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구로구/정치, top2=구로구 갑)]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구로구 을}}}}}}'''[br]{{{-1 {{{#fff 구로동, 신도림동, 가리봉동[br]九老區 乙[br]Guro B}}}}}}}}}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구로구 을.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67,152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서울특별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구로구|{{{#373a3c,#ddd 구로구}}}]] 일부'''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신도림동, 가리봉동 }}} || ||<-2> '''신설년도''' ||<-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 ||<-2> '''이전 선거구''' ||<-2> 구로구 병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윤건영]] || [목차] [clearfix] == 개요 == [[구로구]] 중 [[안양천]] 동쪽 지역에 속한다. 과거 [[시흥군]]에 속했던 동네다. 현재 이 지역구의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윤건영]]이다. == 분석 == 민주당 텃밭 중 하나로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16대 총선]] 이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까지 다섯 번의 선거에서 내리 민주당이 대승을 거둬온 지역이다. [[전라도|호남]] 출신 거주민 비율이 높고 노동자들이 많은 [[구로디지털단지]]를 끼고 있다 보니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높다고 분석된다. 심지어 민주당이 서울에서 7석밖에 건지지 못한 사상 최악의 대패를 당한[* 2020년대 기준 민주당이 보수정당에 서울에서 의석수가 뒤진 유일한 선거기도 하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총선]]에서도 7% 가량의 여유 있는 격차로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승리했을 정도였다.[* 다만 [[동작구 갑]], [[은평구 갑]]과 비슷하게 [[자유선진당]], [[친박연대]] 후보가 모두 출마해 보수표가 분산된 여파도 있었다. 물론 그렇게 따지면 애초에 대선 직후 치러진 허니문 선거로 여당에 유리했던 점과 민주당 지지층 자체가 투표에 나오지 않아 투표율 자체가 많이 낮았던 점도 있었기 때문에 민주당도 손해 본 선거긴 했다.] 구로구 을 지역에서 그나마 보수세가 있다고 평가받는 지역은 [[신도림역]] 역세권 지역 +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신도림동이 거론된다. 특히 이곳에 위치한 신도림 대림e편한세상1~7차 아파트는 2000년대 초반에 지어진 아파트임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시설들이 지금 기준으로도 꽤 좋고 중대형 평수 위주 단지 구성인 만큼 비교적 보수 성향 유권자들도 있다고 평가받는다.[* 당시 [[대림건설|대림]]에서 e편한세상 브랜드를 밀어붙이던 2000년대 초반에 대거 입주가 이뤄졌는데 덕분에 대림 입장에서는 효자나 다름없다.][* 비단 이곳뿐만 아니라 2000년대 초반에 강서, 영등포 권역에 들어선 중대형 평수 위주 대단지 아파트들은(당산래미안, 문래자이, 화곡푸르지오 등) 지금까지도 해당 지역구에선 그나마 보수세가 존재해 민주당과의 격차를 다소나마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구로1~5동[* 단 구로1동은 [[2000년대]] 후반까지는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보수정당 지지세가 어느 정도 있었다. [[2010년]] 중반이 된 후 민주당 우세지역으로 바뀌었다.]과 [[가리봉동]]에서 민주당 표가 굉장히 많이 나온다. 특히 노동자들이 많은 [[구로디지털단지]]가 있는데다 [[전라도|호남]] 주민 비중이 높은 구로3동은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지지율이 60~70% 정도가 나올 정도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 총선]] 때도 박영선이 구로3동에서만 무려 69.53%를 득표하면서 압승했다. 2016년에는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부정선거]] 의혹으로 [[구로구청 선거부정 항의 점거농성 사건|시민들에 의해 봉인당한]] 무효표 처리된 투표함을 열어서 개표해 본 사건이 있었는데 '''4325표 중 3133표가 [[노태우]]'''로 나와서 부정선거 의혹을 잠재우기는커녕 더 불타게 했던 적도 있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2180455|#]] 이미 30년 가까이 지난 시점이었던지라 진실은 저너머에..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자 || 당적 || 임기 || || 제13대 || [[유기수(1941)|유기수]]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 제14대[* 당시 명칭은 '구로구 병'.] || [[김병오(정치인)|김병오]]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2> 제15대 || ~~[[이신행]]~~ || [include(틀: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1998년 12월 22일 || || [[한광옥]]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9년 3월 31일 ~ 1999년 11월 24일 || ||<|2> 제16대 || ~~[[장영신]]~~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1년 7월 16일 || || [[이승철(1964)|이승철]]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001년 10월 26일 ~ 2004년 5월 29일 || || 제17대 || [[김한길]]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3> [[박영선]]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윤건영]] || 2020년 5월 30일 ~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구로구 병'''}}}}}}[br]{{{#ffffff ,,신도림동, 구로본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구로6동, 가리봉1동, 가리봉2동, 가리봉3동, 독산1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신행|{{{#373a3c,#dddddd 이신행}}}]](李信行) || 43,475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7.95% || 낙선 || ||<|2> {{{#ffffff {{{+5 '''2'''}}}}}} || '''[[김병오(정치인)|{{{#373a3c,#dddddd 김병오}}}]](金炳午)''' || '''50,709''' || '''1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44.27%'''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이홍배|{{{#373a3c,#dddddd 이홍배}}}]](李洪培) || 13,298 || 3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11.61% || 낙선 || ||<|2> {{{#ffffff {{{+5 '''4'''}}}}}} || 김경은(金景殷) || 3,367 || 5위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2.93% || 낙선 || ||<|2> {{{#ffffff {{{+5 '''5'''}}}}}} || 문순덕(文順德) || 3,685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2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9,467 ||<|3> '''투표율'''[br]68.40% || || '''투표 수''' || 115,919 || || '''무효표 수''' || 1,385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구로구 을'''}}}}}}[br]{{{#ffffff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구로6동, 