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물 특징]]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카메라 유튜버, rd1=괴짜TV)]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FairAndTastefulGrape, 합의사항1=등재 기준에 맞는 인물만 목록에 작성하기)] [목차] == 개요 == [[기행|이상한 짓]]을 하는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 동의어 == * 한국어: [[기인]]([[奇]][[人]]) * [[영어]]: eccentric, geek, '''[[Freak|freak]]''', frick, character, oddball, screwball, weirdo, [[조드|zod]], kook, '''[[너드|nerd]]''' * [[일본어]]: 変人, 物好き, 変わり者 == 특징 == 이상한 짓을 하는 사람이라는 좁은 의미로 주로 사용되지만, 광범위하게는 본인이 유지하고 싶어하는 특이한 개인적인 취미와 취향을 가진 사람들도 전부 포함한다.(오덕과는 다르다) 영어로는 이런 사람들을 흔히 odd한 사람이라고 한다. 수학에서 짝수가 아닌 홀수를 의미하는 그 단어로, 말 그대로 균형이 뭔가 맞지않고 다른 사람들과 같이 짝을 이루기 어려운 이들의 행동 특성에서 비롯된 단어다. --홀수는 홀수끼리 더해야 짝수가 되며 홀수에 짝수를 더하면 백날 해봐야 짝수가 못된다. 결국 기인은 정형인과 공적으로는 몰라도 사적으로는 어우러지기 어렵다는 말.-- "기인"은 명실상부 "정형인"의 반의어로 가장 많이 받아들여지는 단어다. 괴짜 속성은 어딘지 모르게 긍정적인 의미로든 [[매드 사이언티스트|부정적인 의미]]로든 '''[[굇수|비범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은 편이며, 은근히 [[먼치킨(클리셰)|먼치킨]], [[엄친아]]/[[엄친딸]], [[유아독존]]/[[천재]] 속성과 연동되는 속성이며 [[천연]]이나 [[마이페이스]], [[독불장군]] 속성과도 겹친다. 사실 이런 능력자들 중 괴짜가 많은 이유는 그들은 자신의 능력만으로도 세상을 살아가는 데 충분함을 알고 있어서 남에게 기대거나 맞춰 줄 필요를 느끼지 않으므로 그러고 다니는 것이다. --금수저는 아니더라도 일명 돈있고, 빽있고, 적절하게 능력도 있는 사람 특유의 여유 내지는 자존심.-- 다른 사람들도 뒤에서는 이들의 성격을 보고 뭐라 잘 핀잔하지만 잘 하는 분야에서는 압도적인 능력을 가졌기에 앞에서 일반적으로 비난은 못 한다.[* 학창 시절에도 잘하는 과목은 늘 그 학교의 반, 또는 전교에서 최고 성적이다.] 다만 드물게 스파르타식 문화를 가진 사회에서 아랫사람이 된 상황이라면 이렇게 저렇게 심하게 까이는 등 고생을 겪기도 하며, 정치적인 다툼이 심한 환경에서도 보통 타겟중에 하나로 잘 전락한다. 당연히 괴짜들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은 이런 다른 사람에게 굳이 맞춰줄 필요를 못느끼고 본인 멋대로 잘하는 태도를 도를 넘는 자만심으로 보기에 눈에 더욱 거슬릴 수 밖에 없으며, 아예 인간으로써 마음속으로 주는 점수를 확 감점시켜 소위 말하는 "정형인"들보다 가치를 낮춰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 소위 말하는 [[오타쿠]]에 대한 차별이 어떤 현실과 마인드에서 비롯되는지를 알아보면 어지간히 맞아 떨어진다. --사회성, 센스 부족, 각종 기행들.-- 이렇기에 소위 말하는 전통주의 생활양식과 "정형인" 절대선호, 집단주의를 강요하는 부류의 꼰대들과는 케바케로 서로 극혐의 궁합을 자랑 할 수도 있다. 개인주의와 자유주의가 더 일찍 발달한 서양이 아직 집단주의 잔재가 더 많이 남아있는 동양보다 괴짜들이 더 많다. 물론 이런 사람들은 대부분의 개인적인 시간을 주로 혼자 보내기 때문에 보편적인 사교공간에서는 보기가 제법 어려워 실제로 서양을 가서 생활하게 되면 그 많은 괴짜들은 다 어디에 있는지 궁금해하기도 한다. --정답은 "휴일에 집안에만 틀어박혀 있다".-- 적어도 두각을 드러내며 성공하기 전까지는 언더독[* 사회적으로 우세가 되기 어려운 아싸 내지는 서브컬쳐 계열의 사람.] 