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구본근의 수상 및 영예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 || '''[[1998-99 KBL 챔피언결정전|{{{#fed300 1999[br](선수)}}}]]''' || '''[[2006-07 KBL 챔피언결정전|{{{#ffffff 2007[br](매니저)}}}]]''' || '''[[2009-10 KBL 챔피언결정전|{{{#ffffff 2010[br](매니저)}}}]]''' || '''[[2012-13 KBL 챔피언결정전|{{{#ffffff 2013[br](사무국 과장)}}}]]''' || || '''[[2013-14 KBL 챔피언결정전|{{{#ffffff 2014[br](사무국 과장)}}}]]''' || '''[[2014-15 KBL 챔피언결정전|{{{#ffffff 2015[br](사무국 과장)}}}]]''' || '''[[2018-19 KBL 챔피언결정전|{{{#ffffff 2019[br](사무국 과장)}}}]]'''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20e0e 0%, #e20e0e)" {{{+1 {{{#ffffff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사무국장'''}}}}}}}}} || ||<-3> {{{#ffffff '''ULSAN HYUNDAI MOBIS PHOEBU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615 구본근.jpg|width=100%]]}}} || ||<-3> '''{{{+2 {{{#white 구본근}}}}}} [br] {{{#white 具本根}}}''' || ||<|2><-2> {{{#ffffff ''' 출생 ''' }}} ||[[1975년]] [[4월 17일]] ([age(1975-04-17)]세) || ||[[대전광역시]]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 신체 ''' }}} ||[[키(신체)|키]] 195cm|[[체중]] 90kg || ||<-2> {{{#ffffff ''' 직업 ''' }}} ||농구선수([[센터(농구)|센터]] / ^^은퇴^^)[br][[프런트]] || ||<-2> {{{#ffffff ''' 본관 ''' }}} ||[[능성 구씨]][* 본(本)자 돌림항렬 구본승이랑 동항렬이다.]|| ||<-2> {{{#ffffff ''' 학력 ''' }}} ||대전동광초등학교 {{{-2 (졸업)}}} [br] [[우송중학교|대전동중학교]] {{{-2 (전학)}}} → [[대전중학교]] {{{-2 (졸업)}}} [br] [[대전고등학교]] {{{-2 (졸업)}}} [br] [[연세대학교]] {{{-2 (졸업)}}} || ||<-2> {{{#ffffff ''' 프로 입단 ''' }}} ||[[1998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1998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10순위, [[전주 KCC 이지스|대전 현대]])}}} || ||<-2> {{{#ffffff ''' 현역시절 등번호 ''' }}} ||14[* 1998~2000 현대 시절], 34[* 2000~2002 현대 및 KCC 시절] || ||<|3>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전주 KCC 이지스|대전 현대-전주 KCC]] (1998~2002) [br]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2002)~~[* 트레이드 후 시즌 시작 전 은퇴했는데, 자세한건 아래 항목 참조.] || || {{{#ffffff '''코치'''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2002~2003) || || {{{#ffffff '''프런트'''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2003~2010 / ^^매니저^^) [br] {{{-1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010~2019 / ^^사무국 과장^^)}}} [br]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019~ / ^^사무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前 농구 선수. 現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사무국장. 선수 시절에는 전도유망한 센터였으나 아쉽게도 오랫동안 뛰지 못하였다. == 선수 생활 == === 고교 및 대학 시절 === 대전중학교 3학년 때 농구를 시작한 이후 [[대전고등학교]]에 진학한 구본근은 2, 3학년 때 1년 후배인 [[조상현]], [[황성인]] 등과 함께 돌풍을 이끌며 1993년에 개최된 협회장기 우승과 MVP에 올려 놓은 덕분에 차세대 센터로 낙점받게 되어 연세대에 입학하게 된다. 