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도의 언어)] >'''નામુવિકિ, જ્ઞાનનો વૃક્ષ જે આપણે એક સાથે વધે છીએ.''' >'''나무위키, 우리가 함께 자라는 지식의 나무.''' ||<-3> {{{#fff,#000 {{{+2 '''구자라트어'''}}}[br]'''{{{-1 ગુજરાતી}}}'''[br]{{{-2 Gujarati language}}}}}} || ||<-2> '''유형''' ||[[굴절어]] || ||<-2>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2>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 ||<-2> '''문자''' ||구자라트 문자 || ||<-2> '''주요 사용 지역''' ||[[인도]] [[구자라트]] 주 || ||<-2> '''원어민''' ||'''약 4,900만 명''' || ||<-2> '''계통''' ||[[인도유럽어족]][br][[인도이란어파]][br][[인도아리아어군]][br]서부 인도아리아어군 || ||<|3> '''언어[br]코드''' || [[국제표준화기구|{{{#fff,#000 '''ISO'''}}}]] '''639-1''' ||gu || || [[국제표준화기구|{{{#fff,#000 '''ISO'''}}}]] '''639-2''' ||guj || || [[국제표준화기구|{{{#fff,#000 '''ISO'''}}}]] '''639-3''' ||guj || [목차] [clearfix] == 개요 == 구자라트(ગુજરાતી)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인도의 [[구자라트]] 주에서 쓰이는 공용어이자 [[구자라트인]]들이 쓰고 있다. [[마하트마 간디]]의 모어로 유명하다. == 배우는 법 == 아직까진 한국에서 구자라트어를 '''배울 수 있는 곳이 없다.''' 본격적인 공부를 하고 싶다면 영어 쪽에서 언어 자료를 찾아 공부하자. [[힌디어]]를 알고 있다면 인도 내에서 힌디어로 발행되는 구자라트어 학습 책들을 활용할 수 있다. [[구자라트]] 여행시 간단한 인사말 정도만 배워가도 큰 도움이 된다고 하니 인도 여행 시 참조하자. [[파일:구자라트어위키백과.png]] ||구자라트어 위키백과의 모습|| 구자라트어 위키백과도 존재한다. [[https://gu.wikipedia.org/wiki/%E0%AA%AE%E0%AB%81%E0%AA%96%E0%AA%AA%E0%AB%83%E0%AA%B7%E0%AB%8D%E0%AA%A0|#]] == 음소 == === 자음 === ||<|2> ||<-2> [[양순음|{{{#373a3c,#ddd '''양순''' }}}]] ||<-2> [[순치음|{{{#373a3c,#ddd '''순치''' }}}]] ||<-2> [[치경음|{{{#373a3c,#ddd '''치경'''}}}]] ||<-2> [[후치경음|{{{#373a3c,#ddd '''후치경'''}}}]] ||<-2> [[권설음|{{{#373a3c,#ddd '''권설'''}}}]] ||<-2> [[경구개음|{{{#373a3c,#ddd '''경구개'''}}}]] ||<-2> [[연구개음|{{{#373a3c,#ddd '''연구개'''}}}]] ||<-2> [[성문음|{{{#373a3c,#ddd '''성문'''}}}]] || || [[무성음|{{{#373a3c,#ddd '''VI''' }}}]] || [[유성음|{{{#373a3c,#ddd '''V''' }}}]] || [[무성음|{{{#373a3c,#ddd '''Vl''' }}}]] || [[유성음|{{{#373a3c,#ddd '''V''' }}}]] || [[무성음|{{{#373a3c,#ddd '''Vl''' }}}]] || [[유성음|{{{#373a3c,#ddd '''V''' }}}]] || [[무성음|{{{#373a3c,#ddd '''Vl''' }}}]] || [[유성음|{{{#373a3c,#ddd '''V''' }}}]] || [[무성음|{{{#373a3c,#ddd '''Vl''' }}}]] || [[유성음|{{{#373a3c,#ddd '''V''' }}}]] || [[무성음|{{{#373a3c,#ddd '''Vl''' }}}]] || [[유성음|{{{#373a3c,#ddd '''V''' }}}]] || [[무성음|{{{#373a3c,#ddd '''Vl''' }}}]] || [[유성음|{{{#373a3c,#ddd '''V''' }}}]] || [[무성음|{{{#373a3c,#ddd '''Vl''' }}}]] || [[유성음|{{{#373a3c,#ddd '''V''' }}}]] || || [[비음|{{{#373a3c,#ddd '''비'''}}}]] || || m || || || || n || || || || ɳ || || ɲ || || || || || || [[파열음|{{{#373a3c,#ddd '''파열'''}}}]] || p / pʰ || b / bʱ || || || t / tʰ || d / dʱ || || || ʈ / ʈʰ || ɖ / ɖʱ || || || k / kʰ || g / gʱ || || || || [[파찰음|{{{#373a3c,#ddd '''파찰'''}}}]] || || || || || || || t͡ʃ / t͡ʃʰ || d͡ʒ / d͡ʒʰ || || || || || || || || || || [[마찰음|{{{#373a3c,#ddd '''마찰'''}}}]] || || || || || s || || ʃ || || || || || || || || || ɦ || || [[접근음|{{{#373a3c,#ddd '''접근'''}}}]] || || || || ʋ || || || || || || || || j || || || || || || [[설측음|{{{#373a3c,#ddd '''[ruby(접근, ruby=설측)]'''}}}]] || || || || || || l || || || || || || || || || || || || [[탄음|{{{#373a3c,#ddd '''탄'''}}}]] || || || || || || ɾ || || || || || || || || || || || || [[설측음|{{{#373a3c,#ddd '''[ruby(탄, ruby=설측)]'''}}}]] || || || || || || || || || || ɭ̆ || || || || || || || === 모음 === ||<|2> ||<-2> [[전설모음|{{{#373a3c,#ddd '''전설''' }}}]] ||<-2> [[근전설모음|{{{#373a3c,#ddd '''근전설'''}}}]] ||<-2> [[중설모음|{{{#373a3c,#ddd '''중설'''}}}]] ||<-2> [[근후설모음|{{{#373a3c,#ddd '''근후설'''}}}]] ||<-2> [[후설모음|{{{#373a3c,#ddd '''후설'''}}}]] || || [[평순모음|{{{#373a3c,#ddd '''U''' }}}]] || [[원순모음|{{{#373a3c,#ddd '''R''' }}}]] || [[평순모음|{{{#373a3c,#ddd '''U''' }}}]] || [[원순모음|{{{#373a3c,#ddd '''R''' }}}]] || [[평순모음|{{{#373a3c,#ddd '''U''' }}}]] || [[원순모음|{{{#373a3c,#ddd '''R''' }}}]] || [[평순모음|{{{#373a3c,#ddd '''U''' }}}]] || [[원순모음|{{{#373a3c,#ddd '''R''' }}}]] || [[평순모음|{{{#373a3c,#ddd '''U''' }}}]] || [[원순모음|{{{#373a3c,#ddd '''R''' }}}]] || || [[고모음|{{{#373a3c,#ddd '''고'''}}}]] || i || || || || || || || || || u || || [[근고모음|{{{#373a3c,#ddd '''근고'''}}}]] || || || ɪ || ʏ || ɪ̈ || ʊ̈ || ɯ̽ || ʊ || || || || [[중고모음|{{{#373a3c,#ddd '''중고'''}}}]] || e || || || || || || || || || o || || [[중모음|{{{#373a3c,#ddd '''중'''}}}]] || || || || ||<-2> ə || || || || || || [[중저모음|{{{#373a3c,#ddd '''중저'''}}}]] || ɛ || || || || || || || || || ɔ || || [[근저모음|{{{#373a3c,#ddd '''근저'''}}}]] ||<-2> || || ||<-2> || || || || || || [[저모음|{{{#373a3c,#ddd '''저'''}}}]] || || || || ||<-2> || || || ɑ || || == 문자 == [include(틀:분절 문자의 계보)] 자세한 건 [[https://ko.wikipedia.org/wiki/구자라트_문자|구자라트 문자]] 참조. 