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스웨덴 국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60a42 0%, #a80d53 20%, #a80d53 80%, #860a42)" '''스웨덴 베르나도테 왕조 제6대 국왕[br]{{{+1 구스타프 6세 아돌프}}}[br]Gustaf VI Adolf'''}}}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ustaf_VI_Adolf.jpg|width=100%]]}}} || ||<|2> '''출생''' ||[[1882년]] [[11월 11일]]||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왕국]] [[스톡홀름]] [[스톡홀름 왕궁]]|| ||<|2> '''사망''' ||[[1973년]] [[9월 15일]] (향년 90세)|| ||[[스웨덴]] [[헬싱보리]] 헬싱보리 병원|| ||<|2> '''재위기간''' ||[[스웨덴 국왕]]|| ||[[1950년]] [[10월 29일]] ~ [[1973년]] [[9월 15일]]|| || '''서명''' ||[[파일:Gustaf_VI_Adolf_signature.png|width=15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문''' ||[[베르나도테 왕조]] || || '''이름''' ||오스카르 프레드리크 빌헬름 올라프 구스타프 아돌프[br](Oscar Fredrik Wilhelm Olaf Gustaf Adolf) || || '''아버지''' ||[[구스타프 5세]] || || '''어머니''' ||[[바덴의 빅토리아]] || || '''형제자매''' ||[[칼 빌헬름 루드비그|빌헬름]], 에리크 || ||<|2> '''배우자''' ||[[코넛의 마거릿 공녀]] ,,(1905년 결혼 / 1920년 사망),, || ||[[루이즈 마운트배튼|레이디 루이즈 마운트배튼]] ,,(1923년 결혼 / 1965년 사망),, || || '''자녀'''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구스타프 아돌프]], [[시그바르드 베르나도테|시그바르드]], [[잉리드 빅토리아 소피아 루이제 마르가레타|잉리드]], 베르틸, [[칼 요한 베르나도테|칼 요한]] || || '''종교''' ||[[루터교회]] {{{-2 ([[스웨덴 교회]])}}}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웨덴]]의 전 국왕이자 [[칼 16세 구스타프]]의 할아버지. 1950년 10월 29일부터 1973년 9월 15일까지 재임하였다. [[구스타프 5세]]와 바덴의 빅토리아의 장남이며, 43년동안 왕세자의 자리에 있었다. 평생동안 [[고고학]]을 좋아하였고 고대 [[이탈리아/문화|이탈리아 문화]]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애칭은 거스티(Gusty). == 칭호 == *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세습 왕자, 구스타프 아돌프 스코네 공작 전하 Hans Kunglig Höghet Gustaf Adolf, Sveriges och Norges Arvfurste, Hertig av Skåne(1882년 11월 11일 ~ 1905년 6월 7일) * 스웨덴의 세습 왕자, 구스타프 아돌프 스코네 공작 전하 Hans Kunglig Höghet Gustaf Adolf, Sveriges Arvfurste, Hertig av Skåne(1905년 6월 7일 ~ 1907년 12월 8일) * 스웨덴의 구스타프 아돌프 왕세자 전하 Hans Kunglig Höghet Gustaf Adolf, Sveriges Kronprins, Hertig av Skåne(1907년 12월 8일 ~ 1950년 10월 29일) * 신의 은총으로 스웨덴인과 고트인, 벤트인의 왕 구스타프 6세 아돌프 폐하 Hans Majestät Gustaf VI Adolf med Guds Nåde Sveriges, Götes och Vendes Konung(1950년 10월 29일 ~ 1973년 9월 15일) == 생애 == 구스타프 6세 아돌프는 당시 [[스웨덴]] [[왕세자]]였던 [[구스타프 5세]]와 [[바덴의 빅토리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구스타프 왕세자는 이틀 동안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구스타프 아돌프는 조용하고 온순한 아기였다. [[파일:gustafadolfbaby.jpg|width=500]] 부모인 구스타프 5세와 바덴의 빅토리아의 결혼은 [[스웨덴]] 역사상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구스타프 5세는 당시 [[스웨덴]]을 통치하고 있던 [[베르나도테 왕조]]의 구성원이었고, 바덴의 빅토리아는 [[구스타브 4세 아돌프]]의 증손녀로 과거 스웨덴을 통치했던 홀슈타인-고트로프 왕조[* [[표트르 3세]]부터 시작하는 [[러시아 제국]]의 [[로마노프 왕조|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가 직계고 스웨덴계가 방계다.]의 일원이었기 때문이다. 그 둘 사이에서 태어나 홀슈타인-고트로프 왕조와 베르나도테 왕조의 혈통을 모두 물려받은 구스타프는 베르나도테 왕조의 정통성을 더욱 높여주는 존재였다. 구스타프 아돌프는 [[웁살라 대학교]]에서 역사, 경제, 정치, 고고학을 공부하였다. [[스웨덴어]]는 물론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에 능통했고 [[이탈리아어]]를 읽을 줄 알았으며 [[라틴어]]를 이해했다. [[1907년]] [[12월 8일]], 할아버지 [[오스카르 2세]]가 사망하였다. 그 결과 [[오스카르 2세]]의 장남 [[구스타프 5세]]가 즉위하였다. [[구스타프 5세]]가 [[스웨덴]]을 43년(정확히는 42년 10개월 21일) 간 통치하면서 구스타프 6세 아돌프는 왕세자로 남아있었다. [[1950년]] [[10월 29일]] [[구스타프 5세]]가 별세하면서 구스타프 6세 아돌프가 즉위하였다. 그러나 그는 즉위 당시 67세였고[* 그의 이 기록은 찰스가 깨버렸다. [[찰스 3세|찰스 왕세자]]가 1948년 11월 14일 생이니 2016년 11월 1일 이후로 즉위한다면 정말 구스타프 6세의 기록을 뛰어넘게 되는데, 결국 그 것이 실제가 되어버렸다. 더욱이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시대에는 시대가 보수적이라서 구스타프 5세가 구스타프 6세 아돌프에게 양위하지 않은 것이지만, 반세기 더 늦게 태어난 찰스의 경우에는 그런 것도 아니다. 그래도 마침내(?) 2022년 9월 8일에 찰스 왕세자는 찰스 3세로 즉위했다.] 스포츠와 고고학 같은 당시 [[스웨덴]]이 관심쓰지 않는 학문에 열중해 있기 때문에 인기가 별로였다. 구스타프 6세 아돌프는 출혈성 위궤양으로 수술을 받은 후 합병증으로 [[1973년]] [[9월 15일]] 20시 35분 만 90세로 사망했다. 직접적인 사인은 페렴이었다. 왕위는 장손인 [[칼 16세 구스타프]]가 물려받았다. 여담으로 구스타프 6세 아돌프가 사망한 다음날([[1973년]] [[9월 16일]])은 [[스웨덴]] 총선 선거일이었다. 밑에 가계도를 보면 알겠지만, 엄청난 장수집안이다. 할아버지 [[오스카르 2세]]가 78세로 장수해서 아버지 [[구스타프 5세]]가 49세에 즉위할 정도였고, 본인도 67세에 늦은 나이에 즉위했으니 말 다했다. 솔나 왕실묘지[* 원래 스웨덴 국왕은 [[스톡홀름]]의 리다르홀름 교회에 안장되는데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이래 계속 왕들이 안장되다 보니 공간이 없어서 구스타브 6세부터는 스톡홀름 외곽의 하가 공원에 있는 솔나 왕실묘지에 묻히기로 결정되었다.]