내지는 블랙쉽[* 서열사회에서 주류 내지는 권력자의 횡포에 반감을 심하게 가지는 "문제아" 스타일의 사람.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사람들일수록 사회에서 발생하는 부조리를 더욱 잘도 파악한다. --애초에 본인이 그로 인한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피해자니까.--]의 인생을 사는 경우도 제법있다. 리즈시절 언더독의 인생을 살았던 사람들도 아무래도 능력을 인정받아 성공의 구도를 달리기 시작하며 이름이 알려지는 시점부터는 타인의 평판이 그만큼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본인의 겉이미지 관리에 신경을 더 쓰며 괴짜의 틀에서 벗어나기도 한다. 21세기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도 집단주의가 많이 사라지고 고인을 존중해 주는 문화가 형성되며 괴짜들이 많이 세상에 제 모습을 드러내고, 자신의 능력과 취향을 즐기며 사는 편.[* 적어도 2000년대 시점부터는 인식이 많이 변해서 어린 자식이 괴짜기질이 있을경우 부모님이 이를 우격다짐으로 휘어잡고 성격교정을 강요하지 않으며, 그냥 한두가지 정도의 사회적인 활동을 하도록 살그머니 독려하는 선에서 끝나는 편이다.] 적어도 괴짜들이 겉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장면이 중간중간 제법 보이는 사회라면, 그 사회는 집단주의, 이질분자 배척이 두드러지지 않는 사회라는 증빙이다. == 양성되는 환경과 현실 == * 온라인 가게들이 활성화 되어있고, 국제적으로 여러 상품들이 넘쳐나는 현대 사회는 적어도 과거보다는 괴짜들이 양성되기에 훨씬 알맞는 조건이다. 게다가 부모님들 조차도 요즘에는 자식의 괴짜기질에 성격교정을 강요하지 않고, 자식이 원하는 물건을 잔뜩 사주면서 오히려 괴짜기질을 "독려하는" 부모님들도 더욱 많아졌는데, 이런 경우라면 금상첨화다. 아예 괴짜기질을 밝게 조명하는 TV 프로그램도 있을 정도다. 온라인을 통해 국제적으로, 그것도 무료로 퍼지는 야한 만화나 썰렁한 개그 콘텐츠도 이런 괴짜들의 양성에 한몫 제대로 하고있다. * 대체적으로 어떤 부분에 한해서는 괴팍스러울 만큼 고집스럽고 본인의 성격, 취향에 대해 매우 보수적이고 폐쇄적이라 다른 사람들의 충고 내지는 참견을 잘 듣지않고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나마 민폐스러운 행동 정도만 고치려고 노력하지, 민폐가 아닌 특이한 취향 정도라면 "그게 어떻게 잘못된 행동이야?"하면서 오히려 무시한다. --헉! 그놈에 핵꼰대.-- * 매우 빼어난 괴짜들은 열심히 학력을 성취하여 대학교수 정도의 전문직에 진출하거나, 아니면 현실에서 가까운 미래의 동향을 알아보는 통찰력과 조직력을 발휘하여 창업을 해서 크게 성공한다. 물론 대다수는 그냥 스펙은 평범하면서 조금 기묘하거나 아니면 쓸쓸한 인생을 살아가거나, 아니면 사회생활 적응에 실패하여 백수가 되는 경우도 일부 있다. 다만 가난한 집안에서 자란 사람들 중에는 괴짜들이 많지 않은데, 애초에 괴짜 생활을 유지한다는거 자체가 스스로의 능력이던, 집안의 재력이던 본인이 다른 사람들한테 굳이 사적으로 맞추지 않아도 될 정도로 적당히 "잘났다는" 뜻이기도 하기 때문. * 하나부터 열까지 사사껀껀 단체의 룰, 사회적 통념을 너무 강요하는 전체주의 사회는 괴짜들한테 반정도 무덤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극혐하며 그런 사회에는 아예 접근조차 안하려고 뒤에서 많이 노력한다. 다만 피할수가 없는 상황이라면 괴짜가 아닌척 흉내내며 성격 좋은 모습을 나름대로 보여주는 등 적절하게 페르소나를 사용하며 앞에서 만큼은 굽혀준다. 다만 본인 스스로의 굳은 결심, 의욕이 없이 성격의 진면이 바뀌기는 어렵다. * 어려서 본인이 좋아하는 물건이나 먹을것, 취미에 거의 과하다 싶을 정도로 병적인 집착을 보이는 경우가 상당히 많으며, 다른 사람이 그걸 건드릴 경우 예민하게 반응한다. 그리고 이런 특성이 성인이 되어서도 마음 속으로는 그대로 유지되는 편이다. 이른바 "OO없이 나는 못살아." * 대략 100명중에 한두명 꼴로 괴짜들이 나오는데, 비율은 어느 사회를 가느냐에 따라서 케바케다. 