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경찰청)]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주경찰청사.png|width=100%]]}}} || || '''광주광역시경찰청''' ||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height=50]]||{{{+1 {{{#2350a9 '''광주광역시경찰청'''}}}}}}[br]{{{#2350a9 光州廣域市警察廳}}}[br]{{{#2350a9 Gwangju Metropolitan Police Agency}}} ||}}} || || '''{{{#ffffff 약칭}}}''' || 광주경찰청/광주청/광주시경/광주광역시경 || || '''{{{#ffffff 설립일}}}''' || [[2007년]] [[7월 2일]] || || '''{{{#ffffff 청장}}}''' || [[치안감]] [[한창훈(경찰)|한창훈]] || || '''{{{#ffffff 관할 구역}}}''' || [[광주광역시]] || || '''{{{#ffffff 상급 기관}}}''' || [[대한민국 경찰청]](국가)[br][[광주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자치)[* 2021년 7월 1일][br][[국가수사본부]](수사) || || '''{{{#ffffff 전신}}}''' || 전남지방경찰청[*분리 2007년 전남지방경찰청에서 광주경찰이 [[광주지방경찰청]]으로 분리.][br]광주지방경찰청 || ||<|2> '''{{{#ffffff 소재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광역시경찰청, 너비=100%)]}}} ||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아로 112 || || '''{{{#ffffff 웹 사이트}}}''' || [[http://www.gjpolice.go.kr|광주광역시경찰청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일대를 관할하는 [[시·도경찰청]]. [[치안감]]이 청장으로 보임된다. [[광주광역시]]가 [[전라남도]] 산하 자치단체일 때는 [[전라남도경찰청|전라남도경찰부]]가 광주 지역을 관할하였고, 광주가 직할시-광역시로 분리된 후에도 한동안 당시 전남지방경찰청이 계속해서 관할하였으며 전남청 청사도 계속 광주광역시에 있었다. 그러다가 2007년 광주지방경찰청이 신설되어 옛 전남도청에 있던 전남지방경찰청 자리에서 광주광역시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고, 2011년 당시 전남지방경찰청은 서구 농성동 소재 옛 광주서부경찰서 청사를 사용하다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의 [[남악신도시]]로 청사를 신축 이전하였다. 광주지방경찰청도 광산구 소촌동에 청사를 신축 이전하였다. == 조직 == * 청장 * 홍보담당관실 * 청문감사담당관실 * 112치안종합상황실 * 공공안전부 * 경무기획정보화장비과 * 경무계 * 기획예산계 * 인사계 * 교육계 * 경리계 * 시설계 * 정보화장비기획계 * 정보통신운영계 * 장비관리계 * 경비과 * 경비경호계 * 대테러계 * 공공안녕정보외사과 * 정보관리계 * 정보분석계 * 정보상황계 * 정보협력계 * 정보외사계 * 수사부 * 수사심사담당관 (수사심의계) * 수사과 * 수사 1 · 2계 * 사이버수사대 * 디지털포렌식계 *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 피해자보호계 * 형사과 * 강력계 * 강력범죄수사대 * 과학수사계 * 마약범죄수사대 * 안보수사과 * 안보수사관리계 * 첨단안보수사계 * 안보수사1대 * 안보수사2대 * 자치경찰부 * 생활안전과 * 생활안전계 * 생활질서계 * 여성청소년과 * 여성보호계 * 아동청소년계 * 여성청소년범죄수사지도계 * 여성청소년범죄수사대 * 교통과 * 교통계 * 교통안전계 * 교통조사계 === 직할대 === * [[경찰특공대]] * 1기동대 * 2기동대 [* 혼성기동대] * 3기동대 * 4기동대 * --기동8중대-- [* 2022년 06월 29일에 [[광주남부경찰서]]에서 광주광역시경찰청의 마지막 [[의무경찰|의경]]부대인 기동8중대 해단식 개최 [[http://www.policenews24.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77|관련 경찰 뉴스]]] == 관할 경찰서 == [include(틀:광주광역시경찰청 휘하 경찰서)] * [[광주광산경찰서]] * [[광주동부경찰서]] * [[광주서부경찰서]] * [[광주남부경찰서]] * [[광주북부경찰서]] * ~~광주중부경찰서~~[* 가칭. 2022년 추진 단계로, 첨단3지구 지역에 준공될 예정이다. 