또한 [[http://www.mylanguages.org|이 사이트]]에서 Gujarati라고 써 있는 곳을 누르면 구자라트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을 찾을 수 있다. 구자라트어는 [[아부기다]]에 속하는 구자라트 문자를 사용한다. 여기서 몇개의 문자를 더해서 [[산스크리트어]]를 기록하는 데에 쓰이기도 한다. 구자라트 문자는 [[유니코드]]의 [[유니코드/0000~0FFF#s-24|U+0A80~U+0AFF]]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기존의 데바나가리 문자에서 위쪽의 빨랫줄을 없앤 것처럼 생겼다. [[데바나가리]]가 그렇듯이 합자도 있다. 구자라트 문자 중 데바나가리와 다르게 생긴 것도 있는데, 합자를 형성하면 데바나가리와 같은 모양으로 바뀐다. === 자음 === || '''구자라트 문자''' || '''명칭''' || '''발음''' || || {{{+1 ક }}} || 꺼 || /kə/ || || {{{+1 ખ }}} || 커 || /kʰə/ || || {{{+1 ગ }}} || 거 || /gə/ || || {{{+1 ઘ }}} || 거 || /ɡʱə/ || || {{{+1 ઙ }}} || 응어 || /ŋə/ || || {{{+1 ચ }}} || 쩌 || /tʃə/ || || {{{+1 છ }}} || 처 || /tʃʰə/ || || {{{+1 જ }}} || 저 || /dʒə/ || || {{{+1 ઝ }}} || 저 || /dʒʱə/ || || {{{+1 ઞ }}} || 녀 || /ɲə/ || || {{{+1 ય }}} || 여 || /jə/ || || {{{+1 શ }}} || 셔 || /ʃə/ || || {{{+1 ટ }}} || 떠 || /ʈə/ || || {{{+1 ઠ }}} || 터 || /ʈʰə/ || || {{{+1 ડ }}} || 더 || /ɖə/ || || {{{+1 ઢ }}} || 더 || /ɖʱə/ || || {{{+1 ણ }}} || 녀 || /ɳə/ || || {{{+1 ર }}} || 러 || /ɾə/ || || {{{+1 ષ }}} || 셔 || /ʂə/ || || {{{+1 ત }}} || 떠 || /tə/ || || {{{+1 થ }}} || 터 || /tʰə/ || || {{{+1 દ }}} || 더 || /də/ || || {{{+1 ધ }}} || 더 || /dʱə/ || || {{{+1 ન }}} || 너 || /nə/ || || {{{+1 લ }}} || 러 || /lə/ || || {{{+1 સ }}} || 서 || /sə/ || || {{{+1 પ }}} || 뻐 || /pə/ || || {{{+1 ફ }}} || 퍼 || /pʰə/ || || {{{+1 બ }}} || 버 || /bə/ || || {{{+1 ભ }}} || 버 || /bʱə/ || || {{{+1 મ }}} || 머 || /mə/ || || {{{+1 વ }}} || 워 || /ʋə/ || === 모음 === ||
'''구자라트 문자'''[br](단독형/자음 결합형) || '''명칭''' || '''발음''' || || {{{+1 અ }}} || 어 || /ə/ || || {{{+1 આ ા }}} || 아 || // || || {{{+1 ઇ િ }}} || 이 || // || || {{{+1 ઘ ી}}} || 이 || // || || {{{+1 ઉ ુ }}} || 우 || // || == 언어별 명칭 == ||<-2> '''언어별 명칭''' || || {{{#fff,#000 '''구자라트어'''}}} ||ગુજરાતી || || [[한국어|{{{#fff,#000 '''한국어'''}}}]] ||구자라트어 || || [[네팔어|{{{#fff,#000 '''네팔어'''}}}]] ||गुजराती भाषा || || [[벵골어|{{{#fff,#000 '''벵골어'''}}}]] ||গুজরাটি ভাষা || || [[아랍어|{{{#fff,#000 '''아랍어'''}}}]] ||اللغة الكجراتية || || [[영어|{{{#fff,#000 '''영어'''}}}]] ||Gujarati language || || [[우르두어|{{{#fff,#000 '''우르두어'''}}}]] ||گجراتی زبان || || [[펀자브어|{{{#fff,#000 '''펀자브어'''}}}]] ||ਗੁਜਰਾਤੀ ਭਾਸ਼ਾ || || [[페르시아어|{{{#fff,#000 '''페르시아어'''}}}]] ||زبان گجراتی || || [[힌디어|{{{#fff,#000 '''힌디어'''}}}]] ||गुजराती भाषा || === [[닮은꼴 문자|한글과의 닮은꼴]] === ##유의미하면 볼드처리 이 문자가 바다 건너 한국에서 갑자기 주목을 받은 이유는 ''' [[한글]]과 매우 유사하게 생긴 글자가 꽤나 많기 때문.''' 