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단어 == === [[교육대학|교대]]([[敎]][[大]]), [[교육대학]]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교육대학의 준말., 문서명=교육대학)] === 교대([[交]][[代]]), 맞바꾸어 일을 계속 진행함 === 근로시간이 지난 근로자나 담당자를 바꾸어 업무를 계속 진행하는 일. [[교대근무]]라고도 한다. 편의점의 [[POS기]]에는 교대근무 시의 근로시간을 재기 위해 담당교대 버튼이 있다. 영어로는 [[시프트|shift]] [[워크|work]]라고 한다. 한국어에서 '교대'는 이렇듯 사람의 [[업무]] 관련으로만 쓰이고 '[[교체]]'(交替)는 주로 물건에 대해서 쓴다는 차이가 있다('[[선수]] 교체' 등의 예외는 있다). 또 '교체'와는 달리 '교대'는 "한 번 빠진 사람이 언젠가는 다시 돌아옴"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가령 주인 입장에서 "알바를 교체해야겠다" 하면 그 알바는 [[해고|짤린 것]]이다. 한편 다음 사람으로 교대하는 것은 이후에 그 사람이 다시 돌아온다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어로는 그 차이가 좀 약한 것 같다. 가령 일본에서는 [[정권교체]](政権交替)도 정권교대(政権交代)라고 한다. 일본어로는 발음도 こうたい로 동일한 탓일 수도 있겠다. [[시내버스]]같은 경우에는 대형버스와[* 장애인 저상버스 포함 현대 뉴슈퍼에어로시티 대우 뉴 로얄시티 포함된다. ] 중형버스[* 현대에어로타운 그린시티 대우 뉴로얄미디 포함된다] 교대로 운행하는 방식이 있다. * [[급수(수학)#s-3.10|교대급수]] * [[대칭군#s-1.3.5|교대군]] === 교대([[橋]][[臺]]), 교량 구조물 === [[교량|다리]]의 양 끝에 설치되어 다리의 상부구조를 떠받치는 [[구조물]]을 말한다. 교각과 함께 다리의 하부구조를 구성하며, 길이가 짧은 교량은 교각 없이 교대만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 지명 == === [[교대역]](敎大驛)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교대역)] 위의 [[교육대학]] 인근에 [[교대역]]이 설치되곤 한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축약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