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도시철도)] [include(틀:일본의 공영교통)] [include(틀:케이한신의 대중교통)] ||<-2><:>{{{#ffffff '''{{{+1 [ruby(京都市営地下鉄, ruby=きょうとしえいちかてつ)]}}}'''[br]Kyoto Municipal Subway | 교토 시영 지하철}}}|| ||<-2><:>[[파일:교토시 교통국 로고.svg|width=150]]|| ||<:>'''지역'''||[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교토부]] [[교토시]], [[우지시]]|| ||<:>'''분류'''||공영 [[도시철도]] 체계|| ||<:>'''구성 노선'''||2개 노선 - [[파일:KTsub-K.svg|width=17]] [[교토 시영 지하철 카라스마선|카라스마선(烏丸線)]] - [[파일:KTsub-T.svg|width=17]]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도자이선(東西線)]]|| ||<:>'''역 수'''||32|| ||<:>'''총연장'''||31.2km|| ||<:>'''개통일'''||1981년 5월 29일|| ||<:>'''소유자'''||<|2>[[교토시 교통국|[[파일:Kyoto_TB.png|width=200]][br]{{{#205628 교토시 교통국}}}]]|| ||<:>'''운영자'''|| ||<:>[[파일:KTSub_routemap.png|width=100%]]|| ||<:>{{{#ffffff 전체 노선도}}}|| [목차] [clearfix] == 개요 == [[교토시 교통국]]에서 운영하는 [[교토시]]와 [[우지시]]를 운행 구역으로 하는 지하철 노선이다. 관광객에게는 같은 교통국에서 운영하는 시내버스에 비해서 존재감이 별로 없는 편이다. 하지만 여행에 있어 아주 쓸모없지는 않다.[* [[교토역]]에서 [[니조성]], [[교토고쇼]], [[헤이안 신궁]], 니시키 시장, [[텐진가와역]]에서 [[란덴]]과의 환승으로 갈 수 있는 [[아라시야마]] 지역이나 [[도자이선]]~[[케이한]] [[케이신선]] 직통으로 갈 수 있는 [[비와호]]까지, 찾아보면 연선 관광지가 꽤 있는 편이다.] [[2014년]] [[12월 24일]]부터 간사이 지역 사철 IC 카드인 [[PiTaPa]] 호환을 개시했다. 1일 무제한 패스를 발급하고 있으며 가격은 600엔이다. 근데 [[스룻토 간사이 패스]]에 가려져 있고, 지하철로 갈 수 있는 관광지가 적어서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 심지어 [[http://www.city.kyoto.jp/koho/kor/access/transport.html|교토시 교통안내 한국어 페이지]]에도 설명이 없다.[* [[https://www.facebook.com/kikaku.j/photos/a.503466836426941.1073741827.502494283190863/640704072703216/?type=1|홍보일러스트]] from [[https://www.facebook.com/kikaku.j|Facebook 太秦萌 (Uzumasa moe)]]] 천년도시 교토답게 지하철 [[로마 지하철|공사하려 땅 좀 파면 유물이 쏟아져나오는 통에]] 지하철 공사가 연기되고 비용도 많이 든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 [[삿포로 시영 지하철|삿포로]]와 함께 기본요금이 가장 비싼 지하철인데, 이용객이 적어서[* 카라스마선이 그나마 수요가 좀 있는데 도자이선은 장사가 정말 안된다.] 경영상태는 별로 좋지 못하다. 연간 1조원 이상 적자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XsUx-PC5QCE|#]] 도자이선과 카라스마선이 서로 같은 교통국에서 담당하는데도 서로 느낌이 다르다. 