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 [include(틀:구제고등학교)] || [[파일:640px-University_of_Tokyo_-_Komaba_Campus_-_Building_1.jpeg.jpg|width=100%]] || || 제1고등학교 본관[* 現 [[도쿄대학 코마바 캠퍼스]] 1호관([[https://www.u-tokyo.ac.jp/ja/about/campus-guide/b07_04_b.html|참조]])] || [목차] 舊制高等學校 旧制高等学校(일본 [[신자체]] 표기) きゅうせいこうとうがっこう Higher school (Japan)[* [[영문 위키백과]] 서술명] [clearfix] == 개요 == [[1894년]] 공포된 고등학교령에 의해 설립된 [[학교]]로 [[1950년]]의 학제[[개혁]] 때까지 [[일본제국]] 전국에 존재했던 [[고등교육기관]]. 구제고등학교는 전후 오늘날 [[고등학교|신제고등학교]]와 같은 [[중등교육기관]](중고등학교)[* 오늘날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당시 5년제였던 '중학교'로 합쳐져있었으며, 지금은 이것도 '[[구제중학교]]'로 부른다.]이 아니라, 지금의 고3(12학년)~대학교 2학년 또는 [[대학교]] 전기과정(교양과정부)에 상당하는 고등교육기관이었다.[* 굳이 오늘날로 치면 [[영국]]의 [[식스폼]] 제도와 유사하다. 다만 영국의 식스폼은 일본 구제고와 달리 명목상 중등교육으로 분류된다.] [[1945년]] [[8월]] 2차대전 종전 당시를 기준으로 관립 32개교[* 넘버스쿨 8개교, 네임스쿨 20개교, 제국대학예과 3개교, 가쿠슈인 고등과.], 공립 2개교[* 나니와, 부립], 사립 4개교[* [[무사시대학|무사시]], [[코난대학|코난]], [[세이케이대학|세이케이]], [[세이조대학|세이조]]. 이 4개 사립고교는 전후 신제대학으로 개편되어, 마찬가지로 [[사립대학]]인 [[가쿠슈인대학]]이 된 가쿠슈인 고등과와 함께 [[리버럴아츠 5학원]]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중 [[간사이]]의 [[코난대학]]을 제외한 나머지 4개교는 [[도쿄 4대학]] 연합을 형성해 매우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등 총 38개교가[* 第一高等學校/第二高等學校/第三高等學校/第四高等學校/第五高等學校/第六高等學校/第七高等學校造士館/第八高等學校/新潟高等學校/松本高等學校/山口高等學校/松山高等學校/水戸高等學校/山形高等學校/佐賀高等學校/弘前高等學校/松江高等學校/東京高等學校/大阪高等學校/浦和高等學校/福岡高等學校/靜岡高等學校/高知高等學校/姫路高等學校/廣島高等學校/富山高等學校/浪速高等學校/府立高等學校/臺北高等學校/旅順高等學校/學習院高等科/武藏高等學校/甲南高等學校/成蹊高等學校/成城高等學校/北海道帝國大學豫科/京城帝國大學豫科/臺北帝國大学豫科(38 校)[[https://honto.jp/netstore/pd-book_27849637.html|출처]] 참조.]가 존재했다.[* [[https://www.amazon.co.jp/dp/4166603558|《旧制高校物語》]], [[https://www.amazon.co.jp/dp/4769870175|《旧制高校物語 真のエリートのつくり方》]], [[https://www.amazon.co.jp/dp/4908073228|《旧制高校の校章と旗》]] 등 일본의 관련 서적 참고.][* 일부 예외적인 [[관립대학]]과 기타 모든 [[공립대학]] 및 [[사립대학]]에도 [[대학예과]]가 설치되었으나, [[제국대학]] 진학 과정이 아니라는 점에서 구제고등학교로는 인정받지 못했다. 본 문서에서는 통설인 구제고교 38개교설을 취하고 기타 관립대학 예과 등 [[대학예과]]에 관해 간략히 설명한다. 학교 목록은 정종현,「제국대학의 조센징」, 휴머니스트, p.67의 [[편제]]를 인용하였다.] 전후 [[GHQ]]의 학제개혁에 의해 [[제국대학]] 또는 [[관립대학]]에 흡수되거나 [[도도부현|현(縣)]]내 관립 [[구제전문학교]] 등과 통합하여, 미국식 4년제 신제대학의 문리학부·교양학부로 개편되었다. [[마쓰모토시]]의 [[https://matsu-haku.com/koutougakkou/archives/1395|구제고등학교기념관]] 및 [[https://ehddu.tistory.com/m/2183?category=685527|관람기]], [[http://qsay55.starfree.jp/index.html|구제고교 탐방 블로그]] 등을 참조. 각 학교별 마크(校章)는 [[https://blog.goo.ne.jp/tenuguibaka1dai/e/8192182ba555e20c927e3b788ecdf08c|블로그]] 및 [[http://www5f.biglobe.ne.jp/~takechan/ryokashokai.html|교가 정리 사이트]]를 참조 요망. 기타 고교생의 복식과 관련해서는 [[https://m.blog.naver.com/thals8282/222524744680|블로그]] 및 [[http://www42.tok2.com/home/tumeeri/tsumeeri_kyusei.html|사이트]] 참조. == 제도 == || [[파일:gakusei.gif|width=100%]] || || 오늘날의 신학제(左)와 [[일본제국]] 시대의 구학제(右) ||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오늘날과 달리 일본제국에서는 오늘날의 중학교/고등학교 통합과정에 해당하는 구제중학교를 나와도 바로 대학(학부)에 진학할 수 없었다. 현재의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 6-3-3-4 학제와 달리 일본제국 당시 학제의 진학 트랙은 [[소학교]]-[[구제중학교|중학교]]-'''구제고등학교(대학예과)'''-[[구제대학]]의 6-5-3-3(4)[* 의학부는 최소수학연한 4년 이상.] 시스템이었고, 구제대학 학부는 철저하게 전공지식 중심의 전문 교육이 이뤄지는 곳이었기 때문에 자유학예 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예비교육을 이수해야 진학할 수 있는 곳이었다. 원래 [[일본]]의 [[구제대학]]은 [[유럽]]의 그것을 본따 만든 구제도쿄대학([[1886년]] [[제국대학]]으로 개편되었다가 [[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을 거쳐 전후 [[도쿄대학]]이 되는) 시초이고 초기의 교수진은 [[서양인]]들이 대부분이었기에, 학생들이 [[대학]]에서 수학하기 위해서는 [[외국어]](특히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실력을 갖춰야 했는데, 그 외국어를 익히는 예비교육기관으로 만들어진 것이 구제고등학교의 출발인 (구제)도쿄대학 예비문(東京大學 預備門)이었다. 이 도쿄대학 예비문이 [[1886년]] 제국대학령에 이어 반포된 중학교령에 따라 고등중학교를 거쳐 [[1894년]] 고등학교령에 의거 개편된 것이 바로 '''구제고등학교'''의 시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서구권]]으로부터 신식 문물을 도입에 열을 올리던 [[메이지 시대]] 초기에 고등교육, 특히 고등전문교육을 받기 위해서 외국어 지식은 필수불가결했다. 당시 일본제국 정부는 내각 각 성(省), 청(廳) 소관의 관립 [[고등교육기관]]을 설립하고 근대화를 담당할 전문가들을 육성했는데, 해당 학교의 교수진이 구미 국가에서 초빙한 외국인들로 이루어져있었기 때문이다. [[문부성]] 관할 학교 중에서도 [[도쿄제국대학]] 법과/문과/이과대학으로 이어지는 [[https://ja.wikipedia.org/wiki/%E9%96%8B%E6%88%90%E5%AD%A6%E6%A0%A1|동경개성학교]](東京開成學校)에서는 영국/미국 출신 교수들이 영어로 수업을 진행했고, [[도쿄제국대학]] 의과대학의 전신인 [[https://ja.wikipedia.org/wiki/%E6%9D%B1%E4%BA%AC%E5%8C%BB%E5%AD%A6%E6%A0%A1|동경의학교]](東京醫學校)에서는 영국인들에게 영어로 배우다가 독일인으로 교체되며 독일어 중심이 되었다. 공부성(工部省)의 공부대학교(工部大學校)에서는 영국인 공학자를 초청하여 고급 공학 교육을 실시했고, 홋카이도 [[개척사]]의 삿포로농학교(札幌農學校)에서는 [[윌리엄 스미스 클라크]] 등 미국인이, 농상무성 소관 고마바농학교(駒場農學校)와 동경산림학교(東京山林學校)에서는 독일인이, 사법성 산하의 법학교(法學校)는 프랑스인을 중심으로 교수들이 초빙되었다. [[문부과학성]]의 [[https://www.mext.go.jp/b_menu/hakusho/html/others/detail/1317598.htm|학제100년사]] 참조. 이렇게 서양인들이 교수로 초빙된 [[고등교육기관]]에서 공부하기 위해서 반드시 갖춰야했던 [[외국어]] 능력 배양을 중심으로 예비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설립된 것이 구제고등학교의 전신인 고등중학교였다. 내각 각부처 소관의 고등교육기관을 문부성 예하의 [[도쿄제국대학]]으로 통합되었고, 삿포로농학교는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을 거쳐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승격되는 등 [[제국대학]]으로 종합되며, [[제국대학]]의 예과로서 고등중학교를 근간으로 하는 [[구제고등학교]] 제도가 성립되었다. 일본제국은 소학교령, 중학교령, [[전문학교령]], [[고등학교령]], [[제국대학령]] 등을 통해 교육 제도를 정립하면서 [[제국대학]]과 달리 자국인 교수요원들이 실무요원을 양성하는 [[구제전문학교]] 수준에서는 이러한 대학 예비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하여 [[구제중학교]] 졸업자가 바로 입학할 수 있게 했으나, [[제국대학]]은 구제고등학교의 [[대학예과]]를 졸업해야 진학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원래 '''구제고등학교'''에는 [[대학예과]] 외에도 법학부, 의학부, 공학부 등의 '''전문학부'''가 존재했다.] === [[교육]]내용 === [[제국대학]] 진학 준비과정인 구제고등학교의 [[대학예과]](1919년 제2차 고등학교령 시행 이후 '''고등과'''로 개칭)는 제국대학 예과와 동일하게 고등교육의 기초교양을 가르쳤고 외국어 학습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초기 구제고등학교는 대학예과 외에도 의학부, 공학부 등의 전문학부까지 포함한 더 큰 교육기관이었다. [[https://ja.m.wikipedia.org/wiki/%E6%97%A7%E5%88%B6%E9%AB%98%E7%AD%89%E5%AD%A6%E6%A0%A1|일본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당초 [[구제중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4년제 전문학부(의학부, 공학부, 법학부 등)와 [[제국대학]] 진학을 전제로 기초교양교육을 실시하는 3년제 대학예과(이후 고등과로 개칭)가 별도로 존재했으나 이후 전자를 분리해 [[관립대학]]으로 승격시키거나 폐지하고 후자로만 이뤄진 3년제 대학예과급 교육기관으로 변화되었다. 당시 [[한반도]]에는 구제고등학교가 없었지만, [[경성제국대학]]이 [[대학예과|예과]]를 설치하여 운영했으므로 구제중학교를 [[졸업]]한[* 구제고등학교 입학시험 응시자격은 구제중학교 4년 수료였으며 이를 이유로 경성제국대학 예과는 개교시 2년제를 취하였으나, [[1934년]] 3년제로 예과의 수학 연한을 연장하면서 구제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구제중학교 4년 수료자 이상에게 응시 자격을 부여하였다.] 내지인([[일본인]])이나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조선인]]들이 바로 경성제대에 진학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고등학교가 없었던 지방인 [[홋카이도]]의 [[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국대학]]에도 예과가 설치되었고, [[대만일치시기|대만]]에는 다이호쿠고등학교(臺北高等學校)가 존재했지만 졸업생 중 의학부를 제외한 다이호쿠제국대학 진학자가 적어서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를 별도로 설치하였다. [[혼슈]]와 [[규슈]]의 제국대학 5곳은 예과를 설치하지 않고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들을 최우선으로 하여 입학생을 모집하였다.[* 예를 들어 조선에서 [[경기고등학교|경기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이태규]]는 일본 내지의 [[제국대학]]에 바로 진학할 수 없었고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를 거쳐서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에 진학했다. 같은 교토제국대학 진학자인 장경학 또한 [[경복고등학교|경복중학]]을 졸업한 후 도일, [[에히메대학|마츠야마고교]]로 진학하였다. 마츠야마고교는 실력만 있으면 조선 유학생도 입학허가가 상대적으로 쉬웠다는 듯하다.] [[문과]], [[이과]]로 분반했다고 한다. [[독일어권]]의 [[김나지움]]을 본딴 교육기관이라고 평가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김나지움은 [[한국]]의 현 학제로 치자면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대학 [[저학년]](교양과정)까지에 해당하는 중등교육기관이므로, 1:1로 비교할 수는 없다. 다만 교육내용이 대학 수준이라는 것에서 김나지움과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김나지움 상급반의 교육내용은 [[영미권]] 대학 1, [[2학년]]의 교양과정에 상당하는 것이므로 구제고등학교는 김나지움 상급반을 별개의 학교로 만들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 여담 === * [[제국대학]]에는 [[여학생]]의 [[입학]]도 가능했지만, 구제고등학교는 전부 남학교라 실질적으로 제국대학생의 대부분은 [[남학생]]이었다. 참고로 [[구제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와 같은 급의 중등교육기관이었다. * [[1886년]] [[구제중학교|중학교령]]에서 1현1교 원칙하에 엄격하게 규정된 중학교의 설립 요건이 [[1891년]] 개정 중학교령에서 현내 복수 학교 설립이 가능해졌고 [[1899년]] 재개정 중학교령에서 사립 구제중학교 설립까지 허용되면서 중학교와 [[중학생]]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중학교 졸업생은 [[1895년]]([[메이지 시대|메이지]] 28년) 1170명에서 급격히 늘어 [[1915년]]([[다이쇼 시대|다이쇼]] 4년)에는 20852명에 이른다. 상급학교 진학열풍은 심화되었으나, 고등학교는 [[나고야]]의 제8고등학교 이후 추가로 설립되지 않아 고교 [[입시]]를 격화될 수밖에 없었다. [[1918년]] 기준으로 구제중학교 졸업생 중 '''구제고등학교''' 지원자가 11833명이었는데 합격자는 2267명에 불과했다. 결국 대다수인 9566명은 [[눈물]]을 머금고 포기하거나 내년에 또 내년과 합격할 때까지 [[시험]]을 반복하는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https://kangaeruhito.jp/article/10621|참조]]). [[입시]]의 최고봉은 제국대학 입시가 아닌 '''구제고등학교''' 입시였던 것이다. * 고등중학교에서부터 [[1894년]] 이후 고등학교까지 관립고등학교의 입학정원과 제국대학의 입학정원 비율은 [[1918년]] 개정 고등학교령이 공포되기 이전에는 거의 1:1이었기에, 구제고교를 졸업하면 제국대학으로의 진학이 보장되었다. 다만 [[메이지 시대]] 후반인 [[1910년]]부터 이미 도쿄제대 법학부 등 인기학부는 지망자가 정원을 초과해 입시가 실시되기 시작했고, [[다이쇼]] 말기에는 교토제대 법학부도 지원자가 모집 정원을 초과하기 시작했다고 한다([[https://kangaeruhito.jp/article/12793|참조]]). * [[1920년대]]에 당시 최고의 관립 [[구제전문학교|의학전문학교]]들이 [[관립대학|관립의과대학]][* 니가타의과대학, 오카야마의과대학, 치바의과대학, 가나자와의과대학, 나가사키의과대학, 구마모토의과대학. 이들을 현재 일본에서 구6의대(旧六医大)라고 한다.]으로 승격되었고, 이 관립의대들은 따로 [[예과]]를 설치하는 대신 구제고교 졸업자에게 수험자격을 부여하였다. 여기서 구제고등학교 진학=제국대학 진학이라는 등식은 붕괴되었다. 어쨌거나 구제고등학교에 진학하면 제국대학이나 관립대학 중 최고 인기학교였던 관립의대 진학이 '''상당수'''[* 바로 아래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고교졸업자의 수가 대학 입학정원을 초과하여 입시경쟁과 백선재수생 문제가 나날이 심화되었다.] 보장되었으므로 언제나 고등학교 입시가 [[학생]]과 [[학부모]]들의 관심사였고, 재학생들의 프라이드는 하늘 높은 줄 몰랐다고 전해진다. * 그러나 제2차 고등학교령 반포([[1918년]]) 이후 고등학교가 줄줄이 신설되면서 고교 졸업생 숫자가 급증하고, 제국대학 입학정원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1920년대]]부터는 입시 [[경쟁]]이 심화되었다. [[1927년]] 당시 [[학부]]로 무시험 진학이 보장된 제국대학예과(홋카이도제대 예과, 경성제대 예과)[* [[1927년]] 졸업예정자 기준으로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는 농학부(120명), 의학부(80명), 공학부(120명)로 진학할 320명을 선발해 교육했고, 경성제국대학 예과는 법문학부(80명), 의학부(80명)로 진학할 160명을 선발해 교육했다. 