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사회부총리, rd1=대한민국 부총리)] [include(틀:대한민국 국무위원)] ---- [include(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30]][br]{{{#!wiki style="margin: 10px 0px 7px" [[파일:교육부장관.svg|width=100]]}}}'''大韓民國 敎育部長官'''[br]'''The Minister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주호|[[파일:이주호 교육부장관.jpg|width=100%]]]]}}} || || '''현직''' ||[[이주호]] {{{-2 / 제61대}}} || || '''취임일''' ||[[2022년]] [[11월 7일]]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교육부]]의 수장. 교육부가 사정기관과 같은 성격은 다소 떨어지지만 한국은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열이 매우 높고, 역사적으로 국가가 유교의 가르침을 국민들에게 전파하는 것이 곧 국가사업이었으므로 교육을 주관하는 기관의 권위가 높았기에 현대의 교육부도 그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교육주무부처의 장관인 교육부장관의 중요성이 인정되었고, 부처 서열도 점점 올라가게 되었다. 보통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교육부장관보다는 노동부장관의 권력이 높거나 혹은 비슷하다. 그나마 현재는 교육정책의 순수한 중요성 때문에 서열이 높지만, 반공을 국시로 하여 교육을 통해 사상 무장을 강조했던 이승만 정부와 군사독재 정권 시기에는 문교부(당시의 교육부 이름)에게 반공 체제를 지속하게끔 유지하는 기능까지 부여되었다. 그러니 교육을 맡은 문교부가 더 입김이 세질 수밖에.[* [[https://www.joongang.co.kr/article/1229061|반공교육의 획기적 강화...]] ] 같은 시기 한국에서 노동부의 위상은 높지 않았다. 노동을 전담한 부처는 1948년 노동국이 시작이었고 1963년 노동'청'으로 되었다가 노동'부'로 승격된 것은 겨우 1981년의 일이었다.[[https://www.moel.go.kr/agency/overview/history/list.do|고용노동부의 역사]] 노동자들이 [[근로기준법]] 준수를 외치면 [[빨갱이]] 소리 듣는 시대였으니 정부 노동 부서에게 제대로 일하라고 할 리가 있나.[*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01/0012903388|전태일 이후, 그녀들이 있었다...]] ] 어쨌거나 이런 교육부의 위상이 유지되어 2020년대 현재 교육부는 부처 서열 1위인 [[기획재정부]] 다음의 [[2인자|서열 2위]]이며, 교육부장관은 [[대한민국 부총리|사회부총리]]를 겸임하고 있다. 하지만, 설익은 교육정책을 들고 나왔다가 학부모와 언론의 융단폭격을 맞고 경질되는 장관도 나오기 쉽다. 교육의 특성상 정책의 결과를 내기가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일의 성과는 내기 어려운데 욕먹기는 딱 좋은 자리다.[* 사실 교육부장관과 똑같이 부총리급인 기획재정부장관도 재계나 노동계로부터 욕얻어먹고 갈려나가기 십상인 자리이다. 경제정책 역시 단기간에 성과내긴 어려워도 조금만 실수하면 파장이 엄청나기 때문이다. 그나마 이쪽은 공공기관 예산권이라는 어마어마한 권력을 휘두를 수 있어서 교육부장관보다는 취급이 낫다.] 교육부장관의 평균 재임기간이 짧은 이유가 이 때문이다. 역대장관은 보통 대학총장이나 교수 출신들이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국회의원의 기용이 잦은 편이다. 교육부 관료 출신으로 장관이 된 사례는 박근혜 정부 시절 [[서남수]] 장관이 유일하다.[* 서남수 장관도 차관을 끝으로 공직을 떠나서 위덕대 총장이 되었다가 장관이 된 사례이다.] 그 외에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장을 당연직으로 맡는 등 상당한 당연직 보직에도 속해있다. 업무량도 상당히 많은 편. == 역대 장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문교부 {{{-2 (1948.)}}} || || ↓ || || 교육부 {{{-2 (1990.12.)}}} || || ↓ || || 교육인적자원부 {{{-2 (2001.1.)}}} || || ↓ || || 교육과학기술부 {{{-2 (2008.2.)}}} || || ↓ || || '''교육부 {{{-2 (2013.3.)