입학 첫해인 1994년에는 대표팀에 차출된 [[서장훈]]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1994 대학농구연맹전 2차대회에 선발 센터로 출전하였으나, 선배 [[이상민(농구)|이상민]]의 국대차출과 [[우지원]]의 부상 등 다른 주전들의 공백이 너무 컸던 탓에 조별예선리그에서 [[건국대학교]]와 [[한양대학교]]에 각각 대패하며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이후 주전들이 복귀하면서 [[1994-95 농구대잔치]]부터는 [[서장훈]]의 백업 또는 4번 포지션의 로테이션 멤버로 주로 출장하였는데, 센터임에도 불구하고 3점슛을 쏠 정도로 슛거리가 길었고 노마크 찬스에선 덩크슛을 가볍게 꽂을 정도로 탄력이 좋아 여느 실업팀의 노장센터들보다 훨씬 나은 활약을 보여주었고, 연세대가 2년 연속으로 농구대잔치 정규리그 전승을 달성하는데 기여했다. 하지만 팀은 예선리그 8위팀 [[서울 삼성 썬더스|삼성전자]]와 맞붙은 8강전에서 삼성전자 선수들의 거친 플레이와 심판의 묵인까지 더해지며 1승 2패로 역전패, 8강 탈락이라는 충격적인 결과를 받게 된다. 특히 선배들의 폭력이 가장 심했던 8강 3차전에서, 전반중반 [[서장훈]]이 상관타를 맞아 실려나간 뒤 신입생 센터로서 상대팀 센터들([[이창수]], [[박상관]], [[강을준]] 등)을 맞아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팀은 결국 패했고, 골밑에서 홀로 고군분투하느라 무리한 모습을 보이더니 경기가 끝난 직후 갑자기 호흡곤란을 일으키며 의식을 잃고 쓰러져 산소 마스크를 쓴 채 응급실로 실려가고 말았다. 자신의 고향인 [[대전광역시|대전]]에서 몸을 추스르며 2학년 상반기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자 6월에 열린 [[1995 대학농구연맹전]] 1차대회부터 복귀, 미국 유학을 떠난 서장훈의 공백을 훌륭하게 메웠고, 연세대가 당시 최강팀 고려대에 이어 2인자 자리를 지키는데 밑거름이 되었다. [[1995-96 농구대잔치]]에서도 [[우지원]]-[[김훈(농구)|김훈]]-[[조상현]] 등 3점슈터 군단이던 연세대를 정규리그 3위까지 오르는데 기여했다. 덕분에 3학년 때는 95-96 농구대잔치 올스타전 대학선발팀으로 출전하기도 했고, 22세 이하 농구 대표팀에도 발탁되었다. [[1996년]]에는 미국으로 유학한 서장훈이 돌아오면서 다시 로테이션 빅맨으로 돌아가 연세대가 96-97, 97-98 농구대잔치를 연이어 제패하는데 기여하지만, 이 시절 완벽한 파이터 수비수로 거듭난 [[김택훈]]과의 주전경쟁에서 살짝 밀리며 출장시간이 줄어든다. 그래도 대학레벨에선 상위급 센터로 인정받아 졸업해이자 4학년이던 1997년 멜버른에서 열린 FIBA U-22 선수권대회 대표팀 센터로 선발. 동기인 황성인, 조상현, [[김택훈]] 등과 같이 출전하기도 했다. === 비운의 선수 시절과 은퇴 === [[파일:1998-99시즌 통합 우승 당시의 현대 멤버들.jpg|width=610]] [[파일:KCC 구본근.jpg|width=148]] 대학 생활을 마친 뒤, 1998년 KBL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 10순위로 [[전주 KCC 이지스|대전 현대]]의 지명을 받았지만, [[이상민(농구)|이]]-[[조성원|조]]-[[추승균|추]] 트리오 및 외국인 선수 [[조니 맥도웰]]이 전성기를 달리던 팀에서 마른 체형에 내구성이 떨어지는지라 전혀 도움되지 못하고 4년간[* 전주 KCC 이지스 시절도 포함.] 벤치를 달구기만 했다(...). 그나마 1999년 현대와 북한 국가대표 간의 친선경기(일명 '통일농구대회')에서 [[북미관계|조미관계]] 때문에 외국인 선수 2명이 불참하자 대신 선발출장 기회를 잡았으나, 자신의 신체사이즈보다 약 30cm 크고 30kg 무거운 북한의 [[리명훈]]에게 영혼까지 탈탈 털리고 5반칙 퇴장 당했다(...). [[파일:모비스 구본근 코치.jpg]] 2002년에는 연세대학교 시절의 은사이기도 한 [[최희암]] 감독의 부름을 받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오토몬스]]로 3:3 트레이드[* 울산 모비스 get: 구본근, [[김태진(농구)|김태진]], [[이상영(농구)|이상영]] ↔ 전주 KCC get: [[표명일]], 김동언, [[송태영(농구)|송태영]]]되었으나, 시즌 개막 전 대전고-연세대 직계선배인 [[박승일(농구)|박승일]] 코치가 [[루게릭병]]에 걸려 사퇴하자 최희암 감독의 코치 승격 제의를 받고 은퇴한다.[* 당시 나이가 '''만 27세'''였으며 이는 '''KBL 최연소 코치 기록'''이기도 하다.] 그 후 팀 매니저, 팀 사무국 과장을 거쳐 현재는 사무국장으로 근무 중이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부산 KCC 이지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75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2002년 은퇴]][[분류:센터(농구)]][[분류:전주 KCC 이지스/은퇴, 이적]][[분류:대전중학교 출신]][[분류:대전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능성 구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