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 설명 == [[파일:怪蹴一色.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괴축일색, 일어판명칭=怪蹴一色(かいしゅういっしょく), 영어판명칭=The Return to the Normal,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몬스터 1장만이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보다 낮은 공격력을 가지는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몬스터 1장의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을 트리거로 필드의 그 몬스터보다 공격력이 낮은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는 카드. [[격류장]]과는 상호 호환으로, 몬스터 1장만을 소환하는 것에 반응하는 데다 반전 소환엔 대응하지 않으며 소환된 몬스터는 아무 피해를 안 받기에 단순히 상대 필드를 전멸시킨다면 격류장보다 못하지만, 자신 필드에 고타점의 몬스터를 전개한 뒤 이 카드를 발동시켜 고타점의 몬스터는 남겨두고 필드 클린한다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어 일장일단이 있다. 비슷한 효과의 [[무력의 증명]]과도 상호 호환으로, 무력의 증명은 레벨 7 이상인 몬스터가 필드에 있기만 하면 프리 체인으로 발동할 수 있는 대신 레벨 6 이상의 몬스터나 레벨 개념이 없는 몬스터를 파괴할 수 없다. 이 카드는 발동 조건이 한정됐지만 공격력이 높기만 하면 바로 필드를 쉽게 쓸어버릴 수 있다. 이 카드의 효과 특성상 [[사신 아바타]]는 항상 필드의 공격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의 공격력 + 100을 유지하기에 마법 / 함정 카드 발동이 다시 가능해지는 2턴이 경과한 이후에도 이 카드의 효과로 파괴할 수 없다. '필드에 존재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지속 효과로 공격력이 변화하는 경우 소환이 완료된 이후에 공격력 변화 효과를 받으므로 소환한 직후의 기본 공격력을 기준으로는 발동하더라도 큰 이득을 못 받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반대로 해당 상황을 역이용할 수도 있다. 카드명인 괴축일색은 [[개수일촉]]과 일본어 독음이 같은 걸 이용한 말장난이다. 일러스트는 [[약육일색]]과 [[일색즉발]]에서 이어지는데, 하급 몬스터들이 강력한 몬스터의 등장에 혼비백산하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라이징 램페이지]] || RIRA-KR075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라이징 램페이지|RISING RAMPAGE]] || RIRA-JP075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라이징 램페이지|Rising Rampage]] || RIRA-EN07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약육일색]] === === [[일색즉발]] ===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