보통 위계질서가 강하고 팍팍하며 이질분자 배척이 심한 사회로 갈수록 비율이 더 줄어들고[* 이런 사회에 설령 어쩌다가 들어갔다 하더라도 오래 있으려고 하지도 않기에. 사실 이런 사회는 굳이 괴짜까지 안가고, 몇몇 정형인들 한테도 여전히 힘들다. 예를들면 골수분자 기독교인들의 친목 사회에 이슬람교, 불교를 믿거나 종교가 없는 사람이 들어가면 사적으로 과연 융화가 매우 깊이 잘 될 수 있냐를 물어본다면 "아니오"라는 답변이 나온다.], 반대로 자유롭고 다양한 취향이 그나마 받아들여지는 사회로 갈수록 비율이 증가한다. * 보통 괴짜라고 하면 특이한 말투와 행동에 사람한테 아예 붙임성이 없고 아무말이나 눈치없이 막 꺼내는 보기 흉한 인간상을 떠올리지만, 사실 그런 극으로 닿아있는 괴짜들은 오히려 많지않다. 괴짜들도 사람이라 상대방이 본인을 하나의 동등한 인간으로 존중해준다는 느낌을 받으면 오히려 상당히 대인배스러운 모습을 많이 보인다. 괴짜가 괴팍한 기질을 살그머니 드러내거나, 아니면 괴짜한테 아예 손절 당했다면 수평적인 관계를 지향해야 하는 곳에서 본인이 그 사람 머리위에 올라서거나 약점을 찔러서 그렇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당연하지만 이게 이질분자 배척이 심한 사회에서 괴짜들을 교정하려고 하거나 밀어내는 일반적인 방식이다. 괴짜들도 30대가 거의 되는 시점에서는 어느정도 철이 들기에 상대방 앞에서 하지 말아야 하는 말은 어지간히 잘 구분한다. * 본인이 좋아하는 무언가를 할 때는 퍽이나 행복해보일지 몰라도 일반적인 인간관계에서는 퍽이나 불행해 보일 수도 있다. 물론 이건 언제까지나 일부 정형인들의 관점에서 기인들을 볼때 그런것이고, 정작 기인들은 누가 옆에 있건 말건 크게 상관을 하지도 않는다. 아예 본인 스스로의 문제를 잘 모르는 경우도 있고, 문제를 알고 있어도 다른 사람들을 굳이 사적으로 본인 옆에 너무 가까이 두려고 하지 않는 성격 때문에 그렇다. 성격 좋은 축에 들어가는 일부 정형인들도 아예 웃으면서 "시간날때 연락 주세요~" 정도만 하면서 깊게 이들의 사생활을 터치하지 않는다.[* 애초에 본인이 그 기인을 칭찬할 수 없다면 굳이 핀잔을 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하기에 사실 상당히 합리적인 태도라고 볼 수 있다.] == 오타쿠, 아싸와의 차이 == 기인은 그냥 말이나, 행동, 취향등이 정형인들과 구별되는 사람이고, 오타쿠는 어느 비주류 분야에 심취한 사람이다. 물론 기인의 기준을 특이한 취향, 관심사를 가진 사람까지 정도로 넓게 잡는다면 오타쿠에 부합하는 기인도 있을 수 있다. 아싸는 보통 내향적인 성격에 혼자서 있는 시간을 좀 더 선호하는 사람들인데, 기인들 중 다는 아니지만 상당수는 동떨어진 성향으로 인해 반쯤 아싸가 되는게 현실이다. 물론 모든 아싸가 기인인 것은 절대 아니며 정형인 아싸들이 훨씬 많다. === 장점 === 기상천외한 [[아이디어]] 덕분에 진정으로 세상과 인류에 도움이 되는 사람들도 있다. 최소한 본인의 경제력이나 아니면 집안의 재력이 받쳐준다면 본인이 하고싶은 것들을 마음껏 누리며 할 수 있다. 최소한 취미생활과 물질적인 로망 만큼은 마음껏 누리며 애초에 이쪽 분야에서는 뒤에서 굳이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상관할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어서 크게 외로움을 타지도 않는다.[* 애초에 본인과 진심으로 말이 통하는 지인들하고만 최소한의 관계를 유지하며 중간중간 만나고, 그 이외의 사람들하고는 스스로 관계 유지에 공을 들이지도 않아 시간이 지나면서 천천히 멀어지는 편이다.] 그만큼 본인이 좋아하는 취미나 일에 투자하고 도전할 수 있는 경제적, 시간적 여유가 많다. 애초에 다른 사람들과 사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시간을 보내는데 시간을 많이 할애하지 않기 때문에 당연하다. 의외로 천재, 영재, 수재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이런 괴짜들도 많다. 특히 엘리트 교육기관의 이공계, IT 분야를 가면 인종을 불문하고 괴짜들이 거의 평균 수준이며, 대한민국 역시나 2010년 이후로 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약간의 괴짜, 아싸 성향이 있는 범생이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한국의 경우 괴짜들이 본격적으로 더 양성되기 시작한건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한 2010년 이후다. 