에 두 아내와 함께 묻혔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구스타프 6세 아돌프[br]{{{-2 (Gustaf VI Adolf)}}} ||<|6> [[구스타프 5세]][br]{{{-2 (Gustaf V)}}} ||<|3> [[오스카르 2세]][br]{{{-2 (Oscar II)}}} || || [[오스카르 1세]][br]{{{-2 (Oscar I)}}} || ||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 공녀]][br]{{{-2 (Princess Joséphine of Leuchtenberg)}}} || ||<|3> [[나사우의 조피아|나사우의 조피아 공녀]][br]{{{-2 (Princess Sophia of Nassau)}}} || || [[나사우]] 공작 빌헬름[br]{{{-2 (William, Duke of Nassau)}}} || || [[뷔르템베르크]]의 파울리네 공주[br]{{{-2 (Princess Pauline of Württemberg)}}} || ||<|7> [[바덴의 빅토리아|바덴의 빅토리아 공녀]][br]{{{-2 (Princess Victoria of Baden)}}} || ||<|3> [[프리드리히 1세(바덴)|바덴 대공 프리드리히 1세]][br]{{{-2 (Frederick I, Grand Duke of Baden)}}} || || [[레오폴트(바덴)|바덴 대공 레오폴트]][br]{{{-2 (Leopold, Grand Duke of Baden)}}} || || [[스웨덴의 소피아|스웨덴의 소피아 공주]][br]{{{-2 (Princess Sophie of Sweden)}}} || ||<|3> [[루이제 마리 엘리자베트|프로이센의 루이제 공주]][br]{{{-2 (Princess Louise of Prussia)}}} || || [[빌헬름 1세]][br]{{{-2 (Wilhelm I)}}} ||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의 아우구스타|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의 아우구스타 공녀]][br]{{{-2 (Princess Augusta of Saxe-Weimar-Eisenach)}}}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 '''1남''' ||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br]{{{-3 (Prince Gustaf Adolf, Duke of Västerbotten)}}} || [[1906년]] [[4월 22일]] || [[1947년]] [[1월 26일]]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지빌라 공녀]][br]슬하 1남 4녀[* [[칼 16세 구스타프]] 등] || ||<|3> '''2남''' ||<|3> [[시그바르드 베르나도테]][br]{{{-3 (Sigvard Bernadotte)}}} ||<|3> [[1907년]] [[6월 7일]] ||<|3> [[2002년]] [[2월 4일]] || --에리카 파첵-- || || --소냐 크리스텐센-- [br]슬하 1남 || || 마리안 린드베리 || || '''1녀''' || [[스웨덴의 잉리드 공주|덴마크의 잉리드 왕비]][br]{{{-3 (Ingrid, Queen of Denmark)}}} || [[1910년]] [[3월 28일]] || [[2000년]] [[11월 7일]] || [[프레데리크 9세]][br]슬하 3녀[* [[마르그레테 2세]], 베네딕테 공주, [[아네마리 다우마 잉리드|그리스인의 왕비 아나마리아]] ] || || '''3남''' || 할란드 공작 베르틸 왕자[br]{{{-3 (Prince Bertil, Duke of Halland) }}} || [[1912년]] [[2월 18일]] || [[1997년]] [[1월 5일]] || 릴리안 데이비스 || ||<|2> '''4남''' ||<|2> [[칼 요한 베르나도테]][br]{{{-3 (Carl Johan Benradotte)}}} ||<|2> [[1916년]] [[10월 31일]] ||<|2> [[2012년]] [[5월 5일]] || 셔스틴 비크마크[br]슬하 1남 1녀 || || 요한니셔스의 귄닐라 바크트메이스터 || * 친할아버지: [[오스카르 2세]]([[1829년]] ~ [[1907년]]) * 아버지: [[구스타프 5세]]([[1858년]] ~ [[1950년]]) * 첫번째 아내: [[코넛의 마거릿 공녀]][* 여섯째 아이를 임신 중이던 1920년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공식적인 사인은 귀 수술에 의한 감염이었으나, 당시 영국에서는 그녀가 스웨덴 왕실에 적응하지 못해 자살했다는 근거없는 소문이 나돌았다고 한다.] ([[1882년]] ~ [[1920년]]) * 장남: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1906년]] ~ [[1947년]]) - [[칼 16세 구스타프]]의 아버지. 