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긴키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교토부 제6구}}}}}}'''[br]{{{-1 {{{#ffffff 京都府第6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Kyoto6.svg|width=100%]][br]}}}|| ||<-2><:>'''선거인 수'''||<-2><:>460,284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교토부]]|| ||<-2><:>'''하위 행정구역'''||<-2><:>[[우지시]], [[조요시]], [[야와타시]], [[쿄타나베시]], [[키즈가와시]], [[쿠세군]], [[츠즈키군]], [[소라쿠군]]|| ||<-2><:>'''이전 선거구'''||<-2><:>[[교토부 제2구(중선거구)|(구) 교토부 제2구]]|| ||<-2><:>'''국회의원'''||<:>[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야마노이 가즈노리]]|| [목차] [clearfix] == 개요 == [[교토부]]의 남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소속 [[야마노이 가즈노리]]. == 상세 == [[나라현 제1구]]와 비슷하게 [[교토시]]와 [[오사카시]]의 [[베드타운]]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으로, 큰 공장들이 밀집해 있고 [[도시샤대학]] 캠퍼스와 각종 연구 기관들도 밀집해 있어 노동자와 시내 통근자 등이 많이 거주하는 곳이다. 때문에 민주당, 사민당, 공산당 등 야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이다. 다만 녹차 밭[* 우지 차로 유명한 녹차 산지인 [[우지시]]가 이 선거구에 속한다.]이나 삼림 등 농촌도 어느 정도 혼재되어 있는 도농복합 선거구라서 자민당 등 보수 정당 지지세도 만만치 않은 경합 지역이다. 이러한 선거구 특성상 민주당 [[야마노이 가즈노리]] 의원이 매번 (제45회 총선 제외) 한자리수 퍼센트 차이로 1위로 당선되어 왔다. 제48회 총선때는 자민당 안도 히로시 의원이 불과 '''0.7%''' 차이로 선거구를 탈환했으나, 제49회 총선에서 야마노이 의원이 다시 승리했다. 여담으로 [[교토 애니메이션]] 본사, 그리고 [[우토로]] 마을이 이 선거구에 속하는 [[우지시]]에 위치한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교토부 제6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다마키 가즈야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히시다 요시아키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5> [[야마노이 가즈노리]] ||<|5>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안도 히로시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야마노이 가즈노리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교토부 제6구}}}}}}'''[br]{{{#fff 우지시, 조요시, 야와타시, 쿠세군, 츠즈키군, 소라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다마키 가즈야''' || '''73,583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32.35%'''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5]]]] || [[야마노이 가즈노리]] || 54,90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24.14% || 낙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시미즈 고이치로 || 53,253표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23.4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마다 요시유키 || 39,051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7.17% || 낙선 || ||<|2> [[신사회당|[[파일:신사회당로고.jpg|width=50]]]] || 소노다 유코 || 6,691표 || 5위 || || [include(틀:신사회당)] || 2.9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90,586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교토부 제6구}}}}}}'''[br]{{{#fff 우지시, 조요시, 야와타시, 쿠세군, 츠즈키군, 소라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히시다 요시아키''' || '''96,08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8.21%'''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다마키 가즈야 || 88,39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5.15%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하마다 요시유키 || 46,78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8.61% || 낙선 || ||<|2> [[자유당(일본 1998년)|[[파일:자유당.gif|width=50]]]] || 마츠무라 츠토무 || 15,136표 || 4위 || || [include(틀:자유당(일본 1998))] || 6.02% || 낙선 || ||<|2><#ffdf00> [[파일:덕주회.png|width=50]] || 요쓰이 다케시 || 5,056표 || 5위 || || [include(틀:자유연합)] || 5.2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2,825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교토부 제6구|{{{#fff 교토부 제6구}}}]]}}}'''[br]{{{#fff 우지시, 조요시, 야와타시, 교다나베시, 쿠세군, 츠즈키군, 소라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마노이 가즈노리]]''' || '''117,467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6.89%'''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히시다 요시아키 || 100,541표 || 2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40.14%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야구치 마사아키 || 32,49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9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2,473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교토부 제6구|{{{#fff 교토부 제6구}}}]]}}}'''[br]{{{#fff 우지시, 조요시, 야와타시, 교다나베시, 쿠세군, 츠즈키군, 소라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마노이 가즈노리]]''' || '''133,708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5.50%'''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이자와 교코 || 122,969표 || 2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41.85%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야구치 마사아키 || 37,18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6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2,473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교토부 제6구|{{{#fff 교토부 제6구}}}]]}}}'''[br]{{{#fff 우지시, 조요시, 야와타시, 교다나베시, 쿠세군, 츠즈키군, 소라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마노이 가즈노리]]''' || '''176,022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7.39%'''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이자와 교코{{{-2 [* 추천: [include(틀:공명당)]]}}} || 91,944표 || 2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29.98%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하마다 요시유키 || 