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라 추존 국왕)] ---- [include(틀:신라 왕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0%,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신라의 갈문왕[br]{{{+1 구도 갈문왕 | 仇道 葛文王}}}'''}}} || || '''본관''' ||[[경주 김씨]] || || '''휘''' ||구도(仇道) || || '''부친''' ||김욱보 || || '''배우자''' ||술례부인 박씨 || || '''가계''' ||아들 [[미추 이사금|김미추]], 김말구[br]딸 옥모부인 || || '''호칭''' ||'''구도 갈문왕(仇道 葛文王)''' || ||<-2> '''군사경력''' || || '''참전''' ||소문국 정복[br]모산성 전투[br]구양 전투[br]와산 전투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인 [[김알지]]의 5세손으로, 신라 최초의 김씨 국왕인 제13대 [[미추 이사금]]의 아버지. 그리고 [[조분 이사금]]의 외조부. 김구도, 혹은 구도 [[갈문왕]]. [[삼국사기]] 기록을 보면 신라 제8대 [[아달라 이사금]] 때 [[파진찬]]이 됐고 이때부터 커리어를 시작해 제9대 [[벌휴 이사금]] 때 장군으로 활약한 인물인데, 아무리 본인과 미추 이사금이 [[장수]]했다 해도 지나치게 미추 이사금의 재위기간과 시간차가 있는데 이는 삼국사기 백제본기 및 신라본기 특유의 기년 오류가 이유다. 신라본기 자체는 박석김 간의 복잡한 족보가 의외로 정확히 딱딱 맞아떨어져가며 교차검증되기에 실제로도 아버지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미추 이사금이 누나의 손녀와 혼인하게 되는 상황을 보면 미추 이사금과 김구도 부자 사이의 나이차는 역시 실제로도 상당했을 가능성 또한 높다고 하겠다.[* 사실 이 시기에 대부분의 가문의 세대차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아도 갈문왕]]-[[박제상]], [[석우로]]-[[흘해 이사금]], [[미추 이사금]]•김말구-[[내물 마립간]]•[[실성 마립간]] 등.] 옥모부인과 미추 이사금의 어머니는 다를 가능성이 높고, 옥모부인의 어머니는 구도와 거의 동년배이지만 미추 이사금의 어머니인 술례부인은 구도의 손녀뻘인 듯. 본인은 벌휴 이사금 때 [[백제]]와의 전투에서 활약했다. 185년에 [[군주]]에 임명돼 지금의 [[의성군]]으로 추정되는 소문국이라는 작은 나라를 정벌했고, 188년에 백제의 공격을 모산성에서 방어, 189년에는 백제군에게 반격해 격파했다. 그러나 190년에 백제의 기습공격에 패배해 부곡성주로 [[좌천]]됐다. 아들이라는 김미추가 먼 훗날 왕이 된 후 [[갈문왕]]으로 [[추증]]됐다. 구도의 딸은 [[조분 이사금]]의 [[왕비]] 옥모부인이 됐고, 구도의 아들들은 [[미추 이사금]]과 말구(末仇)인데 말구의 아들이 [[내물 마립간]]이다. 정작 본인은 신라왕에 오르진 못했지만 여러모로 김씨 왕계의 중요한 축이었던 인물. [[분류:갈문왕]][[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