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87번 522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0kYFMM.jpg|width=100%]]}}} || || 1187번. || 1187-1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1187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1187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광주광역시 서구 덕흥동(덕흥동) ||<-2>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원효사) || ||<|2> 종점[br]행 || 첫차 || 06:20 ||<|2> 기점[br]행 || 첫차 || 06:20 || || 막차 || 22:00 || 막차 || 22:00 || ||<-2> 배차간격 ||<-4> 23~30분 || ||<-2> 운수사명 || [[대원시내버스]], [[동화운수(광주)|동화운수]], [[삼원운수]] ||<-2> 인가대수 || 8대[* [[대원시내버스]] 2대, [[동화운수(광주)|동화운수]] 3대, [[삼원운수]] 3대.] || ||<-2> 노선 ||<-4> 덕흥동 - 유덕동행정복지센터 - 극락초교 - [[광천 e편한세상]] -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광주신세계|신세계백화점]] - 그린파크 - 북광주수협 - [[광주역|광주역(동)]] - 중흥1동행정복지센터 - [[금남로4가역]] -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국립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 - 동구청 - 법원입구 - 장원초교(서) - 제4수원지 - 충장사(남) - [[무등산|무등산국립공원(원효사)]] ||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1187-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1187-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원효사) ||<-2> 종점 || 광주광역시 동구 장동(전남여고) || ||<|2> 종점[br]행 || 첫차 || 07:38 ||<|2> 기점[br]행 || 첫차 || 07:00[* 첫차를 포함해 2, 3회차(07:20, 07:40) 출발 차량은 편도 운행] || || 막차 || 17:20[* 정상 개방 시 18:20][* 오후 4시 30분 출발 차량 부터는 편도 운행.] || 막차 || 16:30[* 순환형 노선이기 때문에 단정하기 어렵다. 원효사 출발 16:05 차량이 막차이니 주행 시간을 고려하여 참고하자. 카카오버스 앱에서는 막차가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정류소를 16:33에 통과하는 것으로 조회된다.] || ||<-2> 평일배차 || '''미운행''' ||<-2> 주말배차 || 20~25분 || ||<-2> 운수사명 || [[세영운수]] ||<-2> 인가대수 || 3대[* 정상 개방 시에는 추가 증차 운행한다.] || ||<-2> 노선 ||<-4> [[무등산|무등산국립공원(원효사)]] - (1187과 동일) - 동구노인종합복지관 - ( ← 동구청 ← 문화전당역 ← [[국립아시아문화전당|국립아시문화전당(구.도청)]] ← 5.18민주화운동기록관 ← ) - 전남여고 || == 개요 == 광주 도심과 무등산국립공원 원효사를 잇는 노선이자 '''[[광주 버스 228|228번]], [[광주 버스 419|419번]], [[광주 버스 518|518번]]과 더불어 노선번호 부여법칙을 따르지 않는 노선.''' [[http://map.naver.com/?busId=51050&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18번 시내버스(신창동 - 광주역 - 전남여고 - 농장다리 - 원효사)가 전신이다. 당시에는 호남대 광산캠퍼스에서 구.도청을 거쳐 무등산으로 올라가던 777번 좌석버스가 있었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50~60분으로 크게 길었다. * 광주시에서 좌석버스가 쇠퇴해감에 따라 777번도 이런 흐름을 버티지 못하며 입석버스로 전환되는 동시에 노선이 크게 변하게 되었다. * 2004년 개편 때 777번의 종점이 지산유원지로 바뀌고, 18번은 구.도청으로 단축된 동시에 번호가 1187번으로 바뀌었다. 