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성도]][[분류:구이저우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중국의 성도)] [include(틀:구이저우성의 행정구역)] [[파일:중국 구이양.jpg]] 묘하게 [[서울]]과 닮은 시가지 전경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구이저우성|{{{#000,#ddd 구이저우성}}}]]의 성도'''}}} || ||<-3> {{{#ff0 '''{{{+1 [ruby(贵阳, ruby=Guìyáng)][ruby(市, ruby=Shì)]}}}'''[br]구이양시 | Guiyang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贵阳市, 너비=100%, 높이=224px)]}}}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구이저우성]] 구이양시 관산후구[br]린청둥루7호[br]贵州省贵阳市观山湖区林城东路7号 || ||<-2> '''{{{#ffff00 지역}}}''' || [[시난]] || ||<-2> '''{{{#ffff00 면적}}}''' || 8,034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6구 1현급시 3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5,987,018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745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83.52% | [[묘족]] 5.72%[br][[포의족]] 4.69% | [[토가족]] 1.39%[br][[이족]] 1.00% | [[동족(민족)|동족]] 0.76% || ||<-2> '''{{{#ffff00 HDI}}}''' || 0.814 ^^(2016)^^ || ||<-2> '''{{{#ffff00 서기}}}''' || 후중슝(胡忠雄) || ||<-2> '''{{{#ffff00 시장}}}''' || 마닝위(马宁宇)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474억 1,300만 ^^(2016)^^ || || '''{{{#ffff00 1인당}}}''' || $10,958 ^^(2016)^^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난초]], [[배롱나무|배롱꽃]] || || '''{{{#ffff00 시목}}}''' || [[녹나무]], [[대나무]][* 대나무는 엄연히 따지면 나무가 아니라 풀이지만, 관념상 나무로 취급하기 때문인지 시목으로 지정되었다.] || ||<-2> '''{{{#ffff00 차량번호}}}''' || '''贵A'''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筑'''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52'''01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851''' || ||<-2> '''{{{#ffff00 우편번호}}}''' || '''550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GZ-01''' ||}}}}}}}}} || ||<-3> [[http://www.guiyang.gov.cn/|홈페이지]] || [[파일:갑수루 중국 귀양.jpg|width=450]] 명말에 세워진 갑수루. 현 건물은 1909년에 재건되었다. [[파일:구이양 중국 1.jpg|width=450]] 쌍둥이 타워로 유명한 화권유앤 무역 센터.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7QsZVk8Am_E)] [[중국]] 남부 [[구이저우성]]의 성도이며, 인구는 598만 명이다. 중세 이름은 [[귀주]]이며 이는 현 [[구이저우성]] 명칭의 유래가 된다. 주로 소수민족의 도시였으나 청대 [[옹정제]]가 [[개토귀류]]를 실시하면서부터 [[한족]]이 정착하였다. 이름이 비슷하여 자주 헷갈리는 [[구이린]][* 중국어 발음으로는 언뜻 비슷해보이는데, 한자는 다르다. 한자 독음으로 '귀양'이 되는 구이양과 달리, 구이린은 한자 독음으로 계림(桂林)이다.]은 도시에서 서남쪽으로 300여 km 떨어져 있다. 애초 구이린은 [[광시좡족자치구]]에 있어 행정구역이 다르다. [[구이양 룽둥바오 국제공항]], [[구이양 지하철]]이 있어 교통이 편리한 도시이다. == 기후 == 구이양은 북위 28°에 위치한 중국 남부의 도시로 미국의 [[텍사스 주]] 남부 해안과 비슷한 위도이다. 그러나 내륙 고지대에 위치한 구이양은 위도와 달리 고도가 높아서 결코 따뜻한 도시는 아니다. 애초 고도가 높은만큼 기온도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연평균기온 15.3℃, 1월 평균기온 5℃, 7월 평균기온 23.9℃이며 습도는 연중 77%로 매우 습하다. 특히 겨울철 습도는 80% 이상이며 일조시간도 1월 평균 40시간에 불과해[* 하루에 평균적으로 햇빛을 1시간 18분밖에 못 받는다는 뜻이다.] 매우 우중충하고 흐린 날이 많다. 그리고 습한 추위라 피부가 따가운 칼바람 추위가 아닌, 뼛속까지 시리는 기분나쁜 추위를 보인다. 역대 최저기온은 -10℃로 그렇게 춥지는 않지만 북위 28도 치곤 추운 것이며 구이양은 기온 변화가 심하지 않아 겨울 내내 0~5도 내외의 기온을 보이며 흐리고 다습하기 때문에 남부 지방이라고 따뜻하다고만 생각했다가는 생각지도 못한 추위에 벌벌 떨게 될 수 있다. 대신 여름은 고산지대답게 비교적 선선한 편으로 35℃를 넘는 날이 거의 없으며, 1년 내내 흐린 날이 많은 구이양시에서 그나마 맑은 날과 일조량이 많다. 아열대 날씨는 이 곳이 아닌 저지대에 내려가야 접할 수 있다. == 교통 == [[구이양둥역]], [[구이양베이역]], [[카이양역]]이 있다. == 관광 == [[파일:구이양 중국.jpg|width=720]] [[파일:중국 구이양 1.jpg]] 마천루가 많으며, 갑수루와 쌍둥이탑 일대의 야경이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