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 '''{{{#fff [[파일:광주체육고등학교 교표.png|width=20]] 광주체육고등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민국의 체육고등학교)] ---- [include(틀:광주광역시 북구의 고등학교)] }}} || ---- ||<-2> '''{{{#white {{{+1 광주체육고등학교}}}[br]光州體育高等學校[br]Gwangju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 ||<-2> [[파일:광주체육고등학교 저화질 교표.jpg|width=50%]] || || {{{#white '''교훈'''}}} || '''[[언행일치]](言行一致)''' || || {{{#white '''개교'''}}} || [[1972년]] [[12월 23일]] || || {{{#white '''유형'''}}} || [[특수목적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형태'''}}} || [[공립]] || || {{{#white '''교목'''}}} || [[히말라야시다]] || || {{{#white '''교화'''}}} || [[동백꽃]] || || {{{#white '''교장'''}}} || 육철수 || || {{{#white '''교감'''}}} || 엄길훈 || || {{{#white '''학생 수'''}}} || 243명[br](2023.09.01) || || {{{#white '''교직원 수'''}}} || 34명[br](2023.09.01) || || {{{#white '''관할 교육청'''}}} || [[광주광역시교육청]] || || {{{#white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북구]] 하서로 55 (운암3동 184) || || {{{#white '''웹 사이트'''}}} || [[http://gwangju-p.gen.hs.kr/main/main.ph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include(틀:지도, 장소= 광주체육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체육고등학교(光州體育高等學校)는 [[광주광역시]] [[북구(광주)|북구]] 운암3동에 있는 [[공립학교|공립]] [[체육]]계 [[특수목적고등학교]]다. [[광주광역시]]의 예산이 부족하여 공립학교를 세우거나 유지하기가 힘들어, 학교 대부분이 [[사립학교|사립]]이다. 광주체육고등학교는 그 흔치 않은 공립 학교 중 한 곳이다. == 학교 연혁 == * 1972.12.23. | 전남체육고등학교 설립인가([[교육법]] 제85조에 의거) * 1973.03.15. | 전남체육학교 신입생 입학식 * 1976.03.08. | 전남체육고등학교 개교 * 1990.03.01. | [[광주체육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92.06.17. | [[특수목적고등학교]]로 지정 * 2010.02.06. | 제32회 졸업식(79명, 총 졸업생 2,936명) * 2010.03.01. | 제12대 김광수 교장 부임 * 2011.03.03. | 입학식 100명(남 72명, 여 28명) * 2011.09.01. | 제13대 김영록 교장 부임 * 2013.03.04. | 입학식 98명(남67명, 여31명)제14대 김성남 교장 부임 * 2016.03.01. | 제15대 문종민 교장 부임 * 2016.03.02. | 입학식 100명(남 67명, 여 33명) * 2017.03.01. | 제16대 김귀회 교장 부임 * 2017.03.02. | 입학식 102명(남 67명, 여 35명) * 2018.02.10. | 졸업식 101명(남 61명, 여 40명) * 2018.03.02. | 입학식 99명(남 63명, 여 36명) * 2019.01.31. | 졸업식 92명(남 60명, 여 32명) * 2019.03.01. | 제17대 김성남 교장 부임 * 2019.03.04. | 입학식 104명(남 67명, 여 37명) * 2020.03.02. | 입학식 91명(남 62명, 여 29명) * 2021.01.08. | 제43회 졸업식(75명, 총 졸업생 3,887명) * 2021.03.02. | 제46회 입학식 75명(남 47명, 여 28명) * 2022.01.08. | 제44회 졸업식(95명, 총 졸업생 3,982명) * 2022.03.01. | 제18대 교장 부임 * 2022.03.02. | 제47회 입학식 97명(남 62명, 여 35명) * 2022.09.01. | 제19대 교장 부임 == 교훈 및 상징 == === 교육 목표 === (1) 바르게 행동하며 도덕성을 지닌 존경받는 체육인 (도덕인) (2) 자기 주도적인 실천력과 고도의 창의력과 높은 품격을 지닌 체육인 (창조인) (3) 기초학력의 기반 위에 삶의 행복을 누리는 체육인 (건강인) (4) 사회와 더불어 살아가며 공동체 발전에 공헌하는 체육인 (협동인) ==== 교육 목표 구현 및 중점 사항 ==== 가. 기본 예절 실천의 생활화 나. 의향정신 계승 발전 다. 자율적인 질서 의식 함양 라. 학교 공동체의 날 운영 마. 근검 절약 생활화 바. 학교 폭력 추방 사. 