구로본동, 가리봉1동, 가리봉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신행|{{{#373a3c,#dddddd 이신행}}}]](李信行)''' || '''34,512''' || '''1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45.04%''' || '''당선''' || ||<|2> {{{#ffffff {{{+5 '''2'''}}}}}} || [[김병오(정치인)|{{{#373a3c,#dddddd 김병오}}}]](金炳午) || 30,285 || 2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39.52% || 낙선 || ||<|2> {{{#ffffff {{{+5 '''3'''}}}}}} || [[이승철(1964)|{{{#373a3c,#dddddd 이승철}}}]](李承哲) || 6,070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7.92% || 낙선 || ||<|2> {{{#ffffff {{{+5 '''4'''}}}}}} || 이재실(李宰實) || 5,287 || 4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6.90% || 낙선 || ||<|2> {{{#ffffff {{{+5 '''5'''}}}}}} || 노만석(魯萬石) || 464 || 5위 || || [include(틀:무당파국민연합)] || 0.6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4,965 ||<|3> '''투표율'''[br]62.33% || || '''투표 수''' || 77,893 || || '''무효표 수''' || 1,275 || === [[1999년 재보궐선거]] === ||<-4> {{{#ffffff {{{+1 '''구로구 을'''}}}}}}[br]{{{#ffffff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구로6동, 구로본동, 가리봉1동, 가리봉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조은희(趙恩姬)[* 전 서초구청장이자 현 [[서초구 갑]] 국회의원 [[조은희]]와는 동명이인이다. [[이신행]] 의원의 아내.] || 20,495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39.43% || 낙선 || ||<|2> {{{#ffffff {{{+5 '''2'''}}}}}} || '''[[한광옥]](韓光玉)''' || '''27,826''' || '''1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53.53%''' || '''당선''' || ||<|2> {{{#ffffff {{{+5 '''4'''}}}}}} || [[최혁]](崔爀) || 2,163 || 3위 || || [include(틀:청년진보당)] || 4.16% || 낙선 || ||<|2> {{{#ffffff {{{+5 '''5'''}}}}}} || [[조평열]](曺平烈) || 1,495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8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8,734 ||<|3> '''투표율'''[br]40.81% || || '''투표 수''' || 52,540 || || '''무효표 수''' || 561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구로구 을'''}}}}}}[br]{{{#ffffff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구로6동, 구로본동, 가리봉1동, 가리봉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승철(1964)|{{{#373a3c,#dddddd 이승철}}}]](李承哲) || 29,813 || 2위 || || [[한나라당|[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1.57% || 낙선 || ||<|2> {{{#ffffff {{{+5 '''2'''}}}}}} || '''[[장영신|{{{#373a3c,#dddddd 장영신}}}]](張英信)''' || '''34,624''' || '''1위''' || || [[새천년민주당|[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8.28%''' || '''{{{#191919 당선}}}''' || ||<|2> {{{#ffffff {{{+5 '''3'''}}}}}} || [[이홍배|{{{#373a3c,#dddddd 이홍배}}}]](李洪培) || 3,158 || 3위 || || [[자유민주연합|[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4.40% || 낙선 || ||<|2> {{{#ffffff {{{+5 '''4'''}}}}}} || 김상태(金相泰) || 614 || 6위 || || [[민주국민당(2000년)|[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0.86% || 낙선 || ||<|2> {{{#ffffff {{{+5 '''5'''}}}}}} || 이화숙(李和숙) || 2,428 || 4위 || || [[사회당(1998년)|[include(틀:청년진보당)]]] || 3.39% || 낙선 || ||<|2> {{{#ffffff {{{+5 '''6'''}}}}}} || [[조평열]](曺平烈) || 1,083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5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5,033 ||<|3> '''투표율'''[br]53.59% || || '''투표 수''' || 72,369 || || '''무효표 수''' || 649 || === [[2001년 재보궐선거]] === ||<-4> {{{#ffffff {{{+1 '''구로구 을'''}}}}}}[br]{{{#ffffff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구로6동, 구로본동, 가리봉1동, 가리봉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승철(1964)|{{{#373a3c,#dddddd 이승철}}}]](李承哲)''' || '''27,06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9.42%''' || '''당선''' || ||<|2> {{{#ffffff {{{+5 '''2'''}}}}}} || [[김한길|{{{#373a3c,#dddddd 김한길}}}]](金한길) || 23,411 || 2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2.74% || 낙선 || ||<|2> {{{#ffffff {{{+5 '''3'''}}}}}} || [[이홍배|{{{#373a3c,#dddddd 이홍배}}}]](李洪培) || 725 || 5위 || || [[자유민주연합|[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32% || 낙선 || ||<|2> {{{#ffffff {{{+5 '''4'''}}}}}} || [[정종권]](丁鍾權) || 1,427 || 4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61% || 낙선 || ||<|2> {{{#ffffff {{{+5 '''5'''}}}}}} || 김향미 || 1,467 || 3위 || || [include(틀:사회당(1998년))] || 2.68% || 낙선 || ||<|2> {{{#ffffff {{{+5 '''6'''}}}}}} || [[조평열]](曺平烈) || 671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2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0,493 ||<|3> '''투표율'''[br]39.37% || || '''투표 수''' || 55,314 || || '''무효표 수''' || 545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000000 {{{+1 '''구로구 을'''}}}}}}[br]{{{#000000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구로6동, 구로본동, 가리봉1동, 가리봉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승철(1964)|{{{#373a3c,#dddddd 이승철}}}]](李承哲) || 35,064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8.92% || 낙선 || ||<|2> {{{#000000 {{{+5 '''3'''}}}}}} || '''[[김한길|{{{#373a3c,#dddddd 김한길}}}]](金한길)''' || '''48,673''' || '''1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54.02%'''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조평열]](曺平烈) || 