재지}}}''' || [[베이징시]] [[시청구]] 시창안제2호[br]北京市西城区西长安街2号 || ||{{{#!wiki style="margin: -3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国家大剧院, 너비=100%, 높이=100)]}}} || ||<-2> '''{{{#fff 층 수}}}''' || 지상 5층 지하 3층 || ||<-2> '''{{{#fff 총면적}}}''' || 118,900㎡ || ||<|4> '''{{{#fff 좌석 수}}}''' || '''{{{#fff 가극장}}}''' || 2,081석 || || '''{{{#fff 음악청}}}''' || 1,859석 || || '''{{{#fff 희극장}}}''' || 957석 || || '''{{{#fff 소극장}}}''' || 469석 || ||<-2> '''{{{#fff 소유자}}}''' || [[파일:중국 국장.svg|width=20]] [[베이징시]] 인민정부 || ||<-2> '''{{{#fff 입장료}}}''' || 비수기: 30위안[br]성수기: 40위안 || ||<-2> '''{{{#fff 홈페이지}}}''' || [[http://www.chncpa.org/|홈페이지]] || ||<-2> '''{{{#fff SNS}}}''' || [[https://www.facebook.com/NationalCentreForThePerformingArt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https://weibo.com/chncpa|[[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National_Grand_Theatre.jpg]] [[중국]] [[베이징시]]에 위치한 공연장으로, 베이징시에서 운영하는 사업이자 주요 관광지이다. 특유의 타원형 건물로 인해 베이징에서는 그냥 거대 계란(巨蛋)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외국에서는 '''The Giant Egg'''라고 부르기도 한다. [[인민대회당]], [[천안문 광장]], [[자금성]] 등과 접해있어 접근성이 매우 좋다. 설계자는 [[프랑스]]의 [[건축가]]인 폴 앙드뢰(Paul Andreu)이다. 주 공연장은 3개가 존재하고 소극장 1개가 존재하는데, 주 공연장은 각각 국가대극원관현악단(国家大剧院管弦乐团), 국가대극원합창단(国家大剧院合唱团), 국가대극원가극팀(国家大剧院歌剧演员队)의 홈 그라운드이다. == 역사 == 계획 자체는 [[1958년]]에 결정되었고 부지도 마련을 이미 한 상태였다. 베이징시 도심에 있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그러나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서 건축이 크게 미뤄졌고 [[1996년]]에 열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제 6차 전원회의에서 건설을 다시 결의하여 이듬해 건설을 준비한다. 이후 [[1998년]]부터 건축설계 공모전을 열어서 폴 앙드뢰가 설계한 형태의 도면으로 채택된다. 이후 [[2001년]] [[12월 13일]]부터 건설이 시작되어 [[2007년]] [[6월 15일]]에 준공되고 동년 [[9월 25일]]에 시범공연을 열었으며, 완전히 개방된 시기는 [[12월 22일]]에 된다. 이후 단 한번도 폐쇄된 적 없이 운영되었으나 [[2020년]] [[6월 17일]]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개관이래 최초로 폐쇄되었으며, [[2020년]] [[7월 21일]]에 사전예약을 하는 형태로 재개방되었다. == 내부 시설 == 지하 2층부터 지상 3층까지는 공연장으로, 가극원은 지하 2층 제외 4개층을 전부 사용하고 희극장과 음악청은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까지, 소극장은 지하 1층부터 지하 2층까지 사용한다. 공연장 외 시설은 다음 층에 존재한다. 지하 3층은 연습실이 존재하고, 지하 1~2층에는 주차장이 및 출입구가 존재하며 지하 1층에는 매표소, 지하 2층에는 지하철 연결통로가 존재한다. 인공호수에 있는 곳이라 지상에서 접근은 불가능하고 지하 1층의 입구로 들어가는 곳은 길이80m, 너비 24m의 수중 터널로 되어있는데 이 터널은 유리천장이라 인공호수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3층에는 기자실이 존재하며, 4층에는 식당과 예술자료센터가, 5층에는 대극원 예술관이 존재한다. 그리고 건물은 35,500㎡의 인공호수로 둘러싸여 있다. 1층 복도의 경우 복도 예술전이 열리기도 하며, 지하 1층의 수중 터널 역시 터널 양쪽에 미술전시를 하고 있다. === 대극원 === || [[파일:1024px-Stage_of_NCPA_Opera_House_(20190720181909).jpg|width=100%]] || || 무대 || || [[파일:1024px-Stands_of_NCPA_Opera_House_(20190720181747).jpg|width=100%]] || || 관객석 || 대극원 중앙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사용하는 대극원 최대규모 공연장으로, 관객석의 경우 지하층 640석, 지상 1층 584석, 지상 2층 140석, 지상 3층 717석의 총 2,081석이 존재하며 입석 포함 최대 2,416명이 관람을 할 수 있는 규모로 조성되었다. 무대의 경우 폭 18.6m에 높이 14m 규모이며, 주무대/좌무대/우무대/후무대의 4개의 무대가 ㅗ자형으로 배치되어있다. === 음악청 === || [[파일:NCPA_Concert_Hall_(20191012214824).jpg|width=100%]] || || 무대 || 대극원 동측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까지 사용하는 공연장으로, 관객석의 경우 지하 1층 462석, 지상 1층 880석, 지상 2층 517의 총 1,859석이 존재하며 1층 객석은 단원이 사용하는 169석을 포함한다. 지상 1층에는 파이프 오르간이 존재하고 객석이 원형으로 둘러쌓여있다. 다만 오르간이 있는 객석은 단원석이기 때문에 대규모 교향곡 공연 등의 경우에는 일반인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 희극장 === || [[파일:1280px-NCPA_Theatre_(20201022191356).jpg|width=100%]] || || 무대 || 대극원 동측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까지 사용하는 공연장으로, 관객석의 경우 지하 1층 661석, 지상 1층 103석, 지상 2층 193의 총 957석이 존재하며 이름 그대로 음악 공연이 아닌 연극을 개최하는 곳이다. === 소극장 === || [[파일:201210141350183898.jpg|width=100%]] || || 무대 || 지하 2층에 존재하는 소형 극장이다. === 올리브청 === || [[파일:78350a38337f45e59f5ce889268357b7.jpg|width=100%]] || || 무대 || 지하 1층에 위치한, [[올리브나무]]가 존재하는 홀로, 일종의 로비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천장이 뚫려있고 에스컬레이터가 존재하여 1층의 위 극장들로 입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 꽃잎청 === || [[파일:fe4e448052d8493ab38cfb4c353b38b6.jpg|width=100%]] || || 무대 || 지상 5층, 즉 최고층에 존재한 공용공간으로, 이 곳에서 지상 1층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이름인 꽃잎청은 천장에 달린 꽃잎 모양의 구조물로 인해 붙은 명칭이다. == 교통 및 주변정보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톈안먼시역]] C번출구가 대극원과 연결되어있다. 상술한 대로 위치가 위치이다보니 [[인민대회당]]과 횡단보도 하나 사이 거리로 존재하며 정문쪽 지하보도를 넘으면 [[중난하이]]가 나온다. 그리고 걸어 갈 수 있는 거리에 [[자금성]], [[천안문 광장]], [[중국국가박물관]] 등의 주요 베이징시의 관광지들이 존재한다. 한국으로 치면 [[세종문화회관]]과 비슷한 지위에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