물론 한글과 시각적으로 유사할 뿐, 전혀 관련 없는 문자 체계다.[[http://hanmalgeulhyeondaesa.tistory.com/408|(관련 블로그 포스팅)]] 이 때문에 인터넷 상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를 갖고 웹툰 [[조선왕조실톡]]에서 드립을 친 적이 있다. 한글로 '벗어'로 보이는 'ખૂન'[* \[kʰuːn\], \[쿤ː\] 이라고 발음하는데, '''살인'''이라는 뜻을 가진다. 이 단어를 구글에서 검색하면 실제로 살해한 처참한 몰골의 시체 사진이 떴다는데, 지금은 한국어 '벗어' 관련도 아주 약간 섞여서 나온다. ]같은 게 있으며, 역으로 한국어를 구자라트 문자로 적어도 마치 한글로 의미 없는 내용을 적어놓은 듯 하게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신라]](silla)는 구자라트 문자로 쓰면 'શીલાના'---레데에---다. 거기에 고추는 લાલ મરી---데더 니리---, 병은 બાટલી---더2데---다. 여우는 શિયાળ---리레디---다. 또 참기름은 તલ નું તેલ---디더 엉 디더---이고, 수달은 ઓટર---레22---이다. 여담으로 한글과 유사한 것은 아니지만 옴에 해당하는 문자인 ૐ은 숫자로 30과 비슷한 모양을 가졌다. 이쪽은 [[가짜동족어]] 문서를 참조. 물론 한글은 아니지만 영어로 Merry Christmas와 비슷한 모양도 만들 수 있다.[[https://twitter.com/SotaFujimori/status/1209789259453882368?s=19|#]][[https://archive.ph/f8stQ|@]][* 그러나 이쪽은 아르메니아어 등의 문자가 섞였다. 참고로 이걸 쓴 사람은 비마니 아티스트인 [[후지모리 소타]]다.] ==== 목록 ==== 아래의 목록들은 당연히 구자라트 말로 발음하면 아무 의미도 없는 소리의 나열일 뿐이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전술하였지만, 'ખૂન'가 가장 대표적이다.] 또한 구글 번역에 나오는 의미는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구글 번역에서는 의미없는 단어인데도 오타로 간주되든 다른 언어로 해석되든 어떻게든 해석이 나오기 때문.] 유의. * '''પ નુલુગ લસશ (니 엉덩이 더러워)''': 'પ નુલુંગ લસશ'로도 쓴다. 제일 유명한 것은 바로 'પ નુલુગ લસશ(또는 પ નુલુંગ લસશ 나 પ ભુલુ૦ા લસશ)'. "빠 눌루가 라사샤"(Pa nuluga lasaśa.)[* 현지 발음은 "빠 눌루그 라사쉬"에 가깝다. [[Tunak Tunak Tun]] 문서 3번 각주 참고.]와 "빠 눌룽가 라사샤"(Pa nuluṅga lasaśa.)라고 발음되는 의미 없는 문구로 사실 아무 뜻은 없지만, 한글로 보면 '니 엉덩이 더러워'로 보인다. [[https://translate.google.com/m/translate#gu/ko/પ%20નુલુગ%20લસશ.%0Aપ%20નુલુંગ%20લસશ.|구글 번역 참고.]] * પ નુલુગ ખਅ ([[비누 좀 주워줘|니 엉덩이 내꺼]]): "પ નુલુગ ખਅ."는 구글에서 번역되지 않는다. "પ નુલુંગ ખਅ."를 구글에서 번역하면 "미안해."가 나오고, "પ નુલુંગ ખਅ!"는 "걱정마!"가, "પ નુલુંગ ખਅ?"는 "아십니까?"가 나온다. [[https://translate.google.com/m/translate#gu/ko/પ%20નુલુગ%20ખਅ.%0Aપ%20નુલુંગ%20ખਅ.%0Aપ%20નુલુગ%20ખਅ!%0Aપ%20નુલુંગ%20ખਅ!%0Aપ%20નુલુગ%20ખਅ%3F%0Aપ%20નુલુંગ%20ખਅ%3F|구글 번역 참조.]] * પ ભય લસશ (니 머리 더러워): 구글 번역 시 "두려워 하지마" 라고 번역된다는 이미지가 있으나, 2022년 2월 3일 기준으로는 "두려워 말라"라고 번역된다. * પ ભય નુૂપ (니 [[무뇌|머리 없니]])[* 앞에 '⎝⎛° ͜ʖ°⎞⎠'을 붙여서 '⎝⎛° ͜ʖ°⎞⎠ પ ભય નુૂપ '로 쓰기도 한다. 