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 [include(틀:일제강점기 교육기관)] 舊制中學校 / 旧制中学校 (きゅうせいちゅうがっこう) [목차] == 개요 == [[일본 제국]]의 영토에 설치되어 있던 5년제 [[중등교육기관]]을 말한다. 오늘날의(新制)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합쳐놓은 과정에 해당하며, 중등교육학교라고 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합쳐 6년 과정으로 운영되는 곳이 있는데([[https://ja.wikipedia.org/wiki/%E6%9D%B1%E4%BA%AC%E9%83%BD%E7%AB%8B%E6%A1%9C%E4%BF%AE%E9%A4%A8%E4%B8%AD%E7%AD%89%E6%95%99%E8%82%B2%E5%AD%A6%E6%A0%A1|예시]]) 바로 구제중학교의 체계와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입학 자격은 1907년 의무교육 연장 조치로서 수학기간이 6년으로 연장된 [[소학교]] 과정을 졸업하고 연령이 12세 이상인 사람이었다. 중학교 5년 과정을 졸업하면 [[구제고등학교]],[* 1919년 제2차 [[고등학교령]] 시행 후에는 중학교 4년 수료 이후부터 입학시험 응시가능.] [[대학예과]], [[구제대학]] [[부속전문부]], [[고등사범학교]], [[구제전문학교]], [[일본육군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 [[해군병학교]] 등 [[고등교육기관]]에 진학할 수 있었다. 패전 후 연합군 최고사령부 점령 통치 시기의 학제 개혁 과정에서 중등전기교육을 담당하는 신제(新制) 중학교(3년 과정)와 중등후기교육을 담당하는 신제(新制) 고등학교(3년 과정)로 분리되었다. 구제 [[경기중학교]] → 경기중학교·[[경기고등학교]], 구제 카이세이중학교 → 신제 [[카이세이 중학교 · 고등학교]]와 같이 개편 분할되었다. 구제중학교 이상 단계에는 남녀공학이 없었으므로, 중학교는 전부 남학교였고 여학교는 [[구제고등여학교|고등여학교]]라 지칭했으며, 조선인 학교로[* 정확하게는 '일본어를 상용하지 않는 자'를 대상으로 한 학교로, 조선인이라도 일본어가 모어 수준으로 능숙한 경우에는 [[보통학교]]-[[고등보통학교]] 코스가 아니라 일본인과 동일하게 [[소학교]]-[[심상중학교]]로 진학할 수 있었다.] [[고등보통학교]](남학교)-[[여자고등보통학교]](여학교)가 있었다. 이와 함께 [[중등교육기관]]에 속하는 학교로 [[실업학교]](공업학교, 농림학교, 상업학교, 수산학교 등)가 있었다. [[구제고등학교]]와 함께 당시 일본의 교육 제도가 미국식 12학년제가 아닌 유럽의 6-5-3-4 학제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다이쇼]] 시대에 진학 희망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일제는 수학 연한을 단축을 시도했다. 세부적으로는 중학교(5년)와 고등학교(3년)를 합친 7년제 고등학교(심상과 4년, 고등과 3년)를 만들어 중학교 과정에서 1년을 절약하려 했으나([[https://www.mext.go.jp/b_menu/hakusho/html/others/detail/1317651.htm|참조]]), 기존 3년제 [[구제고등학교]]가 계속 표준으로 남았고 구제고교 입학생의 소수(10% 가량)만 중학교 4년 수료 후 합격하는 등 해당 시도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며 1930년대에 들어서면 7년제 고교들도 심상과를 폐지하고 3년제로 이행하며 완전히 실패하였다. 또 1937년 [[중일전쟁]] 개전 후 일제 말기로 접어든 1941년 [[국민학교]]령이 공포되며 초등교육 6년을 마친 후 국민학교 고등과(2년제)가 설치되었으나 1945년 종전시까지 실제로는 6-5-3-4 형태가 보편적이었다.