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기도 광주시의 고등학교)] ||<-2> '''{{{+1 광주중앙고등학교}}}[br]Gwangju Joongang High School[br]廣州中央高等學校''' || ||<-2> {{{#!wiki style="margin: 20px 0px" [[파일:광주중앙고_CI.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 광주중앙고등학교, 너비=100%)]}}} || || '''개교''' || [[1952년]] || || '''유형''' || [[종합고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김진양 || || '''교감''' || 정성운 || || '''학생 수''' || 1,247명[*기준 2023.03] || || '''교직원 수''' || 105명[*기준 2023.03] || || '''교훈''' || '''창의, 성실, 협동''' || || '''교화''' || '''개나리''' || || '''교목''' || '''은행나무''' || || '''관할 교육청''' || [[경기도교육청]] || || '''주소''' || [[경기도]] [[광주시]] 역동로63번길 1 (역동) || || '''홈페이지''' || [[https://gjja.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광주시]] 역동에 위치한 일반계 및 특성화(농업계) 고등학교(종합고등학교). 1942년 이 학교가 지어질 당시의 명칭은 '광주농업고등학교'였다가 1971년 광주종합고등학교로 바뀌었다. 이후 2006년 광주중앙고등학교로 개명하였다. 기성세대는 아직도 과거의 명칭인 광주종고로 부르기도 한다. 종합고등학교라는 명칭답게 인문계열과 특성화계열이 모두 존재한다. == 학교 연혁 == * 1942. 04.01: 광주 공립 실수학교 개교 * 1952. 07.09: 광주농업고등학교 개교(농업과 3학급) * 1952. 09.03: 석성균 초대 교장 취임 * 1971. 12.30: '''광주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97. 07.10: 풍물놀이반 창단 * 2003. 09.26: 경기도 지원 『좋은 학교』선정 * 2006. 03.01: '''광주중앙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2007. 09.28: 보통과 30학급, 특성화 12학급 * 2010. 09.01: 제 20대 김현수 교장 취임 * 2011. 09.01: 청운관 신축 * 2014. 02.06: 제 60회 졸업(538명, 총 14,375명) * 2014. 03.03: 482명(14학급[* 보통과 10학급, 특성화 4학급]) 입학 * 2014. 09.01: 제 21대 이세현 교장 취임 * 2016. 09.01: 제 22대 김만곤 교장 취임 * 2021. 03.01: 제 23대 김진양 교장 취임 == 교훈 및 상징 == === 교육목표 === [[파일:gjhs_target.jpg]] === 학교 상징 및 교훈 === [[파일:gjhs_ang.jpg]] [* 여담으로 광주중학교와 교가가 거의 똑같다. 가사 中 '광주중학교' 부분만 '광주중앙고'로 수정되었을 뿐 나머지 부분은 완전히 같다.] == 특성화계열의 학과[* 인문계는 해당 없음.] == * 농업유통정보과 * 산업기계과 * 식품가공과 * 조경과[* 2016년 조경과로 학과명이 바뀌었다. 변경 이전의 명칭은 화훼장식과.] == 학교 시설 == * 학교 총 부지면적: 78,984㎡ (교내 65,569㎡, 교외 13,415㎡) * 보통교실: 46실 * 특별실: 총 15실 - 과학실: 3실 - 미술실: 1실 - 다목적실: 1실 - 성적처리실: 1실 - 도서실: 2실 - 상담실: 1실 - 모둠학습실: 1실 - 시청각실: 1실 - 방송실: 1실 - 휴게실: 2실 - 인쇄실: 1실 * 관리실: 11실 * 보건실: 1실 * 급식실: 1동 2층 * 체육관: 1동 2층 * 미래관(1~2층): 1동 * 풍물전수관: 1동 2층 * 식품공학관: 1동 * 산업공학관: 1동 * 기숙사: 2동 * 멀티미디어실: 1실[* 컴퓨터실이다. 