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BlastSphere-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스피아 붐 시한폭탄'''[* SBS 방영 당시의 표기. 읽는 건 뒤를 생략하고 그냥 스피아 붐으로 읽었다.]|| || 일어판 명칭 ||<-4>'''スフィア・ボム [ruby(球体時限爆弾, ruby=きゅうたいじげんばくだん)]'''|| || 영어판 명칭 ||<-4>'''Blast Sphere'''||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원작 코믹스에서는 따로 표기되지 않았다.] || 어둠 || 기계족 || 2900 || 1400[* 원작 코믹스에서는 따로 표기되지 않았다.] || ||<-5>적 몬스터의 몸에 부착하여 1턴 후에 폭발한다.|| 원작 [[듀얼리스트 킹덤]] 준결승전에서 [[밴디트 키스]]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사용. 여기서는 공격력 2900에 상대 몬스터에게 장착되어 1턴후에 폭발해 장착된 몬스터와의 공격력 '''차이'''만큼 대미지를 주는 효과였다. [[메탈 붉은 눈의 흑룡]]에 장착되어 데미지를 주려고 했으나, 죠노우치가 폭파 직전에 [[암룡족의 발톱]]으로 공격력을 올려버리는 바람에 역으로 키스만 대미지를 입었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BlastSphere-DM3-JP-VG.png]] || 한글판 명칭 ||<-4>'''구체 시한폭탄'''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スフィア・ボ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까지)[br]'''スフィア・ボム [ruby(球体時限爆弾, ruby=きゅうたいじげんばくだん)]'''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5 익스퍼트 1]] 이후)|| || 영어판 명칭 ||<-4>'''Blast Sphere'''||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5.] || 화염마족 || 기계족 || 1400 || 1400 || ||<-5>금속제의 구체 폭탄. 굉장한 폭발로 상대를 쓰러뜨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 주위 3×3칸 범위내의 모든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를 보유했다. 비슷한 효과를 가진 몬스터로 [[미스터 폭탄]]이 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スフィア・ボム 球体時限爆弾.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구체 시한폭탄, 일어판명칭=スフィア・ボム 球体時限爆弾(きゅうたいじげんばくだん), 영어판명칭=Blast Sphere,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400, 수비력=1400, 효과1=①: 뒷면 수비 표시의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에게 공격받은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장착 카드 취급하여 그 공격 몬스터에게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장착한 다음의 상대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장착 몬스터를 파괴하고\, 그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5>{{{#!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금속제 구체 시한폭탄. 한 번 부착하면 해제하기 어렵고, 시간이 다 되면 폭탄이 부착된 상대를 엄청난 폭발로 날려버린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리미티드 에디션]] 2 밴디트 키스 팩에 수록 된 효과 몬스터 카드. 뒷면 수비 표시의 자신을 공격한 상대 몬스터의 장착 카드가 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다음 상대의 스텐바이 페이즈에 장착 몬스터를 파괴하고, 상대 LP에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효과 데미지를 주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정확히는 장착 마법 취급인 상태에서 발생하는 효과의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①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에 의해 뒷면 수비 표시 상태에서는 데미지 계산을 실행하지 않고 장착 카드가 된다. 리버스 후의 타이밍에 발동하며, 효과 발동시에는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효과이다. 따라서 이 발동을 [[어둠의 환영]] 등으로 무효로 할 수는 없다. 마법 & 함정 존에 카드가 꽉 차있을 경우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는 발동해도 장착 카드가 되는 효과는 불발이 되어 파괴된다. 이 경우에도 데미지 계산은 실행하지 않는다. 알맞는 장착 대상은 공격해온 몬스터이므로, [[힘의 집약]] 등으로 다른 몬스터에 옮기려 하면 장착 대상 부적격이 되어 그대로 파괴된다. 장착 카드가 된 후에는 대상을 계속 지정하게 되어 [[영혼을 깎는 사령]]에 장착한 경우, 결과적으로 즉시 파괴된다. 관통 데미지 효과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지만, [[빛의 봉인검]], [[성스러운 빛]] 등의 표시 형식을 강제하는 카드 앞에서 약해진다. 또한, 몬스터 제거가 넘쳐나는 현 환경에서는 전투를 실행하기 전에 묘지로 보내지는 경우가 많아 안정성은 낮다. 