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choolSystemJapan.jpg|2차대전 이전의 일본 교육과정 도표(일본어)]] 참조. == 상세 == 당시 조선반도에는 전국 각지의 거점 도시지역에 일본인을 위한 중학교가 설립되었으며(대표적인 예가 경성중학교(현 [[서울고등학교]]), 대구중학교(현 [[대구중학교]]), 광주중학교(현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등학교]])[* 유명한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시작은 광주중학교 일본인 학생들의 조선인 여학생 희롱에 대한 [[광주고등보통학교]](현 [[광주제일고등학교]]) 조선인 학생들의 항의에서 비롯된 패싸움이었다.] 조선인에게는 입학이 허락되지 않았고 대신 격을 낮춘 [[고등보통학교]]를 세워 입학시켰다. 당시 [[중앙고등학교|중앙]], [[휘문고등학교|휘문]], [[양정고등학교(서울)|양정]],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 등의 사립학교들도 마찬가지로 중학교로 인정되지 못하고 고등보통학교 체제로 운영되다가, 1938년 <조선교육령>이 개정되면서 이른바 <[[내선일체]]>를 취지로 전국의 고등보통학교를 중학교화 하였다. 해방 후인 1946년 군정청하에서 6년제 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 학제 개혁으로 각각 3학년의 신제중학교와 신제고등학교로 분리 개편되었다. 당시 과목은 1, 2학년 때 수신, 국어 및 한문, 외국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역사, 지리, 수학, 박물, 도화, 창가, 체조 10과목이었고, 3학년에서 창가가 빠지는 대신 물리 및 화학이 추가되고 4학년에는 실업이 추가돼 11과목이었다가 5학년에서 박물이 빠지고 법제와 경제가 추가되었다. 당시의 박물은 현재의 생명과학과 지구과학이었다. 조선어는 수의과목[* 수의과목이란 학생들에게 가르쳐도 좋고 안 가르쳐도 좋다는 과목이다. 일종의 선택과목인 것이다.]이었다. == 목록 == '공립'이란 단어가 없으면 [[사립학교]]이다. 고보였던 학교는 #표시. 목록출처는 [[https://ja.wikipedia.org/wiki/%E6%97%A7%E5%88%B6%E4%B8%AD%E7%AD%89%E6%95%99%E8%82%B2%E5%AD%A6%E6%A0%A1%E3%81%AE%E4%B8%80%E8%A6%A7_(%E6%97%A5%E6%9C%AC%E7%B5%B1%E6%B2%BB%E6%99%82%E4%BB%A3%E3%81%AE%E6%9C%9D%E9%AE%AE)|일어위백]]. === [[경기도]] === * [[경기고등학교|경기공립중학교]] # 대한제국 칙령 제11호로 중학교 심상과 4년, 고등과 3년 관제공포 (1899) → 신학제에 의하여 관립한성중학교 심상과[* 수업연한 7년이나 4년간 심상과]를 현 종로구 화동 1번지에[* 현 [[서울특별시교육청 정독도서관]]] 창설 → 관립한성고등학교로 개칭 (1906) → 경성고등보통학교(1911년 개교) →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로 개칭(1921년[* 제2고등보통학교(현 [[경복고등학교]])가 생겼기 때문이다.]) → 경기공립중학교 (1938년) → 경기중학교&[[경기고등학교]]로 분리(1951년) → 경기중학교 폐교(1971년[*A 중학교 평준화의 일환으로 명문중학교 폐쇄조치]) * [[서울고등학교|경성공립중학교]] * [[용산고등학교|용산공립중학교]] * 경성성동공립중학교 * 인천공립중학교: 現 [[인천중학교]], [[제물포고등학교]]. 인천중학교는 1972년 폐교되었다가 2001년 재개교하였다. * [[경복고등학교|경복공립중학교]]# * [[경동고등학교|경성욱구공립중학교]] * 개성공립중학교 * [[양정고등학교(서울)|양정중학교]]# * [[배재고등학교|배재중학교]]# *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중학교]]# * [[휘문고등학교|휘문중학교]]# * [[중앙고등학교|중앙중학교]]# * [[송도고등학교|송도중학교]]#: 現 [[송도중학교(인천)|송도중학교]]·[[송도고등학교]]. 