1,099 || 4위 || || [include(틀:한국기독당(2004년))] || 1.21% || 낙선 || ||<|2> {{{#ffffff {{{+5 '''5'''}}}}}} || [[정종권]](丁鍾權) || 5,252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5.8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2,680 ||<|3> '''투표율'''[br]63.87% || || '''투표 수''' || 91,137 || || '''무효표 수''' || 1,049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구로구 을'''}}}}}}[br]{{{#ffffff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br] 구로6동, 구로본동, 가리봉1동, 가리봉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영선|{{{#373a3c,#dddddd 박영선}}}]](朴映宣)''' || '''34,783''' || '''1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47.30%'''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고경화|{{{#373a3c,#dddddd 고경화}}}]](高京華) || 29,542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0.18% || 낙선 || ||<|2> {{{#ffffff {{{+5 '''3'''}}}}}} || 한형교(韓亨敎) || 1,983 || 5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2.69% || 낙선 || ||<|2> {{{#ffffff {{{+5 '''4'''}}}}}} || [[유선희]](柳仙姬) || 3,012 || 4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4.09% || 낙선 || ||<|2> {{{#ffffff {{{+5 '''6'''}}}}}} || [[조평열]](曺平烈) || 3,855 || 3위 || || [include(틀:친박연대(2008년))] || 5.24% || 낙선 || ||<|2> {{{#ffffff {{{+5 '''7'''}}}}}} || 정호윤(鄭琥潤) || 347 || 6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0.4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6,396 ||<|3> '''투표율'''[br]47.27% || || '''투표 수''' || 73,938 || || '''무효표 수''' || 416 || ||<-5> {{{#ffffff '''18대 총선 서울 구로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include(틀:한나라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영선|{{{#ffffff '''박영선'''}}}]] || [[고경화|{{{#ffffff 고경화}}}]]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34,783[br](47.30%)'''}}} || '''29,542[br](40.18%)''' || '''+ 5,241[br](△7.12)''' || '''73,938 [br] (47.27%)''' || || '''신도림동''' || 42.58% || {{{#0095da '''48.05%'''}}} || ▼5.47 || 53.62 || || '''구로1동''' || {{{#419639 47.22%}}} || 42.89% || △4.33 || 53.31 || || '''구로2동''' || {{{#419639 47.45%}}} || 37.14% || △10.31 || 40.32 || || '''구로3동''' || {{{#419639 52.74%}}} || 34.01% || △18.73 || 43.40 || || '''구로4동''' || {{{#419639 '''53.12%'''}}} || 32.14% || '''△20.98''' || 45.10 || || '''구로5동''' || {{{#419639 46.11%}}} || 40.70% || △5.41 || 47.05 || || '''구로6동''' || {{{#419639 49.69%}}} || 35.73% || △13.96 || 43.40 || || '''구로본동''' || {{{#419639 45.35%}}} || 41.58% || △3.77 || 43.77 || || '''가리봉제1동''' || {{{#419639 52.85%}}} || 34.89% || △17.96 || 39.89 || || '''가리봉제2동''' || {{{#419639 49.47%}}} || 36.18% || △13.29 || 36.56 || || '''후보''' || [[박영선|{{{#419639 '''박영선'''}}}]] || [[고경화|{{{#0095da 고경화}}}]] || 격차 || || || '''부재자투표''' || 40.80% || {{{#0095da 41.10%}}} || ▼'''0.30''' || || [[이명박 정부]] 출범 및 [[뉴타운]] 열풍이 한창 수도권을 강타하면서 여당 한나라당이 압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었고, 제1야당인 통합민주당은 대선 패배 후 여전히 사분오열해 있는 상황으로 한나라당은 구로구 을 지역구 역시 4년만에 탈환을 노리고 있었다. 거기다 민주당은 지역구 현역의원이었던 [[김한길]] 의원이 급작스러운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358920|정계 은퇴]]를 선언하면서 그나마 있던 현역 프리미엄까지 사라진 상황. 비록 [[민주당계 정당]]이 강세를 보이는 [[금관구]] 중 한군데이지만 이번에는 선거구 수성이 쉬운 상황은 아니었다. 여당 한나라당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초선을 지낸 [[고경화]] 의원을 [[전략공천]]하기로 했다.[[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689347|#]] 고경화 후보 본인 역시 [[제17대 대통령 선거|지난 대선]]에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압도적 지지를 보냈던 구로구의 민심을 바탕으로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고 희망섞인 반응을 내놨다. 반면 제1야당 통합민주당에서는 김한길의 불출마로 공석이 된 지역구에 고경화 후보와 마찬가지로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초선을 지낸 [[박영선]] 의원을 전략공천했다.[[http://mn.kbs.co.kr/news/view.do?ncd=1530805|#]] 이로서 이번 구로구 을 선거구에서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첫 임기를 지낸 두 여성 후보간의 맞대결이 벌어지게 됐다. 선거전은 두 후보의 혈전 구도로 흘러갔는데, 여론조사 별로 각각 엇갈리는 전망을 내놓으면서 승자를 점치기가 쉽지 않았다. 언론사에서도 구로구 을 선거구를 '초접전' 지역으로 분류했고 양측 관계자 역시 ‘자체 여론조사 결과 서로 앞서긴 하지만 팽팽한 접전을 벌이고 있다’며 속앓이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https://www.polinews.co.kr/mobile/article.html?no=32232|#]] 한나라당 고경화 후보는 [[뉴타운]]식 재개발, 구로 철도기지창 이전 등 지역의 숙원사업 해결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통합민주당 박영선 후보는 뉴타운식 개발 대신 문화와 환경을 고려한 종합개발을 내세웠다. 개표 결과, 통합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47.3%를 득표하며 한나라당 고경화 후보를 7.12%p 차이로 제치고 재선에 성공했다. 지난 대선 당시 [[BBK]] 저격수 역할을 맡으며 인지도면에서 월등히 앞섰던 박영선 후보를 공천한 당 지도부의 결정이 맞았던 셈. 결국 구로구 을은 이번 총선 서울 지역구에서 한나라당이 패한 8곳 선거구[* 구로구 을, [[광진구 을]], [[강북구 을]], [[은평구 갑]], [[은평구 을]], [[동작구 갑]], [[관악구 을]], [[송파구 병]]] 중 한 곳이 되었다. 박 당선자는 [[신도림동]]에서 석패했지만 다른 모든 동에서 앞서면서 생각보다 큰 차이로 승리를 거두는 데 성공했다. 고 후보 입장에서는 같은 보수 성향의 [[친박연대]]와 [[자유선진당]]에서 내세운 독자 후보들로 인해 표가 갈린 점이 아쉬웠을 것이다.