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 히로시마현의 시, rd1=구레시, other2=경기도 김포시의 동, rd2=구래동 )] [include(틀:전라남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구례군의 읍면)] ||<-4> '''[[파일:전라남도 휘장.svg|height=15]] [[전라남도|{{{#000,#ddd 전라남도}}}]]의 [[자치군|{{{#000,#ddd 자치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구례군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구례군}}}'''[br]求禮郡[br]{{{-1 Gurye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구례군,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구례읍 봉성로 1 (봉남리) || ||<-2> '''광역자치단체''' ||<-2> [[전라남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7[[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443.24㎢ || ||<-2> '''인구''' ||<-2> 24,359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 ||<-2> '''인구밀도''' ||<-2> 55.02명/㎢ || ||<-2> '''군수'''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순호]] ,,(재선),, || ||<|2><-2> '''군의회'''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4석[* 구례군 가 선거구 장길선, 유시문 의원, 구례군 나 선거구 김수철 의원, 구례군 비례대표 문승옥 의원.]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3석[* 구례군 가 선거구 선상원 의원, 구례군 나 선거구 이창호, 양준식 의원.] || ||<-2> [[전라남도의회|{{{#fff '''도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현창]][* 구례군 선거구.]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서동용]][* 갑 선거구는 순천시 일부(해룡면 제외)로만 이루어져 있다.][br]{{{#!wiki style="margin: 0 -10px; letter-spacing: -1px; font-size: 12px"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순천·광양·곡성·구례 을]] / 초선)}}} || ||<|3> '''상징''' || '''군화''' ||<-2> [[철쭉]] || || '''군목''' ||<-2> [[산수유]] || || '''군조''' ||<-2> [[산비둘기]] || ||<-2> '''지역번호''' ||<-2> '''061''' || ||<-2> '''홈페이지''' ||<-2> [[http://www.gurye.go.kr/kr|www.gurye.go.kr]] || ||<-2> '''SNS''' ||<-2> [[https://story.kakao.com/ch/gurye|[[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guryestory|[[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Roadtonatur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gurye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uryestory, 크기=20)] | [[https://www.youtube.com/@gurye_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gurye.go.kr/gm1_199_img15.gif|width=80%]]}}} || || {{{#fff '''슬로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례1.jpg|width=80%]][br][[파일:구례2.jpg|width=80%]]}}} || || {{{#fff '''마스코트 산유, 수유, 반이, 달이'''}}}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례군청.jpg|width=100%]]}}} || || {{{#fff '''구례군청[br]{{{-2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봉성로 1}}}'''}}} ||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지리산]]과 [[백운산]] 사이에 있어, 구례군은 [[인구#s-1]]가 2만 4천명 가량으로 [[전라남도]]에서 제일 적으며 그마저도 구례읍에 1만 명 내외의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북쪽으로 [[전라북도]] [[남원시]], 남쪽으로 [[광양시]], [[순천시]] 서쪽으로 [[곡성군]], 동쪽으로 [[경상남도]] [[하동군]]과 접한다. == 역사 == [[백제]] 시절에는 구차례현(仇次禮縣)이라고 불렸다. 