역명판의 디자인과 표기법 부터 역 방송 방법까지 전부 다르다. == 구성 노선 == ||<:>{{{#ffffff 기호}}}||<:>{{{#ffffff 노선명}}}||<:>{{{#ffffff 노선 색상[* 교통국의 [[https://www.city.kyoto.lg.jp/kotsu/cmsfiles/contents/0000008/8995/JPN.pdf|공식 노선도]]를 근거로 함]}}}||<:>{{{#ffffff 구간}}}||<:>{{{#ffffff 타노선 직통운전}}}|| ||<:>[[파일:KTsub-K.svg|width=50]]||<:>[[교토 시영 지하철 카라스마선|{{{#ffffff 카라스마선[br](烏丸線)}}}]]||<:>{{{#009944 초록(#009944)}}}||<:>[[코쿠사이카이칸역|코쿠사이카이칸]] ~ [[타케다역(교토)|타케다]][br](13.7km)||<:>[[파일:KT-B.svg|height=17]] [[킨테츠 교토선]] ↔ [[파일:KT-A.svg|height=17]] [[킨테츠 나라선]][br](타케다↔[[신타나베역|신타나베]]^^[보통]^^↔[[킨테츠나라역|킨테츠나라]]^^[급행]^^)|| ||<:>[[파일:KTsub-T.svg|width=50]]||<:>[[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ffffff 도자이선[br](東西線)}}}]]||<:>{{{#e60012 주홍(#e60012)}}}||<:>[[로쿠지조역|로쿠지조]] ~ [[우즈마사텐진가와역|우즈마사텐진가와]][br](17.5km)||<:>[[파일:Keihan-OT.svg|height=17]] [[케이한 케이신선]][* 일단 궤도법을 적용받는 노면전차이기는 한데 4량으로 다닌다. 일본 내에서 유일한 특례 적용 구간이다.][br]([[미사사기역|미사사기]]↔[[비와코하마오츠역|비와코하마오츠]])|| == 주요 역 == * [[교토역]] * [[산조케이한역]] * [[카라스마오이케역]] == 기타 == * [[역 멜로디|역에서 사용하는 멜로디]]가 파편화 되어있다는 평이 많다. 같은 회사의 노선인 주제에 카라스마선엔 접근멜로디가 있는 반면 발차멜로디는 없으며, 도자이선은 반대로 발차멜로디가 있으며 접근 멜로디가 없다. 더 나아가 카라스마선의 상하행 멜로디가 느낌이 완전히 달라 따로논다는 평. 상하행선의 접근안내멜로디, 진입멜로디 총 4개의 작곡가가 전부 다른 사람이라 느낌도 다르다고 한다. * [[철도무스메]]에 소속된 캐릭터가 없어서 억울했는지, 언제부터인가 교토 시영 지하철 [[모에]] 모에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시영 지하철 역에 관련 캐릭터 포스터를 붙여두고 있으며, 캐릭터 이름은 왼쪽부터 각각 오노 미사, 마츠가 사키, 우즈마사 모에[* 우즈마사 모에의 언니는 우즈마사 레이이다.]이며, 교토에 있는 [[오노역(교토)|오노역]], [[마츠가사키역(교토)|마츠가사키역]], [[우즈마사텐진가와역]][* [[우즈마사역]]은 JR산인본선이므로 교토 시영 지하철과 관계가 없다. 우즈마사역은 우즈마사텐진가와역과 꽤 거리가 있는 편이다.]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위의 이미지는 캐릭터가 그려진 포스트잇이고 520엔에 교토시 교통안내소 등에서 살 수 있다. 우즈마사 모에는 오후 9~10시에도 배차 시간이 짧단(10분) 점을 강조하고 있고, 마츠가 사키는 위에 설명한 1일 무제한 패스를 설명하고 있으며, 오노 마사는 환경과 인간에 친화적인 스마트 무브 캠페인을 강조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교토시 교통국]] 참조. 일러스트레이터는 [[http://kamogawasodachi.tumblr.com/|카모가와강(kamogawasodachi) 씨]]. 일부 일러스트가 누락되어있지만, 볼만하다. [[분류:교토시]][[분류:일본의 도시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