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기도의 공원]] ||<-2> '''경기도''' '''[[구리시의 공원|{{{#000,#fff 구리시의 공원}}}]]'''[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한강공원 로고.png|height=40]]}}}||{{{#!wiki style="margin: -5px 0" '''{{{+2 구리한강공원}}}'''[br]九里漢江公園[br] Guri Hangang Park}}} ||}}}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중국어 · 일본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중국어 || 九里汉江公园 || || 일본어 || [ruby(九里, ruby=クリ)] ハンガン公園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구리한강시민공원, 너비=100%, 높이=200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9ed6, #687718)" {{{#fff '''변화와 기회의 경기도'''}}}}}} || || '''개원일''' ||[[1986년]] [[9월 10일]] || || '''분류''' ||[[수변공원]] || || '''개방 기간''' ||연중무휴 || || '''개방 시간''' ||항시 개방 || || '''이용료''' ||무료 || || '''소유자''' ||<-3>[[경기도]] [[구리시]] || || '''관리·운영''' ||<-3>[[경기도]] [[구리시]] [[구리시청]] 공원녹지과|| [목차] [clearfix] == 개요 == 구리한강공원은 [[경기도]] [[구리시]] [[강변북로]] 남쪽 [[한강]] 둔치에 있으며 [[강변북로]]에서 진입할 수 있다. 자전거길로 동쪽으로는 [[왕숙천]]을 지나 [[남양주]] [[수석동]]으로 연결되며 서쪽으로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광나루한강공원]]과 연결된다. 구리한강공원 위로 [[구리암사대교]]가 지나가고 있다. == 만들어진 이유 == 구리한강공원 위치에는 1980년대까지 10여 가구가 살던 토막 나루라는 작은 마을이 있었다. 주민들이 매년 비가 오면 [[수해]]를 입고 [[홍수]]로 [[피난]]을 하게 되어, [[1986년]]부터 [[1995년]]까지 한강 종합 개발 사업으로 주민들을 한다리 마을로 이주시키고 [[강변북로]]와 한강 둔치를 조성해서 소 먹이용 작물을 심었다. 1999년부터는 소를 키우는 농가가 없어지면서 IMF 외환 위기 때 [[실업자]] 구제책인 공공 근로 사업으로 둔치 바닥의 돌을 골라내고 흙을 북돋아 [[유채]], [[코스모스]] 등 [[꽃]]을 심고 [[야구장]], [[축구장]]을 만들어 이용했다. [[2005년]]부터 [[2007년]]에 걸쳐 [[공사]]를 하여 현재의 한강시민공원의 모습이 만들어졌다. 이후 구리 시민들이 쉽게 접근하는 친수 공간으로 꽃과 함께 물을 보고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2007년부터 구리 한강시민공원의 자전거길이 국토 종주길로 연결되었다. == 교통 == 버스 || [[남양주 버스 1000]] || [[남양주 버스 1001]] || 철도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파일:GJLine_icon.svg|width=20]]]]{{{#73c7a6 [[경의·중앙선]]}}} || [[구리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