대한민국은 1980년대 까지만 해도 군국주의 문화의 잔재로 집단주의 성향이 매우 강했다. 어려서는 많은 학교 선생님들이 그런 문화를 학교에서도 사실상 만들었고, 집안에서 아버지도 호된 방식으로 자식, 특히 아들한테 더 압박을 가하며 사실상 자식이 괴짜가 될만한 요인들을 봉쇄하는 집도 많았다. 설령 말을 안듣고 고집을 부려도 소용이 없었는데 남자들은 그 후에는 지금하고는 비교가 안될만큼 빡센 군대생활 3년이 기다리고 있었고, 여자들은 나이가 25세가 넘으면 집안 어른들의 강요에 의해 강제로라도 결혼을 해서 애엄마가 되어야했기에 개성이 강한 괴짜 생활을 유지한다는거 자체가 어려운 일이었다. 이런 집단주의 문화의 흔적은 2000년대 까지도 어느정도 지속되어 당시에도 혼자서 돌아 다니거나 혼밥을 하는 사람을 이상하고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바라보는 풍조도 있었다.] === 단점 === 지나친 괴짜 기질은 남에게 민폐를 줄 수도 있다.[* 예를들면 특이한 어조로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기 좋아하는 성격이 한밤중에 상습적인 고성방가 행위로 나온다던지, 본인의 오덕이나 빠순이 취미를 공적인공간 아무곳에서나 마구 떠들어대며 잘난척, 자뻑을 겉으로 일삼는다던지 기타 등등.] 타인과 공감대 형성면에서 떨어지는 만큼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사적으로 끌어들여야 하는 연애, 결혼을 비롯한 인간관계에서 어려움을 다소 느낄 수 있다.[* 예외로 부와 명예를 이룬 성공한 괴짜라면 어련히 알아서 사회에서 인정도 해주고, 괜찮은 여자들이 다가오며, 대부분 그들이 내조해주며 살아주기 때문에 연애와 결혼은 오히려 쉽다.] 주변에서 보는 시선은 일반적으로 좋다고 하기는 힘들고 일부 사람들한테는 안좋은 대접을 받을 수 있다.[* 소수자 차별이 만연한 사회라면 이들에 대한 대접은 대략 오타쿠와 비슷하다. 성소수자, 중독자, 매춘부보다는 조금 낫지만 이주노동자, 외국인보다도 더 안좋게 본다.] 특히나 집단주의가 강하거나 이질분자 배척이 심한 공동체 안에서는 혐오에 가까운 기피를 받으며 왕따가 되기도 한다.[* 주로 외향적인 괴짜라면 "미친놈", "싸이코", 조용한 괴짜라면 "병신", "찐따" 등의 대접을 받으며 까내려진다. 다만 이런 말을 직설적으로 드러내며 할 경우 도덕성의 문제가 도마위에 오르며 오히려 본인이 질타를 받을수도 있기에 조금 더 문화적인 방법으로 돌려 말하면서 까내린다. 물론 괴짜들 입장에서 보기에는 어쨌든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꼴로 보인다.][* 이것도 그나마 자유민주주의 국가 사회니까 이정도고, 북한처럼 개인의 개념이 없는 완전전체주의 국가라면 자아비판형으로 성격을 교정하게 만들거나, 그래도 효과가 없다면 노동수용소로 직행이다. 또한 자유민주주의 국가라고 할지라도 전체주의가 정책에 반영되지만 않을 뿐이지 여전히 현대판 전체주의 성향을 가진 사람은 있기 마련이라 너무 기대해서는 안된다.] 꼭 이질분자 배척이 만연한 물 안좋은 사회가 아니더라도 오타쿠, 비만인, 외국인들 처럼 알게 모르게 마이너스 요소가 작용할 수 있다. 대부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눌 수 있는 포인트들이 다소 부족하고, 사회적인 지능이 낮으며, 센스가 없어서 적어도 반쯤은 아싸가 되는 인생을 사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대한민국의 특성상 대다수의 남자들은 싫어도 군대에 들어가 2년동안 단체생활을 해야되는 특성과, 사회에서 반쯤 고립되는 현실로 인해 스스로 더 사회적인 교류를 위해 성격교정을 하는 경우도 많기는 하지만, 스스로 본인이 좋아하는 분야에 몰입이 너무 잘된다면 괴짜 인생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 같은 괴짜와 연애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연애권력에서도 막대한 불이익이 생기며, 설령 운좋게 결혼을해도 가정에서조차 반쯤 아싸가 되거나 심하면 불화가 발생하기도 한다.