예과를 졸업하지 못한 중도탈락자(질병, 사망 등)분의 결원은 우선 내지의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으로 충원했다.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는 [[1907년]] 도호쿠제국대학농과대학 예과시절 정원 100명으로 출발해 [[1919년]] 의학부 설치와 함께 200명으로 배증되어 영어반 80명(2개조), 독어반 120명(3개조)으로 구성되었으며, 공학부 설치로 인해 [[1922년]]부터 320명으로 증원되어 農類영어반 80명, 農類독어반 40명, 醫類(모두 독어) 80명, 工類(모두 영어) 120명이 되었다. [[1924년]] 입학생부터는 農類는 모두 영어반으로 편성되어 영어 240명(6개조), 독어 80명(2개조)이 되었다([[https://eprints.lib.hokudai.ac.jp/dspace/bitstream/2115/29947/1/bukyokusi_p1-63.pdf|홋카이도대학 논문]] 11~12쪽 참조). 경성제국대학 예과는 당시 법문학부로 진학할 문과 80명은 영어, 의학부로 진학할 이과 80명은 독일어를 제1외국어를 기본으로 하고 학생 희망에 따라 제1외국어를 독일어/영어로 바꿀 수 있게 하였다([[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67293&ancYd=19240502#0000|경성제국대학예과규정 제5~6조]] 참조)]를 제외하고 24개 고등학교의 졸업예정자 숫자는 5377명에 달했는데,[*참조 [[파일:大正十六年各高等学校卒業予定人員.jpg]]] [[1926년]] 제국대학 입학정원은 총합이 4744명으로,[* [[도쿄대학|도쿄제대]] 2363명, [[교토대학|교토제대]] 1381명, [[규슈대학|규슈제대]] 608명, [[도호쿠대학|도호쿠제대]] 392명 등. [[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대]]와 [[경성제국대학|경성제대]]는 부속예과 졸업생으로 신입생을 충원했고, [[다이호쿠제국대학]]과 [[오사카대학|오사카제대]] 및 [[나고야대학|나고야제대]]는 1927년 당시 아직 설립되기 이전인 상황이었다.] [[관립대학|관립의과대학]] 5개교 모집정원 305명을[* [[니가타대학|니가타의대]] 60명, [[오카야마대학|오카야마의대]] 61명, [[치바대학|치바의대]] 61명, [[가나자와대학|가나자와의대]] 60명, [[나가사키대학|나가사키의대]] 63명.] 합쳐도 5049명에 불과했다.[*모집정원 [[파일:1612536503400.jpg]]] 제국대학 기준으로는 13% 이상, 관립의대를 합쳐도 6% 이상이 탈락하게 되었던 것이다. * 제국대학 입시[*과목 [[제국대학]]의 대표적인 [[학부]]들의 입시 과목은 다음과 같았다. 도쿄제대 법학부: 영문일역, 일문영역의 논문식 시험 / 도쿄제대 이학부: 외국어, 수학, 역학, 물리 / 규슈제대 공학부: 수학 및 역학, 물리학, 화학 / 규슈제대 의학부: 외국어(영, 독, 불 중 택2), 수학, 물리, 화학, 동식물학.] 경쟁의 격화로 고교 졸업 후 [[재수(입시)|재수]]/[[삼수]]하는 학생들도 있었는데, 이들을 '''백선낭인'''(白線浪人)[* 백선은 말그대로 하얀선으로 구제고등학교의 제모에 흰 줄이 둘려 있었음을 빗댄것이며, [[낭인]](로닝)은 떠돌이 [[무사(역사)|무사]]를 일컫지만, [[속어]]로 [[일본어]]에서는 지금도 [[재수생]]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구제고등학교 입시 재수생이라는 말. ]이라고 불렀다. 구제고등학교의 학모에 하얀 선이 들어가서 붙은 별명이다. 결국 구제고등학교에 진학한다고 해서 입시가 끝나는 것은 아니었다는 이야기이다. 이처럼 [[1920년대]]에 고등학교 숫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대학입시]] 격화로 인한 재수생들이 사회문제가 되자, 정부는 제국대학의 정원을 늘리기 위해 기존에 [[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과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에만 존재했던 문과 계열 학부들을 각 제국대학에 증설하기 시작했다. [[1923년]] [[도호쿠대학|도호쿠제국대학]], [[1925년]] [[규슈대학|규슈제국대학]], [[1926년]] [[경성제국대학]] 순서로 법문학부가 개설되어 신입생을 받았고, [[1928년]]에는 [[다이호쿠제대]]에 문정학부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국대학]] 및 [[전쟁]]으로 인해 이학/공학 수요가 폭증하는 [[1930년대]]에 설립된 [[오사카대학|오사카제국대학]], [[나고야대학|나고야제국대학]]에는 [[1945년]] 종전시까지 문과계열 학부가 설치되지 않았다. * 각 제국대학의 의학부와 도쿄제국대학의 법학부, 경제학부, 공학부 그리고 교토제국대학의 공학부 등 인기학부는 높은 경쟁률로 인해 구제고등학교 졸업생들 사이에서도 재수와 삼수까지 치러가며 빈번한 치열한 입시경쟁을 뚫어야 입학할 수 있었으나, 이외에는 교토제국대학 문학부 조차도 구제고등학교를 졸업한 지원자 숫자가 모집정원 미달되는 상황이었고, [[도호쿠대학|도호쿠제대]], [[규슈대학|규슈제대]], [[나고야대학|나고야제대]]는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만으로는 정원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대]] 예과와 같은 제국대학예과 부설을 시도했으나, 지역내에 구제고등학교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반려당하여 [[구제전문학교]] 출신의 '방계입학자'를 다수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일본어 위키백과]]의 '제8고등학교' 항목을 보면 [[나고야제국대학]]을 설립하면서 제8고 학생들이 다수 진학할 것을 기대했으나 정작 제8고 학생들은 신설 나고야제대 보다는 [[도쿄대학|도쿄제대]]나 [[교토대학|교토제대]]로 지원을 계속하여 미달 문제가 심각했고, 방계입학자를 대량으로 받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대만총독부]] 역시 [[다이호쿠제국대학]] 설립 시 [[국립타이완사범대학|다이호쿠고등학교]] 학생들의 지원을 예상하고 그 졸업생에게 예과처럼 최우선 입학기회를 부여하였으나, 인기학부인 의학부 및 특화에 성공해 그럭저럭 정원을 채워갔던 이농학부와 달리 문정학부는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생들로는 정원의 20~30% 밖에 못 채워서 일본 내지의 [[구제전문학교]] 출신 방계입학생들을 다수 받다가 결국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를 설치하게 되었다고 한다.] [[https://ja.m.wikipedia.org/wiki/%E6%97%A7%E5%88%B6%E9%AB%98%E7%AD%89%E5%AD%A6%E6%A0%A1|일본어 위키백과]] 참조. * 구제고등학교를 거치지 않더라도 [[고등상업학교]] 등의 [[구제전문학교]]를 거쳐서 제국대학에 입학할 수는 있었다.[* [[도호쿠대학|도호쿠제국대학]] 설립 당시에는 [[센다이]]에 신설되는 이과대학의 미달이 확실시되었기 때문에 [[고등공업학교]] 등 [[구제전문학교]] 졸업생 및 중학교/사범학교 교원자격증 소지자([[고등사범학교]] 졸업생)에게 입학시험 응시자격을 [[https://essentia.exblog.jp/15062974/|부여했다고 한다.]] 이 때 지원자와 합격자 중 최다는 [[고등상업학교]] 졸업자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은 신입생 선발 순위에서 당연히 구제고등학교 출신에 밀려 2순위에 있었고, 1차모집 미달분에 대해 실시하는 2차모집에만 지원할 수 있었다.[* [[1925년]] [[규슈대학|규슈제대]] 법문학부의 제1회 신입생 모집은 [[2월 15일]]에 마감된 1차 모집에서 고등학교 졸업자 및 [[학사]] 소지자(제국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지원을 받아 우선입학자로 선발해 놓고, 이후 [[3월 31일]]까지 실시된 2차 모집에서 구제고등학교와 함께 구제전문학교 출신자에게까지 지원자격을 부여해 미달을 전부 채웠다고 한다(2차 모집 경쟁률 2.5:1) [[https://catalog.lib.kyushu-u.ac.jp/opac_download_md/1801084/chapter_3-3.pdf|규슈대학 100년사]] 참고.] 때문에 의학부/공학부 등 인기학부 진학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 이렇게 구제고등학교 및 제국대학예과를 제외한 다른 경로를 통해 입학한 학생들을 제국대학에서는 '''방계입학자'''라고 했는데, 인기가 있었던 도쿄제국대학과 교토제국대학의 일부 학부[* 심지어 교토제대의 경우도 문학부 같은 경우는 미달이 기본이라 [[연희전문학교]] 출신인 [[송몽규]]가 입학자격검정시험을 통과하여 선과생으로 입학하기도 했다.] 그리고 예과가 부설되어 있던[* 경성제대의 경우 학부 학생들 중 경성제대 예과 출신이 90% 이상을 점유했고, 경성제대 예과 출신이 아닌 자들을 전부 ''비예과''로 분류하였는데 이 비예과생 중 80~90%가 [[내지]](및 소수의 [[대만]], [[관동주]]) 소재 구제고등학교 졸업생들이었다고 한다. 법문학부 조선사학전공 이인영, 이공학부 남기동 선생 등이 일본 내지의 고등학교 졸업 후 경성제대로 진학한 케이스이다([[경성제국대학#s-6.3|경성제대 동문]] 참조). 이외에 구제고등학교가 아닌 다른 학교 출신으로 본과에 진학한 '''방계입학생'''의 비율은 전체 학생 중 2~3%에 불과했다고 한다.] 4개교([[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 [[다이호쿠제국대학]])를 제외한 나머지 4곳의 제국대학([[도호쿠대학|도호쿠제국대학]], [[규슈대학|규슈제국대학]], [[오사카대학|오사카제국대학]], [[나고야대학|나고야제국대학]]) 학생들 중에는 이러한 방계입학자들이 상당수 존재했다고 한다. == 역사 == === 고등중학교([[1886년]]) === 구제고등학교의 출발은 [[1886년]] 제1차 중학교령에 의거 설립된 7곳의 관립 고등중학교이다. [[1886년]] [[3월 2일]] '[[제국대학령]]'이 공포되어 구제 도쿄대학을 모체로 한 [[제국대학]]을 설립하면서, 제국대학 진학예정자에게 예비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워진 고등중학교는 1886년 4월 10일 [[메이지 시대|메이지]] 19년 칙령 제15호로 공포된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00257¤t=-1|중학교령]]'''에 근거한 학교였다. > {{{+1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00257¤t=-1|중학교령]](中學校令)'''}}} [* [[https://dl.ndl.go.jp/info:ndljp/pid/2944042/2|원문]] 참조.] > - [[메이지 시대|메이지]] 19년 4월 10일 칙령 제15호 > >'''제1조''': 중학교는 실업(實業)에 나서려는 자 또는 고등의 학교에 들어가길 원하는 자가 수요로 하는 교육을 하는 교육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제2조''': 중학교를 나누어 '''고등'''/[[심상중학교|심상]] 2과로 하고, '''고등중학교'''는 문부대신의 관리에 속한다. >'''제3조''': '''고등중학교'''는 법과(法科)·의과(醫科)·공과(工科)·문과(文科)·이과(理科)·농업(農業)·상업(商業) 등의 분과를 둔다. >'''제4조''': '''고등중학교'''는 전국을 [[홋카이도]]·[[오키나와현]]을 제외한 5개 구(區)로 구분하여, 每구마다 1개소를 설치하며, 그 구역은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따른다. >'''제5조''': '''고등중학교'''의 경비는 국고에서 지급하거나 또는 국고와 함께 당해학교 설치구역 내에 있는 [[도도부현|부현]](府縣)의 지방세 등으로 지급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국고와 지방세를 합쳐서 경비를 충당하는 경우.]에는 그 관리와 경비 분담 방법을 별도로 정하지 않는다.[* 1縣1校 원칙.] >'''제6조''': [[심상중학교]]는 각 [[도도부현|부현]](府縣)에서 편의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나, 해당 지방세가 지급/보조되는 곳은 각 [[도도부현|부현]]별로 1곳으로 한정한다. >'''제7조''': 중학교의 학과와 그 정도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따른다. >'''제8조''': 중학교의 교과서는 문부대신의 검정을 받은 것에 한(限)한다. >'''제9조''': [[심상중학교]]는 구(區)·정(町)·촌(村)비(費)로 설치할 수 있다. >---- 고등중학교는 구제 도쿄대학 예비문[* [[1877년]] 도쿄가이세이학교(동경개성학교, 東京開成學校)와 도쿄의학교(東京醫學校)를 통합하여 구제 도쿄대학을 설립하면서, 기존 가이세이학교 보통과(예과)를 [[도쿄외국어대학|관립도쿄외국어학교]]와 4년제 도쿄대학 예비문으로 분리하여 구제 도쿄대학 중 3학부(법학부, 문학부, 이학부)의 진학예정자를 대상으로 예비교육을 실시하는 예과기관으로 삼은 것으로 [[1882년]] 의학부의 예과도 흡수 통합하여 명실상부한 구제 도쿄대학의 예과가 된다.]을 모체로 한 제1고등중학교를 필두로 전국 각지를 5개 지역으로 나누어 각각을 담당한 고등중학교를 설립했고, 학구와 별도로 메이지 유신의 웅번이자 가장 세력이 강한 [[번]]이었던 [[조슈]]와 [[사쓰마]]에서 각각 [[야마구치]]와 [[가고시마]]에 1개교씩을 더해 총 7개교가 존재했다. 이 고등중학교에는 제국대학([[도쿄제국대학]]) 진학 예비교육을 실시하는 2년제 본과[* 제1부(법학부/문학부 진학예정자), 제2부(이학부/공학부/농학부 진학예정자), 제3부(의학부 진학예정자)]와 함께 중학교령 제3조에 의거 전문 분야 지역사회에 필요한 고위 [[전문가]]와 상급 실무지도자를 양성하는 3년제 분과(전문과)[* 실제 설치된 것은 의학부, 공학부, 법학부(법학부는 제3고등중학교에만 설치)] 등을 두어 [[지방(지리)|지방]]의 최고학부로 기능하도록 의도하였다. * 제1고등중학교 - [[1886년]] [[4월]] 도쿄대학 예비문을 개칭 * 제3고등중학교 - [[1886년]] [[4월]] [[오사카]]에 있던 대학분교를 개칭 * 야마구치고등중학교 - [[1886년]] [[11월]] 야마구치중학교를 개편 * 제2고등중학교 - [[1887년]] [[4월]] [[센다이시|센다이]]에 설립 * 제4고등중학교 - [[1887년]] [[4월]] [[가나자와시|가나자와]]에 설립 * 제5고등중학교 - [[1887년]] [[5월]] [[구마모토시|구마모토]]에 설립 * 가고시마고등중학조사관 - [[1887년]] [[11월]] 가고시마중학교조사관을 개편 === 제1차 고등학교령([[1894년]]) === 1894년 6월 25일 [[메이지 시대|메이지]] 27년 칙령 제75호로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02791¤t=-1|고등학교령]]'''([[https://www.mext.go.jp/b_menu/hakusho/html/others/detail/1318053.htm|문부성 페이지]] 참조)이 공포되어 동년 9월 11일부로 시행되었다. > {{{+1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02791¤t=-1|고등학교령]](高等學校令)'''}}} > - [[메이지 시대|메이지]] 27년 6월 25일 칙령 제75호 > >'''제1조''': 제1고등중학교, 제2고등중학교, 제3고등중학교, 제4고등중학교 및 제5고등중학교를 고등학교로 개칭한다. >'''제2조''': 고등학교는 전문학과를 교수하는 곳이며, 다만 [[제국대학]]에 입학할 자를 위한 [[대학예과|예과]]를 둘 수 있다. >'''제3조''': 고등학교에는 그 부속으로 저도의 특별학과를 둘 수 있다. >'''제4조''': 고등학교에서 개설되는 학과 및 강좌의 수는 문부대신이 정한다. >'''부칙''' > '''제5조''': (1) 본령은 [[메이지 시대|메이지]] 27년 9월 11일부로 시행하며 각 고등학교에 학과가 설치되는 시기는 문부대신이 지정한다. (2) 본령이 시행되거나 일부 시행 중인 고등학교에는 고등중학교 학과를 연한 내에 이수 중인 생도를 위하여 구학과(舊學科)를 둘 수 있다. >---- 제1조에 규정된 바와 같이 7곳의 고등중학교들이 고등학교령([[1894년]])에 의거 고등학교로 개편 출범하였는데, 이에 따라 [[제국대학]]의 예비교 역할을 하던 고등중학교 본과는 고등학교 [[대학예과]]로 개칭되면서 2년제에서 3년제로 수학연한이 연장되었고, 고등중학교 전문과(3년제) 역시 수학연한이 1년 늘어난 고등학교 전문학부(4년제)로 규정되나 실제로는 의학부만 그리고 의학부 중에서도 약학과를 제외한 의학과만 4년제로 이행하였다. 또한 제2조에서 보듯 "고등학교는 전문학과를 교수하는 곳으로서, 다만 [[제국대학]] 진학을 위한 대학예과를 둘 수 있다"고 하여 구제고등학교 발족 당시에는 [[대학예과]] 보다도 전문학부가 중심이 될 것으로 상정되었다. 당시 [[일본제국]]은 제국의 최고학부로서 [[도쿄제국대학|제국대학]](1886)만을 도쿄에 두고, 각 지방에는 [[제국대학]]을 추가로 설립하는 대신에 법학부, 의학부, 공학부 등의 전문학부를 포괄한 해당 지방의 최고 [[고등교육기관]]으로서 고등학교를 설립하려 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1894년 제1차 고등학교령에서는 대학예과가 전문학부 보다 부차적인 것처럼 규정되었다. 