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광주광역시 남구의 고등학교)] ||||
'''{{{+1 광주석산고등학교}}}[br]光州石山高等學校[br]Gwangju Seoksan High School''' || |||| [[파일:광주석산고등학교.png]] || ||||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석산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70년]] [[12월 30일]]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 [[남학교]] || || '''형태''' || [[사립]] || || '''학교법인''' || 석산학원 || || '''교장''' || 김희균 || || '''교감''' || 한경옥 || || '''교훈''' || 성실 협동 봉사 || || '''교화''' || 목련꽃 || || '''교목''' || 향나무 || || '''학생 수''' || 635명[*기준 2023년 4월] || || '''교직원 수''' || 72명[*기준] || || '''관할 교육청''' || [[광주광역시교육청]] || || '''주소''' || [[광주광역시]] [[남구(광주광역시)|남구]] 백운로26번길 20 || || '''웹사이트''' || [[http://seoksan.gen.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남구(광주)|남구]]에 위치한 일반계 사립 고등학교. == 학교 연혁 == ||1970년||학교법인 석산학원 초대 이사장 손성규 선생 추대|| ||1970년||학교법인 석산학원 설립인가|| ||1970년||초대 교장 손영환 선생 취임, 광주석산고등학교 설립인가|| ||1971년||개교 및 제1회 입학식|| ||1974년||제1회 졸업식(369명)|| ||1978년||제3대 교장 문태수 취임|| ||1981년||제2대 이사장 박옥희 취임|| ||1982년||제3대 이사장 박영오 취임|| ||1984년||제4대 교장 손성규 취임|| ||1984년||제4대 이사장 박옥희 취임|| ||1990년||제5대 교장 권태룡 취임|| ||2001년||제6대 교장 국은표 취임|| ||2002년||신관 준공|| ||2003년||다목적 강당 신축|| ||2004년||제5대 이사장 손용선 취임|| ||2005년||신 교사 준공(24실)|| ||2006년||제7대 교장 이문효 취임|| ||2007년||제8대 교장 구희언 취임|| ||2008년||인재관(기숙사) 준공|| ||2009년||학부모지도봉사단 전국대상([[국무총리]]상 수상)|| ||2009년||인조 잔디운동장 준공 및 학교 종합장학 평가 우수학교 선정|| ||2011년||제38회 졸업식(339명),제41회 입학식(9학급 344명) || ||2011년||학업성취도 전국우수학교 선정|| ||2011년||[[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지정 후 1기 입학|| ||2012년||제39회 졸업식(353명),제42회 입학식(10학급 386명)|| ||2012년||제9대 교장 주태술 취임|| ||2012년||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지정 취소 및 일반고 전환(2013년 입학 신입생부터 일반고)|| ||2013년||제40회 졸업식(335명),제43회 입학식(342명)|| ||2014년||제41회 졸업식(335명),제44회 입학식(328명)|| ||2015년||제42회 졸업식(379명),제45회 입학식(325명)|| ||2015년||제10대 교장 김윤탁 취임|| ||2016년||온누리관 개관|| ||2018년||제11대 교장 정현 취임|| ||2019년||제46회 졸업식(313명,졸업생 누계 20,341명),제49회 입학식(223명)|| ||2020년||제47회 졸업식(295명,졸업생 누계 20,636명),제50회 입학식(201명)|| ||2021년||제48회 졸업식(220명,졸업생 누계 20,856명),제51회 입학식(205명)|| ||2022년||제49회 졸업식(214명,졸업생 누계 21,170명),제52회 입학식(216명)|| == 학교 특징 == 백운동에 있으며, 은근 [[충장로(광주)|시내]]랑 가깝다. 소소한 장점. ||<-3> 2020학년도 학생수 현황 || || 학년 || 학급수 || 학생수 || || 1학년 || 8학급 || 200명 || || 2학년 || 9학급 || 214명 || || 3학년 || 9학급 || 220명 || || 계 || 26학급 || 634명 || == 학교 시설 == 정문을 지나 언덕길을 따라 올라가면 인조잔디가 깔려있는 넓은 운동장과 신관이 보인다. 