[* 애초에 본인의 자아와 생활양식을 유지하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결혼을 하고나서도 배우자와 심하게 충돌하기 쉽다.] [[오타쿠]], [[아싸]]가 괴짜 부류에 들어가는 경우도 많다. 비록 [[아인슈타인]]이나 [[일론 머스크]]처럼 매우 성공한 괴짜들도 있지만, 어지간한 수준에서 괴짜들은 평균 수입도 그렇고 사회성 면에서도 일반적인 정형인들 만큼 최소한 사회적으로는 별로 성공을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제법많다. 이렇기 때문에 이들 역시나 사회에서 정형인들에 비하면 "비교적" [[소수자]]의 위치다. 당장 [[MBTI]] 성격검사에서 관련 통계를 봐도 [[너드]] 기질의 대표격인 내향적 이상주의자 IN 성향들의 평균 소득이 외향적 현실주의자인 ES 계열보다 많이 적고 실업률도 더 높은 편이다. 이런 현실 때문에 동서양을 막론하고 몇몇 사회에서는 물론이고 일부 부모들 조차도 어린 자식이 괴짜 성향을 가지고 있을경우 은근히 못마땅해 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아무래도 타인과 공감대 자체가 한계가 있다보니 사회적인 적응력이 떨어지는것을 감안할 때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이들이 사회적인 차별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본인 스스로 완벽히 정형인처럼 보이게끔 성격과 행동을 교정하거나 아니면 스스로 사회에서 출세하는 방법밖에 없는데, 그것 자체가 애당초 너무 어려운 일이라 그냥 본인이 어느정도 적응이 가능한 사회, 사람을 찾아 나서며 평상시에 주로 혼자 지내는 방법을 선택하기도 한다. == 서양의 경우 == 적어도 서유럽이나 북유럽, 미국, 캐나다, 호주를 기준으로 볼때 서양사회는 한국보다 수십년 더 일찍 개인주의가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기 때문에 기인들의 범위도 매우 넓고, 종류도 다양하고, 소위 말하는 중증 기인들도 더욱 많이 나온다. 대한민국과는 달리 애초에 이 국가들은 현재 시점에서 대부분 징병제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몇년의 세월동안 본인의 사적인 행동 패턴을 바꿔야 될 이유도 사실상 없다. 서양의 기인들이 출연하는 TV쇼를 보면 정말 한국에서는 아직 상상도 하기 어려운 엄청난 기인들이 쏟아져 나온다. 본인이 끼는 방귀를 마이크로 증폭해 녹음해서 즐기는 사람, 트림으로 노래를 연주하는 사람, 본인의 집 마루바닥을 전부 본인이 침을 뱉어 범벅을 하는 사람, 동물의 해골들을 모으는 사람, 여장을 하고 상습적으로 춤을추는 나이드신 아저씨 등등 정말 사회에서 보통 정형인들이 보기에 특이하다 못해 민망하고 그로테스크한 경우도 수두룩하다. 아예 어지간한 기인들은 명함도 내밀기 어려운 수준. == 사회화 조언 == 스스로 정형인처럼 성격 개조를 하는 경우는 사회성 발전 측면에서 나름대로 좋을수도 있겠으나, 그 전에 먼저 본인 스스로가 진심으로 성격 개조를 하기를 원하는지를 잘 돌아봐야 한다. 당연하지만 성격과 습관이라는것이 1년안에 바뀌는 것이 절대로 아니며[* 특히 가치관은 성격과 습관 이상으로 바뀌기 쉽지 않다.] 중간중간 다른 사람한테 다가갔을때 심하게 무시당하며 상처를 입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런 시기에 본인 스스로 우울감에 심하게 빠질 스타일이면 차라리 괴짜 생활을 유지하는것이 오히려 좋을수도 있다.[* 특히 젊은시절 무례한 꼰대나 아니면 시정잡배 언행을 보이는 사람한테 잘못 걸려서 앞에서 또는 뒤에서 제대로 까였을 경우 생략. 해외에서라면 외국인, 이방인 신분이 되기때문에 여기에다가 은밀한 인종차별도 같이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마초 성향이 다소 있는 사회에서 사회성도 부족하고 운동도 못한다면 가능성은 더 올라간다. 