그러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때 전국 지명 한화 정책에 따라 지금까지 사용하는 이름인 구례현으로 개칭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1895년 [[23부제]]가 시행되었을 때 남원부 구례군으로 개편했을 정도로 [[남원시|남원]]과 가깝다. 1년 뒤인 1896년에 전국을 13개의 [[도(행정구역)|도]]로 나눌 때 '''[[전라북도]]''' 구례군으로 개편했다. 1906년 남원군에서 고달면 등을 편입하였다. 1914년 [[전라북도]]에서 [[전라남도]]로 이관되었고 고달면이 [[곡성군]]에 편입되었다. 1946년 간문면을 간전면과 문척면으로 분리하였다. 이곳도 [[순천시]]나 [[벌교읍]]처럼 특이한 사례가 하나 있다. 그 사례 중에 하나가 세무서는 순천세무서 관할인데 고용지원은 광주고용센터 관할이다. === 인구 === || [[파일:구례군 CI.svg|width=50]] '''{{{#000 구례군}}}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78.34%,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78,3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75.07%,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75,0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68.69%,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68,6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57.96%,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57,9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49.50%,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49,4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41.39%,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41,3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36.43%,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36,4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33.59%,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3,58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29.58%,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9,5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27.3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7,3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27.31%,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7,3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25.72%,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5,7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24.4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4,359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100%, #888 0%, #888 100%, #AAA 0%)" {{{#fff 구례읍 10,3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28.67%, #888 0%, #888 100%, #AAA 0%)" {{{#fff 산동면 2,8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25.07%, #888 0%, #888 100%, #AAA 0%)" {{{#fff 마산면 2,5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24.66%, #888 0%, #888 100%, #AAA 0%)" {{{#fff 토지면 2,4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21.66%, #888 0%, #888 100%, #AAA 0%)" {{{#fff 광의면 2,1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14.23%, #888 0%, #888 100%, #AAA 0%)" {{{#fff 간전면 1,42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13.55%, #888 0%, #888 100%, #AAA 0%)" {{{#fff 용방면 1,3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50a1 12.73%, #888 0%, #888 100%, #AAA 0%)" {{{#fff 문척면 1,273명}}}}}} || || {{{-2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 || == [[구례군/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례군/교통)] == 경제 == 전형적인 농업지역이며, 지리산을 끼고 있어 임산물이 풍부한 편이다. [[지리산]] 관광객 및 등반객들을 대상으로 한 관광업은 생각보다 발달하지 못한 상황인데, 이는 연계 교통수단이 빈약한 측면도 있다.