건물은 급식실, 기숙사, 신관, 본관, 미술실, 음악실, 체력단련실이 있다. 최근(2016년 5월 24일) '온누리관'이 신설되었다. 사실 과거의 석산고등 학교 건물은 그 명성높은 언덕길을 올라간 후 음악실까지 가는 또다른 언덕을 올라가야 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건물 부지만 남았고 구석지에 폐화장실만 철거되지 않은 상태이다.~~현재 흡연자들의 성지가 됐다 카더라~~--원래는 체력단련실 옆...소각장이라고 불렸지만 철거됐다. 지리상 위치 때문에 고3 전용이다-- 급식실과 강당은 같은 건물에 층만 다르다. 강당은 1,2,3 학년 전 학년을 수용하기엔 공간이 부족하며 양 옆 벽면이 튼실하지 못해 강당에서 체육시간에 무언가를 던지는 행위를 할때 주의해야한다. 다만 이는 건물 자체의 부실함보다 고등학생들의 활발함이 주 원인이다. === 인재365 === 장기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로 인하여 운영 중단된 기숙사를 리모델링하여 스터디룸으로 운영하고 있다. 매 학기 초에 학년 당 40명씩 선발한다. == 사건 사고 == [[2015년]] [[10월 27일]], [[야간자율학습]]을 몰래 뺀 석산고 1학년 학생들이[* 당시에는 야간자율학습이 의무였다.] '''[[미성년자]]인데 술집에서 술을 먹은 것을 [[SNS]]에 자랑스럽게 올렸다.''' 결국 그 글을 본 시민의 제보로 교육청에 알려져 징계를 받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8025704|기사]] 1년 후 2명은 자퇴를 하고 1명은 체육고등학교로 전학을 갔으며 나머지 학생들은 학교를 잘 다니고 있다고 한다. == 출신 인물 == * [[강진(가수)|강진]]: 가수 * 곽순기: 12회, 경찰청 과학수사과장, 경찰대(5기) 졸업 * [[김대현(1975)|김대현]] * 김수곤: 인천지방해양항만청장, 고려대 경영학과 졸업 * [[김윤식(1966)|김윤식]]: 10회, 정치인(시흥시장), 연세대 중문과 졸업 * 김영진: [[수원지방검찰청]] 차장검사, 전남대 법학과 졸업 * 김영환: [[중기부]] 기획조정실장, 서울대 국제경제학과 졸업 * [[김종근(1963)|김종근]]: 서울대 공법학과 졸업 * 김주성: 現 대통령주치의,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서울대 의과대학 졸업 * 김재철: 여수지방해양수산청장, 고려대 법학과 졸업 * [[김철근]]: 13회, 정치인, 중앙대 경제학과 졸업 * 김희준: [[제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 전남대 사법학과 졸업 * 박석현: 10회, [[광주지방국세청]] 청장,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 * [[박승기]]: [[해양환경공단]] 이사장, 한양대 토목공학과 졸업 * 박억수: [[전주지방검찰청]] 군산지청장, 고려대 법학과 졸업 * 박정운: 16회, [[광주지방법원]] 장흥지원장, 서울대 국제경제학과 졸업 * [[신정훈(1991)]] * [[양준욱]] * 오문교: 11회, 경기남부경찰청 정보과장, 경찰대(5기) 졸업 *[[오진영]] 유튜브 진국이네 맴버 * [[유재신(정치인)]] * [[이승남]] * 이용석: 12회, 전남지방경찰청 수사과장, 전남대 졸업 * [[이치훈(프로게이머)|이치훈]]: 클래시 로얄 프로게이머 * [[정수용(군인)|정수용]]: 12회, [[대한민국 해병대]] 소장 * [[정태흥]]: 17회, 고려대학교 법학과 졸업 * 조현호 : 광주지방법원 해남지원장, 조선대학교 법학과 졸업 * 하봉수: [[한국전력]] 해외사업본부장, 전남대 졸업 * [[황인권]]: 8회, 군인(육군 대장 예편, 前 [[제2작전사령관]]) == 교통 == 한마디로, 교통이 편리한 위치는 아니다. 자신에게 가장 합리적인 등굣길을 개척하도록 하자. === 버스 === [[광주 버스 금남55|금남55번]]을 타고 석산고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편의점과 정비소를 사이로 두고 길을 따라 쭉 올라오면 정문이 보인다. [[광주 버스 순환01|순환01]], [[광주 버스 진월17|진월17]], [[광주 버스 지원25|지원25]], [[광주 버스 봉선27|봉선27]], [[광주 버스 지원56|지원56]], [[광주 버스 금남59|금남59]], [[광주 버스 봉선76|봉선76]], [[광주 버스 첨단95|첨단95]], [[광주 버스 송정98|송정98]], [[화순교통|200, 217(-1), 218(-1)]], [[나주 버스 999|999(-1)]]번을 타고 '양림 휴먼시아 1차'에서 내려서 기독병원을 관통해, [[수피아여자고등학교]]를 거치면 발견할 수 있다. ‘남광주 농협’ 정류소에서 내리는 학생들도 많다. 