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구획증후군}}}[br]Compartment Syndrome}}}''' || || '''{{{#fff 이명}}}''' ||칸증후군 || || '''{{{#fff 국제질병분류기호[br]{{{-1 (ICD-10)}}}}}}''' ||[[https://icd.who.int/browse10/2016/en#/M62.2|M62.2]][* [[외상]]이 없는 경우.], [[https://icd.who.int/browse10/2016/en#/T79.6|T79.6]][* 외상으로 인해 생긴 경우.] || || '''{{{#fff 의학주제표목[br]{{{-1 (MeSH)}}}}}}''' ||[[https://id.nlm.nih.gov/mesh/D003161.html|D003161]] || || '''{{{#fff 관련 증상}}}''' ||[[무맥]], [[창백]], 환부 통증, [[마비]] || || '''{{{#fff 관련 질병}}}''' ||[[피부근육염]], [[대퇴 골절]], [[경골]]과 [[비골]]의 [[골절]], 원위 [[요골]]과 [[척골]]의 [[골절]], [[감염성 근육염]], [[동상]]. [[병리적 골절]], [[자간증]], [[자간전증]], [[혈우병]], [[팔죽지 골절]]|| ##위 우측 상단 표는 대부분의 질병에서 양식이 통일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표의 구성을 달리 하거나 항목을 추가하셔도 됩니다. ## 조사하여 작성중입니다. 문서 삭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목차] [clearfix] == 개요 == {{{+1 Compartment syndrome / [[區]][[劃]][[症]][[候]][[群]] }}} [[팔]]이나 [[다리(신체)|다리]]의 근막이나 뼈사이막 등으로 나누어진 부분들을 구획(compartment)이라고 한다. 이 구획의 내부 압력이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그 구획 내에 있는 모든 근육, 관절 등의 조직의 혈액과 림프순환이 느려지며 병적 증상이 발생하며, 이를 구획증후군 또는 칸증후군이라고 부른다. 급성과 만성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 증상 및 원인 == 다양한 이유로 구획 내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염증]]으로 인해 [[삼출]]이 일어나거나, 그로 인해 [[부종]]이 발생해 구획 내에 조직액이 차오르는 경우, [[외상]]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구획 내에 혈액이나 조직액이 차오르면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이러면 압력이 증가한 칸 내부로의 림프와 혈액 흐름이 멈추어 [[괴사]]를 일으킬 수 있다. [[말초동맥폐색]]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통증]](Pain) * [[창백]](Pallor) * [[무맥박]](Pulselessness) * 감각이상(Paresthesia) * [[마비]](Paralysis) == 진단과 검사 == == 치료와 예방 == 근육의 괴사를 막기 위해 위급한 경우 각각의 구획을 나누고 있는 단단한 근막을 근막절개술(fasciotomy)로 잘라내어, 안에 꽉 찬 액체를 빼내 내부 압력을 낮춰야 한다. 혈관이 파열된 경우 혈관의 재건 역시 같이 실시한다. 정형외과에서는 응급으로 간주되는 질환이기에 최대한 빨리 시행해야 한다. 안 그러면 영향을 받은 영역의 조직이 [[괴사]]되어 최악의 경우 괴사 부위 전체를 절단해야 할 수 있다. 무거운 것에 깔린 사고를 당한 사람들 중 몇몇은 깔린 부위를 절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 중 하나가 이것이다. == 경과와 합병증 == == 사례 == 배우 [[문근영]]이 급성 구획증후군을 앓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9010301754|#]] [[분류:증후군]][[분류:근골격계 관련 질환 및 증상]][[분류: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