사고사. * 차남: [[시그바르드 베르나도테|시그바르드]]([[1907년]] ~ [[2002년]]) * 장녀: [[잉리드 빅토리아 소피아 루이제 마르가레타|잉리드]]([[1910년]] ~ [[2000년]]) - [[덴마크]] [[마르그레테 2세]]의 어머니. * 3남: 베르틸 오스카르([[1912년]] ~ [[1997년]]) * 4남: [[칼 요한 베르나도테|칼 요한]]([[1916년]] ~ [[2012년]]) * 두번째 아내: [[루이즈 마운트배튼]](Louise Mountbatten) 전 바텐베르크의 루이즈 공녀([[1889년]] ~ [[1965년]])[* [[바텐베르크의 공자 루트비히|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와 [[헤센의 공녀 빅토리아]]의 차녀. [[루이 마운트배튼]] 경의 누나이자 [[필립 마운트배튼|필립 공]]의 이모이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의붓자녀들과 6촌관계다.] * 두번째 아내와는 자녀 없음.[* 비록 자녀는 없었지만 말년까지 같이 호위를 대동하지 않은 산책을 다니는 등 사이는 좋았다. 사실 사산된 공주가 하나 있는데, 공주를 사산한 이후로 루이즈는 불임이 되었다고 한다.] == 여담 == [[파일:external/image.kmib.co.kr/201604031447_61170010501214_1.jpg]] * [[1926년]], 아직 황태자 구스타프 공작이었던 시절에 국빈으로서 [[일본]]을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일본 제국|일제]]는 마침 그가 고고학에 관심이 많은 취향을 파악하고 [[경주시|경주]]의 [[서봉총]] 발굴작업 참가를 권했고 이에 직접 참가하기도 하였다. 고분 이름 서봉총의 '서(瑞)'는 스웨덴을 뜻하며, 당시 [[한반도]]를 거쳐 [[중국]]으로 가는 길에 [[금강산]]에 올랐다는 설도 있다. 그는 왕위에 오른 뒤에도 경주를 기억해서 [[6.25 전쟁]] 때 스웨덴이 의료지원단을 [[대한민국]]에 파견해 [[부산]]에 야전병원을 건설했을 때, 간호사에게 자기가 머물렀었던 경주 교동 최부자 고택의 안채 등 경주의 풍경을 카메라로 찍어오라는 지시를 했다고 한다. [[영친왕]]의 회고에 의하면 그는 고려자기를 소장하고 있었으며, [[신라]]의 문화가 한국에서 제일이라고 극찬한 뒤 고려자기를 가리키며 "이런 예술은 서양에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고려자기의 담백한 맛은 동양을 모르고서는 이해할 수 없을 것입니다. 동양 하면 사람들은 중국과 [[인도]]만을 떠올리게 마련이지만 코리아에는 특수한 것이 있습니다."라고 하며 '''"문화를 만드는 정신적 힘은 영원불멸합니다. 창조적 힘이야말로 무엇으로도 멸망시킬 수 없습니다."'''라는 의미심장한 말을 건네어 영친왕을 감동시켰다고 한다. * 마거릿과의 결혼 초에 사생아로 추정되는 인물도 있었을 정도로 오페라 배우와 스캔들이 있었다. * 재위 기간 중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이 열렸다. * 어머니 빅토리아의 최애는 동생 [[칼 빌헬름 루드비그|빌헬름]]으로 구스타프 아돌프에게는 평생 정을 전혀 안 줬다. * 코코넛 볼과 콩포트를 매우 좋아했다. 술은 마시지 않았다. * 스웨덴 국왕 중에서 처음으로 러시아 황실 [[로마노프 가문]]의 피를 이어받은 국왕이다.[* 어머니인 바덴의 빅토리아가 [[파벨 1세]]의 셋째 딸 [[마리야 파블로브나 여대공]]의 증손녀였기 때문이었다. 공교롭게도, 마리야 여대공의 할아버지이자 로마노프 가문의 중시조인 [[표트르 3세]]는 한때 스웨덴 국왕 후보에 올랐던 인물이기도 하다.] [[분류:스웨덴 국왕]][[분류:베르나도테 가문]][[분류:1882년 출생]][[분류:1973년 사망]][[분류:스톡홀름 출신 인물]][[분류:스웨덴의 고고학자]][[분류:가터 훈장]][[분류:솔나 왕실 묘지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