사양은 i5 8500, 8GB RAM 정도이다.] * 정보처리실: 2실 * 식품기초실습실: 1실 * 제빵실습실: 1실 * 식품가공실습실: 1실 * 육묘온실: 1실 * 벤로온실: 1실 * 포장디자인실: 1실 * 관엽온실: 1실 * 화훼장식실: 1실 * 농업기초실습실: 1실 * 운전연습장: 1실 * 농업기계실: 1실 * 원동기정비실: 1실 * 농업공작실: 1실 * 보일러실: 1실 * 제도실습실: 1실 * CAD그래픽실: 1실 * 중장비정비실: 1실 * 숙직실: 1실 * 창고/관사: 1실 ==== 기숙사 ==== ===== 미래관 ===== [[파일:20160416_122840.jpg]] 신관 동측에 위치한 5층짜리 건물 중 3~5층을 기숙사 및 자율학습실로 사용하고 있다. 1층은 도움반 학생들의 교실, 2층은 도서관--이라 하기엔 너무 작다--과 음악실 등이 있다. 3층에는 대부분의 기숙사 학생들이 야자시간에 자습하는 대학습실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모아놓은 3학년 SKY[* 그 대학입시의 [[SKY(대학교)|SKY]]를 나타내는 스카이 맞다. 교사에 의하면 스카이룸에서의 진학 실적이 더 좋다고 한다.]룸과 E-learning실을 개조한 1,2학년 SKY룸이 있다. 3학년 스카이룸은 바닥을 깨끗하게 해놔 맨발로 다니지만 1,2학년 스카이룸은 [[그런거 없다]]. 복도에 복합기와 인쇄를 위한 노트북[* 다만 노트북은 인터넷 들어가는데만 한세월이 걸리고 아직도 [[윈도우7]]을 쓰는 오래된 노트북이다.]이 있다. 전체적인 학습분위기는 해마다 들어오는 학생들의 수준에 의해 좌우되는 만큼 편차가 있는 편이다. 화장실은 과거 남녀 모두가 사용했던 시절의 흔적으로 남녀 화장실 둘 다 있는데 아무쪽이나 이용해도 상관없다. 과거에 여자화장실이었던 곳이 비데가 많아 대변을 볼 때 좋다고 한다. 4~5층에는 자율학습 종료 후 취침할 수 있는 숙소와 샤워실 등이 마련되어 있다. --녹물이 가끔 출현하기도 한다.--[* 녹물은 학교 시설의 문제도 있지만 광주시의 낡은 상수도 배관을 공사하면서도 생긴다.] 1,2학년 수업 건물인 신관과 급식실이 이 미래관과 연결되어 있어서 1,2학년 학생들은 5분 이내의 생활 반경을 실행할 수 있다. 비가 와도 우산이 필요 없다. 청운관이 지어지기 전에는 4층이 남자 기숙사, 5층이 여자 기숙사였다. 학습실은 동일하게 3층. 단 남학생과 여학생의 자리 배치에는 어느 정도 구분이 있기는 했다. ===== 청운관 ===== [[파일:20160416_122845.jpg]] 미래관 맞은 편에 있는 건물로 약 2011년에 완공 되었다. 총 4층으로 되어있고 기숙사 학생들은 2~4층을 사용한다. 1층에는 교무실과 교장실--[* 덕분에(?) 청운관은 여자기숙사임에도 불구하고 남자 교장이 자주 들어간다는 [[카더라 통신]]이 있다.]--, 행정실, --수요일만 되면 외출을 끊으려는 자의 물결이 이는-- 사무실(청운학사)이 있다. 2층은 남자기숙사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기숙사 학생들이 야자시간에 자습하는 자율학습실과 자율학습실 중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모아놓은 드림룸, 인터넷 강의 시청이 가능한 노트북과[* 인원은 같지만 청운관은 미래관보다 노트북이 약 두배가량 많다. 때문에 미래관에서는 불만을 자주 토로하고는 한다.] 자료 인쇄가 가능한 복합프린트기가 마련된 E-learning실이 있다. 그리고 서로 모여서 공부를 가르쳐줄 수 있는 스터디룸이 각 학년 별로 하나씩 있다. --거의 대부분 떠들려고 간다-- 또 스터디룸 안에 침대가 있어서 거기서 자는 학생들도 가끔 있다. 3층, 4층에는 숙소와 샤워실 등이 마련되어있다. 4층이 3층보다 샤워실과 추공실(추가공부실)이 더 넓기 때문에 4층을 선호하는 학생들도 있지만 무엇보다 '''3층에는 와이파이가 터진다.''' 