}}}''' ||}}} === 문교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7>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 초대 || [[안호상]](安浩相) || 1948년 8월 3일 ~ 1950년 5월 3일 || || 2대 || [[백낙준]](白樂濬) || 1950년 5월 4일 ~ 1952년 10월 29일 || || 3대 || [[김법린]](金法麟) || 1952년 10월 30일 ~ 1954년 4월 20일 || || 4대 || [[이선근]](李瑄根) || 1954년 4월 21일 ~ 1956년 6월 7일 || || 5대 || [[최규남]](崔奎男) || 1956년 6월 8일 ~ 1957년 11월 26일 || || 6대 || [[최재유(1906)|최재유]](崔在裕) || 1957년 11월 27일 ~ 1960년 4월 27일 || || 7대 || [[이병도]](李丙燾) || 1960년 4월 28일 ~ 1960년 8월 22일 || ||<|2>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 8대 || [[오천석]](吳天錫) || 1960년 8월 23일 ~ 1961년 5월 2일 || || 9대 || [[윤택중]](尹宅重) || 1961년 5월 3일 ~ 1961년 5월 19일 || ||<|4> [[국가재건최고회의]] || 10대 || [[문희석]](文熙奭) || 1961년 5월 20일 ~ 1962년 1월 8일 || || 11대 || [[김상협]](金相浹) || 1962년 1월 9일 ~ 1962년 10월 14일 || || 12대 || [[박일경]](朴一慶) || 1962년 10월 15일 ~ 1963년 3월 15일 || || 13대 || [[이종우]](李鐘雨) || 1963년 3월 16일 ~ 1963년 12월 16일 || ||<|7>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 14대 || [[고광만]](高光萬) || 1963년 12월 17일 ~ 1964년 5월 10일 || || 15대 || [[윤천주]](尹天柱) || 1964년 5월 11일 ~ 1965년 8월 26일 || || 16대 || [[권오병]](權五柄) || 1965년 8월 27일 ~ 1966년 9월 25일 || || 17대 || [[문홍주]](文鴻柱) || 1966년 9월 26일 ~ 1968년 5월 20일 || || 18대 || [[권오병]](權五柄) || 1968년 5월 21일 ~ 1969년 4월 10일 || || 19대 || [[홍종철(1924)|홍종철]](洪鐘哲) || 1969년 4월 11일 ~ 1971년 6월 3일 || ||<|2> 20대 ||<|2> [[민관식]](閔寬植) ||<|2> 1971년 6월 4일 ~ 1974년 9월 17일 || ||<|6>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 || || 21대 || [[유기춘]](柳基春) || 1974년 9월 18일 ~ 1976년 12월 3일 || || 22대 || [[황산덕]](黃山德) || 1976년 12월 4일 ~ 1977년 12월 19일 || || 23대 || [[박찬현]](朴瓚鉉) || 1977년 12월 20일 ~ 1979년 12월 13일 || || 24대 || [[김옥길]](金玉吉) || 1979년 12월 14일 ~ 1980년 5월 21일 || ||<|2> 25대 ||<|2> [[이규호(정치인)|이규호]](李奎浩) ||<|2> 1980년 5월 22일 ~ 1983년 10월 14일 || ||<|4>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 || || 26대 || [[권이혁]](權彛赫) || 1983년 10월 15일 ~ 1985년 2월 18일 || || 27대 || [[손제석]](孫製錫) || 1985년 2월 19일 ~ 1987년 7월 13일 || || 28대 || [[서명원(1919)|서명원]](徐明源) || 1987년 7월 14일 ~ 1988년 2월 24일 || ||<|2> [[노태우 정부]] || 29대 || [[김영식(장관)|김영식]](金永植) || 1988년 2월 25일 ~ 1988년 12월 4일 || || 30대 || [[정원식]](鄭元植) || 1988년 12월 5일 ~ 1990년 12월 26일 || === [[파일:교육부 MI(1990-1999, 2013) 파랑버전.png|width=30]] 교육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2> [[노태우 정부]] || 31대 || [[윤형섭]](尹亨燮) || 1990년 12월 27일 ~ 1992년 1월 22일 || || 32대 || [[조완규]](趙完圭) || 1992년 1월 23일 ~ 1993년 2월 25일 || ||<|5> [[문민정부]] || 33대 || [[오병문]](吳炳文) || 1993년 2월 26일 ~ 1993년 12월 21일 || || 34대 || [[김숙희]](金淑喜) || 1993년 12월 22일 ~ 1995년 5월 12일 || || 35대 || [[박영식(교육인)|박영식]](朴煐植) || 1995년 5월 16일 ~ 1995년 12월 20일 || || 36대 || [[안병영]](安秉永) || 1995년 12월 21일 ~ 1997년 8월 5일 || || 37대 || [[이명현]](李明賢) || 1997년 8월 6일 ~ 1998년 3월 2일 || ||<|5> [[국민의 정부]] || 