학교까지의 거리는 비등비등하나 개인취향이다. 한번씩 양림 이차에서 내리는 불상사가 생길 때가 있다 [[인생|멘탈 바사삭]] === 택시 === 택시 기사들이 간혹 [[광주서석고등학교]]에 내려주는 실수를 할 때가 있다. 미래 아동병원 앞 사거리가 헬게이트다. 택시를 타면 대게 지각이 간당간당 할 때인데, [[교통체증|학교 다 와서 10분을 허비해 버리는...]] === 도보 === 만약 미래아동병원쪽에서 올라가야 하는 경우, 언덕을 올라가기 위해 계단을 올라야 하는데 일반적인 보폭으로 오르다 보면 계속 한발로만 계단을 올라가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게 은근 불편하다. === 학부모 동반 통학 === 택시에서도 똑같이 일어나는 일이지만 석산고등학교 정문 바로 앞은 매우 좁고 게다가 혼잡하므로 정문 100~200미터 전에서 내려야 한다. 개인사정으로 인해 학교에 늦는 학생들은 정문을 넘어 언덕위까지 올라가 버리기도 한다. == 기타 == * 학생부를 상당히 많이 써준다. 3년 내내 이 학교를 다닌 학생의 경우 특별한 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학생부 20장을 훌쩍 넘기는 경우가 있다. * 봄 정경이 매우 아름다운 편이다. 벚꽃이 등굣길부터 본관 및 음악실까지 이어져있으며, 대나무를 심어두는 등 사계절이 대체로 아름다운 정경을 자랑하고 있다. * 학교 안에 동물과 곤충이 굉장히 많다. 지네와 말벌 뿐만이 아니라 비오고 나서 등교길에 널부러져 있는 지렁이나 바퀴벌레 등도 있으며, 가끔 뒷산에서 다람쥐, 두더지도 발견된다고 한다. 믿기 힘들겠지만 부엉이도 아주 가끔 목격되었다. 하지만 뒷산의 일부를 깎고 아파트가 세워지고 난 뒤 목격이 힘들어졌다. * 2017학년 1학기 학생회의에서 등교길 교체 안건이 통과되었고 교장이 승인함에 따라서 1, 2학년의 등교가 조금 편해졌다. * 외출증이 없으면 수업중엔 교외로 나갈 수 없다. 주로 지킴이 교사(아마 수위)가 학생들을 검사한다. 하지만 '정기에요'라고 말하면 보내주는 안이한 모습을 보여주는 일이 빈번하다. 보안은 걸려있지만 뚫기는 식은 죽 먹기이다. 하지만 외출증 하나씩은 꼭 챙겨 놓도록 하는 것이 좋다. * 다만, 학교가 산속에 있다 보니까 학교를 탈출할 수 있는 여러 [[개구멍]]들이 존재한다. 미래의 콜럼버스같은 학생이 신개구멍을 개척하기도 하고 [[잡았다 요놈|신고 정신이 투철한 학우]]에 의해 막히기도 한다. 보통 인기가 많아지는 루트일수록 유동인구가 많아져 교사에게 걸릴 학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아는 사람들 끼리만 공유하려는 성향이 크다 [[비밀|하지만..]] * 음악실이 산 위에 산이다. 비 오는 날은 힘들다. 그냥 올라가는 것도 힘들다. 음악교사 중 차를 타고 올라가는 사람들도 있다. * 두발 제한은 비교적 깐깐하지 않다, 1, 2학년은 첫 교시 시작 전 핸드폰 제출이 의무다. * 학교 자체 동아리 야구부가 있다. 의외로 잘한다. 성적도 좋다. 연식(흔히 말하는 물렁공) 야구이며 약 3~4년 전 창단돼 상위권을 달리고 있다. 매 해 3위를 달리고, 2017년 6월 25일 극적으로 결승으로 진출하여 [[광주일고]]와 결승을 붙었지만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다. 훈련은 수요일 동아리시간[* 동아리 가입자 한정], 토요일[* 9시~11시, 대회 1~2주일 전에는 12시], 대회를 2주일 정도 남겨놓으면 점심시간, 저녁시간을 이용해 훈련을 한다. 훈련은 펑고, 타격훈련, 청백전으로 진행된다. 2018년도 역시 2018학년도 1학년 신입생을 모집하여 대회 참가 예정이다. * 광주에 몇 학교 없는 [[흥사단]] 고등학교 아카데미가 창단되어 있는 학교다. 타 고등학교 학생들과 함께 활동할 수 있다는 특별함으로 인해 학기 초 꾀 많은 학생들에게 거론되기도 한다. [[분류:남구(광주광역시)의 고등학교]][[분류:광주광역시의 남자고등학교]][[분류:1970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