여담으로 3층 어떤 방 에서는 거기서 생활하는 학생들 대부분 한 번씩 가위에 눌려서 귀신 나오는 방으로도 불렸다. 요즘은 안 그러는 듯 하다. == 학교 생활 == 교문으로 들어와서 맨 앞 오른쪽에 있는 건물이 구관(본관)이고 왼쪽에 있는 건 벽돌로 외관이 꾸며진 신관인데[* 매년 신입생 예비소집일에 모든 인문계 입학 예정인 학생들이 신관 1학년 반으로 모이는데, 상당수의 학생이 지금 자신이 앉아 있는 곳이 신관이라는 사실에 놀란다.], 구관(본관)엔 1학년 교실이 배치되고 신관엔 2, 3학년 교실이 배치된다. 만들어진 때가 달라서인지 구관(본관)엔 건물 뒷쪽 끝(정문 기준)에 화장실이 배치되었고 그렇기에 3학년 앞쪽반 학생들(1,2,3반)은 화장실을 갔다오기 위해 --귀중한-- 쉬는 시간을 생각보다 많이 소모해야 한다. 신관엔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운동장엔 여느 학교처럼 인공잔디가 깔린 축구장이 있고 그 주변을 [[분홍색]] 경주로가 감싼 형태이다. 이 경주로는 [[야간자율학습]]을 신청한 학생들이 저녁 급식을 먹고 산책을 하는 곳이기도 하고, --기숙사 커플들의 데이트 코스이기도 하다-- 학교가 저녁때에도 개방되어 있다 보니 동네 주민들이 가끔 산보하는 곳이기도 하다. 축구장에서 더 깊게 들어가면 농구장과 철봉[* 보도 블럭이 다 드러난 곳에 난데없이 배치 되어있다. 관리를 잘 안해서 가을에는 은행잎으로 테러를 당한다(...)]과 풋살장이 있다.[* 본관을 등지고 보는 기준으로 왼쪽부터 풋살장, 농구장(2개), 그다음에 철봉이 있고, 농구장 앞에는 멀리뛰기 트랙으로 보이는 것도 있다.] 운동장 왼쪽에는 각종 초목을 심은 학교공원인 꿈동산이 있는데 벤치까지 있어서 낮에는 제법 괜찮은 산책로이고 --밤에는 아주 괜찮은 커플들의 데이트 코스이다.-- 여기서 졸업 사진을 찍기도 한다. 밤에는 인적이 없어서 좀 으스스하다. === 주요 행사 === * '''라온제''': 매년 12월 * '''체육대회''': 매년 5월 == 출신 인물 == * [[곽용식]] * [[박광서]] * [[박종진(1934)]] (전 광주시장) * [[방세환]] * [[조억동]] (전 광주시장) * [[TAK(작곡가)]]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인근의 [[광남고등학교(경기)|광남고]]만큼은 아니지만 학교가 외곽에 위치해 있다보니 교통이 조금 불편하다. 용인, 오포, 태전동, 광주시내 방면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학교 앞 정류소까지 오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성남, 초월, 곤지암 방면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구3번종점, 광주터미널 정류장에서 하차후 버스를 갈아타거나 도보로 5~10분 정도 걸어야 한다. 참고로 성남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3-1번을, 용인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20번을, 태전동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32번을, 오포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17번을, 퇴촌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38-42를 주로 이용하는 편이다. === [[버스]] === ==== 광주중앙고등학교 (38276, 38499) ==== * [[시내버스]] * [[경기광주 버스 1|경기광주 버스 1, 1-20, 1-21, 1-22, 1-23]] * [[경기광주 버스 100]] * [[경기광주 버스 15-2]] * [[경기광주 버스 15-3]] * [[경기광주 버스 15-5]] * [[경기광주 버스 17]] * [[경기광주 버스 17-1|경기광주 버스 