[* 성삼재 - [[노고단]] - 반야봉의 경우, 성삼재는 대중교통이 1일 5회 밖에 안된다.] === 금융 === ||<-4> '''{{{#ffffff 구례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 || ||<-4> '''{{{#1d1e23 제1금융권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 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fff '''구례우체국 (8)'''}}}]] || ||<-4> '''{{{#1d1e23 특수은행 }}}'''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2)'''}}}]]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 수를 뜻함.]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2> [[농협|{{{#fcaf16 '''구례농협 (7)'''}}}]] ||<-2> [[농협|{{{#fcaf16 '''산동농협 (1)'''}}}]] || ||<-4> '''{{{#ffffff 새마을금고 }}}''' || ||<-2> [[새마을금고|{{{#afeeee '''구례새마을금고 (2)'''}}}]] ||<-2> [[새마을금고|{{{#afeeee '''봉성새마을금고 (4)'''}}}]] || == 관광 == 전통 문화재에 있어서는 중요한 곳으로, 국내 사찰 중 가장 웅장한 규모의 건축물 중 1곳인 [[구례 화엄사 각황전|각황전]]과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가장 큰 석등]]을 가지고 있는 [[화엄사]]가 구례에 있다.[* 화엄사에도 노고단으로 향하는 등산로가 있지만, 성삼재에 비해서 훨씬 더 험하다. 화엄사로 들어갈 때는 입장료를 받았으나,2023년 5월부터 입장료 징수가 폐지되었다. 한편, 화엄사는 [[18번 국도]]의 종점이기도 하다.] 또한 고택 쌍산재와 양반 가옥의 한 전형으로 평가받는 운조루가 있다. 운조루에 가면 1층 높이의 2층 한옥을 볼 수 있다. 다만 운조루는 요즘 관리를 안하는 모양. 이 외에도 소소한 절들과 볼거리가 있다. 또한 [[지리산]] [[노고단]]을 등산하려는 사람들도 구례를 많이 찾는다. 노고단은 주로 성삼재를 통해서 자주 찾지만 성삼재로 향하는 교통 수단은 빈약한 편이다. 2013년 [[생활협동조합]]인 [[아이쿱 자연드림]]의 공장이 생기면서 이 곳을 견학하기 위한 사람들도 늘어났다. 이 아이쿱 자연드림 공장은 갖가지 친환경 먹거리를 생산하는 시설인데 일반 기업의 공장과 달리 전 생산 과정의 견학이 가능하여 안전한 먹거리를 선호하는 도시 지역 사람들의 발길이 계속 이어질 뿐더러 이익을 지역민에게 환원한다는 모토로 구례 유일의 멀티플렉스 [[극장]] 등[* 상영관은 2개 뿐이지만 [[3차원|3D]] 상영관도 있으며, 가격도 저렴하고 영화 상영전 광고도 없어 [[남원시]] 등 인근 시 지역에서도 영화를 보러 이곳으로 오는 경우도 있다.] 문화시설도 지역민에게 제공하였기 때문에 문화시설과는 거리가 멀었던 구례군민들에게 단순한 공장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식사와 반주 그리고 문화생활까지 반경 1키로미터 안에서 모두 해결이 가능하니 평소에 영화를 즐겨보지 않던 5-60대 어르신들이 계모임 장소를 자연드림으로 정하는 횟수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른 곳보다 급여도 높고 여러가지 편의시설도 제공하기 때문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의 제과제빵학과 졸업생 상당 수도 타 지역으로 유출되지 않고 이 곳에 취업하였다.] 2015년부터 아이쿱 자연드림 공장의 자연드림파크에서 '견우직녀 락페스티벌'이 열리고 있다. 입장료는 3만원이며 1인 1매에 한해 구례군민은 50% 할인해준다. 2015년엔 워킹애프터유, 몽키비츠, [[노브레인]], 로맨틱펀치, [[데이브레이크]], [[국카스텐]], [[장기하와 얼굴들]] 등이 참여했다. 2016년 행사에는 [[김창완 밴드]], [[장미여관]], [[YB]], [[크라잉넛]], [[레이지본]], [[트랜스픽션]], 스토리셀러, 여우별밴드 등이 참여했으며 약 7천여명의 관객이 다녀갔다고 한다. 2014년부터 아이언맨 70.3 구례 코리아가 열리고 있다. 수영 1.9km 사이클 90.1km 마라톤 21.1km로 이루어진 철인3종경기로 세계철인3종경기회사인 WTC에서 승인한 국제대회다. 특히 2015년 대회는 전세계에서 열렸던 아이언맨 대회(91개)의 평균 만족도보다 높은 89%의 만족도를 기록, 아시아-태평양지역 21개 대회 중에서 시드니와 함께 공동2위에 오르는 등 호평을 받고 있다. 2016년 대회에는 전설적인 철인3종경기 선수 줄리 모스가 참여한다고 한다. === 특산품 === 이 지역에서 나는 [[밀]]이 베이킹 덕후들 사이에서 꽤나 유명한 편이며, [* 만화 [[식객(만화)|식객]]에서도 구례의 밀에 대해 나온 적이 있다.] 문척면 섬진강변을 따라 포도가 생산된다. 구례 아이들은 대부분 특산물을 [[오이]]라고 대답한다. 