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만 참모총장)] ||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대만 육군사령)]}}}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6600, #ff6600 20%, #ff6600 80%, #ff6600)" '''[[합동참모의장|{{{#FFF 중화민국 제2대 참모총장}}}]][br]{{{#FFF {{{+1 顧祝同}}}[br]구주퉁 | Gu Zhuto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촉동.jpg|width=100%]]}}} || ||<|2> '''출생''' ||[[1893년]] [[1월 9일]] || ||[[청나라]] [[강소성]] 연수현 || ||<|2> '''사망''' ||[[1987년]] [[1월 17일]] (향년 94세) || ||[[중화민국]] [[타이베이]] || || '''국적''' ||[[청나라]] [[파일:청나라 국기.svg|width=28]] [br] → [[중화민국/북양정부|중화민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width=28]] [br] → [[중화민국]] [[파일:대만 국기.svg|width=28]] || || '''학력''' ||장쑤육군소학 {{{-2 (졸업)}}}[br]무창무비군관학교 {{{-2 (졸업)}}} || ||<|8> '''재임기간''' ||제3대 장쑤성정부 주석 || ||[[1931년]] [[12월 15일]] ~ [[1933년]] [[10월 3일]] || ||제7대 구이저우성정부 주석 || ||[[1936년]] [[8월 2일]] ~ [[1937년]] [[11월 20일]] || ||제5대 장쑤성정부 주석 || ||[[1937년]] [[11월 26일]] ~ [[1939년]] [[10월 13일]] || ||국방부장 대리 || ||[[1950년]] [[1월 26일]] ~ [[1950년]] [[3월 10일]] || || '''경력''' ||[[국방부차관|군정부 정무차관]][br][[무임소장관|행정원 정무위원]][br][[중국국민당]] 중앙집행위원[br][[중국국민당]] 중앙평의위원[br]국방회의 비서장[br]총통부 전략고문[br]중국공맹학회 명예이사장[br]타이베이장쑤향우회 명예이사장[br][[중국국민당]] 중앙평의위원회 주석 || || '''최종 당적''' ||[include(틀:중국 국민당)] || ||<-2> '''군사 경력''' || || '''임관''' ||바오딩육군군관학교 {{{-2 (보병과 / 6기)}}} || ||<|2> '''복무''' ||중화민국 육군 || ||[[1919년]] ~ [[1950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1급상장]] {{{-2 (중화민국 육군)}}} || || '''주요 보직''' ||제1집단군 제1군단 제9군장[br]제1집단군 제1군단 제1군장[br]제24집단군총사령[br][[육군참모총장|육군총사령]][br]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화민국의 군인. [[국민혁명]], [[반장전쟁]], [[초공작전]], [[중일전쟁]]에서 활약했으며 중화민국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 생애 == === 초기 이력 === 1893년 강소성 연수현에서 지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1년 강소육군소학에 진학하였는데 그해 10월 [[무창봉기]]가 발생하자 학교를 빠져나가 혁명군 반장이 되었다. 1912년 [[중화민국]]이 건국되자 동맹회가 정당으로 개조된 국민당에 가입하였고 강소육군 제9사단 제36단 반장에 임관했다. 7월, 강소육군소학에 복학하여 1913년 졸업하였다. 그해 난징위수부 참모에 부임하였고 무창무비군관학교에 들어가 1916년에 졸업했다. 1917년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6기 보병과에 압학하여 1919년 졸업하였다. 1922년 월군 2군 참모에 임관했으며 1924년 6월 황포군관학교 교관이 되었다. 그곳에서 전술교관과 관리부 주임을 겸하였고 1925년 [[국민당의 1차 동정]]에 교도 2단 영장으로 참가하였다. 1926년 7월 [[국민당의 1차 북벌]]이 거행되자 3사단 부사단장으로 참가하였고 9월에 9군 군장으로 승진했다 [[국민당의 2차 북벌]]이 일어나자 제1집단군 산하 1군단 산하 9군장으로 참전했고 베이징까지 함락된 후 [[편견회의]]가 개최되자 편견 2사단장에 임명되었다. 11월, 강소성 정부위원에 임명되었고 1군 군장으로 승진했다. === [[반장전쟁]]과 [[초공작전]] === [[반장전쟁]]이 일어나자 [[장제스]] 측으로 참전하였고 1930년 강소성 정부위원에서 물러나 뤄양행영 주임에 임명되었다. [[중원대전]]에서 [[슝스후이]], [[웨이리황]], 유치, [[장즈중]] 등과 함께 [[펑위샹]]의 부하 [[쑨롄중]]을 크게 격파했으며 [[1차 양광사변]]이 벌어지자 1931년 6월, 국민정부 경위군 군장에 임명되었다. 11월, 국민당 제4차 전국대표대회가 열리자 중앙집행위원에 선출되었고 12월 강소성 정부주석에 임명되었다. 1932년 6월, 송호전구선후경위원장에 임명되었고 1933년 10월 강소성 정부주석에서 물러나 [[장시성|감]][[광둥성|월]][[후난성|상]][[푸젠성|민]][[후베이성|악]] 오성초비군 북로군 총사령에 임명하여 [[제5차 초공작전]]에 투입되었다. 