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3AB34A {{{+1 '''구로구 을'''}}}}}}[br]{{{#3AB34A 가리봉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br]구로4동, 구로5동, 신도림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요식(姜堯植) || 31,063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5.05% || 낙선 || ||<|2> {{{#3AB34A {{{+5 '''2'''}}}}}} || '''[[박영선|{{{#373a3c,#dddddd 박영선}}}]](朴映宣)''' || '''54,902''' || '''1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61.94%''' || '''{{{#2d2f34 당선}}}''' || ||<|2> {{{#ffffff {{{+5 '''6'''}}}}}} || 심재옥(沈載玉) || 2,659 || 3위 || || [include(틀:진보신당)] || 3.0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9,988 ||<|3> '''투표율'''[br]55.72% || || '''투표 수''' || 89,139 || || '''무효표 수''' || 515 || ||<-5> {{{#3AB34A '''19대 총선 서울 구로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ffffff 강요식}}} || [[박영선|{{{#3AB34A '''박영선'''}}}]]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31,063[br](35.05%) || {{{#3AB34A '''54,902[br](61.94%)'''}}} || '''+ 23,839[br](△26.89)''' || '''89,139 [br] (55.72%)''' || || '''신도림동''' || '''39.46%''' || {{{#ffd400 57.75%}}} || △18.29 || 63.65 || || '''구로1동''' || 33.82% || {{{#ffd400 63.34%}}} || △29.52 || 61.67 || || '''구로2동''' || 38.32% || {{{#ffd400 58.87%}}} || △20.55 || 48.81 || || '''구로3동''' || 26.87% || {{{#ffd400 '''69.53%'''}}} || '''△42.66''' || 53.82 || || '''구로4동''' || 32.77% || {{{#ffd400 64.30%}}} || △31.53 || 52.15 || || '''구로5동''' || 36.18% || {{{#ffd400 60.76%}}} || △24.58 || 57.46 || || '''가리봉동''' || 35.42% || {{{#ffd400 62.34%}}} || △26.93 || 43.48 || || '''후보''' || {{{#c9252b 강요식}}} || [[박영선|{{{#ffd400 '''박영선'''}}}]] || 격차 || || || '''국외부재자투표''' || 29.96% || {{{#ffd400 '''65.76%'''}}} || '''△35.80''' || || || '''국내부재자투표''' || '''34.44%''' || {{{#ffd400 60.41%}}} || △25.98 ||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구로구 을|{{{#ffffff {{{+1 '''구로구 을'''}}}}}}]][br]{{{#ffffff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br]구로4동, 구로5동, 가리봉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요식]](姜堯植)[*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지선]] 구청장에도 나왔던 인사다. ~~그런데 또 떨어졌다...~~] || 29,407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1.51% || 낙선 || ||<|2> {{{#ffffff {{{+5 '''2'''}}}}}} || '''[[박영선|{{{#373a3c,#dddddd 박영선}}}]](朴映宣)''' || '''50,523'''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4.13%''' || '''{{{#1f2023 당선}}}''' || ||<|2> {{{#ffffff {{{+5 '''3'''}}}}}} || [[정찬택|{{{#373a3c,#dddddd 정찬택}}}]](鄭燦澤) || 11,777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2.61% || 낙선 || ||<|2> {{{#ffffff {{{+5 '''5'''}}}}}} || 김선경(金仙炅) || 1,617 || 4위 || || [include(틀:민중연합당)] || 1.7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4,871 ||<|3> '''투표율'''[br]61.01% || || '''투표 수''' || 94,487 || || '''무효표 수''' || 1,163 || ||<-6> {{{#fff '''20대 총선 서울 구로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ffffff 강요식}}} || [[박영선|{{{#fff '''박영선'''}}}]] || [[정찬택|{{{#fff 정찬택}}}]]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29,407[br](31.51%) || {{{#fff '''50,523[br](54.13%)'''}}} || 11,777[br](12.61%) || '''+ 21,116[br](△22.62)''' || '''94,487 [br] (61.01%)''' || || '''신도림동''' || 32.75% || {{{#004ea2 55.71%}}} || 10.23% || △22.95 || 67.59 || || '''구로1동''' || 29.02% || {{{#004ea2 58.34%}}} || 11.01% || △29.32 || 67.25 || || '''구로2동''' || '''38.87%''' || {{{#004ea2 46.88%}}} || 12.70% || △8.01 || 52.20 || || '''구로3동''' || 24.95% || {{{#004ea2 '''57.67%'''}}} || '''15.16%''' || '''△32.72''' || 59.73 || || '''구로4동''' || 32.33% || {{{#004ea2 51.12%}}} || 14.87% || △18.79 || 55.74 || || '''구로5동''' || 31.80% || {{{#004ea2 54.22%}}} || 12.10% || △22.41 || 60.05 || || '''가리봉동''' || 35.99% || {{{#004ea2 49.22%}}} || 13.18% || △13.23 || 45.41 || || '''후보''' || {{{#c9252b 강요식}}} || [[박영선|{{{#004ea2 '''박영선'''}}}]] || [[정찬택|{{{#006241 정찬택}}}]]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7.23%''' || {{{#004ea2 51.09%}}} || 10.22% || △13.87 || || || '''관외사전투표''' || 25.93% || {{{#004ea2 56.99%}}} || '''14.68%''' || △31.06 || || || '''국외부재자투표''' || 23.84% || {{{#004ea2 '''63.70%'''}}} || 9.96% || '''△39.86''' ||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구로구 을|{{{#ffffff {{{+1 '''구로구 을'''}}}}}}]][br]{{{#ffffff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br]구로5동, 신도림동, 가리봉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윤건영|{{{#373a3c,#dddddd 윤건영}}}]](尹健永)''' || '''56,065'''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7.04%''' || '''{{{#373a3c 당선}}}''' || ||<|2> {{{#ffffff {{{+5 '''2'''}}}}}} || [[김용태(1968)|{{{#373a3c,#dddddd 김용태}}}]](金容兌) || 37,018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37.66% || 낙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권영웅}}}(權寧雄) || 638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64% || 낙선 || ||<|2> {{{#ffffff {{{+5 '''8'''}}}}}} || {{{#373a3c,#dddddd 강요식}}}(姜堯植)[* 미래통합당 내 공천에 반발해 무소속 출마.] || 4,55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4.6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6,644 ||<|3> '''투표율'''[br]67.78% || || '''투표 수''' || 99,398 || || '''무효표 수''' || 1,119 || ||<-5> {{{#ffffff '''21대 총선 서울 구로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윤건영|{{{#ffffff '''윤건영'''}}}]] || [[김용태(1968)|{{{#ffffff 김용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56,065[br](57.04%)'''}}} || '''37,018[br](37.66%)''' || '''+ 19,047[br](△19.38)''' || '''99,398 [br] (67.78%)''' || || '''신도림동''' || {{{#004ea2 51.74%}}} || '''44.16%''' || △7.58 || 73.94 || || '''구로1동''' || {{{#004ea2 56.62%}}} || 37.69% || △18.93 || 73.81 || || '''구로2동''' || {{{#004ea2 54.47%}}} || 39.15% || △15.32 || 57.46 || || '''구로3동''' || {{{#004ea2 '''64.11%'''}}} || 30.54% || △'''33.57''' || 64.06 || || '''구로4동''' || {{{#004ea2 57.22%}}} || 36.99% || △20.23 || 61.26 || || '''구로5동''' || {{{#004ea2 56.55%}}} || 38.36% || △18.19 || 66.23 || || '''가리봉동''' || {{{#004ea2 54.29%}}} || 40.03% || △14.26 || 52.09 || || '''후보''' || [[윤건영|{{{#004ea2 '''윤건영'''}}}]] || [[김용태(1968)|{{{#ef426f 김용태}}}]]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0.94%}}} || 28.30% || △22.64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4.26%}}} || 30.41% || △33.85 || || ||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 '''70.67%'''}}} || 28.0% || △'''42.67''' || || 2019년 3월 박영선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장관]]에 내정되면서 차기 총선 불출마 의사를 밝혔다. 지역에서 인지도 있던 4선 의원의 빈자리가 어떻게 돌아갈지 향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지역정가와 각종 언론 기사에서는 나름의 지역연고가 있는 [[이철희(1964)|이철희]]와 [[양정철]]을 지목하고 있지만, 이 둘은 각자의 사정으로 고사하고 있다. 이철희 의원은 본인이 선출직보다는 전략기획형 임명직에 더 맞다면서 선거출마를 원하지 않고 있고,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은 자기 정치를 하러 온 게 아니라면서 출마를 부인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문재인 대통령 최측근 인사로 알려진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이 2020년 1월 6일 직에서 물러났는데, 여러 언론사에서 윤 실장의 이 지역 출마를 유력하게 보기 시작했다. 부산이나, 부천 출마 설도 있었지만 [[https://www.msn.com/ko-kr/news/national/%e6%96%87-%eb%b3%b5%ec%8b%ac-%ec%9c%a4%ea%b1%b4%ec%98%81-%ec%b4%9d%ec%84%a0-%ec%b6%9c%eb%a7%88%e2%80%a6%e9%9d%91-%eb%94%94%ec%a7%80%ed%84%b8%ed%98%81%ec%8b%a0%eb%b9%84%ec%84%9c%ea%b4%80-%ec%8b%a0%ec%84%a4-%ec%a2%85%ed%95%a9/ar-BBYEjHM|연합뉴스 200106]] 등의 기사로 보아 이 지역 출마가 확실시 되어 보인다. 그러나 [[양산시 을]] 출마를 결정한 [[김두관]] 의원의 [[북구·강서구 을|부산 북강서 을]] 지역구[* 현역 국회의원 [[김도읍]] 의원이 불출마 선언하였다. '''하지만...'''][* 2000년 [[16대 총선]]에서 [[노무현]]이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2012년 [[19대 총선]]에서 [[문성근]]이 [[민주통합당]] 후보로 출마했던 곳이기도 하다.] 러브콜로 PK를 지원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다. 결국 윤건영 전 실장이 본인 페이스북에 구로구 을 출마를 공식 선언했고, 2020년 2월 1일 현재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윤건영 전 실장, [[조규영]] 전 서울시의회 부의장 정도가 거론되고 있다. 결국 3월 1일 윤건영 전 실장이 전략공천되었다. [[미래통합당]]에서는 이 지역구에 2회(19, 20대) 출마했고 2018년 구로구청장 선거에 출마했던 [[강요식]]과 한때 이 지역구에서 새누리당 당협위원장을 지냈던 [[문헌일]]이 예비후보로 이름을 올렸으나 최종적으로는 현 지역구(서울 [[양천구 을|양천 을]]) 불출마를 선언했던 [[김용태(1968)|김용태]] 의원이 단수추천 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421&aid=0004479434|#]] 강요식 예비후보는 이를 사천(私薦)이라 반발하며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https://news.v.daum.net/v/20200224153415779|#]] [[홍준표]]가 미래통합당 공천 면접에서 이 지역구 출마를 강요당했다고 한다.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2883|#]] 이 선거구는 몇 차례 언급했듯 수도권 최강 수준의 진보 강세 지역구이므로 사실이라면 그냥 죽으라는 뜻이다. 한 마디로 [[19대 총선]] 때 '당세를 확장하기 위해 희생하라는 당의 명령으로 차출됐다'며 [[강남구 을]]에 [[민주통합당]]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한 [[정동영]]꼴이 났을 게 불 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홍준표와 정동영은 총선 직전 대선에서 빅텐트 정당 후보로 나와 대패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후 홍준표는 탈당 후 무소속으로 대구 [[수성구 을]]에서 당선되었다. 이후 [[국민의힘]]에 복당했다. 선거결과 윤건영 후보가 상대후보를 무려 20%, 약 2만 표 차로 따돌리며 당선되었다. 동별로는 모든 지역에서 윤건영 후보가 앞섰다. [[신도림역]] 역세권 지역이며 아파트단지가 밀집한 신도림동에서만 김용태 후보가 상대적으로 선전했을 뿐,[* 특히 신도림역 근처에 있는 대림4차아파트(신도림동 제8투표소)에서는 김용태 후보가 57.75%를 얻었다.] 구로1~5동과 가리봉동에서는 윤건영 후보가 압승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구로구 을'''}}}}}}[br]{{{#ffffff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신도림동, 가리봉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 === [[제18대 대통령 선거]] === ||<-3> [[구로구|{{{#3AB34A {{{+1 '''구로구'''}}}}}}]][br]{{{#3AB34A 구로구 일원}}}[*구로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가리봉동, 고척1동, 고척2동, 개봉1동, 개봉2동, 개봉3동, 오류1동, 오류2동, 수궁동, 항동]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 '''득표수''' ||<:> 123,106 ||<:> '''143,695''' || || '''득표율''' ||<:> 45.96% ||<:> '''53.65%'''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350,373 || || '''투표 수''' || 269,094 || || '''무효표 수''' || 1,272 || || '''투표율''' || 76.80% || ||<:><-5> {{{#3AB34A '''18대 대선 서울 구로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123,106 [br] (45.96%)''' ||<:> {{{#3AB34A '''143,695 [br] (53.65%)'''}}} ||<:> '''-20,589 [br] (▼7.69)''' ||<:> '''76.80%''' || || '''신도림동''' ||<:> 47.66% ||<:> {{{#ffd400 51.93%}}} ||<:> {{{#808080 ▼4.27}}} ||<:> 