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충청남도 천안시장)] ||<-2> '''{{{#fff {{{#ffffff 제23-24대 충청남도 천안시장}}} [br] {{{+1 구본영}}} [br] 具本玲 | Goo Bon-ye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본영 전 천안시장.jpg|width=100%]]}}} || ||<|2> '''출생''' ||[[1952년]] [[7월 5일]] ([age(1952-07-05)]세) || ||[[충청남도]] [[천안시|천안군]] 천안읍 원성동[br](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원성동]])[* [[https://news.joins.com/article/4187559|#]]] || || '''학력''' ||[[천안고등학교]] {{{-2 ([[졸업]])}}}[br][[육군사관학교]] {{{-2 (전자공학 / [[학사]])}}}[* 30기][br][[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 (경영학 / [[석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원에 의한 전역 || || '''가족''' ||부인 정혜정, 슬하 1남 1녀 || || '''소속'''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 '''재임기간''' ||제23·24대 충청남도 천안시장 || ||[[2014년]] [[7월 1일]] ~ [[2019년]] [[11월 14일]] || || '''경력''' ||육군 대위 예편[br]서울 마포구청 사회복지과장[br]국무총리실 수질개선기획단 부단장[br]천안시정발전연구센터 이사장[br]제23,--24--대 충청남도 [[천안시장]][* 24대는 당선 무효형이 선고되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직 [[천안시장]]. == 생애 == [[1952년]] [[7월 5일]], [[충청남도]] 천안군 천안읍 원성동(현 천안시 동남구 원성동)에서 태어나 [[천안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0년]], [[육군사관학교]]에 들어갔다. 육사 30기[* 동기생이 [[이상의]], [[김근태(군인)|김근태]], [[김중로]], [[이성출]] 등이 있다.]로 [[임관]] 후에는 [[장교]] 생활을 하다가 대위로 예편하고 [[1980년]], [[유신사무관]]으로 채용되어 [[공무원]]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마포구청 공무원을 시작으로 [[1989년]]부터 총리실에 들어가 [[2005년]] 퇴임 때까지 주로 총리실에서 공무원으로 경력을 쌓으면서 활동했다. 2005년 퇴임과 함께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천안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하여 [[윤일규]] 전 순천향대 교수와의 경선에서 승리했다[* 이후 윤일규 전 교수는 [[2018년 재보궐선거]]에 [[천안시 병]] 국회의원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같은 지역 출신으로 육사 - [[유신사무관]] 코스를 밟았던 당시 천안시 을 지역구 의원인 [[박상돈]]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선거에서는 당시 열린우리당의 대참패 분위기에 같이 휩쓸려 들어가면서 현역 시장이었던 [[성무용]] 후보에게 압도적인 표 차이로 2등 [[낙선]]하고 만다. 그래도 [[정치]]를 포기하지는 않고 천안시정발전연구센터를 만들면서 꾸준히 선거 출마를 노렸다. 열린우리당의 몰락과 민주당계 정당의 이합집산 당시에는 [[자유선진당]]으로 이적을 택했다. 자유선진당의 천안시 갑 당협위원장을 맡으면서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다시 [[천안시장]] 출마를 했지만, 이번에는 9천표 차이로 낙선의 고배를 들었다. 출마한 세 명의 후보가 비슷하게 표를 나눠 가졌는데, 약간 뒤쳐지면서 얻은 결과였다. 자유선진당의 해체 과정에서는 새누리당으로 가지 않고, 민주통합당 행을 선택했다. 그리고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에서 '''마침내 [[천안시장]]으로 당선'''되었고, 다음 선거에서도 압도적 지지를 받아 '''재선'''을 하는데 성공하였으나,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인해 시장직을 박탈'''되어 천안시민들의 기대를 저버렸다. 구본영 시정의 경우, 서부지역 신도시 유치에 공을 들였던 이전 [[성무용]] 시정과 다르게, 원도심 부분의 활성화에도 성과를 냈다. 또한, 전임 시장의 임기 말 시기인 [[2014년]]에 바닥을 찍었던 천안시의 공무원 청렴도를, 2018년까지 2등급까지 끌어올린 성과가 존재한다. 또한 재정자립도 역시 40%대로 높은 편을 기록하기도 했다. == [[정치자금법]] 위반 == [[대법원]] 사건번호: 2019도11892 하지만 뇌물수수 의혹에 연루되었다. 김병국(前 천안시체육회 부회장)이 구본영에게 2,500만원의 뇌물을 제공했다고 밝힌 것.