구례군청 홈페이지에는 산수유, 은어 등등 각종 특산물이 나열되어 있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구례 [[산수유]]가 등록되어 있다. * 쑥부쟁이 : 들녘에 자생하는 들국화의 일종으로 어린잎을 나물로 이용하며 체중감소효과가 탁월하여 다이어트식품으로 각광받음. * 우리밀 : 1990년대 초 사라져가는 우리밀을 되살리기 위해 국내 최초 우리밀 제분공장을 설립, 자연 그대로의 질 좋은 우리밀가루를 생산함. * 산수유 : 국가농업유산 제3호로 지정된 구례산수유는 전국 생산량의 67%를 차지하며 건피, 환, 엑기스, 차, 술 등 다양한 가공상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음. * 취청오이 : 전국적으로 최고의 맛(아삭한 식감)과 기술을 보유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최고의 시설오이임. * 고로쇠 약수 : 담백한 맛과 그윽한 향취로 아무리 마셔도 배탈이 나지 않으며, 인간의 건강유지에 필수 불가결한 영양소인 미네랄 성분과 에너지 공급원인 수액에는 SO4, K, Ca 등과 자당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 * 밤 : 구례는 77%가 산림지대로서 밤나무 최고 재배적지로 지리산 자락과 백운산 일대 대부분 지역에서 생산되며 9월에서 11월사이에 수확함. 밤 100g중에는 탄수화물이 34.5g, 단백질이 3.5g, 기타지방, 칼슘, 비타민(A, B, C)등도 듬뿍 들어있어 인체에 좋으며, 특히 밤에는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생밤을 술안주로 이용할 경우 비타민C가 알콜의 산화를 도와주는 것으로 밝혀졌음 * 송이버섯 : 맑고 깨끗한 지리산 자락의 소나무림에서 채취되는 송이버섯은 다른 지역에 비해 향기가 높고 육질이 두꺼우며 색깔이 선명하고 탄력이 좋으며 여러가지 한방적 효능을 지니고 있음. == 교육 == [include(틀:전라남도 구례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전라남도 구례군의 중학교)] [include(틀:전라남도 구례군의 고등학교)] 구례읍에 구례중앙초등학교, 구례북초등학교, 면 지역에는 기본적으로 1개교 이상 있는 편이다. 과거에는 곳곳에 초등학교가 여러 군데 있었지만, 상당수 통폐합되면서 현 상황까지 이르렀다. 그나마 구례읍의 초등학교 2곳이 학생 수가 그나마 많지만, 상당수 학교들이 학생 수가 적어 통폐합 대상에서 버티고 있는 중이다. 중학교는 구례읍에는 구례중학교(남중)과 구례여자중학교, 산동에 구례산동중학교, 토지에 구례동중학교, 용방에 구례북중학교가 있는데, 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읍에 있는 학교들을 제외하면 전부 50명 이하의 소규모 학교이다. 그렇다고 읍에 있는 학교들도 학생 수가 많은 편은 아니다. 고등학교는 [[구례고등학교]](일반계고)와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특성화고) 두 개가 있다. == 스포츠 == 여자 씨름의 발상지로 [[2011년]] [[9월 1일]]에 세계 최초로 여자 씨름단을 창단했다. 명칭은 구례군의 상징적인 동물 [[반달곰]]을 넣어 구례군 반달곰 씨름단이라 지었다. 창단 이후 각종 대회를 석권하며 여자 씨름의 최고 명문으로 자리잡았다. == [[구례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례군/정치)] == [[구례군/행정|하위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례군/행정)] == 기타 == 순천시에서 구례군으로 편입되고 싶어하는 동네도 있는데, 순천시 황전면의 일부 마을은 원래 구례읍내가 생활권인데 순천시 소속으로 되어서 가지는 불편이 더욱 많아 2000년대부터 언론에 소개된 적이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84377|2001년 기사]] 바로 [[구례구역]] 일대. 전라남도의 행정구역 개편이 언급될 때 순천시와의 통합 이야기가 마이너한 차원에서 나오고 있고, [[행정구역 개편/호남]] 문서에서도 서술되어 있을 정도로 언급된 적이 있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례군 청사는 새 건물처럼 보이지만 사실 기존에 있던 건물을 리모델링한 것이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21310131409074|#]] 참고. --[[순천시]] 시청보다 크다.-- == 출신 인물 == * [[고기봉]] * [[고재희]] - 바둑기사 * [[신정윤]] - 배우 * [[김강자]] * [[김보경(축구선수)|김보경]] - 축구 선수 * [[김수철(1969)]] * [[김순호]] - 현 구례군수 * [[김희중(경찰)|김희중]] - 행정안전부 경찰국장 * [[박영현]] - 야구 선수 * [[박인환(정치인)|박인환]] * [[박창순]] - [[EBS]] 방송프로듀서 * [[박천규]] * [[방인혁]] - [[대성마이맥]] 물리강사 * [[백동규(정치인)]] * [[서기동]] * [[소준열]] * [[유승철]] - 야구 선수 * [[이미지(배우)|이미지]] * [[이시영(시인)|이시영]] * [[이정옥(가수)|이정옥]] - [[한국]]의 [[가수]] * [[이현창]] * [[이희철(1960)|이희철]] - 전 국립생태원장 * [[전경태]] * [[현영민]] - 축구 선수 * [[황선자]] - 일명 빵상아줌마. [[1박 2일 시즌1]]에서 강호동이 빵상개그를 했는데, 마침 그 곳이 구례군이였다. --깨랑까랑.-- * [[황의성]] * [[인호(IN2IT)|인호]] - 그룹 [[IN2IT]] 멤버 [[분류:구례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