이 당시에는 [[개성부]]에 있었다. * [[성남고등학교(서울)|성남중학교]]# === [[강원도]] === * [[춘천고등학교|춘천공립중학교]]# * 철원공립중학교 * 금강공립중학교 === [[충청북도]] === * [[청주고등학교|청주제1공립중학교]]# * 청주제2공립중학교 * [[충주고등학교|충주공립중학교]] === [[충청남도]] === * [[대전고등학교|대전공립중학교]] * [[공주고등학교|공주공립중학교]]# * [[홍성고등학교|홍성공립중학교]] === [[전라북도]] === * [[군산고등학교|군산공립중학교]] * [[전주고등학교|전주북공립중학교]]# * 전주남공립중학교[* 현재 전주제일고와 남중의 전신격] * [[고창고등학교|고창중학교]]# : 원래 사립학교였는데 공립으로 전환되었다. === [[전라남도]] === *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동공립중학교]] * [[광주제일고등학교|광주서공립중학교]]# : 원래 사립학교였는데 공립으로 전환되었다. * [[목포고등학교|목포공립중학교]] * [[순천고등학교|순천공립중학교]]# * [[문태고등학교|문태중학교]] === [[경상북도]] === * [[대구중학교|대구공립중학교]] * [[경북고등학교|경북공립중학교]]# * [[틀:포항공립중학교|포항공립중학교]] * 경주공립중학교# * [[김천고등학교|김천공립중학교]]# : 원래 사립이었는데 공립으로 전환되었다. * [[대륜중학교]] === [[경상남도]] === * [[부산고등학교|부산제1공립중학교]] * [[경남고등학교|부산제2공립중학교]] * [[마산고등학교|마산공립중학교]] * [[동래고등학교|동래공립중학교]]# : 원래 사립이었는데 공립으로 전환되었다. 구 동래고등보통학교. * [[진주고등학교|진주공립중학교]]# * [[통영고등학교|통영공립중학교]] === [[황해도]] === * 해주동공립중학교# * 해주서공립중학교 * 안악공립중학교# === [[평안남도]] === * 평양제1공립중학교 * [[평양고등보통학교|평양제2공립중학교]]# * 평양제3공립중학교# * 안주공립중학교# * [[광성고등학교(서울)|경창중학교]](←광성중학교)# * 순안중학교 === [[평안북도]] === * 신의주공립중학교 * 신의주동공립중학교# * 강계공립중학교 * [[오산고등학교(서울)|오산중학교]]# * 평안중학교 * 선천중학교 === [[함경남도]] === * 원산공립중학교 * 함흥공립중학교 * 함남공립중학교# * 북청공립중학교 * 함흥일출중학교(←영생중학교)# : === [[함경북도]] === * 나남공립중학교 * 경성(鏡城)공립중학교# - 옛 경성고보 건물은 KBS에서 2000년 11월 14일 방영한 <북한리포트 서울에서 평양까지 - 경성군편>에서 '수성고등중학교'로 바뀐 채 남아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청진공립중학교 * 나진공립중학교 * 성진공립중학교 === [[일본]] 본토 === * [[카이세이 중학교]] [[분류:일본의 구제교육기관]][[분류:중등교육기관]] == 기타 == *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중학교]]: 종교적 이유로 고등보통학교 인가를 거부하여 지정학교로 운영함. 광복 직후 6년제 경신중학교를 거쳐 현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고등학교]]가 되었음. * [[중동고등학교|중동중학교]]: 1906년 관립한어학교에서 1907년 중동야학교로 시작되어 야간반 성인교육에 역점을 두었던 이유로 일제의 고등보통학교 인가를 못받았으나 광복 직후 6년제 중동중학교를 거쳐 현 [[중동고등학교]]가 되었음. * [[성동고등학교|성동공립중학교]]: 종교적인 이유로 고등보통학교 인가를 못받았으나 광복 직후 6년제 성동공립중학교를 거쳐 현 [[성동고등학교]]가 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