82.48 || || '''구로1동''' ||<:> 41.89% ||<:> {{{#ffd400 57.72%}}} ||<:> {{{#808080 ▼15.83}}} ||<:> 81.95 || || '''구로2동''' ||<:> 45.55% ||<:> {{{#ffd400 54.07%}}} ||<:> {{{#808080 ▼8.52}}} ||<:> 69.88 || || '''구로3동''' ||<:> 34.81% ||<:> {{{#ffd400 '''64.78%'''}}} ||<:> {{{#808080 ▼'''29.97'''}}} ||<:> 75.47 || || '''구로4동''' ||<:> 40.60% ||<:> {{{#ffd400 58.98%}}} ||<:> {{{#808080 ▼18.38}}} ||<:> 74.15 || || '''구로5동''' ||<:> 42.99% ||<:> {{{#ffd400 56.59%}}} ||<:> {{{#808080 ▼13.60}}} ||<:> 77.13 || || '''가리봉동''' ||<:> 48.13% ||<:> {{{#ffd400 51.52%}}} ||<:> {{{#808080 ▼3.39}}} ||<:> 63.21 || || '''고척1동''' ||<:> {{{#c01920 50.29%}}} ||<:> 49.42% ||<:> △0.87 ||<:> 77.13 || || '''고척2동''' ||<:> 47.54% ||<:> {{{#ffd400 52.08%}}} ||<:> {{{#808080 ▼4.54}}} ||<:> 76.36 || || '''개봉1동''' ||<:> 48.49% ||<:> {{{#ffd400 51.21%}}} ||<:> {{{#808080 ▼2.72}}} ||<:> 75.61 || || '''개봉2동''' ||<:> 46.81% ||<:> {{{#ffd400 52.83%}}} ||<:> {{{#808080 ▼6.02}}} ||<:> 80.28 || || '''개봉3동''' ||<:> 46.83% ||<:> {{{#ffd400 52.82%}}} ||<:> {{{#808080 ▼5.99}}} ||<:> 76.30 || || '''오류1동''' ||<:> {{{#c01920 50.30%}}} ||<:> 49.41% ||<:> △0.89 ||<:> 75.70 || || '''오류2동''' ||<:> 47.06% ||<:> {{{#ffd400 52.56%}}} ||<:> {{{#808080 ▼5.50}}} ||<:> 78.23 || || '''수궁동''' ||<:> {{{#c01920 '''51.63%'''}}} ||<:> 47.94% ||<:> △'''4.14''' ||<:> 77.52 || || '''후보''' ||<:> [[박근혜|{{{#c01920 '''박근혜'''}}}]] ||<:> [[문재인|{{{#ffd400 '''문재인'''}}}]] ||<:> 격차 ||<:> || || '''국외부재자투표''' ||<:> 38.81% ||<:> {{{#ffd400 '''60.89%'''}}} ||<:> {{{#808080 ▼'''22.08'''}}} ||<:> || || '''국내부재자투표''' ||<:> '''47.52%''' ||<:> {{{#ffd400 51.75%}}} ||<:> {{{#808080 ▼4.23}}} ||<:> || || '''국회의원 선거구''' ||<:> [[박근혜|{{{#c01920 '''박근혜'''}}}]] ||<:> [[문재인|{{{#ffd400 '''문재인'''}}}]] ||<:> 격차 ||<:> 투표율 || || [[구로구 을|{{{#3AB34A '''구로구 을'''}}}]][* 지역구 국회의원 : [[민주통합당]] [[박영선]]][* 관할 동 :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가리봉] ||<:> 43.01% ||<:> {{{#ffd400 '''56.59%'''}}} ||<:> {{{#808080 ▼'''13.58'''}}} ||<:> 75.52 || === [[제19대 대통령 선거]] === ||<-6> [[구로구|{{{#ffffff {{{+1 '''구로구'''}}}}}}]][br]{{{#ffffff 구로구 일원}}}[*구로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가리봉동, 고척1동, 고척2동, 개봉1동, 개봉2동, 개봉3동, 오류1동, 오류2동, 수궁동, 항동]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 '''득표수''' ||<:> '''121,077''' ||<:> 59,194 ||<:> 61,734 ||<:> 17,147 ||<:> 17,437 || || '''득표율''' ||<:> '''43.59%''' ||<:> 21.31% ||<:> 22.22% ||<:> 6.17% ||<:> 6.27% || || '''순위''' ||<:> '''1위''' ||<:> 3위 ||<:> 2위 ||<:> 5위 ||<:> 4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350,524 || ||<-3> '''투표 수''' ||<-2> 278,805 || ||<-3> '''무효표 수''' ||<-2> 1,091 || ||<-3> '''투표율''' ||<-2> 79.54% || ||<:><-8> {{{#FFFFFF '''19대 대선 서울 구로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21,077 [br] (43.59%)'''}}} ||<:> '''59,194 [br] (21.31%)''' ||<:> '''61,734 [br] (22.22%)''' ||<:> '''17,147 [br] (6.17%)''' ||<:> '''17,437 [br] (6.27%)''' ||<:> '''+59,343 [br] (△21.37)''' ||<:> '''79.54%''' || || '''신도림동''' ||<:> {{{#004ea2 43.26%}}} ||<:> 19.90% ||<:> 22.78% ||<:> '''7.84%''' ||<:> 5.90% ||<:> △20.48 ||<:> 84.67 || || '''구로1동''' ||<:> {{{#004ea2 46.32%}}} ||<:> 18.04% ||<:> 21.20% ||<:> 7.39% ||<:> 6.72% ||<:> △25.12 ||<:> 84.20 || || '''구로2동''' ||<:> {{{#004ea2 42.57%}}} ||<:> 23.74% ||<:> 23.30% ||<:> 4.70% ||<:> 5.28% ||<:> △19.27 ||<:> 69.42 || || '''구로3동''' ||<:> {{{#004ea2 '''51.01%'''}}} ||<:> 14.46% ||<:> 20.89% ||<:> 6.45% ||<:> '''6.82%''' ||<:> △'''30.12''' ||<:> 77.98 || || '''구로4동''' ||<:> {{{#004ea2 43.77%}}} ||<:> 19.72% ||<:> '''25.12%''' ||<:> 5.26% ||<:> 5.62% ||<:>△18.65 ||<:> 72.89 || || '''구로5동''' ||<:> {{{#004ea2 45.20%}}} ||<:> 19.64% ||<:> 21.93% ||<:> 6.50% ||<:> 6.36% ||<:> △23.27 ||<:> 78.79 || || '''가리봉동''' ||<:> {{{#004ea2 44.96%}}} ||<:> 21.49% ||<:> 24.49% ||<:> 4.02% ||<:> 4.20% ||<:> △20.47 ||<:> 59.90 || || '''고척1동''' ||<:> {{{#004ea2 40.38%}}} ||<:> 23.23% ||<:> 23.29% ||<:> 6.48% ||<:> 6.21% ||<:> △17.09 ||<:> 79.06 || || '''고척2동''' ||<:> {{{#004ea2 40.60%}}} ||<:> 22.87% ||<:> 23.60% ||<:> 6.36% ||<:> 6.23% ||<:> △17.0 ||<:> 76.07 || || '''개봉1동''' ||<:> {{{#004ea2 39.97%}}} ||<:> 24.53% ||<:> 23.57% ||<:> 5.77% ||<:> 5.78% ||<:> △16.40 ||<:> 75.13 || || '''개봉2동''' ||<:> {{{#004ea2 42.72%}}} ||<:> 22.57% ||<:> 22.59% ||<:> 5.98% ||<:> 5.80% ||<:> △20.13 ||<:> 80.65 || || '''개봉3동''' ||<:> {{{#004ea2 42.16%}}} ||<:> 21.61% ||<:> 24.52% ||<:> 5.57% ||<:> 5.80% ||<:> △17.61 ||<:> 75.72 || || '''오류1동''' ||<:> {{{#004ea2 39.98%}}} ||<:> 26.52% ||<:> 20.70% ||<:> 5.72% ||<:> 6.66% ||<:> △19.28 ||<:> 77.51 || || '''오류2동''' ||<:> {{{#004ea2 42.38%}}} ||<:> 23.90% ||<:> 21.66% ||<:> 5.45% ||<:> 6.21% ||<:> △20.72 ||<:> 79.42 || || '''수궁동''' ||<:> {{{#004ea2 37.65%}}} ||<:> '''31.20%''' ||<:> 19.51% ||<:> 5.48% ||<:> 5.75% ||<:> △12.14 ||<:> 78.89 || || '''후보''' ||<:> [[문재인|{{{#004ea2 '''문재인'''}}}]] ||<:> [[홍준표|{{{#C9151E '''홍준표'''}}}]] ||<:> [[안철수|{{{#006241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CC00 '''심상정'''}}}]]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004ea2 35.79%}}} ||<:> '''18.34%''' ||<:> '''33.41%''' ||<:> 6.51% ||<:> 3.25% ||<:> △2.38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49.06%}}} ||<:> 14.76% ||<:> 20.54% ||<:> '''7.20%''' ||<:> 7.94% ||<:> △28.52 ||<:> || || '''재외투표''' ||<:> {{{#004ea2 '''61.38%'''}}} ||<:> 8.37% ||<:> 14.81% ||<:> 4.25% ||<:> '''10.64%''' ||<:> △'''46.52''' ||<:> || || '''국회의원 선거구''' ||<:> [[문재인|{{{#004ea2 '''문재인'''}}}]] ||<:> [[홍준표|{{{#C9151E '''홍준표'''}}}]] ||<:> [[안철수|{{{#006241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CC00 '''심상정'''}}}]] || 격차 || 투표율 || || {{{#ffffff '''구로구 을'''}}}[*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관할 동 :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가리봉동] ||<:> {{{#004ea2 '''45.23%'''}}} ||<:> 19.39% ||<:> 22.59% ||<:> 6.36% ||<:> 6.02% ||<:> △22.64 ||<:> 77.02% || === [[제20대 대통령 선거]] === ||<-3> [[구로구|{{{#ffffff {{{+1 '''구로구'''}}}}}}]][br]{{{#ffffff 구로구 일원[*구로]}}}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 '''득표수''' || '''133,027''' || 127,129 || || '''득표율''' || '''49.19%''' || 47.01% || || '''순위''' || '''1위''' || 2위 || ||<|5> '''계''' || || '''선거인 수''' || 348,156 || || '''투표 수''' || 272,920 || || '''무효표 수''' || 2,525 || || '''투표율''' || 78.39% || ||<:><-5> {{{#FFFFFF '''20대 대선 서울 구로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33,027 [br] (49.19%)'''}}} ||<:> '''127,129 [br] (47.01%)''' ||<:> '''+5,898 [br] (△2.18)''' ||<:> '''78.39%''' || || '''신도림동''' ||<:> 42.84% ||<:> {{{#E61E2B '''53.75%'''}}} ||<:> {{{#808080 ▼'''10.91'''}}} ||<:> 81.42 || || '''구로1동''' ||<:> {{{#004ea2 49.36%}}} ||<:> 47.11% ||<:> △2.25 ||<:> 81.12 || || '''구로2동''' ||<:> {{{#004ea2 50.93%}}} ||<:> 45.96% ||<:> △4.97 ||<:> 68.95 || || '''구로3동''' ||<:> {{{#004ea2 '''54.16%'''}}} ||<:> 41.43% ||<:> △'''12.73''' ||<:> 73.98 || || '''구로4동''' ||<:> {{{#004ea2 52.50%}}} ||<:> 43.61% ||<:> △8.89 ||<:> 71.36 || || '''구로5동''' ||<:> {{{#004ea2 49.34%}}} ||<:> 46.85% ||<:> △2.49 ||<:> 77.44 || || '''가리봉동''' ||<:> {{{#004ea2 50.28%}}} ||<:> 46.07% ||<:> △4.21 ||<:> 64.70 || || '''고척1동''' ||<:> 46.90% ||<:> {{{#E61E2B 49.93%}}} ||<:> {{{#808080 ▼3.03}}} ||<:> 78.21 || || '''고척2동''' ||<:> {{{#004ea2 48.38%}}} ||<:> 48.0% ||<:> △0.38[* 단 '''58표''' 차이였다.] ||<:> 74.15 || || '''개봉1동''' ||<:> 47.86% ||<:> {{{#E61E2B 48.66%}}} ||<:> {{{#808080 ▼0.80}}} ||<:> 74.79 || || '''개봉2동''' ||<:> 47.0% ||<:> {{{#E61E2B 49.29%}}} ||<:> {{{#808080 ▼2.29}}} ||<:> 78.68 || || '''개봉3동''' ||<:> {{{#004ea2 51.12%}}} ||<:> 45.56% ||<:> △5.56 ||<:> 74.69 || || '''오류1동''' ||<:> 47.71% ||<:> {{{#E61E2B 47.88%}}} ||<:> {{{#808080 ▼0.17}}}[* 단 '''24표''' 차이였다.] ||<:> 75.29 || || '''오류2동''' ||<:> {{{#004ea2 49.42%}}} ||<:> 46.85% ||<:> △2.57 ||<:> 76.17 || || '''수궁동''' ||<:> 44.16% ||<:> {{{#E61E2B 52.26%}}} ||<:> {{{#808080 ▼8.10}}} ||<:> 76.67 || || '''항동''' ||<:> {{{#004ea2 52.57%}}} ||<:> 42.28% ||<:> △10.29 ||<:> 82.21 || || '''후보''' || [[이재명|{{{#004ea2 '''이재명'''}}}]] || [[윤석열|{{{#E61E2B '''윤석열'''}}}]]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42.66% ||<:> {{{#E61E2B '''49.42%'''}}} ||<:> {{{#808080 ▼'''6.76'''}}}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3.06%}}} ||<:> 42.67% ||<:> △10.39 ||<:> || || '''재외투표''' ||<:> {{{#004ea2 '''63.87%'''}}} ||<:> 32.65% ||<:> △'''31.22'''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구로구 을|{{{#004EA2 '''구로구 을'''[* 지역구 국회의원: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초선)]}}}]] || {{{#FFFFFF 49.18%}}} || 47.14% || △2.04 || 75.50 || == 역대 지방선거 결과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서울특별시장]] 선거 ==== ||<-4> [[구로구|{{{#ffffff {{{+1 '''구로구'''}}}}}}]][br]{{{#ffffff 구로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 '''후보''' || [[박원순|{{{#ffffff '''박원순'''}}}]] || [[김문수|{{{#ffffff '''김문수'''}}}]] || [[안철수|{{{#ffffff '''안철수'''}}}]] || || '''득표수''' || '''113,799''' || 48,981 || 37,784 || || '''득표율''' || '''54.51%''' || 23.46% || 18.09% || || '''순위''' || '''1위''' || 2위 || 3위 || ||<|5> '''계''' || ||<-2> '''선거인 수''' || 351,457 || ||<-2> '''투표 수''' || 211,169 || ||<-2> '''무효표 수''' || 2,406 || ||<-2> '''투표율''' || 60.08% || ||<:><-6> {{{#FFFFFF '''7회 지선 서울 구로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원순|{{{#FFFFFF '''박원순'''}}}]] ||<:> [[김문수|{{{#FFFFFF '''김문수'''}}}]] ||<:> [[안철수|{{{#FFFFFF '''안철수'''}}}]]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13,799 [br] (54.51%)'''}}} ||<:> '''48,981 [br] (23.46%)''' ||<:> '''37,784 [br] (18.09%)''' ||<:> '''+64,818 [br] (△31.05)''' ||<:> '''60.08%''' || || '''신도림동''' ||<:> {{{#004ea2 51.08%}}} ||<:> 22.19% ||<:> '''22.91%''' ||<:> △28.17 ||<:> 65.88 || || '''구로1동''' ||<:> {{{#004ea2 56.27%}}} ||<:> 19.97% ||<:> 