장소에 따라 윗줄까지 잡아먹는 통에 남발하면 민폐가 되니 주의.] * પ નુલુંગ લસશ ખૂન(니 엉덩이 더러워 벗어):'ખૂન'와 પ નુલુંગ લસશ의 조합((니 엉덩이 더러워 벗어))하면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744/read/39373236|'''살인 룰'''이라는 의미가 된다고 한다]].[* 구글 번역기에 치면 'rule of murder' 이다. 해석하면 살인의 규칙.]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면 प नुलुग लसश이다. * યુવૃલુ યુવૃલુ 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 ([[Ring Ding Dong|링딩덩 링딩덩 링디기디기디기딩딩딩]])(치는 횟수마다 다르다. 이 이상 치면 이상한 글자가 나온다.)[[https://translate.google.com/?hl=ko#gu/ko/યુવૃલુ%20યુવૃલુ%20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0Aયુવૃલુ%20યુવૃલુ%20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યુવૃલુ%20યુવૃલુ%20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0Aયુવૃલુ%20યુવૃલુ%20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યુવૃલુ%20યુવૃલુ%20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યુવૃલુ%20યુવૃલુ%20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0A%20યુવૃલુ%20યુવૃલુ%20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20યુવૃલુ%20યુવૃલુ%20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20યુવૃલુ%20યુવૃલુ%20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20યુવૃલુ%20યુવૃલુ%20યુવત્રવત્રવત્રવુવુવુ]] * ઋ , ત્રો (개), પો , પૉ (내) / તો , તૉ (대) / અ , યૉ (래, 왜) * ઋુ (갱) / અુ (랭) * ઋૂ (갯) / પૂો , પૂૉ (냇) / તૂો , તૂૉ (댓) / અૂ , યૂૉ (랫, 왯) * ਅ (꺼) / ખ , ખે (너) / લ , લે (더) / લ્લ (떠) / સ , સે (러) / ભ , ભે (머) / ખ ,ખે (버) / ન , ને (어) * ખૂ , ખેૂ (넛) / લૂ , લેૂ (덧) / લ્લૂ (떳) / સૂ , સેૂ (럿) / ભૂ , ભેૂ (멋, 멍) / ખૂ ,ખેૂ (벗) / નૂ , નેૂ (엇) * ખુ (넝) / લુ (덩) / લુ (덩) / લ્લુ (떵) / સુ (렁) / ભુ (멍) / ખુ (벙) / નુ (엉) * ખા , ખો (네) / લા , લો (데) / લ્લા , લ્લો (떼) / સા , સો (레) / ભો (메) / ખો (베) / ના , નો (에) * ખૂા , ખૂો (넷) / લૂા , લૂો (뎃) / લ્લૂા , લ્લૂો (뗏) / સૂા , સૂો (렛) / ભૂો (멧) / ખૂો (벳) / નૂા , નૂો (엣) * ૮ત્ર(녀) / ૮ત્રા, ૮ત્રો (녜) / ૮ત્રુ (녕) / રત્ર (려) * ધ (뇌) / ધુ (뇡) / ધૂ (뇟) * શ (워, 위) / શુ (웡, 윙) / શૂ (웟, 윗) / ક્ષ (워) / ક્ષા (웨) / ક્ષૂ(웡,웍) / ક્ષાૂ (웩, 웽) * ર (그, 근) * ત્ર , ત્રે (기) / ૫, પ , પે (니)[* 두 번째 글자는 '5'라는 뜻이며, 세 번째 글자는 '5월'이라는 뜻이다.] / વ , વે (디) / ય , યે (리) / દા (티) * ત્રૂ , ત્રેૂ (깃) / પૂ , પેૂ (닛) / વૂ , વેૂ (딧) / યૂ , યેૂ (릿) / દૂા (팃) * પુ (닝) / વુ (딩) / યુ (링) * ર૮ત્ર (그녀) * રલા (근데) * ત્રયૃ (기린) * ખત્ર (내기) * ખਅ (내꺼) * ખઅ (내래) * ખાગખ (네이버) * પ બભપ નુૂપ ([[패드립|니 