32,32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54%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40]]]] || 기타가와 토모코 || 6,437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2.1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5,851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교토부 제6구|{{{#fff 교토부 제6구}}}]]}}}'''[br]{{{#fff 우지시, 조요시, 야와타시, 교다나베시, 쿠세군, 츠즈키군, 소라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마노이 가즈노리]]'''{{{-2 [* 추천: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 '''89,672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3.55%'''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안도 히로시{{{-2 [* 추천: [include(틀:공명당)]]}}} || 80,990표 || 2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 || 30.30% || 비례당선 || ||<|2>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구 일본 유신회 로고.png|width=50]]]] || 시미즈 고이치로 || 69,69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26.07%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가미죠 료이치 || 26,938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0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6,236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교토부 제6구|{{{#fff 교토부 제6구}}}]]}}}'''[br]{{{#fff 우지시, 교타나베시, 조요시, 야와타시, 기즈가와시, 쿠세군, 츠즈키군, 소라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마노이 가즈노리]]''' || '''102,030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4.27%''' || '''당선'''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3]]]] || 안도 히로시 || 94,736표 || 2위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공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1.11% || 비례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가미죠 료이치 || 33,69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4.6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31,295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D7003A> '''{{{+1 {{{#fff 교토부 제6구}}}}}}'''[br]{{{#fff 우지시, 교타나베시, 조요시, 야와타시, 기즈가와시, 쿠세군, 츠즈키군, 소라쿠군}}}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D7003A> '''{{{#fff 안도 히로시[br](安藤裕)}}}''' || '''[[자유민주당(일본)|{{{#D7003A 자유민주당}}}]]''' || '''101,977[br](43.0%)''' || '''1위''' || '''당선''' || [[공명당]] 추천 || ||<#046240> '''{{{#fff [[야마노이 가즈노리|{{{#fff 야마노이 가즈노리}}}]][br](山井和則)}}}'''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100,338[br](42.3%) || 2위 ||<#00ff00> ~~낙선~~[br]'''당선(석패율제)''' || || ||<#DB001C> {{{#fff 카미조 료이치[br](上條亮一)}}}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34,998[br](14.7%) || 3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237,313 ||<|2><-3> 투표율 52.50% || || 유권자 수 || 461,660 || 자민당 안도 히로시 후보가 현역 야마노이 의원을 0.7%p 차이로 꺾고 지역구에서 당선되면서, 14년 만에 자민당이 지역구를 탈환했다. 야마노이 의원은 석패율 비례대표로 구제되어 당선되었다. 공산당 후보의 출마로 인한 야권 표 분산이 야마노이 의원의 패배 원인이 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바로 옆의 [[나라현 제1구]]와 비슷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교토부 제6구|{{{#fff 교토부 제6구}}}]]}}}'''[br]{{{#fff 우지시, 교타나베시, 조요시, 야와타시, 기즈가와시, 쿠세군,[br]츠즈키군, 소라쿠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야마노이 가즈노리]]''' || '''116,111표'''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45.25%'''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시미즈 고이치로 || 82,004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31.96% || 낙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나카지마 히데키 || 58,48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22.7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6,602표 ||<|2> '''투표율'''[br]56.81% || || 선거인 수 || 460,284인 || || [youtube(Hgus69uqCYI)] || || 당선 후 환호하는 야마노이 가즈노리 진영 || 현역 자민당 안도 히로시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했다. 자민당 시미즈 고이치로 전 의원이 출마를 선언했다. 교토부의회 의원(4선)과 중의원의원(2선)을 지낸 베테랑이지만, 국회를 떠난지 오래 되었고 자민당과 유신회 사이를 왔다갔다 하면서 철새 이미지도 생겼다. 야권에서는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야마노이 가즈노리]] 의원이 공천을 받았다.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이 사실상 해체되자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을 거쳐 야권통합때 입헌민주당에 합류했으며, 이번에 8선과 지역구 탈환을 동시에 노린다. [[일본 공산당|공산당]]도 지난 총선과 달리 후보를 공천하지 않아 더 유리한 승부가 예상된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는 연료회사 사장인 나카지마 히데키 후보를 공천했다. 일본 유신회가 별도 후보를 공천함에 따라 이 지역구에서는 지난 총선과 달리 보수 분열 구도가 형성되었다. 투표 결과, 입헌민주당의 야마노이 가즈노리 후보가 45% 득표율로 자민당의 시미즈 고이치로 후보, 유신회 나카지마 히데키 후보를 누르고 승리해 지역구를 탈환했다. 지난 총선에서 호헌파 야권 분열로 석패했던 아쉬움을 이번에 보수 진영 분열을 통해 완벽하게 되갚은 셈. 이 지역구와 [[교토부 제4구|4구]]에서의 승리로 교토부에서 야권이 자민-공명 연합에 4:2로 오랜만에 앞서는 쾌거를 올렸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야마노이 가즈노리]] 의원이 별 일이 없다면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철새 이미지로 경쟁력이 좋지 못한 시미즈 전 의원을 강판시키고 교토부의원을 역임중인 소노사키 히로미치를 지부장으로 선임했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유신회]]에서는 저번 선거에 출마한 나카지마 히데키 후보가 다시 출마한다. [[나라현 제1구|나라 1구]]에서 석패율 당선된 마에카와 키요나리 의원의 사직으로 인해 비례대표 의원직을 승계받으며 현직 의원신분으로 차기 중의원 선거에 출마하게 된다.[* [[시가현 제3구|시가 3구]]에 출마해 나카지마보다 승계순위가 앞섰던 나오야마 히토시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벌금형을 선고받아 승계를 받지 못하였다.] [[일본공산당|공산당]]에서는 저저번 선거에 출마한 카미조 료이치 후보가 출마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교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