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交]][[通]] / Transport '''교통'''이란, 사람 및 재화의 장소적 이동(수송, 전달)에 관련된 모든 행위 및 체계를 말한다. == 상세 == [[토지]]를 '''인체'''에 비유하면 세포이고 교통을 위한 교통로는 '''혈관'''이다. [[혈관]]에 [[혈액|피]]가 끊임없이 순환하여 영양분과 노폐물을 운반해야 하듯 토지에 교통로를 통해 물자, 인력 등의 이동을 지원하여야 한다. 교통이 없는 토지란 그저 [[황무지]]일 뿐이며, 아무런 쓸모가 없다. 땅이 있어봐야 갈 방법이 없는데[* 사람이 직접 등짐을 지고 갈 순 있지만 힘들고 매우 오래 걸린다.] 무슨 쓸모가 있나. 교통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배우는 학문으로 교통공학과 교통물류공학이 있다. == 정의 == 넓은 의미로의 교통은 경제적 방법에 의한 사람 및 재화의 장소적 이동, [[통신|의사(意事) 및 정보의 이동]], 사람들의 [[사회]]생활 및 상호관계까지도 의미한다.[* [[개신교]]의 [[사도신경]]에 나오는 "...성도가 서로 '교통'하는 것과..."의 '교통'이 이 의미. 새로운 번역에서는 "...성도의 '교제(交際)'와..."로 바뀌었다.][* 중국에서는 아직도 교통을 통신의 의미로 쓰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시가 [[상해교통대]]. 의역하자면 상하이 통신 대학이다.] 좁은 의미로의 교통은 사람 및 재화의 장소적 이동만을 가리킨다. == 역사 == 지구상에 인간이 생겨난 것과 궤를 같이한다. 인간이 정착생활을 영위하면서 토지를 개간하고, 물자를 생산하며, 잉여/부족생산물을 교역하기 위해 교통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처음에는 몸(과 가방)으로 전달하다가 [[수레]]가 생기면서 본격적인 교통로의 확장을 시작하였고, [[선박]]을 통해 [[바다]]를 개척할 수 있게 되고, [[비행기]]를 이용해 항공로도 개척할 수 있게 되었다. == 특징 == 교통의 발생원인은 경제학적인 측면에서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자원의 불균등한 분배이고 두 번째는 교통을 통해 얻는 효용이 교통의 비용(통행료, 시간 등)보다 크다는 것이다. 즉 출발지에는 없는 자원이 목적지에는 존재하고 그 자원으로 얻게 되는 효용은 교통에 소모되는 비용보다 클 때 교통이 발생된다고 보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해석에는 교통의 목적이 교통 행위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용에 있다고 보는 전제가 깔려 있기에 [[드라이브]] 같이 오락을 위한 교통시설 이용 행위 등은 교통으로 보지 않는다. 크게 여객과 화물로 나뉜다. 여객운송과 화물운송은 목적성은 비슷할지라도 서비스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난다. 여객운송은 객실 서비스가 필요하고 화물 운송에 비해 안전 규제도 더 강하며, 지연 등 시간적인 제한사항도 많다. == 관련 문서 == * [[교통 관련 정보]] * [[교통수단]] * [[대중교통]] * [[교통 체증]] * [[병목 현상]] * [[교통 동호인]] * [[대한민국/교통]] * [[자동차]] * [[자동차 관련 정보]] * [[버스]] * [[버스 관련 정보]] * [[트럭]] * [[트럭 관련 정보]] * [[택시]] * [[오토바이]] * [[오토바이 관련 정보]] * [[자전거]] * [[자전거 관련 정보]] * [[도로]] * [[도로 관련 정보]] * [[철도]] * [[철도 관련 정보]] * [[해운]] * [[선박 관련 정보]] * [[항공]] * [[항공기 관련 정보]] [[분류: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