그러나 고등학교령 공포 바로 다음 해인 [[1895년]] [[일본제국]]은 [[청일전쟁]]을 종결하는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면서 [[대청제국]]으로부터 막대한 전쟁배상금을 받게 되었는데, 이 전쟁배상금을 활용해 제3고등학교를 교토제국대학으로 승격시키자는 [[사이온지 긴모치]]의 주장이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원래 [[대학예과]] 없이 법학부, 공학부, 의학부 등 3개 전문학부로만 구성되어있던 제3고등학교에 대학예과를 신설[* 현재 [[교토대학]] 요시다캠퍼스 자리]하면서, 기존 제3고등학교의 법학부와 공학부를 모체로 [[1897년]]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을 설립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 제3고등학교 시절 신입생이 마지막으로 졸업하는 1901년 4월에 법학부와 공학부는 폐지되었고, 의학부는 [[오카야마대학|오카야마의학전문학교]]로 다시 떨어져 나가면서[* 법학부, 공학부와 달리 구제고등학교의 의학부들은 고등중학교로 묶이기 전부터 각 번에서 설치한 병원과 의학교로 독립적인 역사와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1887~1888년 고등중학교 소속으로 들어갔다가 13~14년 만인 1901년 전부 독립하여 [[의학전문학교]]로 떨어져나오게 된다.] 제3고등학교는 [[대학예과]]만 남게 되었다. 제3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다른 고등학교들도 전문학부가 독립하기 시작하여 [[1901년]] 각 고등학교들에 남아있던 의학부가 [[구제전문학교]]인 의학전문학교로 다시 분리되었고,[* 제1고등학교 의학부는 치바의학전문학교로 독립하여 이후 신제 [[치바대학]]의 모체가 되었고, 제2고등학교 의학부는 센다이의학전문학교로 독립했다가 이후 [[도호쿠대학|도호쿠제국대학]] [[부속 전문부|부속 의학전문부]]로 재흡수되었다. 제3고등학교 의학부는 오카야마의학전문학교로 독립하여 신제 [[오카야마대학]]의 모체가 되었고, 제4고등학교 의학부도 가나자와의학전문학교로 독립했다가 신제 [[가나자와대학]]에 의학부로 통합되었다. 제5고등학교 의학부 역시 나가사키의학전문학교로 독립하여 전후 [[구마모토대학]]으로 승격된 제5고등학교 대학예과와 별개 대학인 [[나가사키대학]]의 모체가 되었다.] [[러일전쟁]] 후인 [[1906년]] 3월 구마모토의 제5고등학교 공학부가 구마모토고등공업학교로 독립하는 것을 끝으로 구제고등학교의 전문학부는 완전히 소멸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예과]]만으로 구성되는 고등학교는 [[제국대학]]의 예비교의 역할을 맡게 되었고, 각 지방의 최고학부 역할은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 [[도호쿠대학|도호쿠제국대학]], [[규슈대학|규슈제국대학]] 등 해당 지방에 신설되는 [[제국대학]]이 맡게 되었다. 고등학교 [[대학예과]]는 1900년 8월 4일 학과과정 개정을 통해 법과대학/문과대학 지망자를 제1부, 공과대학/이과대학/농과대학 지망자를 제2부, 의과대학 지망자를 제3부 등 3개 부로 나누어 편성해 각 대학 분과에 따른 예비교육을 실시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각 부별로 학과목을 정해 교과시간 배당을 자세하게 규정했을 뿐만 아니라, 고학년에서는 분과대학의 전문 학과 종류에 맞는 학과 구성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https://www.mext.go.jp/b_menu/hakusho/html/others/detail/1317633.htm|문부성 학제백년사]] 참조). === 제2차 고등학교령([[1918년]]) === 1918년 12월 6일 [[다이쇼]] 7년 칙령 제389호로[* 바로 앞 번호인 다이쇼 7년 칙령 제388호는 [[대학령]]으로, 고등학교령의 개정이 대학령의 제정과 함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개정된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14909¤t=-1|(제2차)고등학교령]]'''([[https://www.mext.go.jp/b_menu/hakusho/html/others/detail/1318057.htm|문부성 페이지]] 참조)이 공포되어 1919년 4월 1일부 시행되었다. [[문부과학성]]의 [[https://www.mext.go.jp/b_menu/hakusho/html/others/detail/1317665.htm|학제백년사]] 참조. > {{{+1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14909¤t=-1|제2차 고등학교령]](高等學校令)'''}}} > - [[다이쇼]] 7년 12월 6일 칙령 제389호 > >'''제1조''': 고등학교는 남학생의 고등보통교육을 완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히 국민도덕의 충실에 힘써야 한다. >'''제2조''': 고등학교는 [[국립|관립]], [[공립]] 또는 [[사립]]으로 한다. >'''제3조''': 고등학교를 설립할 수 있는 공공단체는 [[홋카이도]]와 [[도도부현|부현]](北海道及府縣)으로 한다. >'''제4조''': 사립 고등학교는 재단법인이 설립하며, 다만 특별한 필요로 인해 학교경영을 목적으로 하는 재단법인을 설립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제5조''': (1) 전조의 재단법인은 고등학교에 필요한 설비 또는 다목에 필요한 자금 및 고등학교를 유지하는 데 충분한 수입을 발생시키는 다소간의 기본재산을 갖추어야 한다. 단, 그 기본재산의 금액은 오십만엔으로 한다. (2) 기본재산 중 전항에 해당하는 것은 현금 또는 국채증권, 기타 문부대신이 정한 유가증권으로 공탁해야 한다. >'''제6조''': 공립/사립 고등학교의 설립과 폐지는 문부대신의 인가를 얻어야 한다. >'''제7조''': (1) 고등학교의 수업연한은 7년으로 고등과 3년, 심상과 4년 등으로 한다. (2) 고등학교 고등과만을 둘 수 있다. >'''제8조''': 고등학교 고등과를 나누어 문과와 이과를 둔다. >'''제9조''': (1) 고등학교는 고등과 졸업자를 위한 전공과를 두고 그 수업연한은 1년으로 한다. (2) 전공과의 졸업자는 득업사(得業士)를 칭할 수 있다. (3) 전공과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0조''': (1) 고등학교에는 특별한 필요가 있는 경우에 예과를 둘 수 있으며, 제7조 제2항의 고등학교에 한한다. (2) 고등학교 예과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1조''': 고등학교 심상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당해학교 예과[* 해당 고등학교에 설치된 예과]를 수료한 자, [[심상소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로 한다. >'''제12조''': 고등학교 고등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당해학교 심상과를 수료한 자, [[구제중학교|중학교]] 제4학년을 수료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로 한다. >'''제13조''': 고등학교의 생도 정수[* 정원]는 고등과 480명, 심상과 300명 이내로 하며, 제7조 제2항의 고등학교의 경우는 전공과를 제외하고 600명 이내로 한다. >'''제14조''': (1) 고등학교는 같은 학과 같은 학년 생도를 학급으로 편제한다. (2) 한 학급의 생도 정수는 40인 이내로 한다. >'''제15조''': 고등학교에서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해 학과목의 종류에 따라 학급이 다른 생도들을 합쳐 동시에 교수할 수 있다. >'''제16조''': (1) 고등학교 교원은 문부대신이 수여하는 고등학교 교원면허장을 가진 자일 것을 조건으로 하며, 다만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한 면허장을 가진 자로 채울 수 있다. (2) 고등학교 교원면허장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7조''': 고등학교의 설비, 편제, 학과목 및 그 정도, 교과서, 일반 학생의 입학 및 징계, 등록금 등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8조''': 공립 및 사립 고등학교는 문부대신의 감독에 속한다. >'''제19조''': 문부대신은 공립 및 사립 고등학교에 대해 보고를 받고, 검열을 행하며, 기타 감독상 필요한 명령을 할 수 있다. >'''제20조''': 본령에 의거한 학교는 칙정규정으로 별도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구제고등학교|고등학교]]라 칭하고 그 명칭에 [[구제고등학교|고등학교]]라고 표시하는 문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부칙''' > 본령은 [[다이쇼]] 8년 4월 1일부로 시행한다. > [[메이지 시대|메이지]] 27년 칙령 제75호 고등학교령[* 제1차 고등학교령] 및 고등중학교령은 이를 폐지한다. > 구 칙령에 의한 고등학교는 본 칙령에 의한 고등학교로 본다. > 전항의 고등학교는 당분간 제13조 규정을 적용한다. > 고등학교 [[대학예과]]는 [[다이쇼]] 18년 8월 31일까지 이를 존치한다. >---- [[제1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으로서 명실상부한 [[세계]] [[열강]]으로 자리매김한 일본 제국은 [[제국의회]]에서 [[제국대학]], [[관립대학]]과 [[구제전문학교]] 등 [[고등교육기관]]의 대폭 확대를 골자로 한 '고등제학교창설급확장계획'을 채택한다. 그 일환으로 고등학교령 역시 [[1918년]] [[12월 6일]] [[대학령]](칙령 제388호)과 함께 개정된 제2차 고등학교령(칙령 제389호)이 공포되어 [[1919년]] [[4월 1일]]부 시행되었다. 개정 고등학교령에서는 그 목적을 "[[남자]]의 고등보통교육을 완성하는 기관"이라 정의하여 [[소학교|심상 소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심상과(4년제)와 중학교 4년 수료자를 대상으로 하는 고등과(3년제)을 갖춘 7년제 고등학교를 기본으로 하되 예외적으로 고등과로만 이루어진 학교도 둘 수 있게 하여 구제고등학교의 대학예과가 '''고등과'''로 개칭되었다. 여러 문제로 7년제 고등학교가 기본이 되지는 못했으나, 이 시기에 [[구제중학교]]를 기반으로 고등과를 병설하여 고등학교로 승격하는 학교들이 생겨났고 학교 숫자도 증가하였다. 관립고교 중 도쿄고등학교, 다이호쿠고등학교 2개교와 나니와고등학교([[오사카부]]), 도야마고등학교([[도야마현]]), 부립고등학교([[도쿄부]]) 등 공립 3개교, 사립 4개교는 모두 7년제로 만들어졌고 [[가쿠슈인]] 고등과(중등과 5년, 고등과 3년 도합 8년제)도 [[1921년]]부터 구제고등학교와 동격으로 인정되었다. 다만 구제중학교와 구제고등학교를 합쳐 7년제로 수학연한을 단축하면서 보다 적은 재정 부담으로 지방 각지에 고등학교를 증설하려던 [[일본 제국]]이 당초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는 실패하면서 7년제 중고일관 고등학교 제도는 정착되지 못했다. 기존 고등학교들은 고등과 3년으로만 구성된 원래의 체제를 계속 유지했고, 신설된 7년제 관립/공립고등학교[* 도쿄고등학교, [[대만총독부]] 다이호쿠고등학교 등 관립 2개교, 오사카부립나니와고등학교, 도야마현립도야마고등학교, 도쿄부립고등학교 등 공립 3개교.]들도 최초의 7년제 고등학교인 도쿄고등학교가 [[1934년]] 심상과를 폐지하는 것을 시작으로 대부분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4년제)를 폐지하고 고등과(3년)로만 구성된 3년제 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그 이후 신설되는 관립/공립고등학교들은 3년제 고등학교 체제를 취했다.[* [[1945년]] [[8월]] 종전 당시를 기준으로 7년제로 남아있던 학교로는 관립으로 [[대만총독부]] [[국립타이완사범대학|다이호쿠고등학교]]와 공립으로 도쿄부립고등학교 등 총 2개교에 불과했다.] 그러나 막대한 재정 부담이 힘겨웠던 사립고등학교 네 곳은[* 무사시, 코난, 세이케이, 세이조] 개교시부터 종전시까지 심상과를 통합한 7년제 시스템을 유지하였다. === 종전 이후([[1945년]]~) === 연합군총사령부 [[GHQ]]는 [[일본제국]]의 기존 체제를 해체하고 미국의 시스템을 이식하면서 구제고등학교와 [[대학예과]], [[구제대학]] 학부 및 [[부속전문부]], 그리고 [[구제전문학교]] 등을 전부 미국식 대학으로 일원화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1현1교 원칙에 따라 [[도도부현]]내의 관공립 [[고등교육기관]]을 통합하여 미국식 주립대학을 모델로 하는 대형 국립종합대학으로 개편했다.[* [[제국대학령]]이 [[1947년]] [[제국대학#s-3.2|국립종합대학령]]에 따라 전부개정되었다.] 이에 따라 구제고등학교는 [[제국대학]]에 흡수되거나([[http://qsay55.starfree.jp/1st.html|제1고등학교]][* 現 [[도쿄대학]] 코마바 캠퍼스] + [[http://qsay55.starfree.jp/TK.html|도쿄고등학교]][* 現 도쿄대학 교육학부 부속 중등교육학교 부지([[도쿄도]] [[나카노구]] 미나미다이 1쵸메 15-1). 제2차 고등학교령에 의거 7년제 고교로 설립된 도쿄고등학교에는 일반 3년제 고교에 해당하는 고등과 외에도 [[구제중학교]]격의 4년제 심상과가 함께 설치되어 있었으나 7년제 고교 제도가 정착에 실패하자 도쿄고교에서도 1934년 고등과만 남기고 심상과를 폐지한 바 있다. 이 때 폐지된 심상과는 종전 후인 1946년 다시 학생을 모집했다가 이듬해인 1947년 다시 정지, 1948년 재개하는 등 파행을 겪은 바 있으며, 제1고등학교가 있던 코바마 캠퍼스의 교양부로 통합된 고등과와 별도로 도쿄대학 교육학부 부속 중학교/고등학교(現 교육학부 부속 중등교육학교)로 계승되었다.] = [[도쿄대학]] 교양부) [[관립대학]]에 병합되었고([[http://qsay55.starfree.jp/4th.html|제4고등학교]] → [[가나자와대학]] 법문학부/이학부) 또는 근교의 [[구제전문학교]] 등과 합병해 신설된 국립대학([[http://qsay55.starfree.jp/MM.html|마츠모토고등학교]] → [[신슈대학]] 문리학부) 일부가 되었다. [[조선총독부|조선]], [[대만총독부|대만]], [[관동주청|관동주]] 등 외지의 고교(경성제대예과[* [[파일:clm1802250008-p1.jpg]] 주로 [[서일본]], 특히 [[규슈]] 지방 출신이 많았던 경성제대의 학생 구성이 반영되어있다.], 다이호쿠제대예과, 다이호쿠고교, 여순고교 등) [[생도]]들은 내지의 고등학교로 전입학하였다. [[교원]]들 또한 내지의 [[제국대학]] 등지로 자리를 옮겼지만, 일부는 [[아이치대학]] 등 신설 대학의 창설멤버가 되어 활약하기도 했다. ([[https://www.sankei.com/column/amp/180225/clm1802250008-a.html|참조]]) [[궁내성]] 소관 관립학교에서 재단법인[* [[1951년]] 학교법인.]으로 전환된 [[가쿠슈인]] 고등과와 4곳의 사립고등학교는 신제대학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통합하여 함께 대학을 이루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현실화되지 못했고, 결국 각각 개별적으로 신제 사립대학으로 전환되었다. 