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행정조직)]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white 북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white 내각기관}}}]]'''[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북한 국장.svg|height=70]]||'''{{{+1 국가계획위원회[br]國家計劃委員會}}}[br]{{{-1 State Planning Commission}}}''' || }}} || || '''설립''' ||[[1948년]] [[9월 2일]] || || '''부총리[br]{{{-2 겸}}}[br]위원장''' ||박정근 || || '''상위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 || '''주소''' ||{{{#!wiki style="margin: -3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9.0447991%2c125.7515636,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bc0021; color: white" '''국가계획위원회 청사'''}}} {{{-2 ([[평양시]] [[모란봉구역]] 인흥1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내각기관. 한국의 옛 부처 중 하나인 [[기획예산처]]에 대응되는 기관으로[* 실제로 [[최고인민회의]] 예산위원회의 위원장은 국가계획위원회를 맡는 당 경제부장이 겸임한다.], 거시경제정책을 기획 및 수립하고 이에 대한 각 부서의 정책 이행을 지도, 감독하는 내각에 소속된 중앙행정기관이다. == 특징 == 북한 경제 자체를 소관하는 기관인만큼 내각의 행정기관 사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기관이다. 평양사회과학출판사가 발행한 《경제사전》에서는 "당과 국가의 경제정책을 집행하는 '작전국'이며, 전국적인 계획화사업을 맡는 '경제참모부'이다. 국가계획기관은 당의 노선과 정책에 기초하여 인민경제계획을 세우며, 그것을 성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지도, 통제한다. 우리나라에서 국가계획위원회는 국가계획기관이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1964년]] 도입된 '계획의 일원화' 원칙과 [[1965년]] 도입된 '계획의 세부화' 원칙에 의거, 조선로동당의 지침에 따른 국내 모든 분야의 계획에 관한 사업을 직접 책임지고 전문적으로 시행한다. 위원회의 경제계획 수립을 기점으로 전국의 모든 기업소, 공장까지 일원화된 체계로 하달되는 구조다. 또한 중앙행정기관의 모든 위원회와 성 및 성급부서들도 각자 계획담당 부서가 있는데 이 부서들이 작성한 모든 사업 계획들은 국가계획위원회로 보고되어 통제와 조정을 받는다. == 조직 == * 위원장 * 제1부위원장 * 부위원장 '''산업부문별 계획담당 부서''' * 계획종합 * 인민경제종합계획국 * 전망계획국 * 재정원가계획국 * 기준재정국 * 자재종합계획국 * 농업ㆍ경공업 * 농업계획국 * 수산계획국 * 경공업계획국 * 인민봉사계획국 * 광업ㆍ중공업 * 광업계획국 * 석탄공업계획국 * 금속공업계획국 * 기계공업계획국 * 전력공업계획국 * 화학공업계획국 * 발전소계획국 * 건설ㆍ건재 * 기본건설계획국 * 도시경영 및 국토계획국 * 건설시공계획국 * 건재임업계획국 * 125호자재계획국 * 무역ㆍ운수 * 무역계획국 * 대외경제계획국 * 운수계획국 * 연유계획국 * 과학교육계획국 * 노동계획국 == 역대 위원장 == ||<#0054a6> {{{#ffffff '''대수'''}}} ||<#0054a6> {{{#ffffff '''성명'''}}} ||<#0054a6> {{{#ffffff '''임기'''}}} ||<#0054a6> {{{#ffffff '''비고'''}}} || || 제1대 || [[정준택]] ||[[1948년]] [[9월 9일]] ~ [[1954년]] [[3월 23일]]||최고인민회의 1기 1차 회의에서 선출 || || 제2대 || [[박창옥]] ||[[1954년]] [[3월 23일]] ~ [[1956년]][[1월 4일]] ||내각 부수상 겸임[br]1954년 3월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임명[br]1955년 12월 상무위원회 확대회의에서 해임|| || 제3대 ||<|2> [[리종옥]] ||[[1956년]] [[1월 4일]] ~ [[1957년]] [[9월 18일]]||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제4대 ||[[1957년]] [[9월 18일]] ~ [[1959년]] [[7월 1일]] ||최고인민회의 2기 1차 회의에서 재선 || || 제5대 || [[림계철]] ||[[1959년]] [[7월 1일]] ~ [[1960년]] [[12월 27일]]||재임 중 이임 (경공업위원회 위원장) || || 제6대 ||<|3> [[정준택]] ||[[1960년]] [[12월 27일]] ~ [[1962년]] [[10월 