광산구의 첨단1지구, 첨단3지구, 비아 공단 지역, 북구의 첨단2지구, 건국동, 운암동, 동림동 등을 관할 할 예정이다. 이을 위한 2023년 예산 중 30억원이 [[21대 국회]]에서 반영되었다. [[https://www.gwangju.go.kr/boardView.do?pageId=www789&boardId=BD_0000000027&seq=14376&movePage=1|보도자료]], [[https://media.gwangju.go.kr/view/bd09b23fa83bea4035af2b585fd581a8.ht|문서뷰어]]] == 의경 생활 == 2022년 6월 29일 기준으로 광주 [[의무경찰]]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아래 후술된 내용은 그 이전 사실이다. [[육군훈련소]]에서 4주 기초군사훈련을 수료한 후, [[광산구]] 하남동에 있는 '''광주의무경찰교육센터'''에서 2주 혹은 3주 과정의 의무경찰 신임대원 교육을 받게 된다. 수료 후 컴퓨터 추첨으로 자대가 결정된다. 폐지 전 광주 지역에는 5개의 방범순찰대와 타격대, 기동8중대가 운영되고 있었다. 5개 경찰서에 방범순찰대와 타격대가 같이 생활하고 있었다. * 기동8중대[* 광주경찰청 직할부대이며, 교통전담 중대이다. 광주에는 4개 기동대가 있는데 의경 기동대는 8중대가 유일하다. 타 중대와 다르게 일상에서는 방범근무다 없이 교통 업무를 주로 맡는다.] * 광주동부경찰서 * 광주서부경찰서 * 광주남부경찰서 * 광주북부경찰서 * 광주광산경찰서 * 광주경찰청 자경대 * 광주 경찰특공대[* 경찰견을 관리하는 견핸들러 특기대원 선발자들만 배치된다.] 방범순찰대는 해당 경찰서 내 경비교통과 혹은 경비과 소속 부서다.[* 경찰서 과 아래 부서인 '계'와 같다. 방순대장도 계장과 같은 [[경감(계급)|경감]]이다.] 그렇기 때문에 경찰서 내에 생활관이 있다. 보통 한 개 층을 통째로 쓴다. 각 지역 경찰서의 방범순찰대는 관할 행정동을 순환 근무 형식으로 방범 순찰하거나, 출퇴근 RH와 음주단속에도 지원근무를 나간다. 한달에 한두번씩 검열대비 훈련을 한다. 보통 기동8중대는 광주 전역의 교통관리에 근무한다.[* 2022년 상반기까지 유일하게 남아있던 광주 의경부대였다. 6.29 공식 해단식을 가지면서 해체되었고 남은 대원 18명은 희망하는 타시도 경찰청으로 전보발령되었다.] 광주광역시경찰청에서는 큰 상황근무는 별로 없다. 대부분 방범/교통과 같은 일상근무다. 하지만 타 지역에서 큰 상황이 발생하면 지원근무를 나간다. 예를 들면 큰 집회가 있거나 미국, 북한에서 주요인사가 방한/방남하여 VIP경호가 대규모로 필요할 때, [[경상북도]] [[성주군]] 사드배치 관련 반대 집회, 부산불꽃축제 등 다양하다. [[전라남도경찰청|전남지방경찰청]] 시절인 1990년대까지는 광주 권내에 있는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등의 학생운동이 매우 활발해서 이에 대응하기 애를 먹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당시 전남의 의경중대들은 엄청난 진압능력을 갖췄다는 평을 듣곤 했다. 2000년대 중반까지 청카바를 착용했던 중대가 있었을 정도. 그러나 이제는 학생운동도 많이 수그러들어서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 매체에서의 등장 == == 사건 사고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224071|[단독] SNS에 ‘민주화의 성지’ 썼다고…이철성 경찰청장, 광주청장에 격노]] 광주광역시경찰이 SNS에 '시민의 안전이 최우선, 교통통제 양해 부탁 드립니다' 식의 뉘앙스를 가진 글을 올렸다고 [[이철성(경찰)|이철성]] [[경찰청장]]이 직접 당시 청장 [[강인철]]에게 폭언을 퍼부었다. 사상 유례없던 경찰 수뇌부 간의 신경전으로 인해 결국 [[김부겸]] [[행정안전부장관]]이 중재에 나선 사건이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6&aid=0001388521|광주 폭행, 경찰 진압장면 본 여론 ‘공권력이…’ 무슨 말?]] 깡패 7명이 한 사람을 일방적으로 폭행하는데도 적극적 진압이 아닌, '''좋은 말로 해결하려 한'''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광주광역시경찰의 위상은 [[부산경찰청|여기]]처럼 나락으로 떨어졌다.[* 둘 다 SNS로 인해 논란이 일어났다는 점, 집단 폭행 사건 당시 무력한 경찰권을 보여줬다는 점이 통한다.] [[분류:광주광역시경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