이들 5개교는 구제고등학교로서 정체성을 바탕으로 오늘날 [[리버럴아츠 5학원]]을 구성하고 있다. || [[파일:liberalarts5univ.jpg|width=100%]][* [[https://passnavi.evidus.com/sp/9502/ad_closeup.html|출처]] ] || == [[학교]] 일람 == || [[파일:旧制高等学校一覧表1.png]] || [[파일:旧制高等学校一覧表2.png]] || |||| ▲ [[https://page.auctions.yahoo.co.jp/jp/auction/p840546442|구제고등학교일람표]](도서 ''[[https://books.bunshun.jp/ud/book/num/9784160088771|旧制高校美術連合会美術展「白線展」の歩み]]'' ) || || [[파일:1000245_500958576649099_875288305_n.jpg|width=100%]] || || ▲ 고등학교 분포도 || || [[파일:74822463_large.jpg|width=100%]] || || ▲ 고등학교 교표[*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단부터 하단으로[br](제1열) 제1고등학교, 제2고등학교, 제3고등학교, 제4고등학교, 제5고등학교, 제7고등학교 [br](제2열) 제8고등학교,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야마구치고등학교, 마쓰모토고등학교, 마츠야마고등학교 [br](제3열) 니가타고등학교, 마쓰에고등학교, 미토고등학교, 오사카고등학교, 야마가타고등학교, 우라와고등학교, 시즈오카고등학교 [br](제4열) 히로사키고등학교, 고치고등학교, 사가고등학교, 도쿄고등학교, 후쿠오카고등학교, 히메지고등학교, 히로시마고등학교 [br](제5열) 다이호쿠고등학교, 여순고등학교, 가쿠슈인 고등과, 경성제국대학 예과,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 [br](제6열) 도야마고등학교, 나니와고등학교, 부립고등학교, 코난고등학교, 무사시고등학교, 세이케이고등학교, 세이조고등학교]([[https://www.kosho.or.jp/upload/save_image/13040060/20210110162054734566_e6f18bfc235192198a7a4f54e289f058.jpg|#1]] / [[https://www.kosho.or.jp/upload/save_image/37000100/20170928121633661873_3415fcd718fa09d110a48c2a20068b1f.jpg|#2]]) || [[1945년]] [[8월]] 종전 당시 기준으로 총 38개 고등학교가 존재했다. * 관립 32개교 * 넘버스쿨(8개교): 제1고등학교, 제2고등학교, 제3고등학교, 제4고등학교, 제5고등학교, 제6고등학교, 제7고등학교, 제8고등학교 * 네임스쿨(20개교): [[니가타대학|니가타고등학교]], [[신슈대학|마츠모토고등학교]], [[야마구치대학|야마구치고등학교]], [[에히메대학|마츠야마고등학교]], [[이바라키대학|미토고등학교]], [[야마가타대학|야마가타고등학교]], [[사가대학|사가고등학교]], [[히로사키대학|히로사키고등학교]], [[시마네대학|마쓰에고등학교]], [[도쿄대학|도쿄고등학교]], [[오사카대학|오사카고등학교]], [[사이타마대학|우라와고등학교]], [[규슈대학|후쿠오카고등학교]], [[국립타이완사범대학|다이호쿠고등학교]], [[시즈오카대학|시즈오카고등학교]], [[고치대학|고치고등학교]], [[고베대학|히메지고등학교]], [[히로시마대학|히로시마고등학교]], [[https://ja.wikipedia.org/wiki/%E6%97%85%E9%A0%86%E9%AB%98%E7%AD%89%E5%AD%A6%E6%A0%A1_(%E6%97%A7%E5%88%B6)|여순고등학교]], [[토야마대학|도야마고등학교]][* 1943년 [[쇼와]] 18년 3월 31일 칙령 제249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34535|文部省直轄諸學校官制中改正ノ件]] 및 칙령 제250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34536|文部省直轄諸學校職員定員令中改正ノ件]]에 의거 1943년 4월 1일 관립 도야마고등학교가 설립되는 형식으로 공립(도야마현립)에서 관립으로 이관.] * 제국대학예과(3개교): [[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국대학예과]], [[경성제국대학|경성제국대학예과]], [[대북제국대학|대북제국대학예과]] * 가쿠슈인: [[가쿠슈인대학|가쿠슈인고등과]] * 공립 2개교: --[[도야마현]] [[토야마대학|도야마고등학교]]--[* 1943년 3월 31일 [[쇼와]] 18년 칙령 제249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34535|文部省直轄諸學校官制中改正ノ件]] 및 칙령 제250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34536|文部省直轄諸學校職員定員令中改正ノ件]]에 의거 1943년 4월 1일 관립 도야마고등학교가 설립되는 형식으로 공립(도야마현립)에서 관립으로 이관.], [[오사카부]] [[오사카대학|나니와고등학교]], [[도쿄부]] [[도쿄도립대학|부립고등학교]] * 사립 4개교: [[무사시대학|무사시고등학교]], [[코난대학|코난고등학교]], [[세이케이대학|세이케이고등학교]], [[세이조대학|세이조고등학교]] 제2차 고등학교령에도 불구하고 [[구제중학교|심상과]](4년제)가 병설된 7년제 고등학교 형태는 [[도쿄대학|도쿄고등학교]] 및 [[대만총독부]] [[국립타이완사범대학|다이호쿠고등학교]] 등 관립 2개교와 공립/사립 고교에서만 채택되었다. 그러나 관립 도쿄고등학교가 1934년 심상과를 폐지했고, [[도야마현]] 도야마고등학교는 관립 이관되며 1943년, [[오사카부]] 나니와고등학교는 1944년 각각 심상과 신입생 모집을 정지하여 종전시까지 7년제를 유지한 곳은 다이호쿠고등학교[* 다이호쿠고등학교는 심상과 모집 정원이 고등과 정원 160명 대비 25%에 불과한 40명으로, 고등과 생도의 75%가 직승(내부 심상과에서 진학)이 아닌 다른 5년제 [[구제중학교]] 졸업생들로 구성되어, 내지의 7년제 고등학교들과는 차이가 큰 곳이었다. [[이등휘]] 총통 역시 담수[[보통학교|공학교]], 담수[[구제중학교|중학교]]를 거쳐 다이호쿠고등학교 고등과에 진학한 케이스다. [[국립대만사범대학]] [[http://archives.lib.ntnu.edu.tw/exhibitions/Taihoku/origin.jsp|역사관]]에 따르면 다이호쿠고등학교 신입생 선발에서 [[대만인]] 비율은 심상과가 평균 3~4명(최대 6명), 고등과가 평균 30명 정도에 불과했다고 하는데 [[대만일치시기]]에는 대만에 거주하는 일본인을 우선함에 따라 [[구제중학교]] 신입생 모집에서도 대만인 차별이 극심하여 일본인 50명에 대만인 1명이 안 된다고 했을 정도라는 점을 감안하면([[https://zh.m.wikipedia.org/zh-tw/%E6%9D%8E%E7%99%BB%E8%BC%9D|"當時保障 日本本土 學生名額,錄取臺灣 本島人 學生極少,每次招考五十名新生,通常只有一名臺灣人可以就讀"]]), 1920년대부터 격화된 고교 입시로 인해 내지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몰려들었을 다이호쿠고등학교의 대만인 생도 비율은 높은 편이었다. [[경성제국대학]] 예과의 조선인 합격생 비율(30~40%)과 마찬가지로, 다이호쿠고등학교 합격자 중 대만인 비율 역시 내지와 대만의 인구비례를 기본값으로 현지 홈어드밴티지를 5~10%p 더한 값을 보였다. 다이호쿠고등학교 생도는 다수 일본인과 소수의 대만인 외에도 극소수의 조선인과 만주국 국적자가 있었다고 한다(徐聖凱,《日治時期台北高等學校與菁英養成》台師大出版中心, Airiti Press, 2012)] 및 [[도쿄도립대학|부립고등학교]] 그리고 사립 4개교[* 재정 여건상 막대한 부담이 따르는 [[심상중학교]] 독립과 별도 운영이 어려운 사립 재단들은 7년제 고교 유지가 불가피했다.] 뿐이었다. === 넘버스쿨 === 고등중학교 시절부터 이어진 최초의 관립고등학교들로, [[숫자]]를 따서 제1고등학교([[도쿄시]]), 제2고등학교([[센다이시]]), 제3고등학교([[교토시]])... 제8고등학교([[나고야시]])까지 생겨 '''넘버스쿨'''(番號校)로 불렸다.[* 제2차 고등학교령([[1918년]]) 반포 후에 설치된 학교들은 소재지의 [[이름]]을 따서 '''네임스쿨'''(地名校)로 불렸다.] 관립고등학교들 사이에는 [[역사]]의 길고 짧음은 있어도 상하 [[서열]]은 없었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넘버 스쿨(특히 제1고) 쪽이 역사가 길고 유력 동문들이 많았기 때문에 더 무게감이 있었다. 아무래도 [[조선인]]은 [[한반도]]에서 가까운 제3고(교토시), 제5고(큐슈 쿠마모토시)로 많이 갔다. 이러한 경향은 관공립 고등학교는 물론 대학교 까지도 마찬가지이다. || [[파일:540px-First_Higher_School,_Japan_before_1923.jpg|width=100%]] || || ▲ 제1고등학교 || * [[http://qsay55.starfree.jp/1st.html|제1고등학교]] - [[도쿄도]] [[분쿄구]], [[메구로구]] → [[도쿄대학]] 교양학부[* 現 도쿄대학에서 교양과정용으로 사용되는 코마바 캠퍼스는 과거 제1고등학교의 부지로서 건물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파일:500px-Second_Higher_School,_Japan.jpg|width=100%]] || || ▲ 제2고등학교[* [[미군]] 폭격으로 소실. 現[[도호쿠대학]] 캠퍼스 내부] || * [[http://qsay55.starfree.jp/2nd.html|제2고등학교]] - [[미야기현]] [[센다이시]] → [[도호쿠대학]] 교양부 || [[파일:The_Gate_of_Third_Higher_School,_Japan.jpg|width=100%]] || || ▲ 제3고등학교 || * [[http://qsay55.starfree.jp/3rd.html|제3고등학교]] - [[교토부]] [[교토시]] → [[교토대학]] 교양부[* [[삼양사]] 창립주 [[김연수(기업인)|김연수]]가 이 코스를 밟아서 [[한국]] 최초의 [[경제학]] 전공자가 되었다.] || [[파일:600px-The_Forth_High_School_Memorial_Museum_of_Cultural_Exchange_Ishikawa01s5s4110.jpg|width=100%]] || || ▲ 제4고등학교[* 現 [[이시카와현]] 4고기념관&근대문학관으로 사용 중] || * [[http://qsay55.starfree.jp/4th.html|제4고등학교]] -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 → [[가나자와대학]] 법문학부/이학부 || [[파일:external/www.kumamoto-u.ac.jp/rekishi02.jpg|width=100%]]|| || ▲ 제5고등학교[* 現 [[구마모토대학]] 제5고기념관으로 사용 중. [[http://www.adnet.jp/nikkei/kindai/30/|참조]].] || * [[http://qsay55.starfree.jp/5th.html|제5고등학교]]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 [[구마모토대학]] 법문학부/이학부 || [[파일:560px-T15-okayama-si-syasintyo013.jpg|width=100%]]|| || ▲ 제6고등학교[* [[미군]] 폭격으로 소실되고 종전 후 [[폐교]]. 현재 오카야마현립 오카야마아사히고등학교 부지에 위치] || * [[http://qsay55.starfree.jp/6th.html|제6고등학교]] -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 [[오카야마대학]] 법문학부/이학부 || [[파일:i-img1200x761-1597882606fvmswd434.jpg|width=100%]]|| || ▲ 제7고등학교조사관[* 미군 [[폭격]]으로 소실. 현재 [[가고시마현]] 역사자료센터 여명관 및 현립도서관 부지에 위치.] || * [[http://qsay55.starfree.jp/7th.html|제7고등학교조사관]] -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이즈미시(가고시마)|이즈미시]] → [[가고시마대학]] 문리학부 || [[파일:taisho_archives714.jpg|width=100%]]|| || ▲ 제8고등학교[* 미군 [[폭격]]으로 소실. 現 [[나고야시립대학]] 타키코토 캠퍼스(滝子)에 위치.] || * [[http://qsay55.starfree.jp/8th.html|제8고등학교]] - [[아이치현]] [[나고야시]] → [[나고야대학]] 교양부 === 네임스쿨 === 구제 관립고등학교 중 [[1918년]] [[12월]] 개정 고등학교령 공포 후 설립된 20개의 네임스쿨(地名校) 고등과가 있었다. || [[파일:i-img600x433-16232131975sfuyy34972.jpg|width=100%]] || || ▲ 니가타고등학교 || * [[http://qsay55.starfree.jp/NG.html|니가타고등학교]][* 9번째 고등학교 설립을 놓고 [[나가노현]] [[마츠모토시]]와 치열한 [[경쟁]]이 벌어져 양 지역에 신설되는 고등학교부터 제9고등학교로 명명되는 대신 지명을 딴 네임스쿨로 [[1919년]] [[4월 15일]] 설립되었다.] - [[니가타현]] [[니가타시]] → [[니가타대학]] 인문학부/이학부 || [[파일:matsu07-1.jpg|width=100%]] || || ▲ 마츠모토고등학교[* 現 [[마츠모토시]]립 구제고등학교기념관. 사진 출처 [[https://studio-sakyo.jp/wp/archives/4579|방문기]]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MM.html|마츠모토고등학교]][* [[1899년]] 이자와 슈지 등에 제7고등학교 [[마츠모토시]] 유치운동이 전개되었으나 [[가고시마시]]에 패하였고, [[1910년]]에는 마츠모토에 제9고등학교 설치가 내정되었으나 실현되지 못하였으며 [[1918년]] 제9고등학교 설립을 놓고 [[마츠모토시]]와 [[니가타시]] 사이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져 이 때부터 신설 고등학교가 제9고등학교로 명명되는 대신 [[지명]]을 딴 네임스쿨로 [[1919년]] [[4월]] 설립되었다.] - [[나가노현]] [[마츠모토시]] → [[신슈대학]] 문리학부[* 현재 마츠모토시립 [[http://matsu-haku.com/koutougakkou|구제고등학교기념관]]이 과거 마츠모토고등학교 건물에 위치해 있다.] || [[파일:DMoSEVDUEAgJjQw.jpeg.jpg|width=100%]] || || ▲ 야마구치고등학교[* 현재 본관 [[건물]] 등은 철거되고 강당만 남아 기념관으로 사용 중. [[https://gamp.ameblo.jp/st0323st0323/entry-12204740185.html|방문기]]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YG.html|야마구치고등학교]][* [[1886년]] [[11월]] 세 번째 고등중학교로 관립 야마구치고등중학교가 설립되었고 이 학교가 [[1894년]] 고등학교령 반포에 따라 야마구치'''고등학교'''로 개칭되면서 대학예과가 설치되었으나, 이 야마구치고등학교는 [[1905년]] 야마구치[[고등상업학교]]로 전환되어 폐교되었다. 이후 야마구치[[고등상업학교]]와 별도로 '''재흥(再興)'''야마구치고등학교 설립 운동이 일어나 [[1919년]] [[4월]] 문부성령 제13호에 의거해 니가타, 마츠모토, 마츠야마와 함께 (재흥)야마구치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 [[야마구치대학]] 문리학부 || [[파일:840.png|width=100%]] || || ▲ 마츠야마고등학교[* 現 에히메대학 [[https://www.ehime-u.ac.jp/post-53988/|페이지]]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MY.html|마츠야마고등학교]][* [[1919년]] [[4월]] 문부성령 제13호에 의거 [[1919년]] [[4월]] [[시코쿠]] 최초의 고등학교로서 니가타, 마츠모토, 야마구치와 함께 [[마츠야마시]]에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 [[에히메현]] [[마츠야마시]] → [[에히메대학]] 문리학부 || [[파일:a6c62883f2220c34c04b66e6a5e56ca4.webp|width=100%]] || || ▲ 미토고등학교[* 기존 교사는 [[1945년]] 미군 폭격으로 소실되고 [[1948년]] [[일본군|육군]] 동부 제37부대 부지로 이전하여 현재 [[이바라키대학]] 미토캠퍼스로 승계되었으며, [[1945년]] 이전 구교사에는 그 부지의 남쪽 절반에 [[미토시|미토시립]](신제)제일중학교가 건설되어 구제미토고를 기념하는 조형물 등이 설치되어있고, 북쪽 절반에는 [[1965년]] 국립미토병원이 들어섰다가 이전 후 매각하여 현재 북수회(北水會)병원이 사용 중.] || * [[http://qsay55.starfree.jp/MT.html|미토고등학교]][* [[1920년]] 미토의 번교를 계승하여 [[미토시]]에 13번째 고등학교로 설립되었다.] - [[이바라키현]] 히가시이바라키군[* 미토시 [[교외]] 접경지역이였으나 [[1933년]] [[미토시]]에 편입.] → [[이바라키대학]] 문리학부 || [[파일:yghighschool.jpg|width=100%]] || || ▲ 야마가타고등학교[* [[https://cmic-career.com/dr-column/detail/10|출처]]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YT.html|야마가타고등학교]][* [[1920년]] [[4월]] [[칙령]] 제110호에 의거 15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0년]] [[8월 2일]] [[입학식]] 후 [[9월 4일]] 개교] - [[야마가타현]] [[야마가타시]] → [[야마가타대학]] 문리학부 || [[파일:sagahighschool.jpg|width=100%]] || || ▲ 사가고등학교[*전경 [[파일:sagahighschool2.jpg]] 상세 내용은 [[http://www.saga-u.ac.jp/koho/monogatari.pdf|사가대학 소개]]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SG.html|사가고등학교]][* [[1920년]] [[4월]] [[칙령]] 제110호에 의거 15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0년]] [[9월]] 개교] - [[사가현]] [[사가시]] → [[사가대학]] 문리학부 || [[파일:hshs.jpg|width=100%]] || || ▲ 히로사키고등학교[* [[파일:hshs07.jpg]] 강당 사진. 상세 내용은 출처 히로사키대학 [[http://www.saga-u.ac.jp/koho/monogatari.pdf|소개페이지]]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HK.html|히로사키고등학교]][* [[1920년]] [[11월]] [[칙령]] 제551호에 의거 17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1년]] [[4월 16일]] 개교] -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 → [[히로사키대학]] 문리학부 || [[파일:matsuehs.jpg|width=100%]] || || ▲ 마츠에고등학교[* 시마네대학 [[http://museum.shimane-u.ac.jp/university_history/matsuko.htm|소개페이지]]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ME.html|마츠에고등학교]][* [[1920년]] [[11월]] [[칙령]] 제551호에 의거 17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1년]] [[4월 16일]] 개교] - [[시마네현]] [[마츠에시]] → [[시마네대학]] 문리학부 || [[파일:1920px-The_Tokyo_High_School,_Nakano_Tokyo_Japan.jpeg.jpg|width=100%]] || || ▲ 도쿄고등학교 || * [[http://qsay55.starfree.jp/TK.html|도쿄고등학교]][* 제2차 고등학교령에 의거 최초로 설립된 '''7년제''' 고등학교로 [[1921년]] [[11월]] 설립, [[1922년]] [[4월]] 개교하였다. 