어머니 없니]]) * પ નૢરૢ (니 얼굴) * ફ્રાન્સ (달러) - 구글번역하면 [[프랑스]]라고 번역된다 * તૉય (대리) * લરૢટૂય ([[더 글로리]]) * લખ (더내) * લસશ (더러워) * લભ્ બ (더먹어): 이걸 구글 번역기에 치면 "나는"이라고 나온다. * લશ (더워, 더위) * લૂપ (덧니) * લુનય (덩어리) * લાયખઞ (데리버거) * કર (둥근) * વશ (디워) * લ્લુઋલ્લુ (떵개떵) * રશિયા (라리레) - 구글 번역하면 [[러시아]]라고 나온다 * સરસ (러근러) * સસલું (러러덩) - [[토끼]] * અનનાસ (래어에러): 구자라트어로 [[https://en.wiktionary.org/wiki/અનનાસ|파인애플]]이란 뜻이다. * યોની (레에) - 질: yonī라고 읽는다. * એવું (레딧): Like that, so 등의 뜻을 지닌 부사이다. * સાન (레어) * સાગલ (레이더) * સાગવ (레이디) * યુ ચાન (유찬) * સાનેૃ (레인) * ટૂય ([[로리]]) * ટૂય નુલુગ ખਅ([[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로리 엉덩이 내꺼]]) * ટૂય નુલુગ ખૂન (로리 엉덩이 벗어) * ચલ (리더) * ચવૃ (리딩, 리딘) * યુવુદુ ([[Ring Ding Dong|링딩동]]) * ભલ (머더) * ભય (머리) - 구글 번역 하면 위험이라고 번역된다. * ભઅુ (머랭) * ભુભુગ (멍멍이) * जुजुब(멍멍이)- 대추 * ભ્ બ (먹어) * બાવઉન [메이커) * પીકાચુ (미러링) - 구글번역하면 [[피카츄]]라고 번역된다 * ખરત્ર (버려, 내려) * ખૂન (벗어) -''' '피, 살인'이라는 뜻'''이다. 이 단어를 구글에서 검색하면 끔찍한 사진이 나오니 주의. 실제로 살해당한 처참한 몰골의 시체 사진이 뜬다.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면 [[https://en.wiktionary.org/wiki/%E0%A4%96%E0%A4%BC%E0%A5%82%E0%A4%A8|खून]]이다. * ખુનય (벙어리) * ગૃઃલાસા (얀데레) * નવ (어디) * નવના (어디에) * નવપ (어디니) * નવભ (어디서) * નલ્લય (어떠리) * નરત્રશ (어려워) * નયખય (어리버리) * નયૃગ (어린이) * નભપ, બભમ, બભપ, નભમ(어머니) * નગનુૂન (어이없어) * નૃપ (언니) * નુૂન (없어) * નુલુગ, બૂલૂઠા (엉덩이) * નાસ (에러) * બ્ર્ર્ર ([[엿]]) - ્ર 추가시 받침이 더 진해진다. (બ્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ર) * બ્ર્ર્રભ્ બ ([[Fuck You|엿먹어]]) * રગ (오이) * એલો (왜데): [[알로에]]라는 뜻이다. * ઓએસિસ (왜왜뭐뭐): 구글 번역기에서는 오아시스로 번역된다. * એ ગયી (왜 이래) * ક્ષાનાૂ (웨엑) * શગૃ (위인) * શુભ (윙어) * થય (의리) * થય નુૂન (의리 없어) * ગગ્ (이익) * ગસૃ (이런) * ગઘાય (이태리) * ગૃત્રનુૂન (인기없어) * શુભે (입어): 힘내라는 뜻이다. * ગુન (잉어) * ગુજ (입영) * દાન (티어) * ઘાગૃ (태인) * ફે૮ત્ર (훈녀) * ઠ્ઠલૂગ (웅덩이): 구글 번역기에서는 음란물로 번역된다. * ફેગ ([[사토 마사오|훈이]]) * ઠાદૃષ ઞેય- / મૅથ- ([[Hitomi.la|히토미]] 꺼라/켜라) * ԵհɑղƘ վօմ ᗰદ૨૨ʏ ᘓમ૨ıડτന੨ડ (Thank You Merry Christmas)[* [[아르메니아어]] 등 다른 언어의 문자까지 섞여있기 때문에 이것을 구글 번역기에 치면 글자 그대로 나온다. 위에서 언급한 후지모리 소타가 2019년 크리스마스 때 쓴 문구의 일부.] == 관련 문서 == * [[거짓짝]] * [[구자라트]] * [[닮은꼴 문자]] * [[언어]] * [[인도유럽어족]] * [[언어 관련 정보]] * [[야민정음]] * [[인도]] * [[인도/언어]] [[분류:구자라트 주]][[분류:인도아리아어군]][[분류:인도의 언어]][[분류:개별 언어]][[분류:굴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