정형인들도 공적인 공간에서 만큼은 기인을 나름대로 최소한 인간으로 대접해주는 모습을 보이지만 사적으로 기인 취향을 대접해 줄 가능성은 적으며, 간혹 온갖 험담 충고가 나오기도 하는데 이런 상황에 처할 경우 인간사회의 이런 모습에 대해 오히려 반감이 증폭되어 스스로 더 외로워지는 길을 선택할수도 있다.] 다만 본인 스스로 괴짜 생활을 유지할 경우 인간관계에 다소 제한이 걸리고 스스로 조금 외롭게 살아가는거 정도는 감수해야된다. 가급적이면 본인의 취미관련 분야의 동아리를 드는것을 추천한다.[* 동아리에서는 사회성이 조금 부족하고 특이해도 본인이 그쪽 분야에서 아마추어 수준급으로라도 빼어나면 인정받기 쉽기 때문이다. 물론 드러내며 너무 자만을 한다면 민폐다. 가급적이면 연령대가 다양하거나, 아니면 본인과 비슷한 동아리가 좋다.] 직장은 본인 스스로가 강철 멘탈이 아닌이상 가급적이면 소수자차별, 왕따문화가 없고 경쟁보다는 서로 오순도순 일하는 관용이 있는 곳이 좋다. 당연하지만 너무 많은것을 바라지 말고 주변에 당신을 괴롭히거나 아니면 돌아서서 비하 발언이나 쌍욕을 하는 사람이 없는거 만으로도 감사해야된다. 장소에 따라 케바케지만 보통 대다수의 사람들은 당신한테 개인적으로 별로 관심이 없고, 당신을 안좋아하는 사람은 보통 10명중에 한두명 나온다. 연애는 가급적이면 본인과 관심사가 비슷하거나, 아니면 다른 분야라도 어딘가에 잘 몰입되는 또 다른 괴짜, 아싸와 하는것이 서로 나눌 수 있는 포인트도 많고 좋다. 당연하지만 괴짜를 변화시키려고 강요하거나 사사껀껀 잔소리를 많이하는 사람은 괴짜 입장에서 아주 힘들다. 이런 사람을 만약에 호기심 삼아서라도 사귈 경우 잘못하면 양쪽 모두에게 헬게이트가 열리니 주의하기 바란다. 물론 그런 사람이 당신한테 가까이 사적으로 접근할 확률은 더 적은 편이다.[* 보통 접근해서 몇번 이야기 해보다가 알아차리고 적당히 거리를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만약에 모델급 남자, 여자만 원할정도로 본인의 눈이 높다면 사회에서 출세하기 전까지는 그냥 달 탐험도 아닌 안드로메다 탐험이 된다. 주변 환경이 본인의 특이한 취미를 보여주거나, 다소 기괴한 장기자랑을 중간중간 하며 박수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라면 정말로 금상첨화다. 애초에 사회생활이 최소한 가능하고, 괴짜기질이 중범죄로 이어지는 경우만 아니라면 스스로 창피해할 필요는 없다. 다만 공적인 공간에서는 가급적이면 겉으로 드러내기보다는 마음속으로 숨기는것이 더 나을것이다. == 목록 == === 등재 기준 === 아래의 등재 기준을 만족하는 인물만 서술한다. * 공식 설정으로 들어간 경우 * 공식적으로 칭하거나, 자신이 직접 괴짜라고 한 경우. * 언론에서 해당 인물에 대해 괴짜라는 표현을 사용한 경우. * 토론 합의로 등재가 합의된 경우. === 실존인물 === * [[Chris-Chan]] * [[고이즈미 준이치로]]: [[http://www.yes24.com/Product/goods/226336|책 제목으로도 있고 본인이 스스로도 언급]], [[https://ko.wikiquote.org/wiki/%EA%B3%A0%EC%9D%B4%EC%A6%88%EB%AF%B8_%EC%A4%80%EC%9D%B4%EC%B9%98%EB%A1%9C|위키인용집]] * [[공병우]]: [[http://www.yes24.com/Product/goods/7468166|책 제목으로도 있음]] * [[구혜선]] * [[그리고리 페렐만]] * [[그랜트 모리슨]] * [[글렌 굴드]]: [[https://brunch.co.kr/@kwangheeyoo7f9q/266|링크]],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03827.html|기사]] * [[기안84]]: 오죽하면 별명이 태어난김에 사는 사람이다. * [[김기영(1919)|김기영]] * [[김병지]] * [[김병현]] * [[김장훈]]: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51214010128300080021|기사]] * [[나미카와 다이스케]] * [[낸시랭]] * [[노홍철]] * '''[[노턴 1세]]''' 불우한 과거로 인해 '''정신질환의 늪에 빠져 스스로를 황제라고 망상한 행적이 많으나 오히려 그 기행을 발판으로 많은 선행을 해오며 유명해졌고''' 결국 같은 동네인 샌프란시스코의 시민들도 그의 인품을 존경하며 장단을 마쳐주기까지 하는 것을 넘어 지역의 발전과 인지도 향상에 좋은 영향을 남겨주며 도시의 마스코트가 된 위인이다. * [[도널드 트럼프]]: 기존 정치인, 대통령과는 대비되는 기이한 정책과 발언을 하는 괴짜 대통령이다. 