19.82% ||<:> △36.30 ||<:> 66.19 || || '''구로2동''' ||<:> {{{#004ea2 55.46%}}} ||<:> 25.02% ||<:> 16.47% ||<:> △30.44 ||<:> 46.13 || || '''구로3동''' ||<:> {{{#004ea2 '''63.41%'''}}} ||<:> 16.15% ||<:> 16.41% ||<:> △'''47.0''' ||<:> 57.22 || || '''구로4동''' ||<:> {{{#004ea2 57.02%}}} ||<:> 21.56% ||<:> 17.72% ||<:>△35.46 ||<:> 50.08 || || '''구로5동''' ||<:> {{{#004ea2 55.71%}}} ||<:> 20.72% ||<:> 19.54% ||<:> △34.99 ||<:> 56.89 || || '''가리봉동''' ||<:> {{{#004ea2 54.39%}}} ||<:> 25.07% ||<:> 16.41% ||<:> △29.32 ||<:> 36.30 || || '''고척1동''' ||<:> {{{#004ea2 52.50%}}} ||<:> 25.91% ||<:> 17.75% ||<:> △26.59 ||<:> 59.12 || || '''고척2동''' ||<:> {{{#004ea2 51.89%}}} ||<:> 25.10% ||<:> 18.96% ||<:> △26.79 ||<:> 56.81 || || '''개봉1동''' ||<:> {{{#004ea2 51.19%}}} ||<:> 26.38% ||<:> 18.62% ||<:> △24.81 ||<:> 56.23 || || '''개봉2동''' ||<:> {{{#004ea2 53.24%}}} ||<:> 24.70% ||<:> 18.75% ||<:> △28.54 ||<:> 62.94 || || '''개봉3동''' ||<:> {{{#004ea2 55.63%}}} ||<:> 24.21% ||<:> 16.80% ||<:> △31.42 ||<:> 55.54 || || '''오류1동''' ||<:> {{{#004ea2 52.14%}}} ||<:> 28.03% ||<:> 15.26% ||<:> △24.11 ||<:> 57.24 || || '''오류2동''' ||<:> {{{#004ea2 52.86%}}} ||<:> 26.15% ||<:> 16.77% ||<:> △26.71 ||<:> 60.62 || || '''수궁동''' ||<:> {{{#004ea2 47.12%}}} ||<:> '''34.29%''' ||<:> 14.91% ||<:> △12.83 ||<:> 61.93 || || '''후보''' ||<:> [[박원순|{{{#004ea2 '''박원순'''}}}]] ||<:> [[김문수|{{{#C9151E '''김문수'''}}}]] ||<:> [[안철수|{{{#00B4B4 '''안철수'''}}}]]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004ea2 41.57%}}} ||<:> 22.89% ||<:> 31.33% ||<:> △10.24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2.27%'''}}} ||<:> 14.97% ||<:> 17.94% ||<:> △'''44.30''' ||<:> || === [[2021년 재보궐선거]] === ==== [[서울특별시장]] 선거 ==== ||<-3> [[구로구|{{{#ffffff {{{+1 '''구로구'''}}}}}}]][br]{{{#ffffff 구로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박영선|{{{#ffffff '''박영선'''}}}]] || [[오세훈|{{{#ffffff '''오세훈'''}}}]] || || '''득표수''' || 89,385 || '''108,763''' || || '''득표율''' || 43.73% || '''53.21%'''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356,799 || || '''투표 수''' || 205,837 || || '''무효표 수''' || 1,463 || || '''투표율''' || 57.69% || ||<:><-5> {{{#FFFFFF '''2021년 재보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서울 구로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영선|{{{#FFFFFF '''박영선'''}}}]] ||<:> [[오세훈|{{{#FFFFFF '''오세훈'''}}}]]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89,385 [br] (43.73%)''' ||<:> {{{#FFFFFF '''108,763 [br] (53.21%)'''}}} ||<:> '''-19,378 [br] (▼9.48)''' ||<:> '''57.69%''' || || '''신도림동''' ||<:> 39.04% ||<:> {{{#E61E2B 58.57%}}} ||<:> ▼19.53 ||<:> 65.47 || || '''구로1동''' ||<:> 43.45% ||<:> {{{#E61E2B 53.59%}}} ||<:> ▼10.14 ||<:> 63.03 || || '''구로2동''' ||<:> 46.03% ||<:> {{{#E61E2B 51.29%}}} ||<:> ▼5.26 ||<:> 46.89 || || '''구로3동''' ||<:> {{{#004EA2 '''52.21%'''}}} ||<:> 44.40% ||<:> {{{#808080 △'''7.81'''}}} ||<:> 52.47 || || '''구로4동''' ||<:> 47.06% ||<:> {{{#E61E2B 49.90%}}} ||<:> ▼2.84 ||<:> 50.87 || || '''구로5동''' ||<:> 44.29% ||<:> {{{#E61E2B 52.66%}}} ||<:> ▼8.37 ||<:> 55.83 || || '''가리봉동''' ||<:> 46.32% ||<:> {{{#E61E2B 50.74%}}} ||<:> ▼4.42 ||<:> 40.91 || || '''고척1동''' ||<:> 41.25% ||<:> {{{#E61E2B 55.94%}}} ||<:> ▼14.69 ||<:> 58.76 || || '''고척2동''' ||<:> 43.09% ||<:> {{{#E61E2B 53.87%}}} ||<:> ▼10.78 ||<:> 55.27 || || '''개봉1동''' ||<:> 41.70% ||<:> {{{#E61E2B 55.57%}}} ||<:> ▼13.87 ||<:> 54.40 || || '''개봉2동''' ||<:> 42.75% ||<:> {{{#E61E2B 54.39%}}} ||<:> ▼11.64 ||<:> 60.89 || || '''개봉3동''' ||<:> 44.83% ||<:> {{{#E61E2B 52.78%}}} ||<:> ▼7.95 ||<:> 54.11 || || '''오류1동''' ||<:> 41.42% ||<:> {{{#E61E2B 54.99%}}} ||<:> ▼13.57 ||<:> 54.0 || || '''오류2동''' ||<:> 43.98% ||<:> {{{#E61E2B 52.95%}}} ||<:> ▼8.97 ||<:> 57.84 || || '''수궁동''' ||<:> 38.29% ||<:> {{{#E61E2B '''58.85%'''}}} ||<:> ▼'''20.56''' ||<:> 57.92 || || '''항동''' ||<:> {{{#004EA2 48.89%}}} ||<:> 47.65% ||<:> {{{#808080 △1.24}}} ||<:> 62.72 || || '''후보''' ||<:> [[박영선|{{{#004EA2 '''박영선'''}}}]] ||<:> [[오세훈|{{{#E61E2B '''오세훈'''}}}]]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34.65% ||<:> {{{#E61E2B 55.48%}}} ||<:> ▼'''20.83'''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0.51%'''}}} ||<:> 45.49% ||<:> {{{#808080 △'''5.02'''}}} ||<:> || 더불어민주당의 [[박영선]] 후보에게는 자신이 3선 지역구 의원을 지낸 곳에서도 10%p에 가까운 차이로 패하면서 타격이 컸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도 구로3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크게 패했고 수궁동에서는 21%p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구로구 역시 [[박원순]] 시정 10년간 재개발이 억제되면서 쌓였던 불만이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부동산 투기 사건|LH 사태]]로 인해 크게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 [[구로구]]를 비롯해 서울 내에서 오랫동안 민주당의 든든한 지지기반이 되어준 [[금천구]], [[관악구]] 역시 이번엔 국민의힘 오세훈 당선자의 손을 들어주면서 향후 서울특별시에서 민주당의 선거 전망까지 덩달아 크게 어두워졌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서울특별시의 정치]][[분류:구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