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32168|기사]] 이후 2018년 4월 4일에 구속되었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91776&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기사]] 이로써 천안시장 재선은 물 건너갔다고 여겨졌으나... 이틀 뒤 구속적부심에서 보증금 2000만원을 내는 조건으로 석방되었다. 다툼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아, 2500만원이 구본영 시장 측의 주장대로 정치자금으로 볼 수 있다고 판단한 모양이다. 이로써 재선 도전은 원칙적으로 가능하게 되었지만, 검찰이 불구속 기소하면서 뒷일을 장담할 수는 없게 되었다.[* 보통 후보가 검경 수사에 연루된 상황이면 정당들은 공천 자체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선거운동 기간 내내 상대당 후보로부터 까이기에 딱 좋은 소재를 제공해줄 뿐더러, 설사 당선된다 하더라도 재임기간 내내 재판과 씨름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단 민주당에서는 전략공천을 했다.[* [[양승조]] [[충청남도지사]] 후보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양승조 후보도 천안 국회의원 출신이며,과거 [[열린우리당]] 시절에 [[박상돈]]과 함께 구본영 영입에 힘쓴 인물이기도 하다.] 그리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59.31%의 득표율을 얻으며 재선에 성공했다. 2019년 1월 16일 1심에서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당선무효형(벌금 800만원, 추징금 2,000만원)이 선고되었다. 항소심 재판이 진행중으로, 항소심 선고가 [[2019년]] [[7월 26일]]에 나올 예정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915353|기사]] 항소심에서도 당선무효형을 받아 벌금 800만원에 추징금 2000만원이 선고되었다. 이에 따라 [[2020년]] [[3월 15일]]까지 [[대법원]]에서 구본영의 당선무효형을 확정한다면,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와 동시에 [[2020년 재보궐선거|천안시장 재선거]]를 시행하게 된다. 구 시장이 시정은 커녕 본인의 무죄 소명에만 주력하면서 각종 민생현안에 제동이 걸렸다. 대한민국 축구종합센터와 대한축구협회 유치라는 성과를 달성하기는 했지만 축구박물관, 사회간접자본, 축구발전기금 등 결과적으로 돈으로 밀여붙여 경쟁자였던 [[장수군]]이나 [[경주시]] [[상주시]] [[예천군]] [[여주시]]를 누른것에 지나지 않는다. 축구센터 유치 외에는 SK하이닉스의 유치 실패가 있고, 60만 천안시민의 뜨거운 감자인 시내버스 대개편과 준공영제는 아예 잊은 것으로 보인다. [[2019년]] [[11월 14일]] [[대법원]]에서 구본영의 상고를 기각하며 [[정치자금법]] 위반 [[벌금]] 800만원의 당선무효형이 확정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9557190|기사]] 이에 따라 [[구만섭]] 천안시 부시장이 권한대행을 맡게 되며, 2020년 총선 때 [[2020년 재보궐선거|천안시장 재선거]]를 치를 예정이다. 결국 [[미래통합당]] [[박상돈]] 전 의원에 시장직을 넘겨주게 되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 충남 [[천안시장]]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5,211 (21.93%) ||<|2> 낙선 (2위) ||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자유선진당)] || 62,731 (32.86%) ||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115,712 (53.12%)''' || '''당선 (1위)''' || '''초선'''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154,696 (59.31%)'''-- || --'''당선 (1위)'''-- || --'''재선'''--[* 2019. 11. 14. '''당선무효'''] || == 둘러보기 == [include(틀:충청남도의 기초자치단체장(민선 6기))]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52년 출생]][[분류:동남구 출신 인물]][[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문민정부/인사]][[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천안시장]][[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천안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능성 구씨]][[분류:유신사무관 출신]][[분류:새정치민주연합 기초자치단체장]][[분류:더불어민주당 기초자치단체장]][[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