그 뿐만 아니라 부자이면서 품격따위는 없는 졸부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참고로 트럼프는 --언행과는 달리-- '타고난 금수저'였으므로 졸부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 * [[디오게네스]]: '''무려 기원전이라는 고대 사회에''' 인종과 성별 유무없이 인간 평등을 주장해왔다. * [[레이디 가가]] * [[로날트 쿠만]]: 당장 괴짜같은 성격 때문에 한팀에 오래 있지 못한다.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루트비히 판 베토벤]]: [[http://www.mhj21.com/123863|기사]]. 괴팍한 성격과 인상 때문에 제자인 [[카를 체르니]]가 그를 처음 보고 울었다고 한다. * [[마윈]] * [[마츠토야 유미]]: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흔히 말하는 괴짜천재 되시겠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로 * [[메타 샌디포드아테스트]] * [[미첼 페레이라]] * [[박동진(축구선수)]] 경기장에서 개가 오줌을 싸는 모습을 한 골 세리머니를 보이기도 했다. * [[박찬욱]] * [[보리스 존슨]]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11101414861|기사]] * [[브베]] * [[빈센트 반 고흐]]: [[자해|자신의 귀를 스스로 잘라버린 일화]]는 유명하다. [[알코올 중독]][* [[압생트]]라는 고도주를 물처럼 마셔댔는데 이를 주체하지 못했다.]과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혹은 정신적 [[합병증]], 그에 따른 발작이 원인으로 꼽힌다. 동생 테오에 대한 [[애정 결핍]]을 죽을 때까지 해결하지 못했고, 애정 결핍의 문제를 알코올 중독으로 스스로 해결하려 했던 악순환이 반복되다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자살]] 의혹이 있지만 충분히 의심은 되대 확실하지는 않다. * [[서태지]] * [[신죠 츠요시]] * [[신태일(인터넷 방송인)]] * [[신해철]] * [[싸이]] * [[아만다 사이프리드]]: 취미가 박제 수집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말이 필요 없는 인류 역사상 일론 머스크와 맞먹을 정도의 괴짜라고 봐도 무방하다. 특히 [[메롱]] 사진[* [[파일:external/image.hnol.net/201102111316417591-167450.jpg|width=100]]]은 매우 유명하다. * [[아이작 뉴턴]]: 계란 대신 시계를 삶았다든가, 연금술에 집착했다든가, 실험한답시고 자기 눈을 찔러 실명 위기에 처했다든가, 평생 동정남으로 살며 이를 자랑스러워 했다든가--주식에 전재산을 꼴아박고 침몰했다든가-- 같은 기이한 일화들이 유명하다. * [[야나기 류켄]] * [[엑토르 베를리오즈]]: 오페라를 볼때 초면인 옆사람을 끌어안고 운다던가, 최고급 지휘봉을 선물받아놓고는 회답으로 나뭇가지를 보내 잘 다듬어 쓰라던가... 자세한것은 문서 참조. * [[이가와 게이]]: 일본 야구계에서 알아주는 괴짜 투수 되겠다. * [[이건희]]: 오른팔을 묶고 지내면서 왼팔의 적응력을 실험해본다던가 하는 기이한 면모로도 유명했다. * [[이누카이 아츠히로]] : 알고 보면 과거가 좋지 않아 똘끼가 생긴 것. * [[이외수]] * [[일론 머스크]]: [[천재]]성과 [[업적]], [[덕질]]과 [[기행]]이 합쳐진 괴짜 그 자체. * [[장준환]] * [[잭 그레인키]] * [[조빈]] * [[주다사]] * [[중광]] * [[진워렌버핏]] * [[천상병]] * [[최민수]] * [[최병철]] * [[최북]] * [[카니예 웨스트]] * [[쿠엔틴 타란티노]] * [[토니 퍼거슨]] * [[토마스 투헬]] * [[트레버 바우어]]: 야구계에서 독보적인 괴짜 캐릭터로 통하며, 국내 언론에서 바우어를 소개할 때에도 '괴짜' 투수라는 칭호가 붙곤 한다. [[http://mlb.mbcsportsplus.com/news/?mode=target&idx=99818292.000#07D0|기사]] * [[팀 버튼]] * [[톰 웨이츠]] * [[허경영]] * [[호세 레네 이기타]] === 가상인물 === * [[101 달마시안 2]] - 라스[* 점박이를 이용한 작품을 만들 때 [[크루엘라 드 빌]]이 달마시안 새끼들을 몽땅 죽여서 만들 것을 제안하는데 라스는 "내가 괴짜긴 해도 정신병자는 아니라고요!"