그러나 구제중학교(5년)+구제고등학교(3년)를 7년제 고교로 개편하려던 수학연한 단축 시도가 실패로 돌아감에 따라, [[1934년]] [[구제중학교|심상과]](4년)는 폐지되고 도쿄고등학교는 고등과만 남은 3년제 고교가 되었다. 문이과에 모두 [[프랑스어]]를 전공하는 병류가 설치되어있었으며 [[자유주의]] 학풍으로 유명했고 졸업생의 8할이 도쿄제대에 진학할 정도로 입시명문으로 명성을 자랑했다고 한다.] - [[도쿄부]] [[나카노구|도요타마군 나카노쵸]][* [[1932년]] 도쿄시 확장에 따라 [[도쿄시]] [[나카노구]]로 개편.] → [[도쿄대학]] 교양학부[* [[1934년]] 폐지된 [[구제중학교|심상과]]는 전후 [[1946년]] 다시 [[학생]]을 모집했으나 [[1947년]] 다시 모집 정지, [[1948년]] 재개하는 등 파행을 겪다가 교육학부 부속 중학교/고등학교(현재의 교육학부 부속 중등교육학교)로 계승되었다.] || [[파일:daikou.jpg|width=100%]] || || ▲ 오사카고등학교[* 상세 내용은 오사카대학의 [[https://www.osaka-u.ac.jp/daikou/monu/monu.htm|오사카고 소개페이지]]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OS.html|오사카고등학교]][* [[1921년]] [[10월]] 칙령 제432호에 의거 17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2년]] [[4월]] 개교. 도쿄고등학교와 함께 유이하게 [[프랑스어]]를 배우는 이과 병류가 설치됨] - [[오사카부]] [[오사카시]] → [[오사카대학]] 남교(南校)[* [[1949년]] [[5월]] 신제 [[오사카대학]] 소속 오사카고등학교로 개편된 후 오사카부립 나니와고등학교와 함께 오사카대학 일반교양부를 구성. 오사카고등학교는 남교(南校)가 되었다가 나니와고등학교 캠퍼스인 북교(北校)로 통합.] || [[파일:uwhs.jpg|width=100%]] || || ▲ 우라와고등학교[* 現 북우라와(北浦和)공원 부지에 위치해있던 원래 교사는 [[1945년]] 미군 폭격으로 소실. 출처 [[https://smtrc.jp/town-archives/city/urawa/p04.html|페이지]]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UW.html|우라와고등학교]][* [[1921년]] [[11월]] 칙령 제432호에 의거 20번째 고등학교로 설립되었고, [[1922년]] [[3월]] 제1회 입학] - [[사이타마현]] 기타아다치군(北足立郡) 우라와쵸(浦和盯)[* [[1934년]] [[2월]] 우라와시(浦和市)로 독립. 現 [[사이타마시]].] → [[사이타마대학]] 문리학부 || [[파일:fukuokahs.jpg|width=100%]] || || ▲ 후쿠오카고등학교[* 現 [[규슈대학]] 舊롯폰마츠 캠퍼스. [[https://smtrc.jp/town-archives/city/jonan/p02.html|출처 페이지]]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FO.html|후쿠오카고등학교]][* [[1921년]] [[11월 9일]] 칙령 제432호에 의거 20번째 고등학교로 설립되어, [[1922년]] [[4월]] 개교하였다.]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 [[규슈대학]] 교양부[* [[1949년]] [[5월]] 신제 [[규슈대학]] 소속 후쿠오카고등학교로 개편된 후 신제 규슈대학 교양부(舊롯폰마츠 캠퍼스)를 구성.] || [[파일:taihokuhs.jpg|width=100%]] || || ▲ 다이호쿠고등학교[* 現 [[국립대만사범대학]] 본관.] || * [[대만총독부]] [[http://qsay55.starfree.jp/TH.html|다이호쿠고등학교]][* [[1922년]] [[4월 1일]] 외지 최초의 고교(7년제)로서 [[대만총독부]]고등학교(臺灣總督部高等學校)가 설립되고, [[1925년]] 고등과(3년제) 설치. [[1927년]] 대만총독부 다이호쿠고등학교(臺北高等學校)로 개칭되었다.] - [[대만총독부#s-3|다이호쿠주]](臺北州) [[타이베이시|다이호쿠시]](臺北市) → [[국립타이완사범대학]][* 일본 패전 이후 [[1945년]] [[타이완 섬|대만]]에 진주한 [[중화민국군]]에 접수되었다. 이후 대만성립사범학원([[1946년]])을 거쳐 [[국립타이완사범대학]]([[1967년]])으로 승격. 상세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파일:shizuokahs.png|width=100%]] || || ▲ 시즈오카고등학교[* 상세내용 출처 시즈오카대학 인문사회과학부 [[https://www.hss.shizuoka.ac.jp/about/history|소개페이지]]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SO.html|시즈오카고등학교]][* [[1922년]] [[8월]] 칙령 제391호에 의거 설립.] -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 [[시즈오카대학]] 문리학부 || [[파일:gochihs.jpg|width=100%]] || || ▲ 고치고등학교[* 구제 고치고교는 신제 고치대학 문리학부로 계승되어 [[1960년]] 캠퍼스 이전시까지 사용.] || * [[http://qsay55.starfree.jp/KC.html|고치고등학교]][* [[1922년]] [[8월]] 칙령 제391호에 의거 설립, [[1923년]] [[4월]] 개교.] - [[고치현]] [[고치시]] → [[고치대학]] 문리학부 || [[파일:himejihs.jpg|width=100%]] || || ▲ 히메지고등학교 || * [[http://qsay55.starfree.jp/HJ.html|히메지고등학교]][* [[1923년]] [[12월 11일]] 25번째 고등학교로 [[1918년]] 개정 반포된 제2차 고등학교령에 의거해 증설에 나선 고등학교로서는 히로시마고교와 함께 마지막으로 설립.] - [[효고현]] [[히메지시]] → [[고베대학]] 문리학부 || [[파일:hiroshimahs.jpg|width=100%]] || || ▲ 히로시마 원폭[* [[파일:hiroshimaschools.jpg]] [[히로시마대학|히로시마문리과대학]]과 [[고등사범학교]]/[[여자고등사범학교]] 그리고 히로시마고등학교가 폭심지 근처에 위치하여 괴멸적 타격을 입었다.] 후 히로시마고등학교[* 現 히로시마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부지. [[https://hiroburari.exblog.jp/13828199/|출처]]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HS.html|히로시마고등학교]][* [[1923년]] 칙령 제501호에 의거 25번째 고등학교로 설립, [[1924년]] [[4월]] 개교]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 [[히로시마대학]] 교양부 || [[파일:ryojunhs.jpg|width=100%]] || || ▲ [[https://ja.m.wikipedia.org/wiki/%E6%97%85%E9%A0%86%E9%AB%98%E7%AD%89%E5%AD%A6%E6%A0%A1_(%E6%97%A7%E5%88%B6)|료준고등학교]] || * [[관동주청]] 료준고등학교[* [[1940년]] [[3월]] 주[[만주국]] 일본대사관 [[관동군]] 소관 학교로 3년제 여순고등학교(료준고등학교) 설립.] - [[관동주청|관동주]] [[뤼순|료준시]](旅順市, 여순시) → 폐교[* [[8월의 폭풍 작전]]으로 [[만주]]를 점령한 [[소련군]]에 접수된 후 폐교. [[소련군]], [[중국인민해방군]] 사령부로 쓰이던 학교 건물은 현재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북해함대]] 뤼순기지 부지로 이용 중.] || [[파일:toyamahs.jpg|width=100%]] || || ▲ 도야마고등학교 || * [[http://qsay55.starfree.jp/TY.html|도야마고등학교]][* [[1923년]] [[10월]] 설치된 도야마현립 7년제 공립고등학교가 [[1943년]] [[3월]] 칙령 제249호에 의거 관립으로 이관되면서 [[구제중학교|심상과]]를 폐지하고 3년제 관립고등학교로 전환] - [[토야마현]] [[토야마시]] → [[도야마대학]] 문리학부 === [[제국대학]]예과 === [[개척사|홋카이도]], [[조선총독부|조선]], [[대만총독부|대만]]의 제국대학에는 부속 [[예과]]가 존재했다. 이 제국대학예과 3개교는 해당 제국대학 관제에 의거해 설립되어 각 제국대학 소속기관으로 존재했다는 점에서, 고등학교령을 근거 법령으로 설립된 타 구제고교들과 법제상의 차이가 있었으나, 교육내용에는 차이가 없었다. 예과 수료생은 소속 제국대학 [[학부]]로 진학이 보장되었으므로[* [[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국대학]]의 경우는 이학부를 기준으로 1순위로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수료자, 2순위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 이과 졸업생 및 [[가쿠슈인]] 고등과 이과 졸업자, 3순위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 문과 졸업생 및 가쿠슈인 고등과 문과 졸업자를 입학시켰고, 이후에도 결원이 있는 경우 4순위로 [[고등사범학교]]와 여자고등사범학교 이과 졸업생, 5순위로 기타 [[구제전문학교]] 졸업생으로 자격검정시험 합격자, 마지막 6순위로 [[구제중학교]] 교원면허소지자로 자격검정시험에 합격한 자를 입학시켰다고 한다. [[경성제국대학]] 대학규정에 따르면 경성제대 학부는 예과수료자를 먼저 입학시킨 뒤(제4조), 예과 수료자를 입학시키고 남은 결원이 있을 경우 1순위로 구제고등학교 및 가쿠슈인 고등과의 문과 수료자로 법문학부에 지원한 자, 이과 수료자로 의학부 및 이공학부에 지원한 자를 입학시키고(제5조 1) 수용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선발시험을 행할 수 있으며, 그래도 결원이 남는 경우 2순위로 법문학부 선과생 및 선과수료자, 공/사립대학 예과, 고등사범학교, 여자고등사범학교, 고등상업학교, 외국어학교 및 동등 이상의 학교 졸업자로서 학부에서 적당하다고 판단하는 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학력검정시험의 합격자를 입학시켰다(제5조 2). [[다이호쿠제국대학]] 역시 이와 유사하게 자교 예과수료자를 최우선으로 받은 후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를 입학시키고, 이후 남은 결원에 대해 방계입학생을 받았다.] [[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이나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 인기학부 진학을 위해 수험 공부(주로 [[외국어]] 과목)를 해야했던 여타 구제고교생들과 달리 예과 시절부터 [[철학]]/[[문학]] 서적을 탐독하는 등 여유로운 예과 생활을 즐겼다고 한다.[* 소수 학생들은 부속 예과 졸업 후 내지의 타 [[제국대학]]으로 진학한 경우도 발견되는데, 도쿄제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학부가 구제고교 졸업생 지원이 정원 미달로 결원을 차순위 [[구제전문학교]] 졸업생 등 이른바 '방계입학생'으로 채우고 있는 상황이었으므로(절반까지 달하던 방계입학자를 줄이기 위해 [[규슈대학|규슈제국대학]]도 예과 개설을 추진했으나, 주변 지역에 구제고등학교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중앙정부에 의해 거부되었다.) 별 어려움 없이 입학가능하여 수험 압박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 [[파일:640px-Hokkaido-Univ-Adm-Bureau-01.jpg|width=100%]] || || ▲ [[홋카이도대학|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現 [[홋카이도대학]] 사무국(대학본부)으로 사용 중. [[1937년]]에 건설된 건물로, 정문 입구 차양은 [[1977년]]에 덧붙여지어진 것이라고 한다. [[1935년]] 이전 예과 건물은 목조였다고 한다. 아래 사진 및 [[https://takuan21a.exblog.jp/21309752/|링크]] 참조. [[파일:b0199449_14335671.jpg]]] || * [[http://qsay55.starfree.jp/HD.html|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사실상 외지 같은 취급을 받던 [[홋카이도]]에는 [[제국대학]]에 입학을 위해 거쳐야 하는 구제고등학교가 세워져 있지 않은 대신 삿포로농학교에는 예수과(豫修科)가 있어 본과 진입 전 교육을 담당하고 있었으므로 [[1907년]] 삿포로농학교의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 승격시에 이를 개편한 [[대학예과]]를 설치했다. 후에 홋카이도제국대학이 되는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은 예과 수료자를 최우선으로 입학시키고 결원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여타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를 받았고, 1918년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분리되면서 예과도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가 되었다. 예과는 종전 후인 1947년 4월 홋카이도제국대학 법문학부 설치의 모체가 되며 1950년 3월 폐지되었고 학부 예비교육 기능은 1949년 설치된 교양학과(1951년 이후 일반교양부)와 '''혜적'''기숙사(케이테키료)로 계승되었다. 홋카이도제국대학에서 시작된 제국대학예과 제도는 이후 설립된 [[경성제국대학]]과 [[다이호쿠제국대학]]에도 도입되었다.] - 1907년 6월 22일 [[메이지 시대|메이지]] 40년 칙령 제237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09588¤t=-1|'도호쿠제국대학농과대학관제']] 제9조에[* 제1항 ''"농과대학에 '''대학예과''', 토목공학과, 임학과 및 수산학과를 부설하고, 조교전임 16인과 조교수전임 7인을 둔다."''] 의거 설치,[*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을 설립하면서 그 모체인 [[삿포로농학교]]의 예수과(豫修科)를 대학예과로 개편.] 1918년 4월 1일 [[다이쇼]] 7년 칙령 제44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14494¤t=-1|'홋카이도제국대학관제']] 제11조에[* 제1항 ''"홋카이도제국대학에 '''대학예과''', [[부속 전문부|토목전문부]], [[부속 전문부|수산전문부]]를 부속으로 두고, 교수전임 28인과 조교수전임 11인을 둔다."''] 의거 개편.[*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이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독립되면서, 그 예과도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로 개칭.]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삿포로)|키타구]] → [[홋카이도대학]] 법문학부 || [[파일:arase338.jpg|width=100%]] || || ▲ [[경성제국대학]] 예과[* [[http://naver.me/Gw5w2LCG|그림]] 참조.] || * [[http://qsay55.starfree.jp/KJ.html|경성제국대학 예과]][* [[조선총독부]]는 [[1924년]]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하며 조선의 [[구제중학교]] 졸업생들이 당지의 제국대학으로 진학할 수 있도록 경성제국대학 부속으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舊대학예과)에 해당하는 경성제대 예과를 설치했다. 해당 제국대학으로 진학할 학생들을 구제중학교 졸업자 중에서 시험 선발하여 교육하였다. [[1918년]] 제2차 고등학교령이 반포될 당시에는 이미 도쿄제국대학 출신으로 해외유학을 다녀온 사람들이 각지의 제국대학 교수진의 중추를 이루어 과거 [[메이지 시대]]와 같이 [[외국인]]으로부터 직접 교육을 받는 시대가 지난 상태였으므로, 교육연한 단축을 추진해 기존 5년제 구제중학교와 3년제 고등학교 대신 7년제 고등학교를 기본으로 삼은 바 있었다. 