17-1/17-1A]] * [[경기광주 버스 31-2]] * [[경기광주 버스 32-2]] * [[경기광주 버스 33-4]] * [[경기광주 버스 33-7]] * [[경기광주 버스 34|경기광주 버스 34, 34-1, 34-12, 34-16]][* 오포읍 공영버스] * [[경기광주 버스 35-21|경기광주 버스 35-21, 35-33, 35-34]][* 초월읍 공영버스] * [[경기광주 버스 38-19|경기광주 버스 38-19, 38-24, 38-41, 38-41A, 38-42, 38-43]][* 퇴촌, 남종면 공영버스] * [[경기광주 버스 60]] * [[경기광주 버스 660]] * [[용인 버스 20]] * [[마을버스]] * [[경기광주 버스 광주1]] * [[경기광주 버스 광주2]] * [[경기광주 버스 광주3]] ==== 광주2육교 (38274) ==== * 시내버스 * [[성남 버스 3-1]] === 철도 === * [[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강선]] [[경기광주역]] == 기타 == * 하복은 흰색 반팔 상의와 옅은 회색의 하의로 평범한 디자인이다. 동복은 갈색 하의와 흰색 [[와이셔츠]] 위에 '''고동색과 자주색을 섞은듯한 기괴한 색의 [[가디건]](혹은 [[조끼]])'''을 입고 '''짙은 황토색 부직포로 만들고 어깨뽕을 살짝 첨가한 [[마이(동음이의어)#s-4|마이]]'''라서 처음 입어보는 신입생들은 위화감이 좀 들지도 모른다. 2015년 2학기 때부터 [[명찰]]도 지급했지만 [[핀#s-1|핀]]이 달려 있어서 빼고 다닐 수가 있다보니 착용하지 않는 학생들도 많다[* 사실 핀이 질이 안 좋아서 물 좀 묻으면 바로 [[녹]]이 슨다 [[카더라]].].그래도 교사들이 학생들 이름을 잘 외우기 위해서 원래 없던것을 심사숙고해서 만들기로 결정한 거니 교사를 배려하는 착한 학생들은 교내에서만이라도 착용해 주자. * 네이버에 '광지원농악보존회'를 검색하면 학교의 풍물전수관이 나온다. * 풍물반은 매 방학마다 여름, 겨울 합숙을 하는데 매번 합숙마다 꼭 발표회를 한다. 풍물반 학생들의 노력을 봐서라도 한번쯤 보러가 주자. 이렇게 힘들게 연습해서 그런지 풍물반 대회와 진학실적이 썩 좋은 편이다. * 신관 5층에는 흡연실이 있었다. 당연히 학생용은 아니고 교사용. 현재는 철거되었다. * 챌린저반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 학교이기도 했다. 대상은 기숙사에는 들어갈 성적은 못 되지만 공부하고 싶은 학생들. 근데 이 챌린저반의 프로그램이라는 게 별도의 교실(챌린저 실)에서 11시 30분까지 [[야간자율학습]]. 그게 끝이다. 태전동-오포 방면의 버스가 늦어도 10시 30분이면 끊긴다는 걸 감안하면 부모가 알아서 태우러 오라는 거나 다름없다. 이런 부조리한 시스템임에도 불구하고 수요는 꽤 있었다(...) * 남자 기숙사의 열람실에는 [[SKY(대학교)|SKY]]룸이 있는데 어원은 대학입시의 그 스카이 맞다. 특실이라고도 불렸는데 간단히 말해 성적이 가장 우수한 학생들을 학년별로 모아놓은 곳이다. 열람실로 들어가는 길에 있는 한쪽 벽면이 유리로 되어있는 방인데 취지는 우수학생의 수학 여건 보장 + 기타 학생들의 동기부여였겠지만... 초창기에는 일반 학생들이 쓰는 책상보다 불편한 책상을 쓰고 사물함도 따로 있어 보통 자리보다 더 번거로운 곳이었다. 게다가 개중에는 눈에 너무 잘 띈다며 불편해한다는 학생도 있었고. 그럼에도 많은 학생들이 선망하는 곳이기도 했다. * [[이승기]]의 [[https://youtu.be/9lMotttjxYg|'하기 힘든 말' 뮤직비디오]]의 배경으로, 2006년 당시의 학교 모습이 조금씩 담겨 있다. 이승기와 남상미가 같이 촬영한 교실은 본관 1층 교문과 가장 가까운 교실이었다. [[https://youtu.be/id-YGwndN1I|영상]] [[분류:광주시의 고등학교]][[분류:일반계 고등학교]][[분류:경기도의 특성화고등학교]][[분류:1952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