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중앙성청)] ---- ||<-2> {{{#FFF {{{+1 '''국가공안위원회'''}}}[br]国家公安委員会| National Public Safety Commission}}} || ||<-2> [[파일:국가공안위원회.svg|width=260]] || ||<:>{{{#fff '''약칭'''}}}||<(>NPSC|| || '''설립일''' ||[[1954년]] [[7월 1일]][* 신 경찰법 시행으로 신설.]|| || '''전신''' ||구 국가공안위원회[* 구 경찰법에 의거하는 행정기관.]|| || '''위원장'''[* 국가공안위원회의 위원장은 부흥대신과 마찬가지로 국무대신으로 보한다.] ||마쓰무라 요시후미 || || '''위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요코바타케 유스케[br]미야자키 미도리[br]안도 유코[br]오다 다카시[br]사쿠라이 케이코}}}|| ||<|2> '''소재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일본 국가공안위원회, 너비=100%)]}}} || ||[[도쿄도]] [[치요다구]] [[카스미가세키]] 2초메 1-2[br]{{{-1 (東京都千代田区霞が関二丁目1番2号)}}}|| || '''상급기관''' ||[[내각부]] {{{-2 (内閣府)}}}|| || '''산하 특별기관''' ||[[일본 경찰청|경찰청]] {{{-2 (警察庁)}}}|| || '''직원 수''' ||2,179명 {{{-1 (경찰관)}}}[br]932명 {{{-1 (황궁 호위관)}}}[br]4,884명 {{{-1 (직원)}}}|| || '''웹사이트''' ||[[https://www.npsc.g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국가의 공안에 관한 경찰운영을 주관하고 경찰교양, 경찰통신, 정보기술의 분석, 범죄감식, 범죄통계 및 경찰장비에 관한 사항을 총괄하며 경찰행정에 관한 조정을 함으로써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고 공공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는 것을 임무로 하고있다. > - 일본 경찰법 제5조 1항 국가공안위원회(国家公安委員会, National Public Safety Commission, 약칭: NPSC)는 [[내각부]] 소속 외국(外局)으로서 [[일본]]의 행정기관의 하나이다. 한국으로 치면 [[경찰국]]과 비슷한 역할이나, 행정안전부 소속의 관료제적 일개 국(局)인 경찰국과 달리 국가공안위원회는 [[내각부]]의 외국(外局)[* 한국의 외청에 상당한다.]으로서 합의제 [[위원회]]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경찰의 독립성과 중립성을 보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런 점에서는 오히려 [[국가경찰위원회]]가 국가공안위원회를 모델로 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국가공안위원회는 국무대신급의 위원장과 5명의 위원을 두어 총 6명의 임원을 두며 산하기관으로는 [[일본 경찰청|경찰청]](警察庁) 등을 둔다. 참고로 경찰청은 일본국 경찰법 제15조에 의하여 외국(外局)이 아닌 특별기관으로 분류된다.[*외국분류 내각설치법에 의하여 독임제의 외국은 청(庁), 합의제의 외국은 위원회(委員会) 등의 명칭이 붙는데, 이와 같은 명칭이 붙음에도 외국(外局)으로 분류되지 않는 기관은 [[법무성]](法務省) 특별기관인 검찰청(検察庁), [[내각]] 산하기관인 부흥청(復興庁),도쿄도의 자치경찰인 경시청(警視庁), [[내각부]] 금융청의 증권거래 등 감시위원회(証券取引等監視委員会) 등이 있다.] [[일본 경찰청|경찰청]]은 위원회를 서무·실무 보좌한다. 국가공안위원회는 [[경찰]]의 민주적 운영과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으로 공안경찰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 아니다. 일본 경찰법에 따르면 위원장의 임기는 1년이며 위원은 5년으로 규정되어 있다. 다만, 부칙 4항에 첫 임기를 수행하는 '한 위원마다 각각 임기가 1년, 2년, 3년, 4년, 5년으로 한다'라고 규정돼 위원들의 임기 시작과 종료가 모두 다르게 만들었다. == 역사 == [[1954년]] 이전에는 구 일본 경찰법에 의거하는 행정기관인 같은 이름의 구 국가공안위원회가 존재했었으나 신 일본 경찰법이 시행됨에 따라 신설된 것이 신 국가공안위원회이다. == 역대 위원장 == [include(틀:역대 일본 국가공안위원장)] == 산하 기관 == * [[일본 경찰청]] == 기타 == * 2022년에는 위원장 [[니노유 사토시]]가 [[통일교]]와 연관되어있다는 점이 밝혀져 일본에서 난리가 났다. 안그래도 [[도쿄 사린 테러]]로 사이비 종교가 치안의 문제라는 인식이 강한 일본인데, 치안을 직접적으로 담당하는 국가공안위원회의 장이 통일교의 지원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충격이 컸다. [[분류:일본의 국가행정조직]][[분류:공안부]][[분류:1954년 설립]][[분류:내각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