사제동행 현장 체험학습 프로그램 운영 === 교가 === || [[파일:song.png|width=100%]] || == 운동부 == [[육상]], [[체조]], [[수영]], [[유도]], [[복싱]], [[역도]], [[레슬링]], [[양궁]], [[태권도]], [[사격(스포츠)|사격]], [[조정(스포츠)|조정]], [[펜싱]], [[배드민턴]], [[근대 5종]], [[볼링]], [[인라인 스케이트]], [[사이클(스포츠)|사이클]], [[배구]][* 송원여상 배구부 해체의 반대급부로 여자 배구부를 창단했다.] === 배구부 === *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1264|2013년 12월 10일에]] 창단했다. * 한때 [[정호영(배구선수)|정호영]]이 이 학교에 다녔다. 정호영이 [[선명여자고등학교 배구부]]에 전학가자, 광체고는 배구부 해체를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80801/91327059/4?comm|고려했다]]. 정호영이 광체고를 졸업했다면 42회 졸업앨범에 나왔을 것이다(2020.1.3). * 2016년 광주체육중학교 및 광주체육고등학교가 성추행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fivb&no=292328&page=1|의혹을 일으켰다]]. * [[https://blog.naver.com/eyetour1/220814668286|광주광역시 체육고등학교 성추행 사건에 대해]](9. 18, 문종민 교장) * [[http://omn.kr/1oxwo|"성추행 알리면 배구부 해체" 한 마디에 동료마저 등 돌렸다]](9.24, 오마이뉴스 강연주) *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19544|‘배구코치 성추행’ 해당 고교 교장 직위해제]](10.17, 남도일보 김명식) * 2021년 9월 30일 창단식에서, 광주체육고등학교 배구부가 응원 영상에 출연했다. 광주체육고등학교 주장 3번 손은진 학생이 학교를 대표하여 창단식을 축하해주었다. * 2021년 10월 초, [[페퍼스타디움]](광주 서구 금화로 278, 구 염주종합체육관)에서 광체고 배구부 학생들이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와 연습 경기 및 합동 훈련을 실시하여, AI 페퍼스 구단의 선수단이 홈구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욌다.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해 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기대서]] * [[김덕현]]([[육상]]-멀리뛰기 및 세단뛰기) * [[김종현(사격)|김종현]]([[사격(스포츠)|사격]]) * [[김주향]]([[배구]]): 광주체고가 배출한 1호 배구 선수로 [[한국프로배구 신인드래프트/여자부/2017년-2018년|V-리그 2017-18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3순위로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현대건설]]에 지명 받았다. * [[문준흠]]([[육상]]-투해머) * [[손은진]]: 광주체고가 배출한 3호 배구 선수로 [[한국프로배구 신인드래프트/여자부/2022년-2023년|V-리그 2022-23 드래프트]] 종료 이후 지역 연고 구단인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에 수련 선수로 지명 받았다. * [[안산(양궁)|안산]]([[양궁]]) * [[안세영]]([[배드민턴]]) * [[양학선]]([[체조#s-5.1.1|기계체조]]-도마) * [[여홍철]]([[체조#s-5.1.1|기계체조]]-도마) * [[이은지(배구선수)|이은지]]: 광주체고가 배출한 2호 배구 선수로 [[한국프로배구 신인드래프트/여자부/2021년-2022년|V-리그 2021-22 드래프트]]에서 지역 연고 구단인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에 지명받았다. * [[지유찬]]([[수영]]) * [[차영수]]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광주박물관 정류장: [[광주 버스 송정33|송정33]][* 도보 5~10분] * 체육고.폴리텍대학 정류장 : [[광주 버스 송정29|송정29]], [[광주 버스 문흥53|문흥53]], [[광주 버스 상무63|상무63]], [[광주 버스 용전84|용전84]], [[광주 버스 용전85|용전85]], [[광주 버스 첨단95|첨단95]] * 문화예술회관[* 도보 10~15분 소요, 체육고 정류장 경유노선은 적지 않는다.] 정류장 : [[광주 버스 수완12|수완12]][* 하남행 운암3단지 승하차], [[광주 버스 매월16|매월16]], [[광주 버스 문흥18|문흥18]], [[광주 버스 봉선27|봉선27]], [[광주 버스 수완49|수완49]][* 이상 4개노선 첨단/수완 방향은 운암시장/운암3단지 승하차], [[광주 버스 운림51|운림51]], [[광주 버스 금남58|금남58]][* 이상 2개노선 양방향 정차],[[광주 버스 송암72|송암72]][* 수완49와 동일],[[광주 버스 용봉83|용봉83]][* 반시계 방향만 정차, 시계방향은 경신여고에서 용전85환승], [[광주 버스 첨단192|첨단192]][* 장성행만 정차, 중앙여고행은 운암중에서 송정29 또는 경신여고에서 용전85환승], [[광주 버스 북구777|마을777]], [[장성 버스 100|100(장성)]][* 이상 2개노선 운림51과 동일] [[분류:북구(광주광역시)의 고등학교]][[분류:체육고등학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1976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