라고 화를 내며 말대꾸했다. 대사만 들어도 그가 괴짜인 건 확실하지만, 완전한 악당이 아닌 선역이다.] * [[괴짜가족]][* 제목 때문에 대부분 캐릭터가 괴짜인 줄 아는 팬도 많다.] - [[이대롱]] * [[낭만닥터 김사부]] - [[김사부]] * [[네모바지 스폰지밥]] - [[스폰지밥(네모바지 스폰지밥)|스폰지밥]] * [[던전앤파이터]] - [[디멘션 워커]] * [[덴마]] * [[고드(덴마)|고드]]: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14|출처]] * [[고산 공작]]: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292|출처]] * [[아비가일(덴마)|아비가일]]: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52|출처]],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19874&no=353|출처 2]] * [[마블 코믹스]] - '''[[미스터 판타스틱]]''' * [[문호 스트레이독스]] - [[다자이 오사무]], [[에도가와 란포]] * [[블루 아카이브]] - [[유토리 나츠]] * [[빅뱅 이론(시트콤)]] - [[셸든 쿠퍼]] * [[수상한 메신저]] - [[707(수상한 메신저)|707]] * [[슈퍼전대 시리즈]]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 [[진 마사토]] * [[우주전대 큐레인저]] - [[쇼 론포]] *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 [[오시키리 시구루]] * [[임금님전대 킹오저]] - [[히메노 란]], [[스즈메 디보우스키]] * [[심즈 시리즈]] - [[모티머 고트]] * [[앙상블 스타즈!]] - [[츠키나가 레오]], [[아마기 린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 * [[원신]] - [[호두(원신)|호두]]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키시베 로한]] * [[진격의 거인]] - [[도트 픽시스]], [[한지 조에]] * [[철권 시리즈|철권]] - [[폴 피닉스]], [[마샬 로우(철권)|마샬 로우]], [[리리 로슈포르]] * [[크레용 신짱]] - [[노하라 신노스케]], [[보오]] * [[테일즈런너]] - [[엘림스 스마일]] * [[티미의 못 말리는 수호천사]] - [[티미 터너]] * [[투패전설 아카기]] - [[와시즈 이와오]] * [[페르소나 5]] - [[키타가와 유스케]] * 포켓몬스터 - [[메타몽]]의 전용 특성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텐마 츠카사]], [[카미시로 루이]] [* 인연 랭크 5레벨 칭호가 '괴짜 원투' 이다. 츠카사가 괴짜 1, 루이가 괴짜 2이다.] * [[해리 포터 시리즈]] - [[루나 러브굿]] * [[BanG Dream!]] - [[츠루마키 코코로]], [[와카미야 이브]], [[히카와 히나]] * [[D4DJ]] - [[시라토리 쿠루미]], [[타케시타 미이코]] * [[Grand Theft Auto V]] - [[Grand Theft Auto V/미션 일람/낯선 사람 및 괴짜|서브미션에 등장하는 괴짜들]] * [[SCP 재단]] - [[잭 브라이트 박사]], [[알토 클레프 박사]], [[콘드라키 박사]] * [[takt op.]] *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 - [[무지카트]] [[마왕(takt op.)|마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