이러한 정부 시책에 발 맞추어 경성제대 예과는 2년제로 개교하여 [[1933년]]까지는 구제중학교([[고등보통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입시를 시행하여 2년간 교육하였으나, 교육기간 합계 8년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7년제 일관 고등학교로 통합하려던 [[정부]]의 [[정책]]이 정착하지 못하게 되면서, 7년제 고등학교들이 심상과(4년제)를 폐지하고 고등과(3년제)만 남겨서 기존의 3년제 고등학교 체제가 굳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오히려 2년제 예과가 3년제 고등학교보다 못하다는 인식이 퍼지게 되었고 경성제대 교수진과 학생들은 예과 수업연한 연장을 요구하게 된다. 이 때문에 경성제대 예과는 [[1934년]] 입시부터는 타 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중학교 4년 수료자에게도 수험자격을 부여하면서 수학연한 역시 내지의 고등학교와 동일한 3년으로 통일하였다. 이 때 최초의 7년제 고교로 개교한 도쿄고등학교 역시 [[1934년]] 심상과를 폐지하고 3년제 고등학교로 변신해버렸다(네임스쿨 중 도쿄고등학교 설명 참조).] - 1924년 5월 2일 [[다이쇼]] 13년 칙령 제103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18937¤t=-1|'경성제국대학관제']] 제4조에[* 제1항 ''"경성제국대학에 예과를 둔다."''] 의거 설치. [[조선총독부|경기도]] [[동대문구|고양군 숭인면]] [[청량리동|청량리]][* [[1924년]] 설립 당시 주소이며, [[1936년]] [[경성부]]로 편입되었고 現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이다.]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청량리의 경성제대예과 캠퍼스는 국대안으로 경성제대와 10개 전문학교가 국립서울대학교로 통합된 후에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이공학부 이학계열과 함께 예과가 통합되어 구성한 문리과대학 소속으로 있었다. [[https://m.blog.naver.com/hahnsudang/222111494334|참조]].] [[의예과]][* [[1946년]] [[미군정]]의 학제개편으로 [[구제대학]](학부) 및 그 [[대학예과|예과]], 그리고 [[구제전문학교]]가 전부 4년제 이상의 미국식 신제대학으로 통합되게 되었고, [[국대안]] 시행으로 [[경성제국대학]]과 6개의 [[구제전문학교]], 그리고 2개의 사범학교가 통합된 국립서울대학교가 발족했다. 이에 따라 [[서울대학교/역사#s-2.8.2|경성제대 예과]] 역시 신입생 모집을 정지하고, 기존 [[대학예과|구제예과]] 학생이 모두 수료하는 [[1948년]] [[9월]] 문리과대학 학부에 흡수되었는데, 유일하게 존속한 의예과는 의과대학이 아닌 문리과대학 소속으로서 [[청량리]]의 [[한림대학교#s-11.4|예과캠퍼스]]에 위치해 있었다. 그리고 경성제대 법문학부 시절부터 동숭동 캠퍼스를 계속 문리과대학 문학부와 달리, 제국대학 시절의 공릉동 이공학부 캠퍼스를 공과대학에 내줘야했던 문리과대학 이학부는 의예과와 함께 청량리의 예과캠퍼스에 분산되어있었다([[http://archives.snu.ac.kr/DAS/H/H3/3/H3_3_02_P01.do?currentPage=1&retainPage=-2&cf1idx=10&cf2idx=-2&searchtext=&colidx=339&colnumber=COL-2016-0308|참조]]). [[1966년]] [[12월]] 동숭동 캠퍼스에 과학관이 신축되자, 의예과를 포함한 이학부까지 문리과대학이 전부 [[대학로(서울)]]로 집결했다. 청량리 예과캠퍼스는 [[1970년대]]에 [[총무처]]가 민간에 불하하여 예과 본관건물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서울동산병원]][* [[1977년]] [[한림대학교 의료원]]에 의해 인수되어 [[1979년]] 동산성심병원으로 개칭하였고, [[1992년]] 기존 170병상에서 202병상으로 증설하였으며, [[1999년]] [[1월 16일]] 폐원시까지 매년 약 11만명의 외래환자와 연인원 4만 2천명에 이르는 입원환자를 치료하였다. [[1999년]] [[3월]] 개원한 [[한림대학교]] [[한림대학교 성심병원|평촌성심병원]]으로 이어진다.] 및 [[한림대학교]] 치과병원 및 [[의과대학]] 강의실 등으로 쓰이다가 [[2015년]] [[4월]]에 철거되었다([[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youncho&logNo=50106167216|참조]]). 정문이 있었던 자리에는 [[치과]], [[안과]], [[부동산]], 비만클리닉, 고시학원 등이 밀집한 복합상가가 들어섰고, [[운동장]] 자리에는 현재 동대문세무서가 자리잡고 있으며, 아름드리 [[소나무]]들이 우거져 청량한 느낌을 줬다는 교사 뒷편의 소나무숲에는 [[https://m.land.naver.com/complex/info/349|청량리 미주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다.] || [[파일:taihokuimperialuniversitypreparatoryschool.png|width=100%]] || || ▲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 || * [[http://qsay55.starfree.jp/TI.html|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 [[타이완 섬|대만]]은 구제고등학교가 존재했음에도 제국대학예과를 설치한 경우이다. [[1922년]] 제2차 대만교육령 반포 당시에 이미 [[제국대학]] 설립까지 계획한 [[대만총독부]]에서는 [[총독]]이 [[도쿄]]로 상경시위를 벌이는 등 각고의 노력 끝에 다이호쿠고등학교 고등과 제1회 졸업생이 배출되는 [[1928년]]에 맞추어 [[다이호쿠제국대학]](臺北帝國大學)을 설립하게 되었는데, 당시 다이호쿠제국대학의 예과처럼 생각했던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생에게 다이호쿠제국대학 무시험 입학자격을 부여하고 별도의 예과를 설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생들은 내지의 제국대학을 선호했고([[리덩후이]] [[총통]]도 다이호쿠고등학교 졸업 후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으로 진학), 대만총독부에서는 그들을 다이호쿠제국대학 입학으로 유도하기 위해 [[구제전문학교|다이호쿠의학전문학교]]를 흡수하여 [[1936년]] 의학부를 설치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다이호쿠고등학교를 졸업한 [[대만인]]들은 의학부로만 지원자가 몰릴 뿐이었고 그나마 나은 농학부를 제외한 문정학부, 이학부는 미달이 심했다. 특히 문정학부가 심각했는데, 도쿄제대 일부와 교토제대 대부분의 학부도 구제고교 학생들로 정원을 채우지 못해 미달이 나던 상황에, 외지의 신설 제국대학이 문과계열 정원을 모두 채우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결국 대만총독부는 [[1941년]] 다이호쿠제국대학에 부속 예과를 설치하게 된다. 이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는 다이호쿠고등학교와 교류전을 벌이는 라이벌이었다고 한다([[https://taiwanhistoryjp.com/taihoku-imperial-university_part1/3/|링크]] 참조).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가 개교한 [[1941년]] 개최된 제1회 교류전은 다이호쿠고등학교가 승리, 이듬해 [[1942년]] 제2회는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가 승리하여 1승1패를 기록했으나 [[1943년]] 전쟁의 격화로 [[운동회]]가 중단되면서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끝나버렸다고 한다. 관련 자료는 현재 국립대만대학에 보관 중.] - 1941년 4월 5일 [[쇼와]] 16년 칙령 제388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31600¤t=-1|'다이호쿠제국대학관제중개정의건']][* 1928년 3월 17일 [[쇼와]] 3년 칙령 제31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21223¤t=-1|'다이호쿠제국대학관제']]를 일부개정하는 칙령.] 제16조의2에[* 제1항 ''"다이호쿠제국대학에 예과를 둔다."''] 의거 설치.[* [[1941년]] 당시 다이호쿠제국대학 학부 교지(現 [[국립타이완대학]] 公館캠퍼스)에서 예과를 개교하고 이듬해인 [[1942년]] 臺北州 七星郡 士林街 石角의 예과캠퍼스로 이전.] [[대만총독부|다이호쿠주]](臺北州) [[타이베이시|시치세이군]](七星郡) [[스린구|시린마치]](士林街)[* [[1941년]] 설립 당시 주소로 臺北州七星郡士林街石角字大石角42番地, 現 [[타이베이시]] [[스린구]] 雨聲街와 雨聲國小 사이에 해당. [[https://www.lib.ntu.edu.tw/gallery/promotions/20181115_TheEarlyYearsofNTU/oldscene.html|참조]]] → [[국립타이완대학]] 선수반(先修班, 우리나라의 [[의예과]])[* 士林의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캠퍼스는 종전 직전인 [[1945년]] [[일본 제국 해군]]에 징발되었다가 일본의 항복 후 [[타이완 섬|대만]]에 진주한 [[대만군|중화민국 국군]]에 의해 접수되어 현재까지 [[대만 국방부]] [[https://ja.m.wikipedia.org/wiki/国防部参謀本部軍事情報局|군사정보국]] 청사(속칭 芝山莊)로 사용 중이다. [[국립타이완대학]] [[https://www.lib.ntu.edu.tw/gallery/promotions/20181115_TheEarlyYearsofNTU/tiuorg.html|도서관]] 참조. 예과 관련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일본어 [[https://taiwanhistoryjp.com/taihoku-imperial-university_part1/3/|블로그]]를 참조.] === [[가쿠슈인]] 고등과 === 제2차 고등학교령 공포([[1918년]] [[12월]]) 이후 초등학과(6년제), 중등학과(6년제), 고등학과(2년제)[* 기타 보습과, 대학별과([[1905년]] 폐지) 등이 존재.]로 구성된 가쿠슈인[* [[1847년]] [[교토부|교토]]에 개설된 學習室을 기원으로, 화족회관(和族會館)이 운영하는 화족학교 [[가쿠슈인]](學習院)이 [[1877년]] 개교하여 [[1884년]] [[궁내성]] 관할 관립학교가 되었고, [[1890년]] 고등학과를 설치했다.] 고등학과가 고등과로 개칭되며[* 이 때 중등학과도 중등과로 개칭. 이후 중등과는 5년제, 고등과는 3년제로 개편된다.] 구제고등학교와 동격, 동급의 학교가 되었다.[* 다만, [[1919년]] 당시까지 가쿠슈인 고등과는 중등과 졸업생 대상 2년제 교육기관으로 인식되어, 중등과(6년)+고등과(2년) 도합 8년으로 구제중학교(5년)+구제고등학교(3년) 코스와 동일한 수학연한을 갖고 있었음에도(초등과는 소학교와 동일한 6년제였다.) 3년제 고등학교가 기본이었던 당시에 구제고등학교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가쿠슈인 고등과 졸업생의 제국대학 진학은 제국대학에 미달이 발생한 경우나 원장의 제청에 의해 제국대학이 허락한 경우에만 가능했는데, [[1921년]] 문부성령 제27호에 의해서 가쿠슈인 고등과 졸업생들이 구제고등학교 졸업생과 동등한 제국대학 진학 허가를 보장받으면서 가쿠슈인 고등과는 명실상부한 구제고등학교로서 지위를 확립하게 되었다. 고등과 졸업생의 1/3이 [[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으로 진학한 것을 비롯해 거의 대부분이 제국대학과 [[관립대학]]으로 진학했다고 한다. [[미시마 유키오]]가 가쿠슈인 고등과를 거쳐 도쿄제국대학으로 진학한 사례.] || [[파일:目白75理科教室を天覧S3.jpg|width=100%]] || || [[파일:gakushuinhistory02.jpg|width=100%]] || || ▲ [[가쿠슈인]] 고등과[* 구제 가쿠슈인 고등과의 이과 건물로 사용되던 곳으로 現 [[가쿠슈인#s-3.1|가쿠슈인대학]] 이학부 연구동(南1号館)으로 사용 중.][* 상단 사진은 [[1927년]]([[쇼와 시대|쇼와]] 2년) 졸업식에 [[히로히토|쇼와천황]]이 방문하는 모습.] || * [[http://qsay55.starfree.jp/GS.html|가쿠슈인 고등과]] - [[도쿄부]] [[도시마구]] → [[가쿠슈인#s-3.1|가쿠슈인대학]][* 現 가쿠슈인의 중등과 및 고등과는 戰前 가쿠슈인 중등과를 모체로 하는 중등학교이다. 구제고등학교격이었던 戰前 가쿠슈인 고등과는 戰後 [[1947년]] 궁내성 관할에서 해제되어 재단법인 가쿠슈인으로 사립 이관되어 [[1949년]] 新制 [[가쿠슈인#s-3.1|가쿠슈인대학]]으로 출범했다.] === 공립고등학교 === 제2차 고등학교령([[1918년]])에 의거해 공립고등학교의 설립도 가능해졌으나, 그 주체는 [[도도부현|홋카이도·부·현]]으로 한정되어 [[도도부현]]당 1개교 원칙하에 진행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공립고교는 [[토야마현]][* [[1923년]] 인가], [[오사카부]][* [[1926년]] 인가]), [[도쿄부]][* [[1929년]] 인가] 3곳의 지방에 설립되었고 3개교 모두 [[구제중학교|심상과]](4년)와 고등과(3년)을 병설한 7년제 고등학교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도야마고등학교는 [[1943년]] 관립으로 이관되며 심상과를 폐지했고, 나니와고등학교는 [[1944년]] 심상과를 폐지한 3년제 고교가 되어 종전시까지 7년제 고교로 남아있던 곳은 (도쿄)부립고등학교가 유일했다.[* 관립고교인 다이호쿠고등학교와 함께 관공립고교 중 유이한 7년제 고교였다.] || [[파일:toyamahs.jpg|width=100%]] || || ▲ 도야마고등학교 || * ~~[[토야마현]] [[http://qsay55.starfree.jp/TY.html|도야마고등학교]]~~[* [[1923년]] [[10월]] 도야마현 현립으로 7년제 공립고등학교 설치. [[1943년]] [[3월]] 칙령 제249호에 의거 관립으로 이관되면서 심상과를 폐지하고 3년제 관립고등학교로 전환] - [[토야마현]] 가미니가카와군(新上川郡) 오오히루타무라(大広田村)[* [[1940년]] [[토야마시]]로 편입.] → [[1943년]] [[3월]] 문부성 소관으로 이관, 관립 도야마고등학교로 개편. || [[파일:浪高イ号館.jpg|width=100%]] || || ▲ 나니와고등학교[* [[파일:600px-Osaka-univ_Toyonaka_I-go-kan.jpg]] 現 [[오사카대학]]으로 계승되어 나니와고등학교 본관은 현재 오사카대학 イ호관으로 사용 중. [[https://tatsuo-k.blogspot.com/2015/01/blog-post_23.html?m=1|출처]] 참조.][* [[파일:naniwahs1.jpg]] [[파일:naniwahs2.jpg]] 전경 사진 등 상세 내용 [[오사카대학]] [[https://www.osaka-u.ac.jp/namikou/contents.html|동창회 페이지]] 참조.] || * [[오사카부]] [[http://qsay55.starfree.jp/NW.html|나니와고등학교]][* 오사카부립의과대학 예과를 전신으로 하는 7년제 공립고교인 [[오사카부|부립]] 나니와고등학교가 [[1926년]] 설립 및 [[구제중학교|심상과]] 설치, [[1927년]] [[4월]] 고등과 설치, [[1944년]] 심상과 폐지.] - [[오사카부]] [[토요나카시|토요노군 토요나카정]] → [[오사카대학]] 일반교양부 북교(北校)[* 신제 [[오사카대학]] 소속 나니와고등학교로 개편([[1949년]] [[5월]]) 후 일반교양부 남교(南校)를 이룬 관립 오사카고등학교와 함께 오사카대학 일반교양부를 구성. 남교와 북교로 나뉘어있던 오사카대학 일반교양부는 이후 나니와고등학교 부지인 북교(北校) 캠퍼스로 통합.] || [[파일:toritu-s8kousya.jpg|width=100%]] || || ▲ 부립고등학교[* [[1949년]] 신제 [[도쿄도립대학]] 인문학부로 계승되어 [[1991년]] 캠퍼스 종합 이전시까지 사용되었으며, 이전 후 야쿠모시민캠퍼스가 건설되어 시민문화회관과 체조경기장 등이 위치하고 있다. 심상과는 그대로 도쿄도립 오슈칸중등교육학교로 계승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 * [[도쿄부]] [[http://qsay55.starfree.jp/FR.html|부립고등학교]][* [[1929년]] [[2월]] 도쿄부 부립으로 7년제 공립고등학교 설립, [[1929년]] [[4월]] 개교. 당초 명칭 가안은 '도쿄부립고등학교'였으나, 관립 도쿄고등학교와 혼동이 우려되어 '도쿄'를 삭제한 '''부립'''고등학교로 확정되었다. [[1943년]] 7월 도성제 시행에 따라 도쿄부가 도쿄도가 되면서 도립고등학교로 개칭.] - [[도쿄부]] [[도쿄시]] [[메구로구]] 야쿠모쵸(八雲町) → [[도쿄도립대학]] 인문학부/이학부(고등과)[*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도쿄도립대학]] 교육학부 부속고등학교(現 도쿄도립 오슈칸 중등교육학교)로 계승.] === 사립고등학교 === 제2차 고등학교령([[1918년]])에 의거해 공립/사립고등학교 설립이 가능해졌으나, 그 요건이 사립학교는 '설비자금을 제외하고 50만엔 이상의 기본재산을 문부대신에 공탁할 수 있는 재단법인'으로 매우 까다로웠다([[https://www.mext.go.jp/b_menu/hakusho/html/others/detail/1318244.htm|문부성 학제120년사]] 참조). 이 때문에 구제고교로 설립된 사립고등학교는 4개교에 그쳤고, 모두 [[구제중학교|심상과]](4년)와 고등과(3년)을 병설한 7년제 고등학교로 설립되어 [[1945년]] 종전시까지 7년제로 유지되었다. 