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구리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5_109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5_1052.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구리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구리시 일반형버스 9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구리 95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다산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B)) || ||<|2> 종점행 || 첫차 || 04:30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22:40 || 막차 || 23:45 || ||<-2> 평일배차 || 5~10분 ||<-2> 주말배차 || 10~15분 || ||<-2> 운수사명 || [[경기여객]] ||<-2> 인가대수 || 26대 || ||<-2> 노선 ||<-4> 다산차고지 - (→ 반도유보라후문 →) - 롯데캐슬.아이파크 - 대림e편한세상 - 미금중학교 - 다산1동주민센터 - 빙그레(도농고앞) - 롯데백화점.[[구리역]] - 남양시장 - 태영데시앙 - 구리여중고교 - 대림.하나아파트 - 백문초등학교.교문중학교 - [[구리경찰서]] - [[워커힐]]입구.광장동 - [[광나루역]] - [[강변역]](B섹션) || ||<-6> [[파일:구리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구리시 일반형버스 95-1번}}} || ||<-2> 기점 || [출발]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태영데시앙)[br][도착]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다산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B)) || ||<|2> 종점행 || 첫차 || 07:2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08:05 || 막차 || ? || ||<-2> 평일배차 || 15분 ||<-2> 주말배차 || '''미운행''' || ||<-2> 운수사명 || [[경기여객]] ||<-2> 인가대수 || - || ||<-2> 노선 ||<-4> --수택차고지--[* 여기서 검배사거리까지 공차회송한다.] → 태영데시앙 → (95번 경로대로 강변역까지 운행) → [[강변역]](B섹션) → (95번과 동일하게 운행) → 다산차고지 || == 개요 == [[경기여객]]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운행거리는 34km이다.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95&routeId=222000052|전체 정류소 목록(본선)]] == 역사 == * 명진운수(현 [[경기운수]])에서 1999년 2월 1일에 개통하였다. [[http://m.kyeongin.com/view.php?key=114942#rs|#]] 개통 초기에는 농수산시장을 경유하였으나 이후 9-6번[* 현 96]으로 분리되며 농수산시장을 미경유하게 된다. * 이후 2001년 [[대원운수]]로 이관되었다. * 2006년 4월 15일에 장자대로 미경유 및 이문안로 직통, 정각사입구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08년에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2009년 5월 4일에 번호만 95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1월 15일에 미금중학교(도농회차장)에서 다산신도시(진건지구)까지 연장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0123|관련 게시물]] * 다산신도시와 빙그레 일대에서 꽉 채우고 와 수택동에서 타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2019년 5월 13일에 [[구리 버스 96|96번]]에서 5대를 가져와[* 다만 96번은 이미 인가대수 이하로 운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실제 더 감차되지는 않았다.] 인가대수가 32대로 늘어났으며, 평일에만 태영데시앙(검배사거리)에서 하루 3번 출발하는 95-1번이 분리신설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46348|관련 게시물]] 원래는 수택동차고지부터 영업운전을 할 예정이었으나 변경되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17681235|관련 공문]] * 2020년 4월 27일에 95번 출근형 전세버스 운행으로 95-1번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 2020년 9월 1일에 95번 출근형 전세버스가 운행을 종료함에 따라 95-1번의 운행이 재개되었다. == 특징 == * '''경기여객의 주력/간판 노선이다.''' * 구리 시내버스중 이용객 수 1위, 남양주까지 포함해도 2위라는[* 1위는 [[남양주 버스 165|165번]].] 사실에 걸맞게 출퇴근 시간에 평균 5분~늦어도 10분에 한대씩 오는 배차간격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을 열지도 못할 정도의 혼잡도를 자랑한다. 이 때문에 다산1동이나 교문동에서는 정류장에서 기다리는 승객이 있어도 무정차 통과하는 일이 잦다. * [[구리 버스 96]]번과는 시종점이 같고 경유지가 다른 노선이다. 다만 96번은 도매시장쪽으로 우회하는 노선이고 구리역을 경유하지 않기에 다산신도시 주민들은 96번을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 * 구리 시내버스 중 좋은 배차간격을 유지하는 노선이다보니 출퇴근시간에 2~3대가 연달아서 오는경우가 많다. 십중팔구 [[굴곡 노선/버스/경기도|구리여고, 수택동 구간을 훑어주다가 생긴 지연]] * 다산신도시(진건지구)로 연장되고 난 뒤 배차간격 유지에 난항을 겪고있었다. 노선이 길어졌지만 증차는 안되었고 구리구간 수요는 여전히 많기 때문. 결국 승객이 상대적으로 적은 [[구리 버스 96|96번]] 같은 데서 차를 빼와서 어찌저찌 증차는 되었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 승차 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다산신도시에서 이 노선의 수요 분담을 위해 2018년 11월 19일에 구리역까지만 가는 [[남양주 버스 99|99번, 99-1번]]이 개통되었다. 99번은 평일 출근시간 외에 운행(첫차가 09:00)하며 기점이 다산차고지고, 경유지는 95번과 동일한 반면 99-1번은 다산힐스테이트에서 출발하도록 되어 있다. * 하지만, 99번이 빙그레 / 다산진건 일부 - 구리시내 과부하만 덜어줄수밖에 없는 한계로 인해 구리 택지지구에서 서울로 나가는 수요는 전혀 분담하지 못해 수택동 남쪽, 검배사거리 이남 지역은 뒷문만 겨우 열고 두어 명 정도만 겨우 타는 일이 많았다. 이로 인해 평일에만 하루 3번 태영데시앙(검배사거리)에서 출발하는 [[:파일:구리95-1.png|95-1번]]이 운행 중이다. 수택동차고지에서 출발해 태영데시앙까지 공차회송하나, 행선판에는 수택동차고지 출발로 적혀 있다. [[구리 버스 96|96-1번]]과 달리 GBIS에 따로 노선 인가가 없이 95번으로 운행하며, 95번 실시간 버스정보에서 출발시각 ± 2~5분에 태영데시앙에서 차량이 생기는데 이게 95-1번 차량이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광나루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리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남양주시-강변역간 버스)] [include(틀:남양주시 다산신도시 운행 버스)] [[분류:구리시의 시내버스]][[분류:199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남양주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구리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