38대 || [[이해찬]](李海瓚) || 1998년 3월 3일 ~ 1999년 5월 24일 || || 39대 || [[김덕중(교수)|김덕중]](金德中) || 1999년 5월 24일 ~ 2000년 1월 14일 || || 40대 || [[문용린]](文龍鱗) || 2000년 1월 14일 ~ 2000년 8월 7일 || || 41대 || [[송자]](宋梓) || 2000년 8월 7일 ~ 2000년 8월 31일 || || 42대 || [[이돈희]](李敦熙) || 2000년 8월 31일 ~ 2001년 1월 28일 || === [[파일:교육인적자원부 MI.svg|width=40]] 교육인적자원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2> [[국민의 정부]] || 43대 || [[한완상]](韓完相) || 2001년 1월 29일 ~ 2002년 1월 28일 || || 44대 || [[이상주]](李相周) || 2002년 1월 29일 ~ 2003년 3월 6일 || ||<|6> [[참여정부]] || 45대 || [[윤덕홍]](尹德弘) || 2003년 3월 7일 ~ 2003년 12월 23일 || || 46대 || [[안병영]](安秉永) || 2003년 12월 24일 ~ 2005년 1월 4일 || || 47대 || [[이기준]](李基俊) || 2005년 1월 5일 ~ 2005년 1월 10일[*최단기] || || 48대 || [[김진표(정치인)|김진표]](金振杓) || 2005년 1월 28일 ~ 2006년 7월 20일 || || 49대 || [[김병준(정치인)|김병준]](金秉準) || 2006년 7월 21일 ~ 2006년 8월 8일 || || 50대 || [[김신일]](金信一) || 2006년 9월 20일 ~ 2008년 2월 5일 || === [[파일:교육과학기술부 MI.svg|width=30]] [[교육과학기술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3> [[이명박 정부]] || 51대 || [[김도연(1952)|김도연]](金道然) || 2008년 2월 29일 ~ 2008년 8월 5일 || || 52대 || [[안병만]](安秉萬) || 2008년 8월 6일 ~ 2010년 8월 30일 || || 53대 || [[이주호]](李周浩) || 2010년 8월 30일 ~ 2013년 3월 10일 || || [[박근혜 정부]] || 54대 || [[서남수]](徐南洙) || 2013년 3월 11일 ~ 2013년 3월 22일 || === 교육부 ===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3> [[박근혜 정부]] || 55대 || [[서남수]](徐南洙) || 2013년 03월 23일 ~ 2014년 07월 16일 || || 56대[* 해당 대수부터 사회부총리 겸직.] || [[황우여]](黃祐呂) || 2014년 08월 08일 ~ 2016년 01월 12일 || || 57대 || [[이준식]](李俊植) || 2016년 01월 13일 ~ 2017년 07월 04일 || ||<|2> [[문재인 정부]] || 58대 || [[김상곤]](金相坤) || 2017년 07월 04일 ~ 2018년 10월 02일 || || 59대 || [[유은혜]](兪銀惠) || 2018년 10월 02일 ~ 2022년 05월 09일 || ||<|2> [[윤석열 정부]] || 60대 || [[박순애]](朴順愛) || 2022년 07월 04일 ~ 2022년 08월 09일 || || 61대 || [[이주호]](李周浩) || 2022년 11월 07일 ~ 현재 || [[유은혜]]는 최장기 [[2022년]] [[2월 24일]]에 '''1242일'''을 기록하며, 이규호를 제치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역대 최장기 교육부처 장관이 되었다. == 기타 == 소설가 이순원(李舜源, 1957 ~ )의 단편 소설 「콘사이스여 안녕」에서, 그 유명한 '''문교부장관 검정필''' 이야기가 나온다. 이 이야기는 2000년대 중학교 2학년 1학기 [[국어(교과)|국어]] 교과서에 '[[사전]]을 찾아가며 읽는 즐거움', 이순원의 소설집 『19세』(1999) 및 『수업』(2010, 김용택 외)에 수록되었다. 국어 교사가 "이 반에는 문교부장관이 누군지 아는 사람이 있나?"라 묻자, 중학교 1학년이었던 화자는 생물과 물상을 한데 묶은 과학 교과서의 겉장 꼭대기 오른쪽에 '문교부장관 검정필'이라 써있는 걸 보고, 손을 들어 "우리나라 문교부장관의 이름은 검정필입니다."라고 답했다. 하지만 검정필(檢定必)은 사람의 이름이 아니었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교육부]] * [[교육부차관]]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장)] ---- [include(틀:대한민국 국무회의의 배석)]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한민국 교육부, version=224)] [[분류:부총리 겸 교육부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