3년제 고등학교가 7년제 고등학교(중고일관)보다 더 높이 평가받았고, 관립이 우선하고 사립은 선호되지 않는 일본의 특성상 7년제인 이 사립고등학교들은 이질적인 존재로 주목을 받았다고 한다([[https://kangaeruhito.jp/article/11317|#]]). 대학 입시 성적도 좋지 않아서[* 무사시고등학교는 예외로, 관립고교 이상으로 스파르타식 입시교육이 실시되어 좋은 대입 실적을 거두었다고 한다.] 치열한 입시를 뚫어야 하는 도쿄제대 진학자는 소수였고 상당수는 무시험 진학이 가능했던 교토제대 문학부 등으로 진학했다고. 이 4개 고교는 전후 학제개혁에 따라 모두 신제대학으로 개편되었다([[리버럴아츠 5학원]] 참조). || [[파일:musashihsmainbuilding.jpg|width=100%]] || || ▲ 무사시고등학교[* [[1922년]] 본관 준공 당시 사진] || * 사립 [[http://qsay55.starfree.jp/MS.html|무사시고등학교]][* 최초의 사립고등학교로서 [[1922년]] [[도부철도]] 재단에 의해 7년제 무사시고등학교 설립.] - [[도쿄부]] [[네리마구]] → [[무사시대학]][* 구제 무사시고등학교를 모체로 설립된 신제 무사시대학은 [[1949년]] 경제학부 1학부 경제학과로 시작해 [[1959년]] 경제학부에 경영학과를 증설하고, [[1969년]] 인문학부를 설치했으며 인문학부 사회학과를 모체로 [[1998년]] 사회학부를 설치하는 등 단계적으로 확대 발전해왔다.](고등과)[*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8년]] (신제)무사시고등학교 및 [[1949년]] (신제)무사시중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 [[파일:甲南高校本館.jpg|width=100%]] || || ▲ 코난고등학교[* [[파일:甲南高校正門.jpg]] 정문 방향에서 본 건물 우측편. 코난고등학교 본관 건물은 일본에서 최초로 철근콘크리트로 지어진 건물로서 [[코난대학]] 1호관으로도 사용됐으나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의 피해로 심각하게 파괴되어 철거 후 당시 모습을 본딴 신1호관이 지어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사립 [[http://qsay55.starfree.jp/KN.html|코난고등학교]][* 무사시고등학교에 이은 두 번째 사립 구제고등학교이자 서일본 유일의 사립고등학교, 7년제 고등학교이다. [[1918년]] [[12월]] 설립 인가를 받고 [[1919년]] [[4월]] 개교한 [[구제중학교|코난중학교]]를 모체로 심상과(4년)에 고등과(5년)를 병설한 7년제 고등학교로서 [[1923년]] [[1월]] 설립 인가를 받고 [[1923년]] [[4월]] 개교. [[1924년]] 구제중학교(심상과) 제1회 졸업, [[1926년]] 고등과 제1회 졸업.] - [[효고현]] [[고베시|모토야마무라]](本山村) → [[코난대학]][* 구제 코난고등학교를 모체로 설립된 신제 [[코난대학]]은 [[1951년]] 문리학부 1학부로 시작해 경제학부 등을 설치해가며 확대 발전해왔다.](고등과)[*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7년]] (신제)코난중학교 및 [[1948년]] (신제)코난고등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 [[파일:seikeihs001.jpg|width=100%]] || || ▲ 세이케이고등학교 || * 사립 [[http://qsay55.starfree.jp/SK.html|세이케이고등학교]][* [[미쓰비시 그룹]]의 도움을 얻어 [[1919년]] 재단법인 '세이케이학원'을 설립하고, [[1914년]] 설립된 [[구제중학교|세이케이중학교]]를 기반으로 [[1925년]] 7년제 구제고등학교인 세이케이고등학교가 되었다.] - [[도쿄부]] [[무사시노시]] → [[세이케이대학]][* [[1949년]] 출범 당시 정치경제학부 1학부로 시작해 [[1962년]] 공학부, [[1965년]] 문학부를 설치하고 [[1968년]] 정치경제학부를 법학부와 경제학부로 분리하며 확장.](고등과)[*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7년]] (신제)세이케이중학교, [[1948년]] (신제)세이케이고등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 [[파일:jh2-1-3_p001.jpg|width=100%]] || || ▲ 세이조고등학교 || * 사립 [[http://qsay55.starfree.jp/SJ.html|세이조고등학교]][* 가장 늦게 설립된 사립고등학교로, [[1917년]] 설립된 사립 세이조소학교를 바탕으로 [[1922년]] [[구제중학교|세이조제2중학교]]를 설립하고, 제1회 졸업생이 배출되는 [[1926년]] [[3월]] 7년제 고등학교인 세이조고등학교 인가를 받고 고등과를 설치하여 [[1926년]] [[4월]] 개교. 세이조제2중학교는 심상과(4년)로 흡수, [[1929년]] 고등과 제1회 졸업생 배출.] - [[도쿄부]] [[세타가야구|기타타마군]] → [[세이조대학]][* [[1954년]] 이학부를 폐지하고 문예학부 설치, [[1977년]] 법학부 설치, [[2005년]] 사회이노베이션학부 설치.](고등과)[* 학제개혁에 따라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심상과는 분리되어 [[1947년]] (신제)세이조가쿠인중학교, [[1948년]] (신제)세이조가쿠인고등학교 창설의 모체가 되었다.] == 기타: [[대학예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학예과)] [[1차 대전]] 승전국으로서 명실상부한 주요 열강으로 자리잡고 [[다이쇼 시대]]의 호황을 구가하던 [[일본제국]]은 [[고등교육기관]] 확대 방침에 따라 [[구제전문학교]]의 대규모 증설과 함께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14910¤t=-1|대학령(大學令)]]을 공포하여 [[제국대학]] 이외의 각종 관공사립[[구제대학|대학]]의 설립을 허용하였다. 이 [[대학령]] 제9조 1항은 ''"학부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당해대학 [[대학예과|예과]]를 수료한 자, 고등학교 고등과를 졸업한 자 그리고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로 한다."''고 규정하여, [[구제중학교|중등교육]]을 마치고 바로 진학할 수 있는 [[구제전문학교|전문학교(구제)]]와 구별되는 [[구제대학|대학(구제)]] 학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대학 예비교육을 거칠 것을 요구했다. 그런데 [[제국대학]]이나 [[구6의대|관립의과대학]]으로 진학이 가능했던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이 여타 대학에 진학할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웠고,[* 실제로도 1945년 종전 후 학제개혁에 따른 혼란기를 제외하면 그런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했다고 한다.] 그렇다고 구제고등학교를 증설한다면 안 그래도 계속 과열 양상을 보이던 [[제국대학]] 학부 입시 경쟁을 심화시켜 구제고교-제국대학 코스의 엘리트 육성 제도 자체가 붕괴될 것이 우려되었다. 그래서 [[대학령]] 제12조 1항에 "''대학은 특별히 필요한 경우에 [[대학예과|예과]]를 둘 수 있다.''"는 규정을 두어 개별 [[구제대학|대학]]에서 자체적으로 대학 예비교육을 실시하여 학부 입학자격을 부여하는 [[대학예과]]를 설치하도록 할 수밖에 없었다. [[대학령]] 제12조 2항 "''[[대학예과]]에서는 '''고등학교 고등과'''의 정도에 의거 고등보통교육을 실시한다.''"에 따라 고등학교 고등과[* 기존 [[고등학교령]](1894)에서 규정된 구제고등학교 대학예과(大學豫科)가 [[대학령]]과 맞춰 개정된 [[고등학교령]](1918)에 따라 고등과(高等科)로 개칭된 것.] 상당의 교육기관으로 규정된 대학예과는 입학자격(제13조)[* (1) [[대학예과]]의 수업연한은 3년 또는 2년으로 한다. (2) 수업연한 3년인 [[대학예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 [[구제중학교|중학교]] 제4학년을 수료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해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 (3) 수업연한 2년인 [[대학예과]]에 입학할 수 있는 자: [[구제중학교]] 를 졸업한 자 또는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해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 및 내용(제14조)[* [[대학예과]]의 설비, 편제, 교원 및 교과서 등은 '''고등학교 고등과'''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등 구제고등학교를 모델로 조직되어 학생들을 크게 문과/이과로 나뉘었으며, 지망 학부에 따라 갑류/을류/병류 등 세부적으로 분반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학에 설치되어있는 학부에 따라 문과나 이과만 단독으로 설치된 경우도 있었고, 각 대학별로 재량의 범위내에서 특색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졌다. 일본의 관련 서적에서[* [[https://www.amazon.co.jp/dp/4166603558|《旧制高校物語》]], [[https://www.amazon.co.jp/dp/4769870175|《旧制高校物語 真のエリートのつくり方》]], [[https://www.amazon.co.jp/dp/4908073228|《旧制高校の校章と旗》]] 등.] 구제고등학교는 38개교로[* 第一高等學校/第二高等學校/第三高等學校/第四高等學校/第五高等學校/第六高等學校/第七高等學校造士館/第八高等學校/新潟高等學校/松本高等學校/山口高等學校/松山高等學校/水戸高等學校/山形高等學校/佐賀高等學校/弘前高等學校/松江高等學校/東京高等學校/大阪高等學校/浦和高等學校/福岡高等學校/靜岡高等學校/高知高等學校/姫路高等學校/廣島高等學校/富山高等學校/浪速高等學校/府立高等學校/臺北高等學校/旅順高等學校/學習院高等科/武藏高等學校/甲南高等學校/成蹊高等學校/成城高等學校/北海道帝國大學豫科/京城帝國大學豫科/臺北帝國大学豫科(38 校) [[https://honto.jp/netstore/pd-book_27849637.html|출처]] 참조.] 한정하며, [[제국대학]] 진학 코스가 아닌 대학예과들은 일반적으로 '구제고교'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마쓰모토시|마쓰모토시립]] [[https://matsu-haku.com/koutougakkou/archives/1395|旧制高等学校記念館]][* [[https://ehddu.tistory.com/m/2183?category=685527|관람기]] 참조]에서는 [[히토쓰바시대학|도쿄상과대학]], [[여순공과대학]], [[고베대학|고베상과대학]] [[대학예과|예과]] 3개교를 [[제국대학예과]]와 함께 [[https://matsu-haku.com/koutougakkou/wp-content/uploads/sites/13/2021/01/c6709c376203aea70ed305585bbcfd9e.jpg|관립대학예과]][* 사진파일 하단 官立大学予科(6校) 범주의 오른쪽 교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윗줄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고베상업대학 예과, 다이호쿠제국대학 예과 그리고 아랫줄 여순공과대학 예과, 도쿄상과대학 예과, 경성제국대학 예과 순서로 배열되어있다.] 묶음으로 설명하는 등 간혹 관립대학 예과 한정으로 구제고등학교와 설명되기도 하니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신궁황학관대학]] 예과를 마치고 구제 [[교토제국대학]] 문학부에 입학한 [[https://ja.m.wikipedia.org/wiki/%E6%9C%AC%E5%B1%B1%E5%B9%B8%E5%BD%A6|모토야마 유키히코(本山幸彥)]][* 1924년 [[오사카부]] 출생으로 1942년 4월 [[신궁황학관대학]] [[대학예과]] 제3회 입학, 1944년 9월 예과 제3회 수료식(전시 수학연한 단축조치에 따라 6개월 앞당겨 수료), [[학병]]으로 학도 출진하여 [[중일전쟁]] 참전, 1945년 8월 종전 후 귀국하여 1946년 [[교토제국대학]] 문학부 입학, 1949년 [[교토대학]] 문학부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을 거쳐 [[교토대학]] 조교수/교수를 역임하고 1988년 정년퇴임 후 [[교토대학]] 명예교수. [[https://core.ac.uk/download/228695719.pdf|神宮皇学館大学予科の教育]] 참조.] [[교토대학]] 명예교수 같은 케이스도 존재한다. === [[관립대학]]예과 === * [[도쿄상과대학]][* 도쿄상업학교가 [[1887년]] [[10월]] 최초의 [[고등상업학교]]로 개편. 도쿄고등상업학교 본과 졸업생에게 교육을 실시하던 전공부(2년제) 과정을 모체로 1919년 시행된 [[대학령]] 및 [[다이쇼]] 9년 칙령 제71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15745|도쿄상과대학관제]]에 의거 1920년 4월 1일 [[도쿄상과대학]] 설립.] 예과[* [[다이쇼]] 9년 칙령 제71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15745|도쿄상과대학관제]] 제14조에 의거 [[1920년]] [[4월 1일]] 도쿄상과대학 설립과 동시에 설치.] - [[도쿄부]] [[코다이라시|기타타마군 코다이라무라]][* [[1923년]] [[9월]] [[관동대지진]]으로 인해 히토츠바시 캠퍼스의 도서관과 미츠이홀을 제외한 全건축물이 괴멸되고, [[1924년]] [[4월]] 샤쿠지이 소재 임시교사로 이전한 상태에서, [[1925년]] [[9월]] [[구제대학|학부]]와 [[부속 전문부|부속 상학전문부]]를 [[쿠니타치시|기타타마군 야호무라(北多摩郡 谷保村)]]로 이전한다는 계획이 [[문부성]]의 인가를 얻었다. [[1927년]] [[4월]] [[부속 전문부|부속 상학전문부]], [[1930년]] [[4월]] [[구제대학|학부]] 순서로 [[1931년]] [[5월]] 현재의 쿠니타치 캠퍼스로의 이전을 완료한 후, 쿠니타치 인근의 [[코다이라시|기타타마군 코다이라무라(北多摩郡 小平村)]] 현재의 코다이라 국제캠퍼스로 예과가 [[1933년]] [[8월]] 이전했다.] → 구제 도쿄상과대학이 신제 [[히토쓰바시대학]]으로 개편되며 [[1950년]] [[대학예과|예과]] 폐지.[* 예과 교지는 현재 [[히토츠바시대학]] 코다이라 국제캠퍼스로 사용 중.] * [[여순공과대학]][* [[1909년]] [[5월 11일]] [[메이지 시대|메이지]] 42년 칙령 제133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10594|여순공과학당관제]] 공포 및 [[1909년]] [[9월 6일]] 관동도독부령 여순공과학당규칙 제정으로 [[1910년]] 개교한 [[고등공업학교|여순공과학당]]을 모체로 [[1922년]] [[3월 31일]] [[다이쇼]] 11년 칙령 제160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17453|여순공과대학관제]]가 공포되면서 4월 1일 [[관립대학]]인 [[여순공과대학]] 설립.] 예과[* [[다이쇼]] 11년 칙령 제160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17453|여순공과대학관제]] 제4조에 의거 [[1922년]] [[4월 1일]] [[여순공과대학]] 설립과 동시에 수학연한 3년의 대학예과 설치.] - [[관동주청|관동주]] [[뤼순]] → [[1945년]] [[소련군]]의 [[만주 전략 공세 작전]]으로 [[만주]]가 점령당한 후 [[여순공과대학]]이 [[폐교]]되면서 소멸. * [[신궁황학관대학]][* 내무성 소관 신궁황학관을 근간으로, [[황기]] 2600년을 맞이해 [[1940년]] 4월 24일 공포된 [[쇼와]] 15년 칙령 제288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30117|신궁황학관대학관제]]으로 문부성 소관의 [[관립대학]]인 [[신궁황학관대학]] 설립.] 예과[* [[쇼와]] 15년 칙령 제288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30117|신궁황학관대학관제]] 제7조에 의거 [[1940년]] 4월 [[신궁황학관대학]] 설립과 동시에 수학연한 3년의 [[대학예과]]를 설치.] - [[미에현]] [[이세시]] → [[연합군 점령하 일본]]에서 [[GHQ]]의 [[신도지령]]에 따라 [[1946년]] [[쇼와]] 21년 칙령 제135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37758|신궁황학관대학관제폐지의건]]에 의거 [[신궁황학관대학]]이 폐교되면서 소멸. * [[고베대학|고베상업대학]][* [[1902년]] [[3월]] 칙령 제98호 문부성직할제학교관제 공포 후 [[1903년]] [[5월]] 고베[[고등상업학교]] 개교. 당시 예과 1년 본과 3년으로 도쿄고등상업학교와 더불어 유이한 4년제 고등상업학교였던 이 고베고등상업학교를 모체로 [[쇼와]] 4년 칙령 제38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21682|관립상업대학관제]]에 의거 [[1929년]] [[4월 1일]] [[관립대학]]인 고베상업대학을 설립.] 