이 때는 10개 회사가 모두 운행하기도 했다. * 2006년 대개편 때 [[광주역]]까지, 2007년에 [[유스퀘어]] 연계를 위해 [[광천동]]까지 연장되었다. * 2015년 10월 [[을로운수]]와 [[대창운수]]가 이 노선 운행을 철수하였다. * [[광천동]] 회차지 문제로 인해 2017년 노선 개편안에서 덕흥동까지 연장할 계획이 있었다. [[http://www.hankookilbo.com/v/2a6d61b35924473d82abd15f658958eb|관련 기사]] 그러다가 광천동 차고지가 패쇄되는 2017년 8월 28일부터 덕흥동에서 회차한다고 한다. 하지만 광천동 ~ 덕흥동 구간은 공차운행한다. [[화순교통]] 때문에 그런 조치를 한 듯 싶다. * 2018년 3월 2일 노선이 덕흥동으로 공식 연장되었다. * 2019년 7월 4일부터 농성지하차도 확장으로 차선이 짧아져, 농성교차로에서 좌회전해와 그린파크 방향으로 갈 수가 없게 되었다. 그로 인해 원효사 방향만 유스퀘어→현대자동차→광천초교→농성1동주민센터→그린파크로 경로가 변경되었다.[* 우회운행 구간은 무정차, 덕흥동 방향은 그대로 운행] 그러다 2020년 5월 1일부로, 양방향 정상 운행으로 환원하였다.[* 하지만 특성상 건강협회사거리에서 노선버스에 한해서 좌회전이 허용(그 외에는 좌회전 금지)되지만 상공회의소는 정차하지 않는다.] * 2020년 6월 27일부터 원효사 방향에 한해 기존 건강협회 사거리에서 좌회전 후 무정차로 통과하였던 농성파출소(2055)와 서구청(2050) 정류장을 추가로 정차한다. *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8월|2020년 8월 둘째 주에 발생한 광주지역 집중호우]]의 여파로 '충장사 ~ 원효사' 구간의 일부 도로가 유실 및 파손됨에 따라 '''1187번'''은 8월 12일 부터 단축 운행에 들어갔다가, 8월 22일 19시를 기해 정상 운행에 들어갔다. 본래 주말에만 운행하던 '''1187-1번'''의 경우 같은 사유로 2020년 8월 16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8월 29일부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 특징 == * 1187번은 [[광주광역시]]의 유명 관광지이자 상징 중 하나인 [[무등산]]의 해발 고도가 1,187m이라서, 이를 상징하기 위해 붙여진 번호다. * [[무등산]]으로 가는 노선들은 많지만, 1187번대를 제외하면 전부 증심사로 간다. * 산수오거리에서 원효사까지 상당히 깊숙히 들어가는 덕분에 행락철에는 많은 등산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주말에 타게 된다면 가능한 이른 시간에, 기점과 가까운 [[유스퀘어]], [[광천동]] 쪽에서 타는 것을 권장한다. 이로 인해 주말에는 주말에 운행하지 않는 3대를 가져와서 임시노선인 1187-1번을 운행한다. * 버스가 자주 안 오는 임동 자동차거리와 양동 주공아파트 지역에서 시내를 이어주는 역할도 한다. * [[금남로]] 일대에 행사가 있어 통제될 경우 보통 [[금남로4가역]] ~ 예술의거리입구 ~ [[전남여고]] ~ 동부노인복지회관 구간으로 우회한다. 다만, 2017 충장축제 때 수창초교 정문까지 통제됨에 따라 [[롯데백화점 광주점]]을 거치지 않고 대인광장 ~ 동부소방서 ~ 전남여고 ~ 동부노인복지회관 구간으로 우회했다. * 1187-1번도 주말에 행사가 있을 경우 조정되는데, 전남여고>동부소방서>대인광장(2곳)>롯데백화점>5가역, 4가역>예술의거리입구>전남여고 순으로 루프한다. * 이 노선도 산을 오르내리는 노선인 만큼 급커브가 상당히 많은 노선. 대신에 산수오거리에서 출발하여 [[무등산]]으로 올라가는 도로 구간은 드라이브 명소로 손에 꼽는 명구간인 만큼 혼잡한 도심을 벗어나 자연을 느끼기에 안성맞춤인 노선이다. 그러나 급경사 구간을 오르내리는 만큼 눈 내리는 날에는 '덕흥동 ~ 산수오거리' 구간만 운행하며 1187-1번의 경우 아예 결행한다. * 윗 노선 틀에서 1187번과 1187-1번은 해당 4개사가 각각 운행한다고 써져 있지만, 무등산 정상 개방 등의 성수기 때는 [[대창운수]], [[을로운수]] 등 전혀 관련이 없는 회사도 지원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17]]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문화전당역]], [[금남로4가역]][* 이상 2개역 1187-1 포함], [[금남로5가역]], [[농성역]] * 일반 철도역 : [[광주역]](ITX-새마을, 무궁화호, 통근열차) [[분류: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지선]]