될 수 있으면 장착하고자 하는 높은 공격력 몬스터 중에서는, 상대 몬스터를 제거하는 [[기동효과]],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겸비한 몬스터도 많아 결정적인 순간에 도움이 안 되는 케이스가 빈번하다. ②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에 의해 ①의 효과로 장착 카드가 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파괴와 번 효과를 실행하며, 높은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일 수록 줄 수 있는 데미지 양도 비례하게 된다. 발동 타이밍이 '다음 상대 스텐바이 페이즈'이라서 바로 다음 상대 턴에 자폭하는 샘이기 때문에 생각만큼 느리지 않지만, 발동하기 전에 상대가 이를 알고도 이 카드의 장착 몬스터와 장착 카드 취급 상태인 이 카드 2장이 계속 유지할리가 없을 것이다. ②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자면 장착 마법으로서 취급된 상태이므로, 몬스터 효과의 발동만 반응하는 [[천벌(유희왕)|천벌]]을 발동할 수 없다. 파괴 효과로서 발동하므로 이 효과는 [[머티리얼 드래곤]] 등으로 무효화되며, 파괴와 데미지는 동시 취급, 그리고 번 효과라서 체인하여 [[통혼의 주술]]을 발동할수 있다(이상은 전부 2009년 3월 10일 재정). 대신 효과의 발동이라 [[지옥문 저편의 총]]은 발동 불가(2013년 9월 28일 재정). 가령 [[새크리파이스(유희왕)|새크리파이스]] 등으로 인해 이 카드의 본래 효과 이외의 방법으로 장착 카드가 되었을 때는 이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 이 카드의 창착 몬스터에 관해서 설명하자면, 배틀 페이즈 종료 후에 릴리스, 각종 소재로 사라지면 제거는 성립하지 않게 된다. 뒤집어 말하자면 이에 맞지 않는 몬스터들에게 효과를 발휘하기 쉬워진다. 또한 자발적으로 필드에서 벗어나는 [[스피릿(유희왕)|스피릿]] 몬스터는 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상대 몬스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다음 자신의 턴에 반격의 수단을 늦출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결점은 [[비트 다운]] 덱에서는 치명적이다. 장착 카드 취급인 이 카드에 관해서 설명하자면, 장착 카드 상태인 몬스터는 장착 마법으로 취급되므로, 마법 / 함정 제거 계열이나 [[달의 서]] 등의 효과로 인해 대처될 가능성이 늘어난다. ①의 효과로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몬스터의 효과에 내성이 없는 몬스터에 장착할 수 있다 해도, 그 몬스터가 대상을 지정하는 마법 카드를 무력화하는 몬스터라면 결국 막혀버린다. 유지하고 있는 사이 [[저승사자 고즈]] 등 자신 필드의 상태를 참조하는 효과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일단 세트 카드를 공격한 상대를 짜증나게 해주기엔 딱 좋은 카드. 자기 몬스터를 지키려면 일단 위의 수단을 써야만 하기에 [[싸이크론]] 같은 고성능 카드를 소비하게 만들 수도 있다. 이렇게 효과 자체는 자신이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에라타 이전의 [[파괴륜]]조차 능가하지만, 능동적으로 쓰기 힘든 점이 많다. 폭발하여 데미지를 주는데 실패하더라도 일단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화할 수 있으며, 폭발에 성공까지 하면 대박으로, 상대의 라이프를 깎는 것이 특기인 월 번 계열의 덱이라면 '상대의 공격을 저지 + 상대에게 효과 데미지'란 점에서 특히 채용할 만하다. 그 외에 레벨 4, [[기계족]], 어둠 속성이라서 [[블랙 봄버]]로 소생시켜 싱크로 소재 등으로 재활용할 수도 있고, 어둠 속성의 여러 서치/지원 카드도 쓸 수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능동적인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는 카드가 우선시된다. 최소한 장착 몬스터를 각종 소재로 하는 대항책으로서 특수 소환을 봉쇄하는 카드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능력치는 [[킬러 토마토(유희왕)|킬러 토마토]] 등으로 [[리크루트]]해오기 딱 좋은 수치지만 뒷면 수비 표시로 세트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으므로 리크루트해올 일은 없을 듯. 불러와서 달의 서로 뒤집으면 된다고 쳐도 그럴만한 가치까지 있을지는... [[크리터(유희왕)|크리터]]로 서치하는게 그나마 좀 나을듯. 한국에선 [[익스팬션 팩]] 1에서 나온다. [[머시너즈의 지령]]에서 복각되었다. 비슷한 카드로 [[정신 기생체]], 순간접착 폭탄이 있다. == 관련 카드 == === 순간접착 폭탄 === [[파일:external/www.jesus4-25.com/0589.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순간접착 폭탄, 일어판명칭=瞬着(しゅんちゃく)ボマー, 영어판명칭=Adhesive Explosive,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바람, 종족=기계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1=뒷면 수비 표시의 이 카드를 상대 몬스터가 공격했을 경우\, 데미지 계산을 실행하지 않고 이 카드는 공격 몬스터의 장착 카드가 된다. 다음 상대 턴의 스텐바이 페이즈시\, 그 장착 몬스터를 파괴한다.)] 구체 시한폭탄의 하위 호환. 구체 시한폭탄도 채용을 고민하는데 이놈을 채용할 가능성은 0에 가깝다. 참고로 이 카드는 4기 시절인 [[무한의 그림자]]에서 나온다. 즉 하위 호환 주제에 2기 시절에 나왔던 구체 시한폭탄 보다 한참 나중에 나온 것 이다. 리미티드 에디션을 지금 구하긴 힘드니 대체품으로 쓰라고 만들어진 카드 같긴한데 상술했듯 구체 시한폭탄이 [[머시너즈의 지령]]에서 복각되어서 대체품을 쓸 필요가 전혀 없어졌다. === [[TM-1 런처 스파이더|BM-4 폭탄 스파이더]] === 일러스트에서 구체 시한폭탄을 발사하는 몬스터. [[분류:유희왕/OCG/기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