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스스톤/직업 전설/스칼로맨스 아카데미)] [include(틀:사냥꾼(하스스톤))] [목차] == 개요 == ||<-6>
|| ||<:> '''한글명''' ||<:> 교수 슬레이트 ||<-4><|8><:>[[파일:교수 슬레이트.png|width=200]] || ||<:> '''영문명''' ||<:> Professor Slate || ||<:> '''카드 세트''' ||<:> 스칼로맨스 아카데미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ffa500 전설}}}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 || ||<:>'''[[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SCH_539.webm?60352|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3 ||<:> '''공격력''' ||<:> 3 ||<:> '''생명력''' ||<:> 4 || ||<:> '''효과''' ||<-5>내 주문이 '''독성''' 능력을 가집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5>[[5억 년 버튼|"걱정 마세요. 아주 빨리 끝날 겁니다. 수천 년 같이 '느껴지겠지만' 실제로는 아니예요!"[br]''("Don’t worry, this will be over in a second. It might FEEL like an eternity, but I assure you, it’s quite quick!")'' ]] || >소환: 버섯은 아주 유익해요! 어허어... 해로울 때도 있지만... ''(Oh, g-green is very good! Or... very bad.)'' >공격: 오! 이런. ''(Oh, that's bad.)'' 성우는 [[전태열]]. [[https://kr.forums.blizzard.com/ko/hearthstone/t/%EA%B3%B5%EC%A7%80-%ED%95%98%EC%8A%A4%EC%8A%A4%ED%86%A4-%ED%95%9C%EA%B5%AD%EC%96%B4-%EC%84%B1%EC%9A%B0-%EC%A0%95%EB%B3%B4-20201027-%EC%97%85%EB%8D%B0%EC%9D%B4%ED%8A%B8/157|출처]] 소횐 시 음악은 [[어둠달 부족]] 음악이다. [[https://youtu.be/57Unvj42nE8?t=18m53s|18분 53초부터]]. == 상세 설명 == [[하스스톤]] 확장팩 [[스칼로맨스 아카데미]]의 사냥꾼의 신규 전설 카드. 인던 [[스칼로맨스]]의 대강당에서 변신의 산성 약병을 드랍하는 정예 몬스터 '''교수 슬레이트'''다. 효과는 원작에서 독 공격을 했던 것에서 따와 주문이 주는 피해로 무조건 하수인이 처치되도록 독성을 부여한다. 효과가 발동하면 슬레이트에게서 독성 기포가 차오르는 시각 효과가 보인다. == 평가 == === 출시 전 === 무난한 스탯에 효과도 상당히 강력하지만 주술사의 교관 파이어하트처럼 '''사냥꾼 카드'''라는 것이 문제. 사냥꾼은 광역 주문도 거의 없고 쓸만한 번 주문 및 드로우가 상당히 열악한 직업이다. 코스트도 이미 포화 상태인 3코라는 것도 문제. 만약 마법사가 이 카드를 받았다면 [[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s-1.1|신비한 화살]]과 연계해 4코스트로 무작위 적 하수인 3마리를 처치하거나 [[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s-1.3|신비한 폭발]]을 이용해 5코스트로 모든 적 하수인을 처치하는 등 저코스트 고효율 교환이라는 사기를 칠 수 있으니 평가가 더 올라갔을 수도 있다. 그나마 [[사냥꾼(하스스톤)/카드일람/2019년#s-1.1.1|속사]]와 연계하면 5코스트로 적 하수인 둘을 처치[* 야생에서는 [[사냥꾼(하스스톤)/카드일람/2017년#s-1.1.2|치명적인 이빨]]과 연계하면 5코스트로 적 하수인을 셋 처치할 수 있다.]할 수 있지만 그것만 보고 쓰기엔 애매하다. [[사냥꾼(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s-2.4|폭발의 덫]]을 쓰면 천보가 없는 이상 적 하수인 한정 [[흑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고전#s-4.3|뒤틀린 황천]]을 볼 수 있으나 역시 다른 비밀과 연계하지 않으면 효과를 보기 전에 슬레이트가 제거될 가능성이 크다. 그래도 직업 특성상 잘 안맞는 편이라는 것이 문제일 뿐, 카드 자체는 매우 강력하다는 평가가 많다.~~다른 직업이 어떻게든 발견하면 게임이 피곤해진다는 소리다~~ === 출시 후 === 그나마 언급은 되었던 [[결투의 대가 모자키|모자키]], 대놓고 사람들에게 놀림받으며 이번 확장팩 최고의 웃음벨로 자리잡았던 [[종신 교수 투랄리온|투랄리온]]과는 다르게 언급이 아예 되지 않으며 완전히 묻힌 카드가 되고 말았다. 스칼로맨스 아카데미에서 사냥꾼의 주요 메타가 미드레인지나 주문냥꾼이 아닌 어그로이기 때문에 거의 채용되지 않는다. 오히려 [[차원문(하스스톤)#s-5.1|불뱀 제단 차원문]]이나 [[라덴의 주먹(하스스톤)|라덴의 주먹]]으로 생성 가능한 주술사나 [[도적(하스스톤)/카드일람/2019년#s-3.2.1|용의 보물]]로 발견 가능한 도적 그리고 [[흑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9년#s-2.3.1|병에 걸린 독수리]]로 생성 가능한 흑마법사가 소환해서 하수인을 갈아마시는 용으로 더 자주 보인다. 번 주문을 많이 쓰는 [[드워프 지구 방어|퀘냥]]이 취향에 따라 넣기도 한다, 문제는 퀘냥 자체가 퀘스트 흑마법사와 퀘스트 주술사에게 밀려 4티어 정도라는 것. 흑마법사와 주술사의 너프 이후 퀘스트 사냥꾼에게 우호적인 메타라서 더 자주 채용중이다. 천체드루를 쉽게 바보로 만들기 때문. == 기타 == 정작 이 카드가 공개된 시점에선 야생까지 포함해서 사냥꾼에게 피해를 주는 주문은 21장 밖에 안 된다. 정규는 10장. 다만 스톰윈드 확장팩 이후로도 피해를 주는 주문들이 조금씩 추가되었다. 성우가 그 유명한 스폰지밥 성우인지라[* 물론 전태열 성우도 전혀 다른 느낌의 [[들창엄니]]도 커버했을 정도로 연기폭이 넓긴 한데 하필이면 슬레이트의 연기톤이 스폰지밥과 비슷한 경박하면서도 장난스러운 톤이라 더욱 부각된다.] 소환할때마다 스폰지밥 드립을 치거나 스폰지밥 같아서 몰입이 안된다는(...) 평이 많다. [[분류:하스스톤/카드/무종족 하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