예과[* [[쇼와]] 15년 칙령 제305호 [[https://hourei.ndl.go.jp/simple/detail?lawId=0000030136|관립상업대학관제중개정의건]]에 의거 관립상업대학관제 제16조 등의 개정으로 고베상업대학에 [[1940년]] [[5월 1일]] 수학연한 3년의 대학예과를 설치.] - [[효고현]] [[고베시]] → 구제 [[고베상업대학]]이 신제 [[고베대학]]으로 통합되면서 예과를 고베대학 문리학부/교양부 미카케분교(御影分校)로[* 신제 [[고베대학]]은 [[캠퍼스]]를 통합하기 전까지 교양부는 미카게분교(고베상업대학 예과의 後身)와 히메지분교(히메지고등학교의 後身)로 나뉘어있었다.] 개편하고 [[1950년]] 예과 폐지. [[관립대학]] 중 최고의 [[인기]]를 구가한 관립의대의 경우는 [[제국대학]]과 동일하게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입시를 실시하여 [[신입생]]을 충원했다.[*모집정원][* 구6의대 중 한 곳인 구마모토의대는 [[1926년]] 당시 아직 [[관립대학|관립]] 이관 전이라 [[구마모토현|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은 예과를 따로 두고 [[구제중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신입생을 모집했다.] 학비 혜택이 주어졌던 관립문리대 2곳은 소속 학교를[* 기존 문부성 직할 관립학교였던 도쿄고등사범학교와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는 관립문리과대학 설립과 함께 각각 도쿄문리과대학과 히로시마문리과대학 소속으로 이관되어 '도쿄문리과대학 도쿄고등사범학교', '히로시마문리과대학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가 되었다.] 비롯한 [[고등사범학교]]와 전국 [[구제전문학교]]에서 계속 신입생 자원이 공급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예과를 두지 않았다. 관립공대는 외지 [[관동주]] [[뤼순|여순]]에 설립된[* 구제고등학교인 여순고등학교는 1940년에 설립되었고, [[고등공업학교]]를 비롯한 [[구제전문학교]] 역시 부재한 상황이었다.] [[여순공과대학]]만 예외로 예과를 설치했고 [[도쿄공업대학]], [[오사카공업대학(구제)]]는 별도 예과를 두지 않고 [[고등공업학교]] 졸업생을 위주로 충원했다. 관립상대 역시 당초 예과를 두지 않고 [[고등상업학교]] 졸업생 위주로 신입생을 받을 계획이었으나, [[도쿄상과대학]]의 반발로 인해 예과가 존치되면서 [[고베상업대학]]에도 뒤늦게 예과가 부설되었다. [[신궁황학관대학]] 역시 예과를 설치했다. === [[구제대학|공립대학]]예과 === * [[오사카부]] 오사카의과대학[* [[1838년]] 데키주쿠를 기원으로 [[1873년]] 오사카부립병원, [[1880년]] 오사카부립의학교가 설립되고 [[1903년]] [[전문학교령]]에 의거 [[오사카부|부립]] [[구제전문학교|의학전문학교]]가 된 오사카고등의학교가 [[1915년]]부터 부립 오사카의과대학을 칭하고 있다가 [[대학령]] 공포 후 [[1919년]] 대학령에 의거한 최초의 [[공립대학]]으로 인가되었다. 이를 모체로 [[1931년]] [[오사카대학|오사카제국대학]]이 설립된다(당시 의학부, 이학부로 구성).] 예과[* [[다이쇼]] 8년 11월 24일 [[https://dl.ndl.go.jp/info:ndljp/pid/2954305|문부성 고시 제249호]]에 의거 [[오사카부|부립]] 오사카의과대학 설립시(1919.11.22) 예과 설치([[https://www.ichou.or.jp/pdf/history.pdf|참조]]).] - [[오사카부]] [[오사카시]] → [[1928년]] [[일본제국]] 정부의 '''고등학교''' 정비계획 발표 후 오사카의과대학은 1929년 예과 신입생 모집부터 정지하고 1928년 입학생이 수료하는 1931년 3월 예과 폐지.[* 교직원과 물적 자산 등은 오사카의과대학 예과 캠퍼스를 공유하면서 1926년에 설립된 [[오사카부|부립]] 나니와고등학교로 이관. 오사카의과대학 학부는 1931년 [[오사카제국대학]]으로 승격되어 구제고등학교 졸업생들 중에서 신입생을 충원.] * [[아이치현]] 아이치의과대학[* [[1871년]] [[오와리]]번에 개설된 仮病院, 仮醫學校를 기원으로 [[1901년]] 설치된 아이치현립의학교가 [[1920년]] [[대학령]]에 의거한 아이치현립 아이치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이 현립 아이치의과대학이 [[1931년]] 관립으로 이관되어 관립 나고야의과대학이 되는데, 이는 [[1939년]] 설립된 [[나고야대학|나고야제국대학]]의 모체가 되었다.] 예과[* [[다이쇼]] 9년 6월 19일 [[https://dl.ndl.go.jp/info:ndljp/pid/2954477/4|문부성 고시 제353호]]에 의거 [[아이치현|현립]] 아이치의과대학 설립시(1920.6.18) 예과 설치.] - [[아이치현]] [[나고야시]] → 1931년 아이치의과대학이 [[관립대학|관립]] 이관되어[* [[아이치현|현립]] 아이치의과대학을 모체로 하는 [[관립대학|관립]] 나고야의과대학 설립. 이 관립 나고야의과대학은 [[1939년]] [[나고야대학|나고야제국대학]]의 설립 모체가 된다.]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입시를 실시하게 되면서 [[1931년]] 예과 신입생 모집부터 정지하고 [[1930년]] 입학생이 수료하는 [[1933년]] 3월 예과 폐지. * [[교토부]] [[교토부립의과대학]][* [[1872년]] 교토료병원(京都療病院)이 설립되고 [[1879년]] 교토부의학교를 교토료병원에 부설. [[1903년]] [[전문학교령]]에 준거한 교토부립의학전문학교를 거쳐 [[1921년]] [[대학령]]에 의거한 교토부립의과대학으로 승격. [[1952년]] 신제 [[교토부립의과대학]]으로 개편.] 예과[* [[다이쇼]] 10년 10월 20일 [[https://dl.ndl.go.jp/info:ndljp/pid/2954881|문부성 고시 제471호]]에 의거 교토부립의과대학 설립시(1921.10.19) 예과 설치.] - [[교토부]] [[교토시]] → 종전 후 구제 [[고등교육기관]]을 미국식 신제대학으로 일원화하는 [[GHQ]]의 학제개혁에 따라 1951년 예과 폐지.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대학|구마모토의과대학]][* [[1871년]] 구마모토 번주 호소카와가 [[나가사키]]에서 [[네덜란드]] [[군의관]] 만스 펠트를 초빙해 창설한 번립 의학소가 기원으로, [[폐번치현]] 후 관립의학소·[[병원]](통칭 古城醫學所)를 거쳐 [[세이난 전쟁]]으로 소실되었다가 [[1878년]] 현립으로 재건되었고 [[1904년]] [[전문학교령]]에 의거한 사립 구마모토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1921년]]에는 현립으로 이관되었고 [[1922년]] [[대학령]]에 근거한 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29년]] [[관립대학|관립]]으로 이관되어 관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이 되었다. [[1949년]] 신학제에 따라 [[구마모토대학]] 의과대학을 거쳐 [[1960년]] 구마모토대학 의학부로 통합되었다.] 예과[* [[다이쇼]] 11년 5월 27일 [[https://dl.ndl.go.jp/info:ndljp/pid/2955061/3|문부성 고시 제432호]]에 의거 [[구마모토현|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 설립시(1929.5.25) 예과 설치.]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 1929년 [[구마모토대학|구마모토의과대학]]이 [[관립대학|관립]] 이관되어[* [[구마모토현|현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을 모체로 하는 [[관립대학|관립]] 구마모토의과대학이 설립.]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입시를 실시하게 되면서 [[1929년]] 예과 신입생 모집부터 정지하고 [[1928년]] 4월 입학생이 수료하는 [[1931년]] 3월 예과 폐지. * [[오사카시]] [[오사카시립대학|오사카상과대학]][* [[1880년]] 사립 오사카상업강습소가 기원으로 [[1881년]] 부립 오사카상업강습소를 거쳐 [[1889년]] 세워진 시립 오사카상업학교를 모체로 [[1901년]] 시립 오사카[[고등상업학교]]를 설립. 이 오사카시립고등상업학교 연구과를 근간으로 [[대학령]]에 의거 [[1928년]] 일본 최초의 [[구제대학|구제]] 시립대학인 오사카상과대학 설립. [[1949년]] 종전 후 신제(新制) [[오사카시립대학]]이 되고 [[1955년]] 오사카시립의과대학을 의학부로 흡수해 종합대학화.] 예과[* [[쇼와]] 3년 3월 23일 [[https://dl.ndl.go.jp/info:ndljp/pid/2956829/3|문부성 고시 제176호]]에 의거 [[1928년]] 4월 [[오사카시|시립]] 오사카상과대학 예과 설치(학부는 이듬해인 [[1929년]] 4월 설치).] - [[오사카부]] [[오사카시]][* 스기모토초] → 종전 후 구제 [[고등교육기관]]을 미국식 신제대학으로 일원화하는 [[GHQ]]의 학제개혁에 따라 1949년 신제 [[오사카시립대학]]이 발족하며 예과 신입생 모집을 정지하고, 1950년 예과 폐지.[* 오사카상과대학의 예과 및 [[부속 전문부|고등상업부]] [[1948년]] 신입생은 [[시험]]을 거쳐 [[1950년]] [[오사카시립대학]] 학부 [[1학년]]으로 [[편입]] 조치.] === [[구제대학|사립대학]]예과 === * 3년제 예과(13개교): [[게이오기주쿠대학]], [[도쿄지케이카이의과대학]], [[만주의과대학]], [[류코쿠대학]], [[오타니대학]], [[릿쿄대학]], [[릿쇼대학]], [[고마자와대학]], [[니혼의과대학]], [[다이쇼대학]], [[토요대학]], [[후지와라공업대학]], [[코아공업대학]] * 2~3년제 혼재(10개교): [[와세다대학]][* 와세다제1고등학원(3년제), 와세다제2고등학원(2년제)], [[메이지대학]], [[호세이대학]], [[주오대학]], [[니혼대학]], [[도시샤대학]], [[센슈대학]], [[리츠메이칸대학]], [[간사이대학]], [[동양협회대학]] * 2년제 예과(7개교): [[고쿠가쿠인대학]], [[도쿄농업대학]], [[코야산대학]], [[조치대학]], [[간세이가쿠인대학]],[[동아동문서원대학]], [[오사카이공과대학]] == 예술작품 속의 구제고등학교 == * 작가 [[이병주]]의 <[[지리산]]>을 보면 [[진주고등학교|진주중학교]]를 졸업한 [[주인공]] 이규가 [[교토부|교토]]의 제3고등학교를 다니는 장면이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작중에서는 삼고(三高)라고 나온다. [[학교]]에 대한 [[자부심]]과 우러러 보는 주변의 시선을 잘 알 수 있다. 주인공은 프랑스어반[* 정확히 말하면 병(丙)류반 소속]을 졸업하고 [[도쿄대학]]에 진학했으나, [[태평양 전쟁]] 말기에 강제 [[병역]]을 피해 [[지리산]]에서 [[빨치산]]생활을 잠시 한다. * [[이수일과 심순애]]의 원작격인 <금색야차(金色夜叉)>에서 이수일 포지션인 남주인공 하자마 칸이치(間貫一)는 [[도쿄]]의 제1고등학교 [[학생]]으로 나온다. 그래서 우리가 이수일하면 가장 생각나는 [[가쿠란]] 교복에 [[망토]]를 두른 [[패션]]을 소화하고 다니는 걸로 나오는데, 이 가쿠란 고복 위에 망토를 두른 패션은 그 당시 폐의파모(弊衣破帽)라는 이름의 패션으로 구제고등학교에서 유행했던 개성을 추구한 패션이었다. * [[염상섭]]의 소설 [[삼대]]의 등장인물인 조덕기는 구제고등학교 넘버스쿨인 [[교토]]의 제3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유학생]]인 설정으로 등장한다. 구제고 졸업 이후에도 똑같은 도시에 위치해있는 [[교토제국대학]] 진학을 염두에 두었지만[* 아버지 조상훈은 이러한 아들에게 차라리 [[경성제국대학]]에 진학을 하면 어떻냐고 제안을 하기도 했다. 다만 같은 제국대라 할지라도 각 대학이 가진 위상은 거의 하늘과 땅차이였기때문에...] 조부 조의관때문에 교토대 진학은 사실상 무산된 걸로 그려진다. * 만화 [[하늘의 혈맥]]의 주인공 아즈미 료와 그 동료, 스승들이 [[도쿄]]의 제1고등학교(패전 이후 도쿄대로 편입) 소속이다. * 만화 엘리트는 배움이 부족하지 않다 [[https://comic-days.com/episode/3269754496813889314|#]] 에도 구제고등학교 학생들이 등장한다. 다만 극 중 배경이 되는 곳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았던 제9고등학교라는 곳이다. 실제 구제고 넘버스쿨의 경우 1고부터 8고까지밖에 없었다. 인기가 저조했던 탓인지 19회만에 연재가 끝났지만 작가가 구제고에 대한 자료 조사를 굉장히 열심히 한 편이라 구제고에 대해 알고 싶으면 참고해보기 좋은 만화이기도 하다. == [[한국인]] 출신자 == 고교졸업 후 [[제국대학]]으로 자동 진학하게 되다보니 자연히 이들 대부분은 일본 본토의 제국대학 출신자이다. 하지만 [[주요한]]과 같은 예외도 있었다. [[일본인]] 출신자까지 언급했다가는 [[문서]]가 상당히 길어질 우려가 있기에 [[한국인]] 출신자만 열거한다. (가나다순) * [[계광순]] - 마츠야마고교 졸업. [[국회의원]] * [[고병국]] - 시즈오카고교 졸업. 법학자 * [[권영대]] - 세이조고교 졸업. 물리학자 * [[권중휘]] - 3고 졸업. [[서울대]] [[총장]] * [[김사량]] - 사가고교 졸업. 소설가. [[월북]] * [[김상협]] - 야마구치고교 졸업. [[국무총리]], [[고려대]] [[총장]][* 바로 아래에 있는 김연수의 [[차남]]이다.] * [[김연수(기업인)|김연수]] - 3고 졸업. [[삼양사]] 창업주 * [[김준연]] - 6고 졸업. [[정치인]] [[김태길]] 3고 졸업 [[철학자]] * 남기동 - 6고졸업[* [[일본]] 내 구제고교를 그것도 '''[[수석]]'''으로 졸업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이하게도 [[경성제대]] 이공학부로 진학했다. 사실 여기에는 슬픈 사연이 있는데 원래는 당연히 [[도쿄제국대학]] 진학을 앞두고 있었으나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재학하던 쌍둥이형이 병으로 요절해버린 탓에 부모로부터 조선에 귀국해서 학교를 다니라고 권유를 받아 구제고교출신임에도 불구하고 경성제대로 진학하게 되었다고 한다. 워낙에 특이한 케이스라 이를 수상하다고 여긴 경성제대 총장으로부터 심문까지 받았을 정도였다고.]. 한국 시멘트산업의 대부 * [[도상록]] - 6고 졸업. [[서울대]] 교수. [[월북]]. * [[리승기]] - 마츠야마고교 졸업. 교토제대 [[교수]]. 서울공대 [[학장]]. [[월북]]. * [[박관숙]] - 마쓰에고 졸업. [[연세대학교 법과대학]]장 * [[박석윤]] - 3고 졸업. 일제치하 [[관료]]. 야구인 * [[박종태]] - 미토고교[* 현 이바라키대학. [[9대 총선]] [[포스터]]에는 '미도고등학교'라고 인쇄되어있는데, 이는 '미토(水戸)'의 오기이다.] 졸업. [[국회의원]] * [[박준규(1925)]] - 마츠야마고교 졸업.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 [[서돈각]] - 마쓰에고교 졸업. [[동국대]] 총장. * [[신상초]] - 후쿠오카고교 졸업. 언론인, 국회의원 * 여석기(呂石基, 1922~2014) - 마쓰에고교 졸업. 종합유선방송위원회장, 연극평론가, [[고려대]] 교수 * [[유기천]] - 히메지고교 졸업. 서울대 [[총장]] * [[유억겸]] - 3고 졸업. 연전 교장, 미[[군정기]] 문교부[[장관]] * [[윤일선]] - 6고 졸업. 서울대 총장 * [[윤종화]] - 사가고교 졸업. 일제 [[관료]]. * [[윤천주]] - 4고 졸업. [[문교부]] 장관, 서울대 총장 * [[윤태동]] - 6고 졸업. 경성제대 [[교수]], [[만주국]] 간도성장 * [[이양하]] - 3고 졸업. 서울대 [[교수]], 수필가 * 이재철(李在澈, 1923~1999) - 7고 졸업. [[교통부]] [[차관]], [[인하대]], [[국민대]], [[중앙대]] 총장을 역임한 인물. [[이명희(1949)|이명희]]의 [[부친]] * [[이충영]] - 5고 졸업. [[조선총독부]] [[판사]], [[변호사]]. 전 [[국무총리]] [[이수성(정치인)|이수성]]의 부친. [[납북]]. * [[이한기]] - 4고 졸업. [[국무총리]] [[서리]] * [[이해익]] - 마츠야마고교 졸업. [[경기도지사]], [[농림부장관]]. * [[이호(1914)|이호]] - 사가고교 졸업. [[내무장관]] * [[이효상]] - 야마구치고교 졸업. 국회의장 * [[인태식]] - 야마구치고교 졸업. [[재무장관]] * [[장경근]] - 3고 졸업.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 [[장경학]] - 마츠야마고교 졸업. [[동국대]] [[교수]] * [[장철수(1908)|장철수]] - 3고 졸업. [[일본 외무성|일본제국 외무성]] 관료, 대한민국 외무부 정무국장, [[경북대]] 교수. * [[정광현]] - 6고 졸업. 서울법대 [[교수]] * [[주요한]] - 1고 졸업. [[시인(문학)|시인]], [[정치인]]. [[3.1운동]]을 계기로 [[중국]]으로 건너가는 바람에 제국대학 출신이 아니다. * [[최병우]] - 고치고교 졸업. 언론인. * [[최하영]] - 마쓰에고교 졸업. [[제5대 국회의원]], 일제 [[관료]]. == 관련 [[문서]] == * [[제국대학]] * [[관립대학]] * [[구제중학교]] * [[구제고등여학교]] * [[구제전문학교]] * [[고등사범학교]] * [[구제대학]] * [[도쿄4대학]] * [[리버럴아츠 5학원]] [[분류:일본의 구제교육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