이때 주공을 맡아 공산군을 크게 격파했다. [[복건사변]]이 일어나자 잠시 장제스를 대행하여 초공작전을 지휘하였고 1934년 1월 군정부 정무차장에 임명되었으며 강서성 수정주임에 임명되었다. 1935년 4월, 육군 이급상장으로 진급했고 11월 군사위원회 위원장 행영 주임에 임명되었고 국민당 제5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에 당선되었다. 1936년 8월 귀주성 정부주석에 임명되었고 12월에 [[서안 사건]]이 일어난 후 [[양후청]]을 대신하여 서안 행영주임에 임명되었다. 1937년 1월, 국공담판이 벌어지자 하충한, 장충 등과 함께 국민당 대표로 임명되어 3월까지 서안에서 공산당 대표 [[저우언라이]], [[예젠잉]], 진방헌과 회담하였다. === 중일전쟁 ===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3전구 부사령장관에 임명되었으며 10월 5집단군 총사령을 겸하였다. 11월, 강소상정부주석을 겸하였다. 일본에 대한 강경파였으나 일본이 삽시간에 화북을 휩쓸고 상하이까지 밀어닥치자 장제스에게 [[트라우트만 공작]]을 받아들일 것을 진언하였으나 장제스는 이를 거부하였다. 12월, 3전구 사령장관이 되었다. 1939년에 열린 1차 남악 군사회의에서 연강거점을 유지하고 일본군의 수송함선을 타격하여 일본군의 보급선을 교란하라는 지령을 받았다. 1939년, 장제스가 하달한 [[1939년 동계공세작전]]에 주공을 맡아 12월부터 장강 하류의 일본군 13군을 타격했고 난창, 항저우를 총공격했다. 이 전투로 일본군 116사단을 격퇴하고 장강 하류의 여러 요충지들을 함락시킬 수 있었으며 116사단의 반격도 격퇴했다. 또한 10집단군을 추가로 동원하여 항저우의 일본군 보급기지와 중화민국 유신정부 청사를 파괴했다. 이후 1940년 4월까지 점령지에서 버텼으나 일본군 2개 사단의 반격으로 퇴각했다. 이후 장제스로부터 1940년 2월의 류저우 군사회의에서 14개 사단을 가지고 1개 사단을 가지고도 퇴각한다고 크게 비판받았다. 이후 공산당 [[신사군]]이 3전구 관할지역에서 국민당에 정면도전하면서 명령에 불복종하자 1941년 1월, [[환남사변]]을 일으켜 이들을 모조리 섬멸했다. 1942년, 지나 파견군 사령관 [[하타 슌로쿠]]가 [[둘리틀 특공대]]의 도쿄 공습에 보복하기 위해 지휘한 절공작전에 직면하여 일본군 8개 사단의 맹공을 받고 막심한 피해를 입었다. 1945년 5월에 개최된 국민당 제6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에 재선되었다. === [[국공내전]] === 1945년 12월, 쉬저우 수정공서 주임에 임명되었으며 1946년 5월 육군총사령에 임명되었다. 9월, 정저우 수정공서 주임을 겸임하였다. 1948년 5월 국민정부 참모본부 참모총장에 임명되었고 11월, 중앙훈련단 부단장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1949년, 공산군의 공격이 거세지자 항저우로 퇴각하였으며 다시 육군총사령에 임명되었다. 10월, 장제스의 명령에 따라 충칭으로 이동하여 서남군정장관공서 장관에 임명되어 공산군과 교전하였고 하이난에서 공산군과 싸웠으나 끝내 패했다. 1950년 1월 26일, [[행정원장]] 겸 국방장관 옌시산이 국방장관직을 사임하자 국방장관 대행으로 임명되었다. 3월 7일 [[천청]] 내각이 정식으로 출범하고 유대유가 국방장관에 임명되면서 물러났으며 참모총장에 공군사령관 주지유가 임명되면서 참모총장에서도 물러나게 되었다. 1950년 3월, 타이완 밖에서 더 이상 지킬 땅이 없어지자 타이완으로 건너갔다. 타이완에서 총통부 전략고문 위원회 부주임에 임명되었으며 1954년 1급 상장으로 진급했다. 1959년 국방회의 비서장을 맡았다. 1967년 전략위원회 부주임에 재선되었고 1972년 총통부 전략고문에 임명되었다. 또한 국민당 중앙집행위원에 재선되었으며 중앙 평의회 위원 주석단 주석에 선출되었다. 1987년 1월 17일, 타이베이에서 향년 94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 매체에서 == [[파일:건국대업고촉동.jpg]] [[건국대업]]에서 중국배우 호군이 분했다. 왼쪽의 인물은 [[리쭝런]]. [[호이4]]에서 중화민국 육군 장성으로 등장한다. 1.5 패치 이후로 추가된 인물. [[https://g-cbox.pstatic.net/20210101_89/1609431417867wbo6k_JPEG/%C7%B3%BD%AC%B9%FC_3.jpg]] 팔백장사에서 홍콩배우 풍쉬범이 연기했다. == 주요경력 == ||<-6> '''[[대만 국방부|{{{#white 중화민국 역대 국방장관}}}]]''' || ||<-8> [[파일:대만 국방부 엠블럼.svg|width=200]] || || 5대 || {{{+1 → }}} || 대행 || {{{+1 → }}} || 6대 || || [[옌시산]] || {{{+1 → }}} || 구주퉁 [br] ([[1950년]] [[1월 26일]] ~ [[1950년]] [[3월 7일]]) || {{{+1 → }}} || [[유대유]] || == 참고문헌 == * 민국인물대사전, 하북인민출판사. * 신승하, 당대중국, 대명출판사. * 신승하. 중화민국과 공산혁명, 대명출판사. * 기세찬, 중일전쟁과 중국의 대일군사전략(1937~1945), 경인문화사. * 권성욱, 중일전쟁 '용,사무라이를 꺾다', 미지북스. * 서문당 편집실, 다큐멘터리 중국 현대사 2권, 서문당. * 나가노 히로무, 서안사변, 일월서각. * 이건일, 군벌, 도서출판삼화. [[분류:대만 국방부장]][[분류:국민혁명군/군인]][[분류:1893년 출생]][[분류:1987년 사망]][[분류:장쑤성 출신 인물]][[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