22일]]||내각 부수상 겸임[br]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제7대 ||[[1962년]] [[10월 22일]] ~ [[1967년]] [[12월 16일]]||최고인민회의 3기 1차 회의에서 재선|| || 제8대 ||[[1967년]] [[12월 16일]] ~ [[1969년]] [[9월 2일]]||최고인민회의 4기 1차 회의에서 재선|| || 제9대 || [[윤기복]] ||[[1969년]] [[9월 2일]] ~ [[1972년]] [[12월 27일]]||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제10대 || [[최재우(북한)|최재우]] ||[[1972년]] [[12월 27일]] ~ [[1973년]] [[9월 20일]]||최고인민회의 5기 1차 회의에서 선출|| || 제11대 || [[홍성남]] ||[[1973년]] [[9월 20일]] ~ 1977년 ||정무원 부총리 겸임[br]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임명|| || 제12대 || [[홍성룡(북한)|홍성룡]] ||[[1977년]] [[12월 25일]] ~ 1979년 11월||제6기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 || || 제13대 || [[로태석]] ||1979년 11월 ~ [[1979년]] [[12월 31일]]||재임 중 사망 (교통사고) || || 제14대 || [[공진태]] || 1980년 ~ 1982년 || || || 제15대 || [[홍성룡(북한)|홍성룡]] ||[[1982년]] [[4월 5일]] ~ [[1986년]] [[2월 4일]]||제7기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 || || 제16대 || [[홍성남]] ||[[1986년]] [[2월 4일]] ~ [[1986년]] [[12월 29일]]||당정연합회에서 임명 || || 제17대 || [[박남기]] ||[[1986년]] [[12월 29일]] ~ [[1987년]] [[10월 14일]]||제8기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 || || 제18대 || [[홍성남]] ||[[1987년]] [[10월 14일]] ~ [[1988년]] [[2월 13일]]||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 제19대 || [[김달현(1941)|김달현]]||[[1988년]] [[2월 13일]] ~ [[1988년]] [[6월 2일]]|| || || 제20대 || [[홍성남]] ||[[1988년]] [[6월 2일]] ~ [[1990년]] [[5월 24일]]|| || || 제21대 || [[최영림]] ||[[1990년]] [[5월 24일]] ~ [[1992년]] [[12월 11일]]||제9기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 || || 제22대 || [[김달현(1941)|김달현]] ||[[1992년]] [[12월 11일]] ~ [[1993년]] [[12월 7일]]||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 제23대 || [[홍석형]] ||[[1993년]] [[12월 7일]] ~ [[1998년]] [[9월 5일]]||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 제24대 || [[박남기]] ||[[1998년]] [[9월 5일]] ~ [[2003년]] [[9월 3일]]||제10기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 || || 제25대 || [[김광린]] ||[[2003년]] [[9월 3일]] ~ [[2009년]] [[4월 9일]]||제11기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 || || 제26대 ||<|3> [[로두철]] ||[[2009년]] [[4월 9일]] ~ [[2014년]] [[4월 9일]]||제12기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 || || 제27대 ||[[2014년]] [[4월 9일]] ~ [[2019년]] [[4월 11일]]||제13기 최고인민회의에서 재선 || || 제28대 ||[[2019년]] [[4월 11일]] ~ [[2019년]] [[12월 31일]]||제14기 최고인민회의에서 삼선 || || 제29대 || [[김일철(테크노크라트)|김일철]] ||[[2019년]] [[12월 31일]] ~ [[2021년]] [[1월 17일]]||제7기 5차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임명 || || 제30대 || [[박정근(북한)|박정근]] ||[[2021년]] [[1월 17일]] ~ ''현재'' ||제14기 최고인민회의 제4차 회의에서 선출 || == 둘러보기 == [include(틀:북한의 공공청사)] [[분류:1948년 설립]][[분류:북한의 경제]][[분류:북한의 정치]][[분류:북한의 국가행정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